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Seungmo Koo
Seungmo KooProfessor em NHN NEXT
게임 제작 개론 #4
게임 밸런싱

NHN NEXT
구승모
Agenda
• 게임 밸런스란?

• 게임 밸런스 유형

• 게임내 개체간 밸런싱

• 온라인 게임 경제 밸런스

• 밸런싱 실습, Quiz, 토론
학습 목표
• 게임 밸런스가 게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 알고 밸런싱이
  잘 잡힌 게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게임 내에서 쓰이는 요소들간의 밸런싱 관계를 설명하고
  유추할 수 있다

• 게임 제작 과정에서 밸런싱을 어떤 식으로 잡아 나가는
  지 안다

• 온라인 게임 경제 밸런스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원인
  을 파악할 수 있다
게임 밸런스
(Game Balance)
IMG from http://thelittlezergling.blogspot.kr
게임 밸런스
• 게임 밸런스란?
 – 게임 내 요소들간의 균형 + 게임 내 콘텐츠간 조화
 – 게임의 완성도를 결정
 – 어떤 게임이 밸런싱이 잘 잡혀 있다고 할 수 있는가?

• 밸런스가 잘 잡힌 게임?
 – 플레이어가 공정(fairness)하다고 느낌
 – 플레이어는 의미 있는 선택이 지속적으로 주어진다고 생각함

• 밸런스가 결여된 게임?
 – 플레이어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함
   • 단조롭고 헷갈리고 절망스러운 느낌
 – 개발자의 입장에서도 들인 노력이 헛수고가 됨
   • 열심히 만들어 놓은 것이 사용되지 않음
전략의 붕괴
• Warcraft 2
   – 한 전략이 너무 선호되어 일방적인 선택이 나오는 경우
   – Ogre Mage의 Bloodlust 쓰는 것이 킹왕짱(?) 전략




                               그때는 말이지…
                               오우거 메이지 9마리에
                               블러드를 1초만에 걸 수
                               있어야 컨트롤 좀 한다고
                               말할 수 있었단다.
밸런스가 잘 잡혀있다는(?) 게임
게임 밸런스 유형
Fairness (PvP)
• 공평함
  – 플레이어가 각자가 이길 수 있는 기회가 동등하도록
  – 실력을 제외한 모든 조건(기회)이 동등하게 주어지도록 함

• 대칭형(symmetric)
  – 동일한 룰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작
  – 공평함을 달성하기 가장 쉬운 방법
  – (예) Chess, 바둑, 가위바위보
     • 대칭 게임도 엄밀히 말하자면 비대칭인 경우가 많음
     • 국가별 바둑 룰에 따라 6집 가량 공제
  – 레벨디자인에서의 대칭성
     • 너무 뻔하면 질릴 수 있음: 레벨적 기능으로는 대칭이지만 그것이 대칭
       처럼 보이지 않도록 꾸미는 것이 중요

• 비대칭형(asymmetric)
  – 서로 다른 조건이나 룰 아래에서 시작
  – 공평함을 달성하기 어렵지만 흥미로움이 있음
  – (예) 스타크래프트
Pacing (PvP)
• 타 플레이어를 따라잡을 수 있는 합리적인 기회 제공
  – 이것이 밸런싱 되지 않으면 선행 유저를 절대로 이길 수 없음

• Pacing은 피드백에 대한 함수
  – 긍정적인 피드백: 플레이어의 성공에 대해 보상을 제공
  – 부정적인 피드백: 플레이어의 실패에 대해 벌을 주는 것

• 긍정과 부정 피드백의 균형이 필요
  – 긍정 피드백 위주 사용시
     • 후발주자는 선발주자를 따라잡을 수 없음
     • 이기는 사람만 계속 이기는 구조: 지는 사람은 게임을 접음
  – 부정 피드백 위주 사용시
     • 확실히 누가 우세하다는 느낌이 없는 게임이 됨
     • 우세함이 나오더라도 임시적이라는 느낌 (언제 털릴지 모르는 불안감?)

