SlideShare uma empresa Scribd logo
1 de 45
Baixar para ler offline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어려움 탐색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카카오톡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
2020.07.24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김주영 박정환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단어 빈도 분석
3. N-그램 분석 4. 결론 및 논의
연구배경 및 필요성,
연구대상 및 방법 자료 특성 분석, 단어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단어 분석 및 시각화로
핵심 주제 도출 및 분석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제언
1
2
3
4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 배경
COVID-19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대학 강의실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
2020년 1학기
EMERGENGY
난감하네;;;
1
2
3
4
1
연구 배경
* 자료: 2019년 이러닝 실태조사 결과(정보통신 산업진흥원)
87.5%
이러닝 전문인력 보유율*
85.3%
이러닝 강좌 도입율*
(전문대 : 78.5%) (전문대 : 60%)
** 자료: 한국대학 교수협의 실태조사 결과 자료 (경희대, 성균관대 등 213개 일반대학의 2019년 온라인 강의 비중)
99%
강의실 수업
실제 운영되는
전체 강의 대비
온라인 수업**
1%
#코로나19 이전 대학 온라인 수업 현황
1
2
3
4
1
연구개요
#갑작스러운 온라인 강의 준비 부담
 갑작스러운 온라인 개강 결정으로 인한 온라인 강의 준비 부담
 온라인 강의 개발을 위한 기술적 문제, 하드웨어/서버 인프라 문제 등과
관련한 지원 부족으로 어려움 가중
1
2
3
4
1
연구개요
#문제점과 시행착오
 낯선 온라인 수업 환경으로 인한 교수-학생 모두 혼란 발생
 ‘곧 대면수업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의 혼란이 가중되던 상황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 필요성 온라인에 맞는
효과&효율적
Teaching
1
2
3
4
1
연구개요
 온라인 과정을 처음 가르친 경험
 교수자들이 인식한 온라인 수업 어려움
 온라인 교수 경험이 많은 교수자와
없는 교수자의 차이
...
[자료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주요 분석 내용
주로 2000년대 초~2010년대
대학 온라인 교육 확대 시기 / 해외 연구
#선행연구
주요 연구 주제
국내 일반 대학 교수자 대상 연구 부족
연구 시사점
대부분 설문 및 면담 등 자기 보고식 연구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대상
2020/03/10~2020/06/26
20년 1학기
연구대상자
전국 2~4년제 대학 교강사
(채팅방 참여 인원 : 약 170여 명)
대학 교수자의
카카오톡 공개 채팅방
대화 내용
 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을
준비해야 했던 대학교수자들이
온라인 강의제작 정보 공유를 위해
자발적으로 개설
 사용자 대부분 하이브레인넷 등
교수자 커뮤니티 또는 유튜브,
블로그 검색 등을 통해 참여
 공개된 익명 채팅방으로
가입 및 탈퇴가 자유로움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관련 대화 내용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방법
1. 대화 내용 추출 2. 텍스트 전처리 3. 단어 빈도 분석 4. 키워드 밀집도 분석 5. 대화 내용 분석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txt 파일로 추출
대화 내용 추출 및
불용어 제거
형태소 추출 및
단어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단어를 분석해
분석을 위한 주제분류 도출
WordCloud N-gram 분석 및 시각화
사용 SW
키워드 군집별 교수자들의
실제 대화 사례 내용
분석을 통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재구성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2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2
 자료 수집 기간:
2020/03/10~
2020/06/26
 원 데이터 :
20970행
(*1행 = 1회 발화 건수)
 전처리 후 :
19191행
주차별 대화량
개강 1주차
(3/16~3/22)
주차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날짜
3/10~
3/15
3/16~
3/22
3/23~
3/29
3/30~
4/5
4/6~
4/12
4/13~
4/19
4/20~
4/26
4/27~
5/3
5/4~
5/10
5/11~
5/17
5/18~
5/24
5/25~
5/31
6/1~
6/7
6/8~
6/14
6/15~
6/21
6/22~
6/26
학사
일정
-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8주차 9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언급량 1474 2906 1986 2156 2239 1565 807 1273 967 970 454 543 456 168 443 784
4주차
(4/6~4/12)
7주차
(4/27~5/3)
15주차
(6/22~6/26)
1. 자료 특성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 자료 수집 기간:
2020/03/10~
2020/06/26
 원 데이터 :
20970행
(*1행 = 1회 발화 건수)
 전처리 후 :
19191행
요일별 대화량
weekday count
월 3205
화 2983
수 3614
목 2817
금 2633
토 2065
일 1874
1. 자료 특성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2
 대화방 누적
참여자 수 : 303명
 분석 대상 발언
참여자 수 * :
166명
참여자 특성
Min. 1st Qu. Median Mean 3rd Qu. Max.
1 4.25 17.5 115.61 74.5 2700
* 데이터 1차 전처리 후
대화방에서 1회 이상
발언한 경우
 10회 이상 대화 참여 인원: 103명(98.82%)
 100회 이상 대화 참여자: 32명(84.5%)
 1000회 이상 대화 참여자 : 6명(50%)
대화량 참여자 수
대화량
합계
대화량
비중
n<10 63 226 1.18%
10≤n<100 71 2749 14.32%
100≤n<1000 26 6620 34.5%
1000<n 6 9596 50%
합계 166 19191 100%
226
2749
6620
9596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n<10 10≤n<100
100≤n<1000 1000<n
6명
50%
32명
84.5%
103명
98.82%
1. 자료 특성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noun n
1 학생 1723
2 학교 1419
3 수업 1111
4 문제 683
5 강의 665
6 감사 658
7 시간 597
8 생각 565
9 영상 521
10 링크 480
11 줌앱 461
12 파워포인트 434
13 실시간 415
14 사용 377
15 진행 370
16 동영상 332
17 온라인 315
18 녹화 307
19 이야기 304
20 마이크 302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noun n
1 문제 683
2 시간 597
3 생각 565
4 영상 521
5 링크 480
6 줌앱(Zoom) 461
7 파워포인트 434
8 실시간 415
9 사용 377
10 진행 370
11 동영상 332
12 온라인 315
13 녹화 307
14 이야기 304
15 마이크 302
16 과제 291
17 녹음 289
18 유튜브 286
19 학기 267
20 대면수업 262
 학교, 학생, 수업, 강의, 감사와 같은 거의 모든 주제에 걸쳐 등장하는
상위 고빈도 단어 제거 후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
 온라인 수업 진행을 위한 기술적 요소와 관련한 키워드들이 주로
제시되고 있음(파워포인트, 줌앱(Zoom), 유튜브 등)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 한글 형태소만 추출하기 위해 영문 소프트웨어명 등을 한글 변경(Zoom->줌앱 등) 후 추출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수업
&강의’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대면수업 262
2 실시간 254
3시간 213
4 진행 178
5 비대면수업 177
6 온라인강의 162
7 온라인수업 153
8생각 148
9 줌앱 142
10 과제 120
11 강의평가 119
12 문제 115
13온라인 112
14 영상 99
15 파워포인트 92
16 준비 91
17 학기 90
18 실습 89
19 동영상 86
20내용 70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학생’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과제 99
2 문제 96
3 시간 95
4실시간 92
5 줌앱 82
6 진행 73
7 온라인 66
8 대면수업 65
9실습 51
10 학기 48
11 강의평가 46
12 방법 46
13 시험 46
14피드백 44
15 영상 43
16 의견 43
17 입장 43
18 공지 41
19 비대면수업 41
20 동영상 39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학교
&대학’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대면수업 97
2 문제 97
3 줌앱 97
4생각 93
