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is conteúdo relacionado

Similar a Web 3.0(20)

Último(20)

Web 3.0

  1. 3.0
  2. Web3.0 이란? 컴퓨터가 시맨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 기술을 말한다. 시맨틱 웹(Semantic Web)은 인터넷의 각종 리소스에 대한 정보와 자원 사이의 관계를 의미 정보로 만들어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온톨로지 형태로 표현하고, 이를 처리하도록 하는 프레임워크 혹은 기술이다. 이러한 시맨틱 기술을 활용해 블록체인 시스템을 통한 탈중앙화와 데이터 암호화에 기반한 ‘개인의 데이터 소유’가 가능해진 새로운 형태의 웹 생태계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온톨로지 : 존재하는 사물과 사물간의 관계 및 여러 개념을 컴퓨터가 처리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하는 것
  3. 블록체인 시스템 거래 기록을 분산형 데이터베이스에 기록하는 기술로, 저장된 거래 기록은 변경되지 않고 영구적으로 보존된다.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거래 기록의 신뢰성을 보장한다. 또한, 분산 시스템이기 때문에 중앙 집중식 시스템과 달리 네트워크에 참여한 모든 사용자가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의 투명성을 제공한다.
  4. 인터넷이 처음 등장했을 때의 초기 단계 대부분의 웹사이트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만들어짐 Web1.0 (1990년대 후반 ~ 2000년대 초) 단방향적 컨텐츠 제공 정적인 웹페이지 HTML과 HTTP 프로토콜 검색엔진의 등장
  5. Web2.0 (2000년대 중반 ~ 현재) Web1.0에서 시작된 인터넷의 발전 과정 중 하나 대화형, 사용자 중심의 웹서비스를 지칭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산하고 소통하는 등의 상호작용 강조 사용자 경험의 개선과 인터넷 서비스의 다양성을 증대 웹앱 및 소셜 미디어의 등장
  6. Web2.0은 사용자들이 콘텐츠를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개방성을 추구하였으나 이러한 방향성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킴 Web2.0의 문제 개인정보 보호 문제 불균형한 정보의 생산과 유통 악성 콘텐츠의 증가 알고리즘 편향 문제
  7. Web3.0의 특징 분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분산 네트워크는 사용자의 데이터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하고, 중앙 집중식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해킹 등의 문제를 최소화한다. 1 빠른 처리 속도와 안정성 분산 컴퓨팅 기술을 이용하여 작업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환경을 만듭니다. 2
  8. Web3.0의 특징 탈중앙화 중앙 집중식 시스템에서 벗어나 사용자들이 노드를 운영하고 데이터를 공유하는 분산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인터넷 생태계를 보다 탈중앙화된, 개방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3 스마트 컨트랙트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프로그램적으로 계약을 체결하고,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어 계약과 관련된 작업이 더욱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서면으로 이루어지던 계약을 코드로 구현하고 특정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 해당 계약이 이행되게 하는 script 4
  9. 하나의 중앙 시스템에서 모든 데이터와 결정이 이루어지는 구조 한 회사나 기관이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 처리 후 결정 => 사용자에게 전달 개인정보 침해 및 허가되지 않은 데이터 액세스 및 악용 문제 발발 중앙집중형 모델
  10. 여러 개의 분산된 노드에서 데이터와 결정이 이루어지는 구조 각 노드가 상호작용하며, 데이터를 분산 저장 => 스마트 컨트랙트와 같은 자동화된 프로토콜 활용 => 결정을 내리고, 해당 결정이 분산 시스템 전체에 반영 중앙집중형 모델보다 보안성과 개인정보 보호에 더 우수함 탈중앙화 어플리케이션
  11. Web3.0 Architecture 출처: coinbase
  12. Web3.0 Architecture 1. Protocol Layer 모든 어플리케이션의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으로 구성 기술 요소 : 블록체인 2. Infrastructure Category Primitives 특정 작업을 수행할 때, 매우 안정적으로 상호 운영이 가능한 프리미티브로 구성 기술 요소 : 데이터 저장 공간, 데이터 분석 플랫폼, 인증 솔루션 등 3. Use Case Layer 사용자들이 직접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이 존재 기술 요소 : 메타버스, NFT, 인공지능 등 4. Access Layer Use Case Layer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접점의 어플리케이션 구성 기술 요소 : 암호화폐 지갑, Aggregator 등
  13. Web3.0 활용 사례 Steemit 블록체인 미디어 플랫폼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받는 블록체인 수익모델 Status 블록체인 기반의 메신저 플랫폼 P2P 방식, 가상화폐 지갑 기능
  14. Web3.0 활용 사례 BANKERA 블록체인을 위한 은행 설립을 목표로 하는 은행 계좌 대체 웹앱 은행이라는 중개자 없이 P2P 방식으로 송금, 중개자 인증 없이 블록체인으로 개인의 신분을 인증 MUZIKA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음악 콘텐츠 유통 플랫폼 일반인도 음악 생산부터 이익 분배까지 전 과정에 참여
  15. Web3.0의 한계? 기술적인 난제 블록체인 기술의 확장성 문제와 속도 문제 등 1 암호화폐의 가치 안정성 암호화폐와 결합하여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이지만 여전히 가치 안정성의 문제가 대두됨 2 규제 문제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발전하고 있기 때문에 규제 문제 발생 가능성 (금융 분야)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