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강의 시간 소요시간 주 제 상 세 내 용 강의자
09:00~09:20 20 수강 확인 교육 과정 안내 / 참석자 확인 신영철 이사
09:20~10:30 70
비용개론 I
비용 & 비용 절감 이해
백두현 전무
10:40~11:20 40 기업과 비용 절감
11:20~12:00 40 Quiz Let’s think ‘비용절감’ 신영철 이사
12:00~13:00 60 Lunch
13:00~13:40 40 동영상 비용절감 동영상 시청/리뷰
신영철 이사
13:50~14:50 60 비용개론 II 비용절감 방법론
15:00~17:40 160 사례 발표 비용절감 사례 임호민 이사
17:40~18:00 20 정 리 세미나 정리 & Q&A 신영철 이사
-2-
6. What is cost ? (비용이란 무엇인가?)
In business and accounting, cost is the monetary value that a
company has spent in order to produce something. (e-conomic 온라인
회계 서비스 제공사)
In production, research, retail, and accounting, a cost is the value
of money that has been used up to produce something (위키피디아)
-6-
8. 비용 절감 정의 #1
“The process of looking for, finding and removing
unwarranted expenses from a business to increase profits without
having a negative impact on product quality.
- 없어도 되는 비용을 찾아 없애는
- 제품/서비스에 부정적 영향 없어야
Many business managers will engage in periodic cost
reduction drives in order to make their company's operation more
efficient and to boost profits.”
(businessdictionary.com)
-8-
9. Company seeks growth … the demand to reduce costs …is a tricky
proposition … identify core competencies … trim and consolidate
non-core functions … reinvest the savings in critical business
assets … before you start, you need buy-in from your company
employees. (PwC)
비용 절감 정의 # 2
- 비용절감은 다루기 어려워
- 핵심 경쟁력을 확인하고 비핵심을 제거하고 합쳐나가야
- 절감된 것을 기업 핵심에 재투자
-9-
11. ※ IMF 구제금융(‘97) 및 글로벌 경기 침체(’08)
경기 불황 및 저성장 기조 고착
세계 경제 및 기업 투자 위축, 소비 위축에 따른 경기 침체
사업, 자산 매각, 감원, 합병 등 상시 구조 조정 체제
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 여건 악화 및 저성장 기조
• 인건비 증가(10조 860억/’09 >15조680억/’13)
• 인건비당 영업이익 감소
• 영업이익 (-) 한계기업 증가(7사/’09>17사/’13)
-11-
12. ※ 국가 투명성 기구 발표: 2012년 CPI
한국의 부패인식지수(CPI, Corruption Perception Index)
과거에는 자본이나 노동의 투입이 경제 성장에 영향, 지금은 제도 같은 소프트웨어가 성장률을 좌우 (김대용 KDI연구원)
국가 청렴도 지수가 1단위 오르면 GDP는 2.64% 상승, 부패인식지수(CPI)가 1단위 감소하면 해외투자는 0.2% 상승
(한국개발연구원, '사회적 청렴과 국가경쟁력간 연관성 분석 연구, 14년 1월 6일 보고서)
부패 국가로 인식: 해외 자본 유치및 자국 기업 해외 진출에 큰 장애 요인이 됨
기업의 분식회계, 주가조작, 비자금 조성, 정경유착을 통한 편법경영 등이 성행하면 시장참여비용이 높아지고, 기술개발과
설비투자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이 위축될 수 밖에 없다. 또 부패기업은 비민주적이고 불투명한 경영, 대내외 견제장치의 부재로
인해 노사갈등이 빈발하고 반기업적 정서가 확산된다. (한국일보 기사, ’14년 1월 7일)
윤리(투명) 경영의 필요
-12-
14. • 비용 절감은 기업 경영 항상 고민하는 부문
• ‘필요성은 알지만 또 하나의 업무’로 생각, ‘알면서도 나서고 싶지 않은 일’
• 회사 비용은 직원 입장에선 큰 관심 없다.
• 현장만 바라 보지 말고 절감 할 수 있는 분야를 정확히 파악 했으면 합니다.
……………………………………………………………………………………………………….
……………………………………………………………………………………………………….
……………………………………………………………………………………………………….
……………………………………………………………………………………………………….
……………………………………………………………………………………………………….
• “위에서는 절감하라고 난리인데요, 밑에서 무슨 용 빼는 재주가 있겠어요. 일단은 협력업체에 떠넘기는
거죠. 대기업은 중견기업에, 중견기업은 다시 소기업에 떠넘기는 식이죠. 그런데 그것도 한계가 있잖아요.
이제 어떻게 해야 할지 막막해요.”