5 진행 85
6 실시간 81
7 비대면수업 74
8 온라인 72
9학기 62
10 강사 59
11 시간 59
12 사용 52
13 과제 51
14온라인수업 48
15 공지 46
16 준비 45
17 실습 44
18 영상 42
19 온라인강의 42
20 교강사 41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rank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1 파워포인트 파워포인트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험
2 영상 영상 줌앱 영상 줌앱 줌앱 시험 시간
3 시간 시간 실시간 강사 걱정 비대면 과제 온라인, 점수
4 실시간 실시간 파워포인트 줌앱 실시간 강사, 과제 마이크 과제
5 줌앱 문제 과제 과제 과제, 온라인 대면, 확인 강사, 제출 조교
6 동영상 줌앱 영상
마이크, 실습,
온라인
영상 업로드, 저장 고용보험 기말고사, 줌앱
7 유튜브 링크 피드백 동영상 동영상 녹화, 시험 분위기 성적
8 마이크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준비 제출 마이크, 카메라 성적, 줌앱 공지
9 녹화 유튜브 대학, 파일 슬라이드 공지,교강사 녹음, 안내 기말, 녹화 학습관리시스템
10 녹음 마이크 실습
파워포인트,
비대면
내용, 유튜브 이메일, 전화 절대평가 중간고사, 채점
 ‘마스크’, ‘상황’과 같은 감염병 관련 단어와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거나 의미를 부여하여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 ‘진행‘ 등과
같은 단어를 추가적으로 제거한 후 시기별 단어 빈도 분석
 학기 초에 절대적인 단어 언급량 자체가 많고 학기말로 갈수록 급격히 언급량이 줄어드는 관계로 비중 등을 구하여 단순 비교 시
자료 해석에 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어 수치 상으로 비교하지는 않았음
기술 관련 단어
#주차별 고빈도 단어 순위 : 1~10위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기술 관련 단어의 주차별 언급 비중 변화2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37.78%
35.90%
27.31%
50.89%
30.77% 31.17%
41.18%
33.02%
50.76%
60.90%
67.54%
44.89%
65.22%
47.40% 48.74%
38.68%
11.46%
3.21%
5.15% 4.22% 4.01%
21.43%
10.08%
28.3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w1 w2 w3 w4 w5 w6 w7 w8
HW
SW
system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기술 관련 단어의 주차별 언급 비중 변화2
57.71%
66.99%
63.07%
65.09%
57.20%
37.41%
48.10%
25.00%
26.47%
28.22% 29.40%
25.47%
40.15%
35.97%
26.58%
30.21%
15.82%
4.79%
7.53%
9.43%
2.65%
26.62%
25.32%
44.79%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w1 w2 w3 w4 w5 w6 w7 w8
강의녹화
실시간강의
수업운영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역할 관련 단어 언급량
역할 세부 역할 관련 단어
교수적 역할 교수설계자, 내용전문가, 평가
자, 학습 안내자 등
과제, 실습, 강의계획서, 교수학습, 강의 교재,
강의 전달, 시험, 평가 등
사회적 역할 동기유발, 상호작용 촉진 등 질의응답, 토론, 상호작용, 토론, 피드백 등
관리적 역할 학습관리자, 운영자 출석 체크, 공지사항, 저작권 관련
기술적 역할 학습환경 관리자 소프트웨어(줌앱, 파워포인트 등), 장비(웹캠,
마이크 등), 녹음, 녹화, 촬영, 서버 등
 Berge(1995)가 제안한 교수적 역할, 사회적 역할, 관리적 역할, 기술적 역할 4가지로 구분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역할 관련 단어 언급량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7.11% 6.59%
6.56%
9.07%
15.62%
13.30%
11.20%
20.37%
7.68%
8.62%
19.06% 20.28%
18.77% 25.72%
33.59%
40.91%
80.27% 80.55%
65.66%
67.59%
60.41%
57.21%
51.04%
33.84%
4.94% 4.24%
8.73%
3.06%
5.21%
3.77% 4.17% 4.88%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w1 w2 w3 w4 w5 w6 w7 w8
관리적
교수적
기술적
사회적
기술적 역할
교수적/사회적
역할 고민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의 필요 역량 관련 단어 언급량
역량 설명 관련단어 출처
관리적 역량 수업 안내 및 운영,
학습 관리 관련
공지, 안내, 학습 공지 안내 도구(이메일,
문자 등), 출석, 저작권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설계적 역량 수업 설계 및 전략, 강의
기법, 역량 관련
수업, 강의, 실험, 실습, 교안, 자료(강의/학습자
료)
Shank(2004),
홍순정 (2004)
촉진적 역량 학습 촉진을 위한 피드백,
토론 등 상호작용 활동
토론, 상호작용, 촉진, 피드백, 촉진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평가적 역량 교육적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평가 관련 역량
퀴즈, 과제, 시험, 고사, 성적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기술적 역량 매체 제작, 시스템
활용 등 ICT 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영상(동영상, 오디오,
비디오), 장비(마이크, 웹캠), 파워포인트 등
Shank(2004)
 Shank(2004)가 제안한 온라인 교수자 역량과 홍순정 (2004)이 제안한 세부 역량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각 역량과 관련된 단어를 추출하여 분류함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필요 역량 관련 단어 언급량
74.89%
77.80%
64.04% 65.76%
59.80%
53.17%
46.41%
26.92%
3.92% 3.44%
10.19% 11.12% 12.73%
19.02%
33.73%
45.7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w1 w2 w3 w4 w5 w6 w7 w8
관리적
기술적
설계적
촉진적
평가적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기술적 역량 필요
평가적 역량 필요
1
2
3
4
3
N-그램 분석
3
1
2
3
4
N-그램 분석
3
N-그램 분석 결과(n=2)
word1 word2 n
1 실시간 강의 66
2 수업 학생 59
3 실시간 수업 52
4 학교 학교 49
5 학교 학생 49
6 대면수업 비대면수업 42
7 수업 진행 41
8 학생 수업 36
9 실습 수업 35
10 학생 입장 33
11 줌앱 실시간 31
12 실시간 스트리밍 30
13 줌앱 수업 29
14 시간 수업 27
15 음성 녹음 27
16 파워포인트 동영상 27
17 학생 학교 27
18 수업 수업 26
19 실기 수업 26
20 유튜브 실시간 26
문장 내 단어 동시 출현 횟수 분석(10회 이상 연결어)
키워드 간의 연결 형태 시각화
word1 word2 n
21 유튜브 업로드 26
22 학생 학생 26
23 생각 학생 25
24 학교 줌앱 25
25 동영상 강의 24
26 비대면수업 동시 24
27 파워포인트 녹음 24
28 학생 과제 24
29 과제 제출 23
30 유튜브 영상 23
31 강의 학교 22
32 파워포인트 파일 22
33 녹화 기능 21
34 수업 학교 21
35 영상 편집 20
36 파워포인트 음성 20
37 편집 프로그램 20
38 동시 진행 19
39 줌앱 사용 19
40 진행 학교 19
1
2
3
4
N-그램 분석 결과(n=2)
키워드 간의 연결 형태 시각화
동시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의 동시출현 빈도 수
1
2
3
4
N-그램 분석
3
#핵심연결어를 중심으로 3가지 범주 분류
B.
수업 관리
A.
수업 개발
C.
학생 관련
강의’ 를 중심으로 ‘실시간 - 화상강의’와
‘파워포인트 –영상-녹화’가 연결되어 있는
실제 온라인 강의 개발 및 실행 관련 주제
A. 수업 개발
주로 대면/비대면 수업과 관련한 학교
방침이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 문제 등
C. 수업 관리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학교 대응 관련 불만에 대한 주제
B. 학생 관련
N-그램 분석 결과(n=2)
1
2
3
4
N-그램 분석
3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실시간 화상 강의 관련
녹화형 영상 강의
 ‘파워포인트’를 중심으로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동영상 자료 삽입, 저장된
동영상 파일 재생 오류 등에
관한 대화 내용 확인 가능
 파워포인트를 통한 강의 제작
외에 화면 녹화 프로그램과
편집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한
대화 확인 가능
 ‘실시간 – 강의 – 수업’이라는
키워드 축을 중심으로
웹엑스, 유튜브, 줌앱 등에 대한
사용 및 설정 방법에 대한 대화
내용 확인 가능
# 온라인 수업 방법
 유튜브의 경우 녹화한
강의를 업로드하거나
동영상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로 많이 활용
 초기에 주로 오류나
문제에 대한 대응이 많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 대면수업 재개와 관련한
학생들의 의견 등에 대한 대화
