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úncio

leafairy.pdf

5 de Dec de 2022
Anúncio

Mais conteúdo relacionado

Último(20)

Anúncio

leafairy.pdf

  1. Contents 001 Pre-research - Issue Extraction - Solution Plan 002 In-depth Research - 시장분석 - 데스크 분석 - 결과 도출 003 Secondary Research - Interview - Cultural Probe - SWOT - 종합 도출 004 Consolidation - Persona - Journey Map - Concept - Benchmarking - Direction & Function 005 Task Flow & Sitemap - Task Flow - Sitemap 006 Storyboard & Wireframe - Storyboard - Wireframe 007 Device & GUI - Device Rendering - GUI of Application
  2. 001 Pre-research - Issue Extraction - Solution Plan 01
  3. 러스틱 라이프 #촌(村)스럽다 #반려식물 #풀멍 #플렌테리어 배경 <러스틱 라이프>는 도시에 살고 있지만 조용한 시골 생활의 여유를 동경하며 누리고자 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말한다. 이에 반려 식물이 유행하며 ‘풀멍’이라는 단어가 생기기도 하였다. 문제점 막상 길러보니 식물 별로 다른 특성, 일조량, 물 관리, 통풍 등 세심하 게 맞춰야 할 조건이 많지만 관리법을 잘 모를 뿐 아니라 바쁜 생활을 하다 보면 물을 언제 주었는지 까먹기 마련이다. Issue Extraction
  4. “ ” Solution Plan Problem ▸ 식물 별로 관리법을 잘 모름 . ▸ 바쁜 일상으로 인하여 식물 관리에 어려움. ▸ 주기적인 물주기를 잊을 때가 많음. Solution ▸ IOT화분과 앱 연동을 통해 현재 반려식물 의 종을 고려하여 토양, 물 상태를 실시간으 로 알려주고 물 주기를 알려준다. Goal! 반려식물 도우미 수분계 IOT를 기반으로 한
  5. 002 In-depth Research 02 - 시장분석 - 데스크 분석 - 결과 도출
  6. “ ” 시장 분석 시장 이슈 코로나19 코로나로 인해 언택트 문화가 확 산되었다. 집에 머무는 사람, ‘홈 족’이 늘어나게 되면서 분재나 난 초 등을 가족의 구성원으로 키우 는 이들이 증가하게 되었다. 러스틱 라이프 환경에 대한 관심과 농촌생활을 선호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에 의하면 29세 이하 귀촌 가구가 5년 동안 40% 이상 성장 했다고 한다. 플렌테리어 ‘Plant’+‘Interior’의 합성어로, 실내 곳곳에 소품으로 식물이나 화분으로 포인트를 주는 것을 말 한다. 인테리어 효과와 공기정화, 심리적 안정감까지 챙길 수 있다. 반려식물에 대한 수요 증가 BUT! 키우는데 어려움을 겪어
  7. 시장 분석 시장 현황 코로나 이후 국내 홈가드닝 매출은 급격하게 증가 중이며, 향후 23년은 현재 매출 규모의 8배를 전망한다. 코로나 이전 대비 화분은 48%, 묘종&묘목은 92%, 원예 용품은 20% 이상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중에서도 특히 공기 정화를 위해 반려 식물을 키우는 비율이 58%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8. 시장 분석 경쟁 서비스 2. 플립(fuleaf) 알고리즘을 통한 식물 추천, 판매 서비스 알고리즘을 통해 라이프스타일에 적합한 식물을 추천하여 판매한다. 그 이후 그 식물을 키우는 방법까지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고 세심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한다. 3. 플리어리(Pliary) 물주기 알람, 다이어리 작성 앱 서비스 식물들의 물주기 패턴을 설정하여 알림을 주고, 식물 다이어리를 작 성하여 하루하루 성장하는 식물을 사진과 글로 기록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1. 심다(simda) 적합한 식물을 매칭해주는 큐레이션 서비스 공간, 사람, 식물 등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설문에 답하면 상담 후 식물 종류와 화분을 추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초보자에게 유 용한 ‘식물 생활 키트’또한 제공하여 반려식물 입문자에게 좋은 서 비스이다. 4. 식물회관 식물 관리 대행 서비스 화분 관리에서 힘이 많이 드는 경우인 흙갈이, 화분 교체, 식물 교체 등을 대신해주는 서비스이다. 화분을 문 앞에 두고 서비스를 신청하 면 정원사가 수거 후 관리를 마치고 다시 집까지 배달해준다. 혼자 관리하기 어려운 큰 식물을 기르는 경우에 유용하다. 5. 그렉(greg) 머신러닝 AI기반 식물관리, 식물 애호가 커뮤니티 서비스 식물의 정보와 재배 환경을 파악하여 머신 러닝을 기반으로 성장과 관리에 최적화된 방법을 추천해준다. 위치기반 서비스를 통한 기후 와 날씨 파악, 사진을 통해 식물의 종을 파악하는 AI서비스가 특징 이다. 반려동물 애호가들의 소통 창구가 되어주는 점도 눈에 띈다.