• 황금률
  – 실수를 범하지 않은 플레이어가 이길 수 없는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Appropriately Challenging (PvE)
• 적절한 난이도의 도전
  – 플레이어의 학습곡선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주어 계속
    도전하도록 만드는 것


• 플레이어는 게임에 익숙해지기까지 실수를 많이 하게 됨
  – 실수에 대해   벌을 주는 것보다 배울 때마다 약간의 보상을 제공
    해서 실수의   실망감을 상쇄시키도록 함
  – 도전에 대한   성공시 단순히 레벨이 오르는 것보다는 선택의 폭
    이 넓어지는   보상을 제공 하는 것이 바람직
     • 허들은 낮지만 깊이는 점점 더 생기는 구조
     • (예) 반격기 제공: 피격중 반격도 되네?


• 황금률
  – 게임을 배우는 과정이 재미있어야 하고, 점점 숙달될수록 더 재
    미있어져야 함
Appropriately Challenging (PvE)
• 적절한 수준의 도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 성공시마다 난이도를 증가시켜라
  – 플레이어가 쉬운 부분은 빨리 지나가게 하라
  – 도전의 층위를 만들어라
     • (예) 필수 미션만 끝내도 클리어, 보너스 미션까지 완료시 업적 제공
       – 캐주얼 유저들은 그냥 스토리를 경험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가 많음
     • (예) 플레이어의 난이도 선택
       – (예) Easy mode: 필수 스토리에 집중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 (예) Hard mode: 도전을 제공하되 지루하지 않게
  – 다양한 플레이어와 플레이 테스트를 하라
     • 숙련자와 비숙련자를 섞어서 테스트
  – 예측 가능한 AI를 만들어라
     • 플레이어가 숙련 가능하도록 하는 것
     • 플레이어는 AI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움
     • (예) 눈이 붉게 반짝 거리면 필살기 사용함?
Meaningful Choices
• No Dominant Strategy
  – 우월전략이 발견되면 룰을 바꾸어야 함
     • 절대우위의 단일 전략  다양한 전략


• 선택과 욕구의 균형이 필요
  – 선택 > 욕구: 압도당해버림
  – 선택 < 욕구: 불만족, 좌절
  – 선택 = 욕구: 자유와 만족을 느낌


• 선택지 자체가 의미가 있어야 함
  – 가위바위보처럼 (랜덤처럼) 느껴지면 안됨
  – 당연히 특정 선택지만 선호하게 해서도 안됨
     • 우월전략이 될 가능성이 높음  전략의 붕괴
  – 보통은 HRHR로 디자인
Balanced Resources
• 자원의 균형이 필요
  – 게임 내 존재하는 여러 자원 요소들(stat)간의 균형을 의미
  – 활동적 액션이 너무 비싸면, 그 액션은 사용하지 않게 됨
    • (예) 4시간에 한 번 쓸 수 있는 필살기?


• Engine & Deadlock 상황에는 대처법이 반드시 있어야 함
  – Engines: 스킬 조합으로 무한 리소스 생성이 가능한 경우
    • (예) 드래곤에이지: HP약간소모  MP생성, MP약간소모  HP채우기
  – Deadlocks: 자원간 순환 조건이 걸리는 경우
    • (예) 세틀러 3: 석공의 집을 짓는데 석공이 필요함
    • (예) 스타크래프트: 드론을 생산하는 해처리는 드론으로만 지을 수 있음
  – 위의 예시로 제시한 게임들은 어떻게 해결했을까?

• 황금률
  – 게임 내의 모든 자원 요소들은 가끔이라도 쓸모가 있어야 함
  – 각 자원을 사용했을 때의 비용은 보상 값에 비례해야 함
Rewards & Punishment
• 보상과 벌의 균형이 필요
  – 보상: 칭찬, 점수, 플레이연장, 관문, 과시, 능력치, 자원, 완료
  – 벌: 수치심, 감점, 플레이단축, 역행, 능력치 감소, 자원 소모

• 보상에 대한 심리
  –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알게 됨
    • 보상의 양을 점차 증가시키기: 유저는 알면서도 큰 보상으로 느낌
    • 가변적인 보상을 제공
       – (예) 몬스터 잡을 때마다 평균 10골드를 주고 싶다면?
       – (예) 회사에 매주 금요일마다 도넛 돌리기 vs 가끔씩 돌리기?