 강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내용 외에도 학생에 의한
영상 강의 링크, 강의 콘텐츠
저작권 유출 방지와 관련한 문제
 온라인을 통한 학생들의
과제 제출 관련 내용과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에 대한
피드백에 대한 내용
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 불만, 등록금 환불 문제
 학생들과의 소통의 필요성,
소통 방법(카카오톡, 네이버
카페 등 소통 도구)에 대한
대화 내용
 이메일을 통한 수업 초대 방법,
수업 관련 안내 관련 대화내용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학생’이 언급된 대화만
추출해 분석한 바이그램
 학생들의 얼굴을 보지
못하는 수업으로 인한 답답함
 학생들에 대한 수업참여
촉진의 어려움
 수업을 위해 개설한 단체 카톡방을
통해 수업관리를 하는 교수님들이
많았음
 카톡방을 통해 다양한
학생문의(출석, 과제 등)가
들어오는데, 새벽까지 오는
카톡문자로 힘들다는 내용
 학생 과제 피드백에 대한
시간적, 체력적 부담
 실시간 수업에서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성에 대한 언급
 학생들과의 소통의 필요성,
소통 방법(카카오톡, 네이버
카페 등 소통 도구)에 대한
대화 내용
 이메일을 통한 수업 초대 방법,
수업 관련 안내 관련 대화내용
1
2
3
4
N-그램 분석
3
A. 수업 개발 C. 수업 관리B. 학생 관련
 학기 내내 수업 진행 방식
(대면-비대면)과 관련한 결정에
대한 대화가 여러 차례 오감
(명확하지 못한 학교 방침과
학생의 반대 입장 사이의 고민)
 대면수업이 재개되면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비대면 수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고충
 수업 평가 방법과 관련한 대화
(절대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대화)
 학생들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와
관련한 대화(강의 중 딴짓, 관람이
아닌 참여 필요 등 언급)
 ‘학교’와 연결된 주요 키워드 :
줌앱, 비/대면수업, 방침,
시스템, 실시간, 서버 등
 온라인 수업을 위한 서버,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
 학교의 온라인 수업과 관련한
방침과 관련한 문제점 논의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수업, 강의’가 언급된 대화만
추출해 분석한 바이그램
1
2
3
4
4
결론 및 논의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가장 많이 언급된 대화 대부분은 온라인 수업 개발 및 진행과 관련한
기술적 요소(SW/HW 등)에 관한 내용
* Yang, Y., & Cornelious, L. F. (2005). Preparing instructors for quality online instruction. Online Journal of Distance Learning Administration, 8(1), 1-16.
** Lloyd, S. A., Byrne, M. M., & McCoy, T. S. (2012). Faculty-perceived barriers of online education.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8(1).
온라인 환경에서는 교육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기술의 중요성이 더 높기 때문에, 기술을 익히고 수업에 가장 적합한
전달 메커니즘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
- Yang, Y., & Cornelious, L. F. (2005).
 주로 학기초에 기술 관련 질문이 집중되어 있음
 기존 선행연구**에서 기술적 요소는 주로 이러닝 도입의 ‘장애요인’으로 언급
(도입 동기 저하 등)되었으나 판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함께
교수자들의 기술활용도 증가로 ‘장애’적 요소로서 인식되지 않았음
 그러나 장비 부족 및 기술적 지원 등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높은 상황
#빈도 분석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Lewis, T. O. (2007). The preparation of faculty to teach online: A qualitative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VA.
기술적으로 덜 준비된 교수진은 코스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강좌를
구축하는 데 크게 의존하는 반면 기술적으로 더 준비된 교수진은
기술적 인 측면보다 코스의 실제 교육에 더 중점* Lewis (2007)
학기가 진행되면서 기술 자체에 대한 대화는 줄어드는 반면, 학생에 대한
피드백 등과 같은 수업 촉진 기술, 평가와 관련한 대화 내용 증가
전통적인 대면 수업 환경에서 온라인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스타일을 수용하고, 적절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 - Lewis (2007)
#빈도 분석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보다 성공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를 연결하기 위한
기술과 교육(pedagogy)의 통합이 필요
학기가 진행되면서 기술 자체에 대한 대화는 줄어드는 반면, 학생에 대한
피드백 등과 같은 수업 촉진 기술, 평가 방법에 대한 대화가 증가
온라인에 맞는
수업 콘텐츠
재구성
온라인에서의
촉진적 역량
강화
효과적인
온라인 평가를
위한 방안
#빈도 분석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N그램 분석
 강사들이 주된 수업 방식으로 선택한 2가지 방식(영상 녹화, 실시간강의)에 대한 키워드 응집
 강의 녹화 영상 관련 방식이 주로 기술적인 도구(SW/HW)와 관련한 대화가 많은 반면,
실시간 화상회의 관련 대화는 학기 말로 갈수록 증가하고, 학생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대한 고민 반영
A. 수업 개발
 온라인 수업을 위한 시스템, 서버 등 인프라, 장비 및 소프트웨어 등의 지원 부족에 대한 아쉬움 언급
 학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방침(시간, 방식 등) 및 대면 수업 시기 및 방법과 관련한 방침의 혼란 등에
대한 대화 내용이 주로 이루어짐
C. 수업 관리
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 많음(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아쉬움)
 카카오톡 등을 통한 학생과의 질의응답 및 과제 피드백에 대한 필요성과 부담감(업무 부하) 언급
B. 학생 관련
1
2
3
4
학생과 교수자 모두 학교의 온라인 수업(시험 포함)에 대한 의사결정 지연,
불명확한 방침 등으로 인해 큰 혼란을 겪었으며, 2학기 역시 감염병 재유행으로
동일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재유행을 고려한 시나리오별 방침 수립 및 공유 필요
연구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제언
1학기의 경우 수업 중단을 막기 위한 ‘비상 온라인 수업’이었다면
2학기 수업은 온라인 수업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지원 필요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LMS
온라인 수업
기술 지원
및 상담
온라인 수업
업무 로드에
대한 지원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역량 강화
1
2
3
4
결론 및 논의
4
[이미지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연구의 의의와 한계
국내 일반 대학 교수자에 대한 온라인 수업 경험 연구
대학교수자 온라인 수업 공동체에 대한 관찰 연구
자료 특성상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확인 불가능
감염병 재난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 결과 해석 필요
의의
한계
1
2
3
4
결론 및 논의
4
[이미지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향후 연구방향
자료 분석 방법적인 특성상 단어의 언급량으로만 파악했다는 한계점
- 해당 자료의 대화의 맥락을 고려한 질적인 내용 분석 필요
2
채팅방 운영이 계속된다면 대학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공동체로서의 의미와 기능,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수법 혁신 방안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필요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으로 인한 인식 및 교수역량 변화 연구 필요
대면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의 더 나은 학습 경험과
학습 성과를 위해 교수자가 효과적으로 온라인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필요
CREDITS: This presentation template was created by Slidesgo,
including icons by Flaticon, and infographics & images by Freepik
THANKS!
본 연구에 관한 질문이나 제언이 있으시면
다음의 메일로 문의 주세요!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김주영
surfrider@naver.com