  9. 트렌드모니터,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식물’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2017) 이들 중 관리의 어려움은 특히 여성(남성 50.6%, 여성 66%)과 젊은 층(20대 65.3%, 30대 66.9%, 40대 55.2%, 50대 54.7%)이 많이 토로했다. 가정용 식물 재배기 이용자의 구매 및 렌탈 의향이 절반 수준(47.8%)에 근 접하고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7명(74.3%)이 가정용 식물 재배기 관련 시 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전망 트렌드모니터,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홈 가드닝’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2022) 현재 식물을 키우고 있는 소비자들은 보통 2~3개, 내지 4~5개 정도의 식 물을 직접 관리한다. “ ” 반려식물 재배의 어려움 THEN! 식물재배기의 관심도 집중 가정용 식물재배기 관심도 데스크 분석 설문 자료 분석
  10. 트렌드모니터, 전국 만 19~5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홈 가드닝’ 관련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2022) 커뮤니티 (카페, 블로그) 데스크 분석 설문 자료 분석 현재 식물 관련 정보를 카페나 블로그 등의 커뮤니티(52.5%, 중복응 답)에서 주로 습득하고 있음에도 향후 SNS나 유튜브 등에 홈가드 닝 관련 콘텐츠가 더 많아질 것 같다(20대 69.6%, 30대 67.2%, 40대 69.2%, 50대 76.4%)는 응답이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어, 아직까지는 대중들에게 충분한 정보나 재미를 제공하는 가드닝 관련 소셜 콘 텐츠가 부재하고 있음을 예상해볼 수 있었다.
  11. 데스크 분석 카페 분석 10대 이하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네이버 식물 카페 주요 연령대별 카페 개수 44 384 245 401 797 - 총 3186개 중 - 네이버 식물 카페 중 멤버 주요 연령대 별 카페 개수를 분석해 보았을 때 50대 이상인 카페가 797건으로 가장 높으며 그 뒤로 40대가 401건이다. 의외로 20대의 비율이 30대의 비율 보 다 높으며 40대의 비율과 비슷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는 트렌드에 민감한 20대가 식물을 기르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식물을 기르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12. 데스크 분석 카페 분석 성장 (싹/분갈이/가지치기) 29% 물주기 (과습/마름) 19% 병충해 13% 광량 13% 원인불명 (질문자의정보제공부족) 10% 제품추천 (식물/흙/화분) 7% 식물이름 4% 문제없음 3% 곰팡이 1% 온도 1% 8~9월 Q/A 게시판 질문글 70개 중 싹, 분 갈이 가지치기 등 성장 관련 질문글이 가장 많았다. 그 이후로 물주기, 병충해, 광량이 주 문제 원인이었다. 질문글은 질문자가 식 물이 시들어가는 원인을 몰라 식물의 사진을 찍어 올려 답변을 받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 카페 8~9월 질문글 분석
  13. 데스크 분석 카페 분석 질문자들은 주로 잎 상태 변화를 통해 식물의 사진을 찍어 식물이 시들어가는 원인을 물어보는 질문을 한다. 이들의 주 원인은 물주기, 병충해, 광량이었다. 질문자들은 상태를 파악하는 방법을 검색을 해도 잘 모르겠다고 호소한다.