• 벌에 대한 심리
  – 보상이 벌보다 행동 강화에 유리 (예: WoW의 음식 버프)
  – 강력한 벌은 강력한 보상과 함께 밸런싱 되어야 함
  – 벌의 가능성은 도전을 증가시킴
    • 플레이어는 자신의 성공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됨
    • (예) 디아블로의 하드코어 모드
게임내 개체간 밸런싱 방법
(Transitive, Intransitive, and Fruity)
Transitive
• 개체 밸런싱을 위한 가장 직접적인 방법
   – 비용대비 효과 값을 기준으로 상호 변환
   – (예) MP 40의 가치는 공격력 얼마의 가치와 동등한가?
   – 한번 잘 못 맞추면 연관된 전부를 바꿔야 함

• Cost/Benefit Ratio
   – 너무 딱 맞출 필요는 없음
      • 대략 맞추고 피드백 받아서 계수 조정
   – 한계 체증 법칙을 적용해야 함
      • Pacing 때문

• 무차원(Dimensionless) 환산
   – 단위가 없는 특정 값으로 변환(mapping)
   – (예) 스킬의 가치를 특정 무차원 값으로 사상한다면?
      • 스킬 A: 공격력 40, MP 5소모, 쿨다운 2초, 즉시 시전 효과  100
      • 스킬 B: 공격력 100, MP 10소모, 쿨다운 5초, 시전 시간 2초  ??
Intransitive
• Cost/Benefit을 직접적으로 연관시킬 수 없는 경우 사용
  – 거시적인 측면에서 먼저 정해놓기에 좋음
     • (예) 전사 > 도적 > 법사 > 전사
  – 전략이 너무 뻔히 보이면 운이나 랜덤에 의존하게 됨
     • 대표적으로 가위-바위-보
     • (Transitive와 섞어서) 전략적 요소가 들어가도록 해야 함
Payoff Matrix
• 그래서, 변화를 통한 재미를 주기
   – 앞의 단순한 예제에 대한 보상행렬
                   Leg Sweep       Fwd Kick   Stomp
       Leg Sweep       0             +1        -1
       Fwd Kick        -1             0        +1
        Stomp         +1              -1        0


• Transitive+Intransitive Mixing
   – 자원소모 도입 (MP): Stomp 3, Kick 2, Sweep 1
   – 피격시 벌로 5 MP와 동가의 데미지를 입는다고 할 때 보상 행렬
                    Leg Sweep      Fwd Kick   Stomp
       Leg Sweep        0             +6        -3
        Fwd Kick       -6              0       +6
         Stomp         +3             -6        0
   – 밸런싱을 위해서 각각의 공격이 어떤 빈도로 나오도록 해야할까?
Fruity
• 짬뽕 vs 자장면
  – 오렌지와 사과중 어떤게 더 좋아?

• Transitive 및 Intransitive 방법을 쓰기 힘든 경우 사용
  – 수학이 통하지 않는 경우로 가장 어렵고 힘든 밸런싱
  – 엄청난 테스트를 통한 피드백으로 고쳐나가는 방식
     • 플레이테스트를 통한 계수(factor) 조정
     • Factor의 Magic number를 찾기 위해
  – (예) 스트리트파이터
     • 캐릭터를 몇 가지의 (플레이 패턴) 분류로 나누고
     • 특공대(?) 선발 후 이들간의 수많은 대전을 통하여 밸런스를 잡음
  – (예) 스타크래프트
     • 베틀넷의 수많은 경기에 대한 통계를 활용하여 조정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Fruity Process
• 계수 모델링  테스트  피드백  계수조정  테스트
  – 우주 상수(?) 처럼 특정 계수 값(magic number)을 찾는 과정

• 배가와 반분법 (Rule of 2)
  – (예) 스킬의 데미지가 100인데, 좀 많은 것 같다면?
     • 얼마로 조정하고 다시 테스트할 것인가?


           “In Street Fighter, there is no possible
           way to create a ‘balancing algorithm’
           that will tell you if Chun Li's walking
           speed should be faster. … … You could
           do a year of math on that and still be
           more wrong about it than my guess in
           two seconds.”