Mais conteúdo relacionado

Mais procurados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주) Story21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the Learning & Company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the Learning & Company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Yong Heui Cho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the Learning & Company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nabilera1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YoungSik Jeong
 
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hyang0610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the Learning & Company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Tommy Park
 

Mais procurados (10)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크라우드소싱과 이러닝 협력학습(crowdsourcing in online education)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
[더러닝앤컴퍼니]히든챔피언 스쿨 제안서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SKT 스마트로봇 코딩강사 교육과정 제안서(배포)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클라우드서비스(강의계획서,2018-1)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대학교 취업성공프로젝트 찬스 제안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한 Sw교육 사례 포산중 김동균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붙임1. 2016년 소프트웨어(sw)교육 선도학교 운영 계획
 
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국문Gece 브로셔1.181058
국문Gece 브로셔1.181058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더러닝앤컴퍼니]신입사원 과정 안내서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기업용 코딩교육제안서 공유
 

Semelhante a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어려움 탐색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Han Woo PARK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heyoungkim
 
싸캠교수자매뉴얼
싸캠교수자매뉴얼싸캠교수자매뉴얼
싸캠교수자매뉴얼no2nd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Yong Heui Cho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Yong Heui Cho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은수 박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Yong Heui Cho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Daegu University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Introduction to semat essence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uEngine Solutions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NAVER Engineering
 
final presentation
final presentationfinal presentation
final presentationssusera87fd9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웅찬 남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Woong won Lee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engedukamall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Yong Heui Cho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yunjae jang
 
JH'S Portfolio
JH'S PortfolioJH'S Portfolio
JH'S PortfolioJ.H Ahn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Yong Heui Cho
 

Semelhante a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어려움 탐색 (20)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
Node xl 빅데이터분석(29july2014)방송기자연합회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 방안:
 
Postbang
PostbangPostbang
Postbang
 
싸캠교수자매뉴얼
싸캠교수자매뉴얼싸캠교수자매뉴얼
싸캠교수자매뉴얼
 
2
22
2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
전자회로(강의계획서)2017-2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
전자회로설계(강의계획서,2018-1)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
모두의연구소 Deep Learning College 설명회 발표자료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
융합캡스톤디자인2(강의계획서)2017-2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
제7차 과학 교과서의 ICT 활용 교육 관련 요소 분석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Introduction to semat essence
Introduction to semat essence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
딥러닝을 활용한 비디오 스토리 질의응답: 뽀로로QA와 심층 임베딩 메모리망
 
final presentation
final presentationfinal presentation
final presentation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
MS Project 활용 프로젝트 관리 실무 교육 안내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
2018 06-11-active-question-answering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Google Drive로 제작한 디지털 영어교과서의 활용방안: 고등학교 하위권 학생 사례연구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
캡스톤설계1(강의계획서)2013-1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방안 연구
 