비용절감에 대한 인식(국내)
-14-
15. • I was confident we were doing a good job at tightly managing these expenses.
• Cost controls are vital to our day-to-day operations.
………………………………………………………………………………………
………………………………………………………………………………………
• Volume sometimes hides those problems…having been through other
downturns, Allan knew to avoid random cutting, he called upon the G&A cost-
cutting.
• The hidden funds will help sustain our mission to serve, support, educate
community members…
비용절감에 대한 인식(해외)
-15-
22. 낭비 제로 습관 운동
• 2001년 신코전기 사장 취임
• 부실 경영으로 신코전기는 부채와 누적 손실로 도산 직전
• 적당주의, 책임회피, 의욕상실...문제는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 있다.
• 해결책 여러 개 중 효과...'낭비 제로 운동'을 전개
초기에는 시키니까 마지못해 → 실적 연결되니 스스로 진행
• 회사의 문제점은 현장에 있다. 현장 파악이 중요하다고 생각
• 엉성한 현장 관리가 낭비와 불합리를 가져온다.
-22-
23. 감량경영 이야기
1. 항공기 표면의 도색 비용 줄이기
- 외장 페인트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도색 비용을 줄인다.
기체 무게가 400파운드나 가벼워져 한 대당 $12,000 절감 가능
2. 로버트 크란댈 (전 CEO)
- 많은 기내식 음식 줄일 것 (샐러드 양 줄이고 올리브 열매는 빼도록)
-23-
24. - 자유로운 대화가 비용 절감을 위한 토대를 마련한다
자유로운 대화로 활발하게 의사소통이 이루어진다면 직원들은 저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놓을 뿐 아니라 비용 절감 실천을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할 것 이다.
- 비용 절감 계획이 성공을 거두려면 사업 활동과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
경영자는 물론 직원과 납품업체, 협력업체 그리고 심지어 고객까지도 비용을 억제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비용절감 계획은 경기가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꾸준히 지속적으로 실행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
- 비용 절감 노력이 성과를 거두면 이를 자축하고 성공 사례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특히 아이디어를 내놓아 비용절감에 기여한 종업원들에게는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해주고, 목표가 달성된 경우에는 종업원에게 성과금을 주도록 한다.
비용절감노력이 성공하려면
-24-
25. 1 실행 가능한 부분부터 먼저 시작하라.
2 직원에게 동기 부여하라
3 비용 절감은 갈택이어(竭澤而漁)가 아니다.
- 부서간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필요 / 단기,중기, 장기 계획 수립
- 직원 사기 꺽지 말 것 / 직원 동참 필요 / 인센티브 제공
- 미래 성장 동력을 훼손하는 비용 절감은 금물
비용절감 진행 주의사항
-25-
31. 제1강
비용절감은 공격적 리바운드다.
1. 맥킨지: 구매 비용 1% 절감 = 매출 3% ↑, 재고 10% ↓
2. 기업의 비용 절감액 = 100% 순이익과 같다.
3. 비용절감은 전략적으로 진행해야 한다.
4. 농구의 공격적 리바운드 예시: -2점 or -3 점 & +2 점 or + 3점
5. 일회성 / 단편적 / 보여주기 식 비용 절감 직원 공감 x , 직원 사기 ↓
6. 비용 절감은 경영의 단짝 친구
7. 비용절감 불황기 기업의 생존과 호황기 번영의 기초
8. 모든 구성원이 함께 하는 비용절감이 필요하다.
-31-
32. 제2강
직접 보고 느껴야 변화한다.
1. 케인즈: 변화에서 가장 힘든 것은 새로운 것을 생각 x , 갖고 있던 틀에서 벗어나는 것
2. 비용절감과 장갑 전시회: 실제 보여주는 것의 효과
3. 직접 보고 느껴야 비용 절감의 변화는 시작된다.
4. 왜 비용절감이 안 될까?
CxO: 1) 실행 방법 몰라서… 2) 전체 현황 파악의 어려움
실무직원: 필요성은 알지만 또 다른 ‘일’…, 적극 진행 안 함
일회성 , 이미 잘 하고 있다라는 근거 없는 자신감
5. 비용절감 방법 3가지: 구매(조달) 개선, 운영 개선, 시설 개선
6. See – Feel – Change, 필요성에 대한 임직원 공감이 필요
-32-
34. ◎ 2013년 기업활동조사 결과 (통계청. 2014.11.25)
▶ 조사대상 : 상용근로자 50인 이상, 자본금 3억원 이상 12,232개 기업 중 금융보험업 제외
매출증대
25.5억원
비용절감
1억원
=
기업 경영성과에 기여하는
효과 동일
비용절감
효용성 증가
[ 경기침체기 ]
기업이 비용절감에
관심을 높이는 이유
-34-
40. -40-
비용 절감은 선택이 아닌 OO입니다.