  14. 주로 젊은 세대(20대 50%, 30대 47.6%, 40대 38.4%, 50대 42.4%)가 정서적 교감의 어려움을 아쉬워하는 목소리가 컸다 트렌드모니터, 전국 만 19~59세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식물’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2017) “ ” 반려식물의 장점 쾌적한 환경 BUT! 정서적 교감의 어려움 데스크 분석 교감의 부재
  15. 결과 도출 종합 분석 및 제안 재배의 어려움 식물 정보 수집의 어려움 주로 물주기, 온도, 통풍 관리와, 종마다의 재배법을 제대로 알 지 못해 재배에 어려움을 겪는다. 스마트 재배에 대해 젊은 층 은 긍적적인 반응을, 중장년층은 주로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식물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수집하지만 적용에 어려움을 느낀 다. 커뮤니티 활성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직접적인 참여 의사는 없다. 젊은 식집사의 교감의 부재 주로 젊은 세대가 식물과의 공감대 형성을 어려워하며, 재배 활동을 작성하는 것은 식물과의 교감에 큰 도움이 되며, 재배 습관을 성찰함으로써 식물을 더 잘 기르는 계기가 된다. 1 2 3 GOAL 반려식물과의 교감을 위해 실시간 상호작용을 이용한 스마트 수분계 IoT 앱 서비스
  16. - Interview - Cultural Probe - SWOT - 종합 도출 003 Secondary Research 03
  17. 20대 ▸ 바쁜 일로 인한 관리 소홀 ▸ 식물과 교감에 어려움 ▸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긍정적 ▸ 유행보단 책임감 강조 중장년층 ▸ 식물과 교감에 능숙 ▸ 스마트 관리 시스템에 호불호 갈림 ▸ 온도, 통풍, 물관리 등 관리 어려움 호소 ▸ 식물 종에 따른 관리법 적용 어려움 ▸ 교류 활동에 긍정적이나참여 의사 없음 ▸ 인터넷을 통한 정보 획득 공통니즈 ▸ 바쁜 일정에 식물 관리에 도움 필요 ▸ 믿을 수 있는 스마트 식물 관리 ▸ 식물과 교감할 수 있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 식물 관리에 피드백 반영이 가능 ▸ 물, 온도, 통풍 조절에 도움 필요 ▸ 교류 활동에 비자발적 참여 ▸ 여행, 이사 등 장시간 집을 비우는 부담 ▸ 종에 따른 식물 정보 확인, 적용 필요 ▸ 가드닝 관련 새로운 소셜 컨텐츠 필요 인터뷰를 통한 NEEDS ▸ 큰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 보니 교감을 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 식물 외의 바쁜 일이 많아져 우선순위가 낮아져서 관리를 소홀하게 하 여 죽는 경우 ▸ 식물 별 필요한 케어나 적절한 물 양을 알려주는 시스템이 있으면 편리할 것 같습니다. ▸ 인터넷에 검색해서 주기와 양에 대한 지식을 얻었습니다. ▸ 까먹고 물이나 영양분을 주지 않는다거나 오랫동안 집을 비우게 된다면 죽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 요즘 유행하는 플랜테리어를 활용하는게 가장 우선이고 식물을 커가는 걸 보면서 나름의 쏠쏠한 재미도 있다고 생각해요. ▸ 아무래도 바쁜 일상 때문에 제때 물을 주지 못한다거나 햇빛을 받을 기회를 제공하지 못할 때가 많아 힘듭니다. ▸ 분갈이랑 물 주는 주기랑 영양제 주는 법 등등.. 