JH'S Portfolio
JH'S PortfolioJH'S Portfolio
JH'S Portfolio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
스마트디바이스지능통신(설문분석)2014-1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어려움 탐색

  • 1. 코로나 19 상황에서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어려움 탐색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카카오톡 대화 분석을 중심으로 - 2020.07.24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김주영 박정환
  • 2.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단어 빈도 분석 3. N-그램 분석 4. 결론 및 논의 연구배경 및 필요성, 연구대상 및 방법 자료 특성 분석, 단어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단어 분석 및 시각화로 핵심 주제 도출 및 분석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제언
  • 4.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 배경 COVID-19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해 전국 대학 강의실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 2020년 1학기 EMERGENGY 난감하네;;;
  • 5. 1 2 3 4 1 연구 배경 * 자료: 2019년 이러닝 실태조사 결과(정보통신 산업진흥원) 87.5% 이러닝 전문인력 보유율* 85.3% 이러닝 강좌 도입율* (전문대 : 78.5%) (전문대 : 60%) ** 자료: 한국대학 교수협의 실태조사 결과 자료 (경희대, 성균관대 등 213개 일반대학의 2019년 온라인 강의 비중) 99% 강의실 수업 실제 운영되는 전체 강의 대비 온라인 수업** 1% #코로나19 이전 대학 온라인 수업 현황
  • 6. 1 2 3 4 1 연구개요 #갑작스러운 온라인 강의 준비 부담  갑작스러운 온라인 개강 결정으로 인한 온라인 강의 준비 부담  온라인 강의 개발을 위한 기술적 문제, 하드웨어/서버 인프라 문제 등과 관련한 지원 부족으로 어려움 가중
  • 7. 1 2 3 4 1 연구개요 #문제점과 시행착오  낯선 온라인 수업 환경으로 인한 교수-학생 모두 혼란 발생  ‘곧 대면수업으로 전환’될 수도 있다는 불확실한 상황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모두의 혼란이 가중되던 상황
  • 8.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 필요성 온라인에 맞는 효과&효율적 Teaching
  • 9. 1 2 3 4 1 연구개요  온라인 과정을 처음 가르친 경험  교수자들이 인식한 온라인 수업 어려움  온라인 교수 경험이 많은 교수자와 없는 교수자의 차이 ... [자료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주요 분석 내용 주로 2000년대 초~2010년대 대학 온라인 교육 확대 시기 / 해외 연구 #선행연구 주요 연구 주제 국내 일반 대학 교수자 대상 연구 부족 연구 시사점 대부분 설문 및 면담 등 자기 보고식 연구
  • 10.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대상 2020/03/10~2020/06/26 20년 1학기 연구대상자 전국 2~4년제 대학 교강사 (채팅방 참여 인원 : 약 170여 명) 대학 교수자의 카카오톡 공개 채팅방 대화 내용  코로나19로 온라인 수업을 준비해야 했던 대학교수자들이 온라인 강의제작 정보 공유를 위해 자발적으로 개설  사용자 대부분 하이브레인넷 등 교수자 커뮤니티 또는 유튜브, 블로그 검색 등을 통해 참여  공개된 익명 채팅방으로 가입 및 탈퇴가 자유로움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관련 대화 내용
  • 11. 1 2 3 4 1 연구개요 연구방법 1. 대화 내용 추출 2. 텍스트 전처리 3. 단어 빈도 분석 4. 키워드 밀집도 분석 5. 대화 내용 분석 #텍스트마이닝(Text-mining) .txt 파일로 추출 대화 내용 추출 및 불용어 제거 형태소 추출 및 단어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단어를 분석해 분석을 위한 주제분류 도출 WordCloud N-gram 분석 및 시각화 사용 SW 키워드 군집별 교수자들의 실제 대화 사례 내용 분석을 통해 교수자들의 온라인 수업 경험을 재구성
  • 13.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2  자료 수집 기간: 2020/03/10~ 2020/06/26  원 데이터 : 20970행 (*1행 = 1회 발화 건수)  전처리 후 : 19191행 주차별 대화량 개강 1주차 (3/16~3/22) 주차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날짜 3/10~ 3/15 3/16~ 3/22 3/23~ 3/29 3/30~ 4/5 4/6~ 4/12 4/13~ 4/19 4/20~ 4/26 4/27~ 5/3 5/4~ 5/10 5/11~ 5/17 5/18~ 5/24 5/25~ 5/31 6/1~ 6/7 6/8~ 6/14 6/15~ 6/21 6/22~ 6/26 학사 일정 - 1주차 2주차 3주차 4주차 5주차 6주차 7주차 8주차 9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13주차 14주차 15주차 언급량 1474 2906 1986 2156 2239 1565 807 1273 967 970 454 543 456 168 443 784 4주차 (4/6~4/12) 7주차 (4/27~5/3) 15주차 (6/22~6/26) 1. 자료 특성
  • 14.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 자료 수집 기간: 2020/03/10~ 2020/06/26  원 데이터 : 20970행 (*1행 = 1회 발화 건수)  전처리 후 : 19191행 요일별 대화량 weekday count 월 3205 화 2983 수 3614 목 2817 금 2633 토 2065 일 1874 1. 자료 특성
  • 15.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2  대화방 누적 참여자 수 : 303명  분석 대상 발언 참여자 수 * : 166명 참여자 특성 Min. 1st Qu. Median Mean 3rd Qu. Max. 1 4.25 17.5 115.61 74.5 2700 * 데이터 1차 전처리 후 대화방에서 1회 이상 발언한 경우  10회 이상 대화 참여 인원: 103명(98.82%)  100회 이상 대화 참여자: 32명(84.5%)  1000회 이상 대화 참여자 : 6명(50%) 대화량 참여자 수 대화량 합계 대화량 비중 n<10 63 226 1.18% 10≤n<100 71 2749 14.32% 100≤n<1000 26 6620 34.5% 1000<n 6 9596 50% 합계 166 19191 100% 226 2749 6620 9596 0 2000 4000 6000 8000 10000 12000 14000 16000 18000 20000 n<10 10≤n<100 100≤n<1000 1000<n 6명 50% 32명 84.5% 103명 98.82% 1. 자료 특성