비용 절감은 없어도 되는 비용을 찾아 없애야 하고 제품과 서비스에
OOO 영향을 주면 안 됩니다.
비용 절감은 핵심 경쟁력을 확인하고 OOO을 제거하는 일입니다.
비용을 OO하지 않으면 기업 발전은 불가능하다.
비용 절감액은 100% 기업의 OOO과 같다.
경기 호황, 불황에 상관없이 비용 절감은 OOO으로 진행해야 한다.
비용절감은 OOOO가 아니다. (한자성어)
비용 절감 3가지 개선 방안은 OO개선, OO개선, OO개선이다.
기업의 수익 올리는 방법은 OO을 올리는 것과 OOOO을 하는 것이다.
OOOO은 노력하면 100% 성공이 보장된다.
비용절감의 필수 3단계는 최고 경영자의 OOO 의지, OOO관점의 비용절감
개선안 도출, 도출된 개선안의 OOO 실행이 필요하다.
Notas do Editor
<원가와 비용의 차이>
원가는 회사의 모든 지출을 뜻하며 비용은 매출에 기여한 원가를 의미한다.
※ 매출에 기여하지 못한 원가 : 1.미소멸원가(건물, 기계장치), 2.소멸원가(화재, 고장, 벌금 등의 지출)
보통 기업에서는 인건비가 비용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여 줄이려는 노력을 기울이지만, 단기간에 비용절감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경비와 재료비에 집중하여야 한다.
흔히 일반적으로 말하는 비용을 세분화하면 총원가를 판관비와 제조원가로 제조원가를 제조간접비와 제조직접비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중 판관비와 제조간접비에 집중하면 단기적으로 좋은 비용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참고>
- 직접재료비 : 제품 생산을 위해 직접 들어가 주요 제품 부위를 구성하는 자재의 원가
- 간접재료비 : 제품에 직간접으로 소비는 되지만 제품을 구성하지 않는것
- 직접노무비 : 제조업에 직접 종사하는 사람. Ex) 선반공, 밀링 공, 프레스 공…등
- 간접노무비 : 제조업에 직접 종사하지 않는 사람. Ex) 생산관리자, 공무, 수선..등
- 직접경비 : 특정 제품의 제조에 지출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경비로 직접화한것. Ex)감가 상각비, 건물감가상각비, 전력비, 수선비..등
- 간접경비 : 직접경비를 제외한 비용 즉 여러 제품에 공통적으로 사용되어 특정제품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집계할 수 없는 비용을 말한다. Ex) 복리후생비, 수도광열비, 여비교통비, 운반비, 교육훈련비, 보험료..등
앞에서 설명한 비용을 변동비와 고정비로 나누어볼 수 있다.
1. 변동비는 생산량이 늘어남에 따라 재화의 생산량이 늘어나면 증가하는 형태를 띠는 비용이다.
상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재료비나 부품비, 연료비, 잔업수당, 판매원 수수료 등은 변동비로 볼 수 있다.
2. 반면 조업도의 변화와 관계없이 일정한 원가를 고정비(fixed cost)라고 한다. 생산량이 늘어나거나 줄어들어도 변동이 없는 비용이다.
고정비에는 급료, 지대(地代), 감가상각비, 이자, 보험료, 전기·수도·전화 요금 등이 포함된다
통상적으로 고정비는 줄이기 힘들고, 변동비를 잡아야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고정비 역시 절감할 수 있는 영역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이익 10억에서 1억을 추가로 증가시키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익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매출을 올리거나 비용을 줄여야 한다.
1. 매출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판매를 많이 하거나 판매단가를 올려야 하는데, 판매를 많이 하는 것은 마케팅 영역이며 단가를 올리면 판매가 떨어질 수 있어 매출의 증가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2. 따라서 비용(원가)을 절감해야 곧 이익이 증가할 수 있다.
Spend Analysis: 현재 사용 중인 비용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 공급업체의 공급가격 비교, 중간 소요 비용 제거통한 비용 절감
Cost-Benefit Analysis: 보험료 최적 설계처럼 현재 사용하는 비용 대비 충분한 기대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를 검토 (보상한도 증액)
Benchmarking Analysis: 타사 사용중인 제품/서비스와 비교하여 현재 자사 서비스 비용 절감 여력을 산출
Extra-Profits Review: 추가 잠재적 수익사업 창출, 비효율 자산을 제거하여 비용 낭비 막음
Loss-finding inspect: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있는 비용을 찾아서 제거하여 비용 절감
6. Cross-checking review: 부서와 부서, 공장과 공장간의 상호 비교 통해 비용 절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