그리고 정보가 너무 난무하다. ▸ 식물의 필요한 환경을 잘 모르기 때문에, 즉 식물의 성질을 잘 몰라서 죽이게 되는 것 같다. ▸ 보고있으면 안정이 된다. 초록색이기도 하고 가만히 보고 있으면 심신에 안정을 받고 있는 느낌 이 든다. 제일 큰 요소는 안정감, 잘 자라주어서 기뜩해서 기쁘기도 했다. ▸ 이게 시들시들해질 때 어떤 점이 나빴는지 정확히 판단을 못한다. 그러면 이거를 봐줘야 하는 전 문가들에게 가줘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 식물 하나하나의 종을 다 모르기 때문에 그거에 맞춰서 매뉴얼이 필요하다. ▸ 일상에서 우울감을 회복시키는데 아주 좋아. ▸ 식물을 키우면서 배워. 제때 물주지 않고, 바람 쐬어주지 않고, 환기시켜주지 않고, 온도관리 잘 못하면 10년 공들였어도 하루아침에 죽어. ▸ 이사할 때 차량이 어쨌든 포장하는 순간부터 집에 와서 옮길 때 까지 10시간 정도 걸리는데 차가 운 곳에 방치되면 그 사이에 또 얼어 죽더라. ▸ 정보가 정확 했더라도 집 안에 온도나 습도나 이게 이 식물은 3일에 한 번 물을 주세요. 했는데 덥고 건조한 날은 3일까지 가면 안 돼. 그리고 겨울은 5-6일 돼도 여전히 촉촉할 수 있어. 그런데 이걸 모르고 꾸준히 주면 과습으로 죽어요. ▸ 사람들은 이런 자동 시스템을 선호하지. 그러면 해가지고 꼭 뭐 자동화 됐다고 해서 사랑이 안 갈 수가 없어. ▸ 일주일을 해외여행을 다녀와도 구애를 안 받는데, 온도하고 통풍은 굉장히 구애를 받죠. ▸ 이게 식물이고 짐승이고 뭐 사람이고 이 관계는 이 물질과의 관계는 사랑. 항상 사랑이 매번 중요 해요. 단서 추출 대상자 김 O O ▸ 60대 ▸ 여성 ▸ 식당운영 다육이 200개 설 O O ▸ 50대 ▸ 여성 ▸ 학원운영 다육이 허브 등 24개 장 O O ▸ 50대 ▸ 여성 ▸ 전업주부 스킨답서스 산세베리아 스투키 오 O O ▸ 20대 ▸ 남성 ▸ 대학생 스킨답서스 이 O O ▸ 20대 ▸ 남성 ▸ 대학생 올리브나무 Interview
  18. Cultural Probe 01 목적설정 02 레이아웃 03 자료 취합 04 단서 추출 05 분석 및 NEEDS 도출 목적설정 수치화된 계획적인 재배보다는 반려라는 이름답게 ‘교감’이라는 키워드에 초점을 둔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함. 구성품 1. 상자 2. 식물소개카드 3. 재배일지 4. 중간/마감 질문 봉투 5. 식물 엽서 6. 펜과 간식 “햇빛, 바람이 부족하여 위치를 옮겨달라고 할 것 같다.” “건조해요. 물을 조금만 뿌려주 지 그랬어요? 바쁘셨다는 거 알 아요. 다음에는 학원 가기 전에 오전에 1분만 시간을 내주세요.” “무심했던 나에게 넌 참 많이도 관심을 보이는구나.” “특히 햇빛, 바람은 크게 신경 쓰 지 않았다가 중간에 시든 이유를 생각해보니 원인이 그것들이었고 이 후에는 그런 부분들을 더 신경 쓰지 되는 계기가 되었다.” “원래 성장이 더뎌서 그런 건줄 알았는데 매일 들여다보니 생각 보다 성장이 빠르다는 것을 알았 다. “식물을 기르면서 잘 찾아봤다고 생각했는데 아직도 모르는 것들 투성이인 것 같다.” 컬처럴 프로브에 의한 수동적인 식물과의 교류라 할지라도 집사와 식물과의 교감증진 에 도움이 되었다. 주로 20대는 다른 연령층보다는 식물과의 교감에 있어 많이 공감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이번 리서치를 통해 교감을 형성 하게 되는 계기가 보임. 식물 재배 일기 작성이 식물과의 교감에 도 움이 될 뿐만 아니라 본인의 재배 습관을 성 찰함으로써 식물을 더 잘 기를 수 있는 계기 가 되었다 함. 컬처럴 프로브를 통한 NEEDS ▸ 식물과의 교감을 위해 수동적인 교류 필요 ▸ 본인의 잘못된 재배 습관 성찰 필요 ▸ 종에 따른 식물 정보 확인 필요