  • 16.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noun n 1 학생 1723 2 학교 1419 3 수업 1111 4 문제 683 5 강의 665 6 감사 658 7 시간 597 8 생각 565 9 영상 521 10 링크 480 11 줌앱 461 12 파워포인트 434 13 실시간 415 14 사용 377 15 진행 370 16 동영상 332 17 온라인 315 18 녹화 307 19 이야기 304 20 마이크 302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 17.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noun n 1 문제 683 2 시간 597 3 생각 565 4 영상 521 5 링크 480 6 줌앱(Zoom) 461 7 파워포인트 434 8 실시간 415 9 사용 377 10 진행 370 11 동영상 332 12 온라인 315 13 녹화 307 14 이야기 304 15 마이크 302 16 과제 291 17 녹음 289 18 유튜브 286 19 학기 267 20 대면수업 262  학교, 학생, 수업, 강의, 감사와 같은 거의 모든 주제에 걸쳐 등장하는 상위 고빈도 단어 제거 후 워드클라우드로 시각화  온라인 수업 진행을 위한 기술적 요소와 관련한 키워드들이 주로 제시되고 있음(파워포인트, 줌앱(Zoom), 유튜브 등)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 한글 형태소만 추출하기 위해 영문 소프트웨어명 등을 한글 변경(Zoom->줌앱 등) 후 추출
  • 18.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수업 &강의’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대면수업 262 2 실시간 254 3시간 213 4 진행 178 5 비대면수업 177 6 온라인강의 162 7 온라인수업 153 8생각 148 9 줌앱 142 10 과제 120 11 강의평가 119 12 문제 115 13온라인 112 14 영상 99 15 파워포인트 92 16 준비 91 17 학기 90 18 실습 89 19 동영상 86 20내용 70
  • 19.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학생’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과제 99 2 문제 96 3 시간 95 4실시간 92 5 줌앱 82 6 진행 73 7 온라인 66 8 대면수업 65 9실습 51 10 학기 48 11 강의평가 46 12 방법 46 13 시험 46 14피드백 44 15 영상 43 16 의견 43 17 입장 43 18 공지 41 19 비대면수업 41 20 동영상 39
  • 20.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단어 빈도 추출 및 시각화 ’학교 &대학’ 포함 문장 분석 noun n 1 대면수업 97 2 문제 97 3 줌앱 97 4생각 93 5 진행 85 6 실시간 81 7 비대면수업 74 8 온라인 72 9학기 62 10 강사 59 11 시간 59 12 사용 52 13 과제 51 14온라인수업 48 15 공지 46 16 준비 45 17 실습 44 18 영상 42 19 온라인강의 42 20 교강사 41
  • 21.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rank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1 파워포인트 파워포인트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간 시험 2 영상 영상 줌앱 영상 줌앱 줌앱 시험 시간 3 시간 시간 실시간 강사 걱정 비대면 과제 온라인, 점수 4 실시간 실시간 파워포인트 줌앱 실시간 강사, 과제 마이크 과제 5 줌앱 문제 과제 과제 과제, 온라인 대면, 확인 강사, 제출 조교 6 동영상 줌앱 영상 마이크, 실습, 온라인 영상 업로드, 저장 고용보험 기말고사, 줌앱 7 유튜브 링크 피드백 동영상 동영상 녹화, 시험 분위기 성적 8 마이크 동영상 녹화, 프로그램 준비 제출 마이크, 카메라 성적, 줌앱 공지 9 녹화 유튜브 대학, 파일 슬라이드 공지,교강사 녹음, 안내 기말, 녹화 학습관리시스템 10 녹음 마이크 실습 파워포인트, 비대면 내용, 유튜브 이메일, 전화 절대평가 중간고사, 채점  ‘마스크’, ‘상황’과 같은 감염병 관련 단어와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거나 의미를 부여하여 해석하기 어려운 ‘문제’, ‘진행‘ 등과 같은 단어를 추가적으로 제거한 후 시기별 단어 빈도 분석  학기 초에 절대적인 단어 언급량 자체가 많고 학기말로 갈수록 급격히 언급량이 줄어드는 관계로 비중 등을 구하여 단순 비교 시 자료 해석에 대한 왜곡이 발생할 수 있어 수치 상으로 비교하지는 않았음 기술 관련 단어 #주차별 고빈도 단어 순위 : 1~10위
  • 22.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기술 관련 단어의 주차별 언급 비중 변화2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37.78% 35.90% 27.31% 50.89% 30.77% 31.17% 41.18% 33.02% 50.76% 60.90% 67.54% 44.89% 65.22% 47.40% 48.74% 38.68% 11.46% 3.21% 5.15% 4.22% 4.01% 21.43% 10.08% 28.3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w1 w2 w3 w4 w5 w6 w7 w8 HW SW system
  • 23.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기술 관련 단어의 주차별 언급 비중 변화2 57.71% 66.99% 63.07% 65.09% 57.20% 37.41% 48.10% 25.00% 26.47% 28.22% 29.40% 25.47% 40.15% 35.97% 26.58% 30.21% 15.82% 4.79% 7.53% 9.43% 2.65% 26.62% 25.32% 44.79%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w1 w2 w3 w4 w5 w6 w7 w8 강의녹화 실시간강의 수업운영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 24.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역할 관련 단어 언급량 역할 세부 역할 관련 단어 교수적 역할 교수설계자, 내용전문가, 평가 자, 학습 안내자 등 과제, 실습, 강의계획서, 교수학습, 강의 교재, 강의 전달, 시험, 평가 등 사회적 역할 동기유발, 상호작용 촉진 등 질의응답, 토론, 상호작용, 토론, 피드백 등 관리적 역할 학습관리자, 운영자 출석 체크, 공지사항, 저작권 관련 기술적 역할 학습환경 관리자 소프트웨어(줌앱, 파워포인트 등), 장비(웹캠, 마이크 등), 녹음, 녹화, 촬영, 서버 등  Berge(1995)가 제안한 교수적 역할, 사회적 역할, 관리적 역할, 기술적 역할 4가지로 구분
  • 25.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역할 관련 단어 언급량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7.11% 6.59% 6.56% 9.07% 15.62% 13.30% 11.20% 20.37% 7.68% 8.62% 19.06% 20.28% 18.77% 25.72% 33.59% 40.91% 80.27% 80.55% 65.66% 67.59% 60.41% 57.21% 51.04% 33.84% 4.94% 4.24% 8.73% 3.06% 5.21% 3.77% 4.17% 4.88%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w1 w2 w3 w4 w5 w6 w7 w8 관리적 교수적 기술적 사회적 기술적 역할 교수적/사회적 역할 고민