           From http://us.battle.net/wow/en/forum/topic/1965842821
온라인 게임 경제 밸런스
Sources and Sinks
• 게임의 모든 자원은 생성되어 소멸됨
  – 이 자원의 흐름을 설계하는 것이 경제 밸런싱의 핵심
     •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제어
     • 샘(source)에서 솟아서 하수구(sink)로 빠지는 것
  – Sources: MP Regen, 몬스터 스폰, 아이템 드랍, …
  – Sinks: 내구도, 탄환 소모, MP사용, 몬스터 디스폰(사망), …


• 생성과 소멸의 균형이 필요
  – 생성 > 소멸: 인플레이션
  – 생성 < 소멸: 디플레이션
  – 그렇다면, 생성=소멸?
     • 엄밀히 말하면 생성이 소멸보다 약간 더 커야 한다
     • 그 이유는?
시간 경제와 화폐 경제
• 시간은 곧 돈(gold)이다?
  – money = f ( time )
  – 경제 밸런싱의 기준
     • (예) 플레이어가 1시간 투자하면 얼마의 돈을 부여할 것인가?

• 귀속 시스템
  – 생성될 가치를 시간으로 제어하는 대표적인 방법
     • (예) 인던 쿨타임은 3일에 1번, 인던이 생성하는 가치는 2만 골드
         – 이 인던을 공략하는데는 1만 골드가 든다면 (물약, 장비 수리 등)
         – 3일의 시간은 1만 골드를 생산하는 효과
  – 귀속 시스템이 없다면?
     • 몬스터 개체수와 리스폰 타임, 드랍률을 통해 특정 사냥터의 시간당
       가치가 매겨짐  하수구가 발달하지 않는 한 극악의 드랍률


• 돈으로 시간을 사는 경우도 있는가?
  – Value = f ( money ) = g ( time )
부분유료화와 게임내 경제
• 돈으로 시간을 구매하는 경우
 – 유료정액제(P2P) 게임
   • Eve-online의 PLEX, TERA의 Chronoscroll
   • 현금으로 플레이 사용권한을 구매하여 게임내에서 재판매 가능
 – 부분유료화(F2P) 게임
   • 거래 가능한 캐시 아이템
 – 현질(?)의 양성화가 가능: 작업장의 돈을 먹는 구조
   • (before) 현금  불법 작업장  게임머니
   • (after) 현금  게임사의 캐시아이템  게임머니
   • 주의! 인플레이션을 유발 시키는 게임 아이템 판매는 신중해야 함


• 시간과 돈의 순환 구조
 – 플레이어의 노력(시간)이 얼마만큼의 재화(골드)로 환산되는지
   인지할 수 있어야 함
   • 돈 많은 사람(직장인?)은 돈으로 가치를 구매
   • 시간 많은 사람(학생?)은 시간으로 가치를 구매
인플레이션
• 약간의 인플레이션은 보통 존재
  – 게임 콘텐츠를 소모함으로써 재화의 소멸이 됨
  – 콘텐츠 업데이트 속도가 재화 축적 속도를 못 따라 가기 때문


• 재화의 생성 > 4차원 > 재화의 소멸
  – 하수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오토, 봇을 통한 재화 생성 속도의 증가
  – 아이템 복사 또는 그에 준하는 버그 상황

• 증상
  –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신규 유저와 기존 유저간의 간극 커짐
    • 현질 유도, 장비 면접, …
  – 현물이 화폐를 대체하기도 함
    • 화폐 소지 제한 등의 이유가 더해진 경우
가상 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양극화
 – 인플레이션  골드가치 하락  기존 유저보다 더 많은 골드가
   있어야 기존 유저만큼의 수준이 될 수 있음  상위 콘텐츠 진입
   장벽  장비 면접

• 통제와 독점
 – 특정 세력의 콘텐츠 (사냥터) 제한  양극화
   • 기대치 이하의 재화 공급으로 인한 디플레이션


• 사재기
 – 잦은 밸런스 패치로 인해 특정 아이템의 가치에 대한 불확실성
   • 더 비싸질지도 모른다는 우려
 – 경제 규모가 작은 경우, 특정 세력이 공급을 인위적으로 제어
실습, 퀴즈, 토론
실습
• Transitive한 방법 실습
  – 플레이어가 100초를 플레이 했을 때, 80Gold의 돈을 갖게 하고
    싶다면, (플레이어 및 몬스터 레벨은 1이라고 가정)
     •   MP / HP 디자인은 어떻게 할 것인지?
     •   기본 스킬 데미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   몬스터의 HP 및 공격 데미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   HP 포션 가격은 어떻게 매길 것인지?


