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úncio

KAIST_CTAR20230322.pdf

Professor at KAIST em KAIST KI-ITC ARRC
22 de Mar de 2023
Anúncio

Mais conteúdo relacionado

Similar a KAIST_CTAR20230322.pdf(20)

Anúncio

Último(20)

KAIST_CTAR20230322.pdf

  1. KAIST GSCT CT-AR: 증강현실 전문인력양성 프로그램 우 운 택 CT대학원 CT-AR 책임교수 KI-ITC 증강현실연구센터장 KAIST 2023년 산업전문인력역량강화사업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2. 순서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KAIST CT-AR 입시일정 및 지원 방법 KAIST CT-AR Program 소개 KAIST CT-AR Program 중점 분야: 왜 AR3.0인가? KAIST CT-AR Program 교과과정 소개 질의응답
  3. • 온라인 GSCT 입시설명회: 2022.3.25(금) 오후 4:00- • ZOOM: https://kaist.zoom.us/j/7092324024 • 사전등록: https://bit.ly/3MDwsof • 원서접수: ~ 4.11.(화) 17:30 & 서류제출 ~4/13(수) 18:00 •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2023.5.11.(목) • 면접전형: 2023.5.17.(수) ~ 5.18.(목) • 최종 합격자 발표: 2023.6.15.(목) 입시 일정 (CT대학원 일정과 동일) • 홈페이지: http://admission.kaist.ac.kr/graduate KAIST 입학처 • 전화:042-350-5923 메일: arprogram@kaist.ac.kr • KAIST CT대학원 CT-AR 홈페이지: http://ar.kaist.ac.kr • KEA 홈페이지: http://www.xrpro.or.kr/index.php?hCode=INFO_02_01_01 KAIST CT-AR 프로그램 KAIST CT-AR 2023 가을학기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메타버스융합대학원 (학제전공) 설명회 2023. 3. 30.(목) 14:00~16:00 http://meta.kaist.ac.kr
  4. l선발 및 연구실 배정 절차 KAIST CT-AR 2023 가을학기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선발인원 석박사 20명/년 * 타대학 석사졸업생은 석사과정 지원 권장 선발방법 지원 시 • 국비+CT-AR 프로그램 선택 • (최대한 많이) 면담 후 지원 연구실 명시 서류심사 전 • (희망연구실) 사전 면담 • 지원연구실 및 프로그램 선택 확인 면접 후 • 선발 시 연구실 TO 고려한 연구실 배정 입학 후 입학 준비 • 배정 연구실 규정에 따라 학기 중 • 학교/과 필수과목 수강 • 프로그램 필수과목+선택과목 수강 졸업 전 • 학교/과/CT-AR 졸업 요건 충족 확인 면접: 10분 발표, 5분 Q&A •석사과정: 지원 동기, 학업 역량 (창의적 활동 및 문제해결 경험/결과물이 있으면 포함), 학업계획 등을 발표 •박사과정: 석사과정에서의 연구주제에 대한 발표와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무엇을 연구할 것인지에 대한 발표
  5.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현장 수요를 이해하고 글로벌 경쟁력 갖춘 “Digital Twin-XR 연동 원격 협업 플랫폼” 전문인력 양성 AR 핵심기술 융합 교육과정 개발 핵심역량과 신산업 선도 능력 갖춘 융합형 AR R&D 인력 양성 추 진 전 략 교 육 목 표 목 표 추 진 방 안 학위형 양성과정(수혜/배출) 신입생선발(석사/박사) 17/1명 7명 37/3명 20명 53/15명 19명 53/14명 20명 59/14명 20명 수요중심 산학 연계 프로젝트기획 과목 국제협력통한 글로벌 R&D 인력 양성 219/47명 86명
  6. 학위과정 : • 공학석사 • 학과 필수 1과목, • AR 프로그램(전공필수 2과목, 선 택 3과목) • 총 33학점 • 공학박사 • 학과 필수 1과목, • AR 프로그램(전공필수 2과목, 특 화 트랙 1개 이수) • 총 60학점 혜택 및 지원 • 지원금 • 국비 장학생 수준 (등록금+학자 금) • 최대 지원기간(~2024) • 석사 4학기 이내 • 박사 6학기 이내 • 기업 인턴쉽 지원 • 해외출장 지원: • IEEE VR & ISMAR 논문 채택시 참가지원 • XR관련 해외기관 방문연구 지원 의무 • 산학협력 참여 • GCT700 ARP 필수 • 성실한 AR 교과과정 수료 및 관련 연구 • XR 전공과 논문 연구 수행 • XR Studio/Class 등 CT-AR 프 로그램 운영 참여/지원 • 년말 연구 교류회 • 워크숍 • 우수연구결과 시상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7.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지역특화)문화, 과학, 의료, 국방 등 지역특화분야 연계하여XR 연구확산 • (파트너쉽)파트너쉽기업과연구 및 교육 과정협력으로실무교육효과 극대화 KAIST 산학협력 컨소시움 기업 참여 대학 산학협력 및 국제협력 지원 KAIST CT-AR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젝트 상호보완적 학점 교류 현장 수요 반영 산학협력실 구축지원 대전지역 기업 산학프로젝트 지역 AR/VR산업 인프라 육성