  19. SWOT 01 SWOT분석 실시 사용자 관찰목적 내부요인 외부요인 반려식물의 재배법을 쉽게 알고 적용하여 식물과 교감하고 싶은 식집사 앱 개발을 위한 스마트 식물재배 관리시스템의 분석 후 다른 서비 스와의 차별 파악 - 스마트 재배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인식 - 기술력과 서비스 수준 - 시스템 사용의 접근성 - 업계의 시장 규모 및 성장가능성 - 유행과 화제성 - 주변환경 - 경쟁사 환경 - 경제상황과 전망 02 SWOT요소 파악 S W O T - 다양한 재배법 관리 - 손쉬운 인터페이스 - 중장년층의 시스템 접근성 어려움 - 수치화로 인한 교감 부족 - 식물시장의 판매증가 - 트렌드 ‘반려식물’ - 식물재배기 상용화 - 식물인플루언서 등장 - 식물기업 등장 03 SWOT요소 파악 S O S O S O S O 증가하는 식물시장과 반려식물 트렌드 수요 속에서 다양한 재배법과 손쉬운 인터페이스 복잡한 절차나 비싼 비용없이 손쉬운 접근성 편리한 인터페이스와 함께 반려라는 이름에 어울리는 ‘교감’ 키워드 강점을 이용한 위기 회피, 강점 극대화로 인한 판매성 증가 04 분석 및 NEEDS 도출 반려식물의 종에 맞는 개인 식물맞춤 관리 시스템 복잡한 절차나 비싼 비용없이 누구나 쉽게 접근 가능한 서비스 반려식물의 이미지에 걸맞는 분위기와 중장년층에게도 편리한 인터페이스 SWOT을 통한 NEEDS ▸ 반려 식물의 종에 맞는 식물 관리 서비스 ▸ 복잡한 절차나 비싼 비용 없는 접근성 ▸ 중장년층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성 ▸ 상용화된 재배기와 다른 재배기의 필요
  20. INSIGHT 도출 ▸ 바쁜 일정에 식물 관리에 도움 필요 ▸ 믿을 수 있는 스마트 식물 관리 ▸ 식물과 교감할 수 있는 스마트 관리 시스템 ▸ 식물 관리에 피드백 반영이 가능 ▸ 물, 온도, 통풍 조절에 도움 필요 ▸ 교류 활동에 비자발적 참여 ▸ 여행, 이사 등 장시간 집을 비우는 부담 ▸ 종에 따른 식물 정보 확인, 적용 필요 ▸ 가드닝 관련 새로운 소셜 컨텐츠 필요 인터뷰를 통한 NEEDS 컬처럴 프로브를 통한 NEEDS ▸ 식물과의 교감을 위해 수동적인 교류 필요 ▸ 본인의 잘못된 재배 습관 성찰 필요 ▸ 종에 따른 식물 정보 확인 필요 SWOT 분석을 통한 NEEDS ▸ 반려 식물의 종에 맞는 식물 관리 서비스 ▸ 복잡한 절차나 비싼 비용 없는 접근성 ▸ 중장년층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구성 ▸ 상용화된 재배기와 다른 재배기의 필요 식물과의 교감이 가능한 관리 시스템 물, 온도, 통풍 조절에 도움 종에 따른 식물 정보 제공, 적용 관리에 도움 잘못된 재배 습관 피드백 & 성찰 장기간 집을 비우는 경우 해결책 신뢰성 있는 가드닝 소셜 콘텐츠 종합 도출
  21. 04 004 Consolidation - Persona - Journey Map - Concept - Benchmarking - Direction & Function
  22. PERSONA
  23. JOURNEY MAP
  24. 종에 따른 식물 정보 제공 • • 재배 습관 피드백 & 성찰 • 현재 식물상태 데이터 수집 • 현재 식물 상태 표시 • 종에 따른 식물 관리 적용 식물 관리 상태에 대한 피드백(알림) • 식물 재배일기 서비스 제공 • • 원거리 실시간 식물 상태 확인 가드닝 소셜 콘텐츠 제공 • GOAL 반려식물과의 교감을 위해 실시간 상호작용을 이용한 스마트 수분계 IoT 앱 서비스 DEVICE APP SURVICE USER Concept