  • 26. 1 2 3 4 단어 빈도 분석 2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의 필요 역량 관련 단어 언급량 역량 설명 관련단어 출처 관리적 역량 수업 안내 및 운영, 학습 관리 관련 공지, 안내, 학습 공지 안내 도구(이메일, 문자 등), 출석, 저작권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설계적 역량 수업 설계 및 전략, 강의 기법, 역량 관련 수업, 강의, 실험, 실습, 교안, 자료(강의/학습자 료) Shank(2004), 홍순정 (2004) 촉진적 역량 학습 촉진을 위한 피드백, 토론 등 상호작용 활동 토론, 상호작용, 촉진, 피드백, 촉진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평가적 역량 교육적 목표 달성을 위해 필요한 평가 관련 역량 퀴즈, 과제, 시험, 고사, 성적 등 Shank(2004). 홍순정 (2004) 기술적 역량 매체 제작, 시스템 활용 등 ICT 기술 관련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영상(동영상, 오디오, 비디오), 장비(마이크, 웹캠), 파워포인트 등 Shank(2004)  Shank(2004)가 제안한 온라인 교수자 역량과 홍순정 (2004)이 제안한 세부 역량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구성하고, 각 역량과 관련된 단어를 추출하여 분류함
  • 27. 1 2 3 4 2. 단어 빈도 분석 # 온라인 교수자 필요 역량 관련 단어 언급량 74.89% 77.80% 64.04% 65.76% 59.80% 53.17% 46.41% 26.92% 3.92% 3.44% 10.19% 11.12% 12.73% 19.02% 33.73% 45.70% 0.00%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w1 w2 w3 w4 w5 w6 w7 w8 관리적 기술적 설계적 촉진적 평가적 3/10~3/22 3/23~4/5 4/6~4/19 4/20~5/3 5/4~5/17 5/18~5/31 6/1~6/13 6/14~6/26 기술적 역량 필요 평가적 역량 필요
  • 29. 1 2 3 4 N-그램 분석 3 N-그램 분석 결과(n=2) word1 word2 n 1 실시간 강의 66 2 수업 학생 59 3 실시간 수업 52 4 학교 학교 49 5 학교 학생 49 6 대면수업 비대면수업 42 7 수업 진행 41 8 학생 수업 36 9 실습 수업 35 10 학생 입장 33 11 줌앱 실시간 31 12 실시간 스트리밍 30 13 줌앱 수업 29 14 시간 수업 27 15 음성 녹음 27 16 파워포인트 동영상 27 17 학생 학교 27 18 수업 수업 26 19 실기 수업 26 20 유튜브 실시간 26 문장 내 단어 동시 출현 횟수 분석(10회 이상 연결어) 키워드 간의 연결 형태 시각화 word1 word2 n 21 유튜브 업로드 26 22 학생 학생 26 23 생각 학생 25 24 학교 줌앱 25 25 동영상 강의 24 26 비대면수업 동시 24 27 파워포인트 녹음 24 28 학생 과제 24 29 과제 제출 23 30 유튜브 영상 23 31 강의 학교 22 32 파워포인트 파일 22 33 녹화 기능 21 34 수업 학교 21 35 영상 편집 20 36 파워포인트 음성 20 37 편집 프로그램 20 38 동시 진행 19 39 줌앱 사용 19 40 진행 학교 19
  • 30. 1 2 3 4 N-그램 분석 결과(n=2) 키워드 간의 연결 형태 시각화 동시 출현 빈도가 높은 단어의 동시출현 빈도 수
  • 31. 1 2 3 4 N-그램 분석 3 #핵심연결어를 중심으로 3가지 범주 분류 B. 수업 관리 A. 수업 개발 C. 학생 관련 강의’ 를 중심으로 ‘실시간 - 화상강의’와 ‘파워포인트 –영상-녹화’가 연결되어 있는 실제 온라인 강의 개발 및 실행 관련 주제 A. 수업 개발 주로 대면/비대면 수업과 관련한 학교 방침이나 온라인 수업에 참여 문제 등 C. 수업 관리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학교 대응 관련 불만에 대한 주제 B. 학생 관련 N-그램 분석 결과(n=2)
  • 32. 1 2 3 4 N-그램 분석 3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실시간 화상 강의 관련 녹화형 영상 강의  ‘파워포인트’를 중심으로 음성 녹음, 영상 녹화, 동영상 자료 삽입, 저장된 동영상 파일 재생 오류 등에 관한 대화 내용 확인 가능  파워포인트를 통한 강의 제작 외에 화면 녹화 프로그램과 편집 프로그램 사용법에 대한 대화 확인 가능  ‘실시간 – 강의 – 수업’이라는 키워드 축을 중심으로 웹엑스, 유튜브, 줌앱 등에 대한 사용 및 설정 방법에 대한 대화 내용 확인 가능 # 온라인 수업 방법  유튜브의 경우 녹화한 강의를 업로드하거나 동영상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로 많이 활용  초기에 주로 오류나 문제에 대한 대응이 많
  • 33.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 대면수업 재개와 관련한 학생들의 의견 등에 대한 대화  강의 콘텐츠의 저작권 관련 내용 외에도 학생에 의한 영상 강의 링크, 강의 콘텐츠 저작권 유출 방지와 관련한 문제  온라인을 통한 학생들의 과제 제출 관련 내용과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에 대한 피드백에 대한 내용  비대면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입장, 불만, 등록금 환불 문제  학생들과의 소통의 필요성, 소통 방법(카카오톡, 네이버 카페 등 소통 도구)에 대한 대화 내용  이메일을 통한 수업 초대 방법, 수업 관련 안내 관련 대화내용
  • 34.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학생’이 언급된 대화만 추출해 분석한 바이그램  학생들의 얼굴을 보지 못하는 수업으로 인한 답답함  학생들에 대한 수업참여 촉진의 어려움  수업을 위해 개설한 단체 카톡방을 통해 수업관리를 하는 교수님들이 많았음  카톡방을 통해 다양한 학생문의(출석, 과제 등)가 들어오는데, 새벽까지 오는 카톡문자로 힘들다는 내용  학생 과제 피드백에 대한 시간적, 체력적 부담  실시간 수업에서 학생들의 적극적 참여 필요성에 대한 언급  학생들과의 소통의 필요성, 소통 방법(카카오톡, 네이버 카페 등 소통 도구)에 대한 대화 내용  이메일을 통한 수업 초대 방법, 수업 관련 안내 관련 대화내용
  • 35. 1 2 3 4 N-그램 분석 3 A. 수업 개발 C. 수업 관리B. 학생 관련  학기 내내 수업 진행 방식 (대면-비대면)과 관련한 결정에 대한 대화가 여러 차례 오감 (명확하지 못한 학교 방침과 학생의 반대 입장 사이의 고민)  대면수업이 재개되면서 마스크를 착용하고 비대면 수업을 동시에 진행해야 하는 고충  수업 평가 방법과 관련한 대화 (절대평가의 필요성에 대한 대화)  학생들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참여와 관련한 대화(강의 중 딴짓, 관람이 아닌 참여 필요 등 언급)  ‘학교’와 연결된 주요 키워드 : 줌앱, 비/대면수업, 방침, 시스템, 실시간, 서버 등  온라인 수업을 위한 서버, 시스템에 대한 문제점  학교의 온라인 수업과 관련한 방침과 관련한 문제점 논의