  8. l교수 20 §전임직 12 §초빙 2 §겸임 7 §겸직 3 & 해외겸직 3 §명예/초빙석학 2 l대학원생 168 §석사 82 §박사 80 §전문석사 4 l직원 7 KAIST GSCT People 2023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Full Time Faculty Engineering Science Humanity and Sociology Art & Design Adjunct Faculty
  9. l입학생 (246명) vs. 졸업생 (189명) [최근 5년(17~22)] KAIST GSCT People 2023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Engineering 34% IT(CS/EE/M E) 14% Humanities & Sociology 20% Science 8% Art & Design 22% Etc 2% 인원 61 38 9 0 5 18 0 22 15 10 7 4 0 10 20 30 40 50 60 70 진학 산업체 연구기관등 교원 창업 기타 석사 박사 석사 : 131 박사 : 58
  10. l가상증강현실로 돌아왔다! 그런데, 가상증강현실 어디로 가고 있나? AR3.0 가상증강현실의 미래!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AR1.0 (Desktop, 1990s-) Augment Real Objects with Virtual Content (1992) AR2.0 (Mobile, 2000s-) Augment Real Space with Content (2007) AR2.5 (Smart phone, 2010s-) Augment Real Place with Dynamic (Social) Content (2016) AR3.0 (Glass, 2020s-) Augment Human with Context-aware (Social) Content (2025? Or 2030?) [07] Metaverse [14] [19] [03] 2nd Life, HoloLens1 HoloLens2 Digital Twin [01] Ubiquitous VR Every 15 years or so a new major platform emerges?
  11. lPossible +Impacts of AR3.0 on U-tact Era? §Visualization/Annotation/Storytelling UX §Organic UI for Natural Interaction §Connection/Communication/Collaboration AR3.0 가상증강현실 어떻게 활용할까?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12. l중점 분야: Digital Twin 연동 XR! §Strolling is the new scrolling! §Overcome of Space-Time limitation §Extension of humans’ power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Social Media Services Life: Home Healthcare, wellness Work: Office Collaboration Play: Public Places Entertainment Management Energy/Water/Air/Mobility Digital Twin Physical World
  13. l교육과정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전공 구분 공통필수 CT필수 CTAR필수 CTAR선택 자유선택 연구 계 석사 3 3 6 9 3 9 33 박사 3 3 6 18 3 27 60 교과과정 운영 : CT대학원 학사/교과과정위와 공동 운영 • 현장 수요형 증강현실분야 융합교육과정 개발 • 기업 수요형 프로젝트 수업 운영 • 국제협력 통한 글로벌 교육프로그램 개발 석사 • 기초필수, 공통필수, 학과 전공필수, CT-AR 전공필수, CT-AR 전공선택 3과목 등 총 18학점 포함 소속학과 석사졸업요건 이수 박사 • 기초필수, 공통필수, 학과 전공필수, CT-AR 전공필수, 전공 1트랙 포함 6과목 등 총 27학점 포함 소속학과 박사졸업요건 이수