• 힌트
  – 정해야 할 것들을 찾기
     •   몬스터 몇 마리 잡게 할 것인가?
     •   한 마리 잡는데 걸리는 시간과 이동(쉬는) 시간은 어떻게?
     •   기본 스킬 사용 주기와 데미지, 그리고 필요 MP는?
     •   몬스터 한 마리의 적정 HP는?
     •   플레이어의 MP 리젠
Quiz & Discussion
• Quiz
  – MP 리젠 값을 변경시키면?
  – 전투 밸런스와 경제 밸런스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다면?


• 그룹 토론 주제
  – 게임 내 재화가 많이 쌓여있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 현실 세계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게임과 비슷한가?
     • 유저들이 가상화폐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토해내게(?) 하고 싶다면?
끝
• Q&A

• 강의 주제 안에서 알고 싶은 것은 게시판에 남겨주세요

• 차주 강의 내용은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

• 과제 공지
    – 토론 준비 해올 것
      • 소요시간 가이드: 각 주제별 20분 가량 개별 준비
    – 주제
      • 게임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게임 몰입의 원인과 개선 방법은?
      • MMORPG 중독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상호 평가를 통한 보너스 점수 부여 예정
참고 자료
• The Art of Game Design, Jesse Schell

• Game Architecture and Design, Andrew Rollings et al.

• Game Balance Concepts
   –   http://gamebalanceconcepts.wordpress.com/2010/07/07/level-1-intro-to-game-balance/



• 참고 링크
   –   http://www.gamasutra.com/view/news/181326/Richard_Garfields_strategies_for_game_bala
       ncing_.php
   –   http://www.wowpedia.org/Category:Formulas_and_game_mechanics
1 de 34

Recomendados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 por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Seungmo Koo
20.1K visualizações45 slides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 por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Seungmo Koo
9.4K visualizações46 slides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por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Seungmo Koo
55.5K visualizações44 slides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por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Seungmo Koo
38.8K visualizações33 slides
게임제작개론 : #5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 por
게임제작개론 : #5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게임제작개론 : #5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
게임제작개론 : #5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Seungmo Koo
8.9K visualizações32 slides
게임제작개론 : #7 팀 역할과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해 por
게임제작개론 : #7 팀 역할과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해게임제작개론 : #7 팀 역할과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해
게임제작개론 : #7 팀 역할과 게임 리소스에 대한 이해Seungmo Koo
14.9K visualizações35 slides

Mais conteúdo relacionado

Mais procurados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 por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Han Je Sung
21.7K visualizações51 slides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por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Kay Kim
63.1K visualizações81 slides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por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Lee Sangkyoon (Kay)
60.8K visualizações172 slides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por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Sunnyrider
13.8K visualizações97 slides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por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Na Eun Lee
10.4K visualizações89 slides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por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Seungmo Koo
21.7K visualizações28 slides

Mais procurados(20)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 por Han Je Sung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
기획자의 포트폴리오는 어떻게 써야 할까
Han Je Sung21.7K visualizações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por Kay Kim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Kay Kim63.1K visualizações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por Lee Sangkyoon (Kay)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Lee Sangkyoon (Kay)60.8K visualizações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por Sunnyrider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Sunnyrider 13.8K visualizações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por Na Eun Lee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a Eun Lee10.4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게임제작개론 : #6 게임 시스템 구조에 대한 이해
Seungmo Koo21.7K visualizações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por 강 민우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강 민우6.5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9 por Seokmin No
게임제작개론 9게임제작개론 9
게임제작개론 9
Seokmin No1.4K visualizações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 por 강 민우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
강 민우2.9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8 por Seokmin No
게임제작개론 8게임제작개론 8
게임제작개론 8
Seokmin No1.9K visualizações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por Lee Sangkyoon (Kay)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Lee Sangkyoon (Kay)162.5K visualizações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por Ryan Park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Ryan Park7.1K visualizações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 por ByungChun2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
ByungChun223.5K visualizações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or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654 visualizações
쩌는게임기획서 이렇게 쓴다 por Jinho Jung
쩌는게임기획서 이렇게 쓴다쩌는게임기획서 이렇게 쓴다
쩌는게임기획서 이렇게 쓴다
Jinho Jung88.3K visualizações
엄재민 Nhn과제 신규 게임 컨셉 제안서 por 재민 엄
엄재민 Nhn과제 신규 게임 컨셉 제안서엄재민 Nhn과제 신규 게임 컨셉 제안서
엄재민 Nhn과제 신규 게임 컨셉 제안서
재민 엄3.9K visualizações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por 태성 이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태성 이2.3K visualizações
게임강연정리 por Jeong Min Hwang
게임강연정리게임강연정리
게임강연정리
Jeong Min Hwang8.4K visualizações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por Eunseok Yi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NDC 2012 이은석 - 게임회사 취업특강 (커리어세션)
Eunseok Yi13K visualizações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por Donghun Lee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Donghun Lee3.3K visualizações