  25. ▸ 다섯 가지 색과 표정의 기분 콩들로 한달 나의 기분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 기분 콩과 활동 아이콘을 탭 하여 오늘 하루를 간단하게 기록할 수 있다. ▸ 다양한 기억 블록 들 중 나에게 필요한 카테고 리만 선택할 수 있다. ▸ 월별로 정리된 기록들을 훑어볼 수 있다. ▸ 단점 : 축약된 디자인으로 처음 사용시 헷갈릴 수가 있다. 다이어리 어플 하루콩 다이어리 어플 해마일기 중고거래 어플 당근마켓 토양수분측정기 버튼물주시개 ▸ 기분상태표시가 추가된 다이어리 작성 ▸ 검색기능이 있어 영화, 책을 다이어리에 쉽게 첨부 가능 ▸ 심플하고 깔끔한 디자인과 편리한 인터페이스 ▸ 단점 : 자동 백업 기능이 없고, 이에 대한 공지 가 없다. ▸ 매너 등급을 통한 구매자들 사이의 신뢰성 있는 커뮤니티 활성화 가능 ▸ 가게의 상품 및 서비스 소개, 새로운 메뉴, 이벤 트 등 다양한 소식을 가게 인근에 거주하는 지역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홍보 ▸ 동네 인증을 통한 빠르고 안전한 직거래 기능 ▸ 단점 : 타 지역 채팅을 사용하지 못한다. ▸ 토양에 꽂는 것만으로 빠른 수분 측정 가능 ▸ 코인 배터리 하나로 최대 1년 이상 사용 가능한 고효율 ▸ 지속적으로 꽂아 놓아도 쉽게 부식되지 않는 재 질 ▸ 단점 : 더 큰 사이즈의 화분에서는 다른 크기의 수분측정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Benchmarking
  26. 센서를 통한 식물 관리 알림 서비스 화분 크기 별 수분계 조절 기능 DEVICE APP SURVICE 1 토양 수분 관리에 큰 영향을 주는 화분 크기 별 물 관리 2 종별 적정 온습도를 고려하여 현재 식물 상태에 맞는 알림 피드백 제공 가드닝 소셜 콘텐츠 제공 3 신뢰성 있는 식물 정보 제공이 가능한 가드닝 소셜 콘텐츠 재배일기 서비스 제공 4 식물 교감과 재배 성찰을 통해 발전된 재배활동 식물식별 및 재배법 추천 5 AI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하여 식물을 식별, 그에 맞는 재배법 제공 Direction & Function
  27. 05 005 Task Flow & Sitemap - Task Flow - Sitemap
  28. Task 2 식물관리 어플리케이션 IOT기기 수분부족확인 수분부족알림 (LED) 수분부족알림 (푸쉬알림) 신호를 다시 전송한다 수분적정확인 수분적정알림 (LED) 수분적정알림 (푸쉬알림) 수분과습알림 (푸쉬알림) 수분과습알림 (LED) 사용자가 화분에 물을 주었는가? 물을 초과하여 주었는가? 아니요 예 아니요 예 식물 데이터 수집 (하루동안) 데이터 해석& 표정 표현 아니요 예 일기작성 저장 아니요 예 게시글 비공개 게시글 공개 일기작성 선택 공유선택 어플리케이션 Task 1 식물일기 작성 식물이상확인 아니요 예 질문글 작성 적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잘 기른다 식물 데이터 첨부 식물사진첨부& 질문사항 작성 답변글 확인 푸쉬알림 답변완료 카테고리 답변대기 카테고리 유지 아니요 예 식물상태가 적정상태인가? 답변이 적절한가? 어플리케이션 Task 3 리패밀리 Task Flow
  29. Sitemap 리패밀리 식물관리 식물일기 마이페이지 시작 화면 2.0 로그인 알림 설정 프로필 수정 내 게시글 재배력 재배 상세 그래프 그래프 식물 상태 식물 등록 기기 검색 식물 삭제 회원 가입 1.0 자유 게시판 4.1 2.1 3.0 5.0 6.0 4.0 질문 게시판 4.2 식물 정보 검색 4.3 카테 고리 4.3.1 식물 검색 4.3.1 환경설정 6.1 프로필 6.2 6.1.1 6.2.1.1 6.2.1.2 6.2.1 6.2.2 6.2.3 일기 쓰기 5.1 일기 보기 5.2 날짜 별 기분 분석 5.2.1 3.2.2 3.2.1 3.2.1.1 3.1.1 3.1.2 식물 관리 3.2 식물 리스트 3.1 일기 분석 5.3 월간 분석 5.3.1 연간 분석 5.3.2 식물 선택 5.1.1 태그 5.1.1.1 사진 5.1.1.2 일기 5.1.1.3