  • 36. 1 2 3 4 A. 수업 개발 B. 학생 관련 C. 수업 관리 ‘수업, 강의’가 언급된 대화만 추출해 분석한 바이그램
  • 38.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가장 많이 언급된 대화 대부분은 온라인 수업 개발 및 진행과 관련한 기술적 요소(SW/HW 등)에 관한 내용 * Yang, Y., & Cornelious, L. F. (2005). Preparing instructors for quality online instruction. Online Journal of Distance Learning Administration, 8(1), 1-16. ** Lloyd, S. A., Byrne, M. M., & McCoy, T. S. (2012). Faculty-perceived barriers of online education.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8(1). 온라인 환경에서는 교육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매개체로서 기술의 중요성이 더 높기 때문에, 기술을 익히고 수업에 가장 적합한 전달 메커니즘을 선택하고 활용하는 능력이 필요* - Yang, Y., & Cornelious, L. F. (2005).  주로 학기초에 기술 관련 질문이 집중되어 있음  기존 선행연구**에서 기술적 요소는 주로 이러닝 도입의 ‘장애요인’으로 언급 (도입 동기 저하 등)되었으나 판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과 함께 교수자들의 기술활용도 증가로 ‘장애’적 요소로서 인식되지 않았음  그러나 장비 부족 및 기술적 지원 등에 대한 요구는 여전히 높은 상황 #빈도 분석
  • 39.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Lewis, T. O. (2007). The preparation of faculty to teach online: A qualitative approach.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Blacksburg, VA. 기술적으로 덜 준비된 교수진은 코스 개발자와 디자이너가 강좌를 구축하는 데 크게 의존하는 반면 기술적으로 더 준비된 교수진은 기술적 인 측면보다 코스의 실제 교육에 더 중점* Lewis (2007) 학기가 진행되면서 기술 자체에 대한 대화는 줄어드는 반면, 학생에 대한 피드백 등과 같은 수업 촉진 기술, 평가와 관련한 대화 내용 증가 전통적인 대면 수업 환경에서 온라인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스타일을 수용하고, 적절한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 필요함* - Lewis (2007) #빈도 분석
  • 40.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보다 성공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해서는 학습자와 콘텐츠를 연결하기 위한 기술과 교육(pedagogy)의 통합이 필요 학기가 진행되면서 기술 자체에 대한 대화는 줄어드는 반면, 학생에 대한 피드백 등과 같은 수업 촉진 기술, 평가 방법에 대한 대화가 증가 온라인에 맞는 수업 콘텐츠 재구성 온라인에서의 촉진적 역량 강화 효과적인 온라인 평가를 위한 방안 #빈도 분석
  • 41. 1 2 3 4 결론 및 논의 4 결론 및 논의 #N그램 분석  강사들이 주된 수업 방식으로 선택한 2가지 방식(영상 녹화, 실시간강의)에 대한 키워드 응집  강의 녹화 영상 관련 방식이 주로 기술적인 도구(SW/HW)와 관련한 대화가 많은 반면, 실시간 화상회의 관련 대화는 학기 말로 갈수록 증가하고, 학생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에 대한 고민 반영 A. 수업 개발  온라인 수업을 위한 시스템, 서버 등 인프라, 장비 및 소프트웨어 등의 지원 부족에 대한 아쉬움 언급  학교의 온라인 수업에 대한 방침(시간, 방식 등) 및 대면 수업 시기 및 방법과 관련한 방침의 혼란 등에 대한 대화 내용이 주로 이루어짐 C. 수업 관리 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 많음(학생들의 적극적 참여에 대한 아쉬움)  카카오톡 등을 통한 학생과의 질의응답 및 과제 피드백에 대한 필요성과 부담감(업무 부하) 언급 B. 학생 관련
  • 42. 1 2 3 4 학생과 교수자 모두 학교의 온라인 수업(시험 포함)에 대한 의사결정 지연, 불명확한 방침 등으로 인해 큰 혼란을 겪었으며, 2학기 역시 감염병 재유행으로 동일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바, 재유행을 고려한 시나리오별 방침 수립 및 공유 필요 연구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한 제언 1학기의 경우 수업 중단을 막기 위한 ‘비상 온라인 수업’이었다면 2학기 수업은 온라인 수업에 대한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지원 필요 상호작용을 지원할 수 있는 LMS 온라인 수업 기술 지원 및 상담 온라인 수업 업무 로드에 대한 지원 학생들의 온라인 학습 역량 강화
  • 43. 1 2 3 4 결론 및 논의 4 [이미지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연구의 의의와 한계 국내 일반 대학 교수자에 대한 온라인 수업 경험 연구 대학교수자 온라인 수업 공동체에 대한 관찰 연구 자료 특성상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정보 확인 불가능 감염병 재난 상황의 특수성을 고려한 연구 결과 해석 필요 의의 한계
  • 44. 1 2 3 4 결론 및 논의 4 [이미지 출처] De Gagne, J. C., & Walters, K. (2009). Online teaching experience: A qualitative metasynthesis (QMS). MERLOT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5(4). 향후 연구방향 자료 분석 방법적인 특성상 단어의 언급량으로만 파악했다는 한계점 - 해당 자료의 대화의 맥락을 고려한 질적인 내용 분석 필요 2 채팅방 운영이 계속된다면 대학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공동체로서의 의미와 기능,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교수법 혁신 방안으로서의 가능성 탐색 연구 필요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으로 인한 인식 및 교수역량 변화 연구 필요 대면 수업을 온라인으로 ‘전환’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의 더 나은 학습 경험과 학습 성과를 위해 교수자가 효과적으로 온라인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필요
  • 45. CREDITS: This presentation template was created by Slidesgo, including icons by Flaticon, and infographics & images by Freepik THANKS! 본 연구에 관한 질문이나 제언이 있으시면 다음의 메일로 문의 주세요! 제주대학교 교육학과 김주영 surfrider@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