Similar a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123 por
123123
123Seokmin No
835 visualizações34 slides
MMORPG 경제의 공정성 por
MMORPG 경제의 공정성MMORPG 경제의 공정성
MMORPG 경제의 공정성SeungYeon Jeong
1.1K visualizações32 slides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 por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SeungYeon Jeong
3.6K visualizações43 slides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por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devCAT Studio, NEXON
1.1K visualizações83 slides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 por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Heulyeon357
62 visualizações33 slides
[PandoraCube] 게임을 재미있게 만드는 4가지 요소 por
[PandoraCube] 게임을 재미있게 만드는 4가지 요소[PandoraCube] 게임을 재미있게 만드는 4가지 요소
[PandoraCube] 게임을 재미있게 만드는 4가지 요소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
50 visualizações45 slides

Similar a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20)

123 por Seokmin No
123123
123
Seokmin No835 visualizações
MMORPG 경제의 공정성 por SeungYeon Jeong
MMORPG 경제의 공정성MMORPG 경제의 공정성
MMORPG 경제의 공정성
SeungYeon Jeong1.1K visualizações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 por SeungYeon Jeong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
업적,칭호,타이틀 그게 뭐든간에...
SeungYeon Jeong3.6K visualizações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por devCAT Studio, NEXON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백승엽, 매직 더 개더링 20년간의 게임디자인 엿보기, NDC2012
devCAT Studio, NEXON1.1K visualizações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 por Heulyeon357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
배틀쉘터 기획서 [완성본].pptx
Heulyeon35762 visualizações
All That Puzzle Games por Shin Dongwon
All That Puzzle GamesAll That Puzzle Games
All That Puzzle Games
Shin Dongwon4K visualizações
IntroducingFD_2015 por Sb Jin
IntroducingFD_2015IntroducingFD_2015
IntroducingFD_2015
Sb Jin23 visualizações
Anipang dj por dj881103
Anipang djAnipang dj
Anipang dj
dj881103590 visualizações
(임시)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 por 대훈 유
(임시)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임시)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
(임시)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
대훈 유490 visualizações
(임시) Career2012 por 영준 박
(임시) Career2012(임시) Career2012
(임시) Career2012
영준 박807 visualizações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_수정 por 대훈 유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_수정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_수정
Aos 그리고 부분 유료 유대훈 0215_수정
대훈 유757 visualizações
The Art of Game Design 도서 요약 - Part 2 (기법편) : 메커니즘, 이야기, 미적 요소 por Harns (Nak-Hyoung) Kim
The Art of Game Design 도서 요약 - Part 2 (기법편) : 메커니즘, 이야기, 미적 요소The Art of Game Design 도서 요약 - Part 2 (기법편) : 메커니즘, 이야기, 미적 요소
The Art of Game Design 도서 요약 - Part 2 (기법편) : 메커니즘, 이야기, 미적 요소
Harns (Nak-Hyoung) Kim5.5K visualizações
[IGC 2016] 넷게임즈 김복식 - 중국 모바일 게임과 캐주얼 게임 디자인 por 강 민우
[IGC 2016] 넷게임즈 김복식 - 중국 모바일 게임과 캐주얼 게임 디자인[IGC 2016] 넷게임즈 김복식 - 중국 모바일 게임과 캐주얼 게임 디자인
[IGC 2016] 넷게임즈 김복식 - 중국 모바일 게임과 캐주얼 게임 디자인
강 민우17.9K visualizações
Toy rumble Gameproposal por Hyun Seung Lee
Toy rumble GameproposalToy rumble Gameproposal
Toy rumble Gameproposal
Hyun Seung Lee843 visualizações
[IGC 2016] 고정환 액션감성을_밸런스하다 por Jeonghwan Ko
[IGC 2016] 고정환 액션감성을_밸런스하다[IGC 2016] 고정환 액션감성을_밸런스하다
[IGC 2016] 고정환 액션감성을_밸런스하다
Jeonghwan Ko9.1K visualizações
우리가지킬고양 게임소개서 por Madcat Games
우리가지킬고양 게임소개서우리가지킬고양 게임소개서
우리가지킬고양 게임소개서
Madcat Games2.6K visualizações
게임디자인원론 디자인 과정 사례연구 por Hyo-nyeong Han
게임디자인원론 디자인 과정 사례연구게임디자인원론 디자인 과정 사례연구
게임디자인원론 디자인 과정 사례연구
Hyo-nyeong Han692 visualizações
NDC 2016 김정주 - 기계학습을 활용한 게임어뷰징 검출 por 정주 김
NDC 2016 김정주 - 기계학습을 활용한 게임어뷰징 검출 NDC 2016 김정주 - 기계학습을 활용한 게임어뷰징 검출
NDC 2016 김정주 - 기계학습을 활용한 게임어뷰징 검출
정주 김18.7K visualizações
게임데이터, R을 이용해서 직접 분석해보기 2 (텐투플레이 웨비나) por Hyeyon Kwon
게임데이터, R을 이용해서 직접 분석해보기 2 (텐투플레이 웨비나)게임데이터, R을 이용해서 직접 분석해보기 2 (텐투플레이 웨비나)
게임데이터, R을 이용해서 직접 분석해보기 2 (텐투플레이 웨비나)
Hyeyon Kwon99 visualizações