  30. 006 Storyboard & Wireframe - Storyboard - Wireframe 06
  31. Task 1 식물일기 작성 Storyboard Task 2 식물 관리 Task 3 리패밀리
  32. Wireframe Task 1 식물일기 작성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고 그 날짜에 서 일기를 작성하고 싶은 식물과 그 식물의 사진, 텍스트 등을 입력하고 저장할 수 있다. 그 날의 식물 평균 재배데이터가 모 여 표정이 표시가 되고 계속 누적되 어 월간/연간으로 살펴볼 수 있다. 식물을 등록할 수 있고 사진을 찍어 자동검색으로 등록할 수도 있다. 그 이후에 앞으로 키우면서 등록한 식물마다 재배에 관련된 알림이 뜨 게 된다. (습도, 온도, 광량, 통풍) 자신이 키우는 식물의 종에 따라서 커 뮤니티에 가입할 수 있으며, 식물데이 터를 회원들과 서로 공유함으로써 재배 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Task 2 식물관리 Task 3 리패밀리
  33. 007 Device & GUI - Device Rendering - GUI of Application 07
  34. Device Rendering ▸ 화분에 꽂아두면 센서를 통해 수분, 광량, 양분, 통풍을 감지하여 LED와 앱 알림으로 식물집사에게 정보를 전달한다. ▸ 디스플레이에 재배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 물 기분을 분석하여 표정으로 표시된다 LED SENSOR SENSOR USB-C DISPLAY 식물관리 앱과 연동가능한 IOT 수분계
  35. GUI of Application Task 1 식물일기 작성 ▸ 일기에서 바로 오늘의 식물 데이터를 기반으로 식물의 기분 과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일기 목록으로 보기 ▸ 일기 상세보기 식물이 자신의 상태를 대화형식 으로써 피드백 해줍니다. ▸ 일기 달력으로 보기 ▸ 일기 작성하기 식물 데이터, 사진, 텍스트를 첨부할 수 있습니다. ▸ 식물데이터가 첨부된 일기를 작성함으로써 자신의 재배 습관 성찰과 식물과의 교감을 한층 더 강화시킨다.
  36. GUI of Application Task 2 식물관리 ▸ 식물을 직접 등록하거나 이름 을 모를 경우 카메라를 통한 AI 인식으로 식물을 검색해서 등록 할 수 있습니다. ▸ 식물 상태 한눈에 보기 ▸ 식물의 상태와 데이터를 각각 살펴볼 수도 있습니다. ▸ 식물 관리 페이지 ▸ 식물을 등록하고 IOT 수분계와 연동된 앱을 통해 식물데이터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식물 관련 알림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37. GUI of Application Task 2 리패밀리 ▸ 리패밀리 목록 보기 ▸ 자신이 키우는 식물의 종에 따라서 커뮤니티(리패밀리)에 가입할 수 있으며, 식물데이터를 회원들과 서로 공 유함으로써 재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 식물 데이터 공유
  38. PROMO VIDEO PROTOTYPE ONLINE EXHIBITION
Anúnc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