  14. l교과과정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공통필수: 3학점 CC010 리 더십강좌 CC020 윤 리 및 안 전 등 학과 (CT) 필 수: 3학점 GCT501 문화기술 론 CT-AR 기초 /전공필수: 6 학점 CTP445 증강현실, GCT700 프로젝트 특강 (AR Project) CT-AR 전공 선택 석사는 트 랙 별로 3 과목 선택, 박사는 트 랙 내 심 화선택 권 장 연구학점 : 9 학점 이상 (세미나 2학 점 필수) 연구학점 중 3학점 을 2개월 이상의 기 업체 인턴 쉽으로 취 득 가능 학점교류: 가상증강 현실 인력 양성사업 참여대학
  15. KAIST CT-AR 프로그램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 ARSW/Platform분야 3개(향후+1개발)특화트랙을구성/운영 • 증강현실/AR프로젝트(필수),3D인터랙션디자인,증강휴먼등12개과목개설운영 • 석사(필수2,선택3),박사(필수2,특화트랙1포함선택6)이수를통한실무전문인력배출 KAIST CT-AR AR SW/플랫폼 특화과정 특화 트랙 CT-AR 기초필수 CT-AR 전공필수 CT-AR 전공선택(기초) CT-AR 전공선택(심화) CT-AR 전공선택(응용) 환경인식 및 지능증강 CTP445 (GCT545) 증강현실 GCT700 산학 연계 AR Project AI501-5 인공지능* AI506 DM&S CS576 컴퓨터 비전* EE531 통계적 학습이론 EE535 영상처리* AI604 CV 위한 DL AI606 추천시스템 EE634 패턴 인식 EE636 비디오 처리 EE667 다중시점기하학 CS770 CV특강 EE734 영상이해 EE735 컴퓨터 시각 EE817 CS특강 EE837 SP특강 GCT700 특강(AH, ARP 제외) GCT721 CG특강 GCT722 VR특강 GCT741 HCI특강 실감증강 CS580 CG* GCT522 CG 이론과 응용* GCT535 멀티미디어 음향기술 GCT525 모션그래픽스 GCT634 ML의 음악적 응용 상호작용 CS584 HCI* GCT505 HCI* KSE531 HCI* GCT547 HCI 동역학 GCT555 3D ID 증강휴먼 및 응 용 GCT504 사이버심리학 GCT561 과학기술의 개념과 과학 적 사고 GCT565 증강휴먼* GCT572 디지털 커뮤니케이션론 GCT573 인지와정서 GCT576 소셜 컴퓨팅 GCT583 디지털시대의 뮤지엄테크놀로지 GCT651 M-ID GCT653 가상현실 가상세계
  16. l참여 교수진 현황 KAIST CT-AR 참여교수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구분 교수명 전공분야 교육과목명 상호작용 우운택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 3D 인터랙션 디자인 윤상호 Wearable Haptics HCI, 증강휴먼 이지현 UI/UX Design HCI, Computational Design 차승현 Virtual Space 가상현실 가상세계, Digital Architecture 실감증강 김성영 Immersive Sound 남주한 Music Technology 멀티미디어 음향기술 노준용 Computer Graphics CG 이론 및 응용, CG특강 안재홍 Digital Heritage 문화기술론 이성희 Avatar Technology 모션그래픽스, Digital Creature 증강휴먼 및 응용 이정미 Cognitive Neuroscience 인지와 정서 이원재 Social Network Analysis 소셜 컴퓨팅 도영임 Cyberpsychology 사이버심리학 이진준 Total Exp. Design 디지털 시대의 미학 박주용 Complex Networks 과학기술의 개념과 과학적 사고 해외 겸직 Mark Billinghurst The University of Auckland Empathic Computing for C-AR Vincent Lepetit Ecole des Ponts ParisTech Computer Vision for AR Hideo Saito Keio University Computer Vision for AR
  17.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Do you want to sell sugared water for the rest of your life? Or do you want to come with me and change the world?“ - Steve Jobs “실수도 실패도 좌절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포기하지 않고 도전하는 사람이 세상을 바꿉니다!” - 우운택 lUtopia or Dystopia? XR or eXtinct? U-tact 시대, 우리의 선택은?
  18. Q&A 2012-2022 © Woo, KAIST UVR Lab., Daejeon 34141, Korea KAIST CT-AR 입시일정 및 지원 방법 KAIST CT-AR Program 소개 KAIST CT-AR Program 중점 분야: 왜 AR3.0인가? KAIST CT-AR Program 교과과정 소개 질의응답
Anúnc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