Mais de Seungmo Koo

Understanding Tech Debt por
Understanding Tech Debt Understanding Tech Debt
Understanding Tech Debt Seungmo Koo
1.9K visualizações8 slides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 por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Seungmo Koo
11.8K visualizações64 slid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 por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Seungmo Koo
7.6K visualizações6 slid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 por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Seungmo Koo
6.7K visualizações5 slid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 por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Seungmo Koo
3.6K visualizações4 slid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 por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Seungmo Koo
3.4K visualizações5 slides

Mais de Seungmo Koo(18)

Understanding Tech Debt por Seungmo Koo
Understanding Tech Debt Understanding Tech Debt
Understanding Tech Debt
Seungmo Koo1.9K visualizações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 por Seungmo Koo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
Multiplayer Game Sync Techniques through CAP theorem
Seungmo Koo11.8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
게임서버프로그래밍 #8 - 성능 평가
Seungmo Koo7.6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
게임서버프로그래밍 #7 - 패킷핸들링 및 암호화
Seungmo Koo6.7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
게임서버프로그래밍 #6 - 예외처리 및 로깅
Seungmo Koo3.6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
게임서버프로그래밍 #5 - 데이터베이스 핸들링
Seungmo Koo3.4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4 -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4 -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게임서버프로그래밍 #4 -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
게임서버프로그래밍 #4 - 멀티스레드 프로그래밍
Seungmo Koo5.5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3 - 메모리 및 오브젝트 풀링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3 - 메모리 및 오브젝트 풀링게임서버프로그래밍 #3 - 메모리 및 오브젝트 풀링
게임서버프로그래밍 #3 - 메모리 및 오브젝트 풀링
Seungmo Koo3.6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2 - IOCP Adv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2 - IOCP Adv게임서버프로그래밍 #2 - IOCP Adv
게임서버프로그래밍 #2 - IOCP Adv
Seungmo Koo5.3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0 - TCP 및 이벤트 통지모델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0 - TCP 및 이벤트 통지모델게임서버프로그래밍 #0 - TCP 및 이벤트 통지모델
게임서버프로그래밍 #0 - TCP 및 이벤트 통지모델
Seungmo Koo6K visualizações
게임서버프로그래밍 #1 - IOCP por Seungmo Koo
게임서버프로그래밍 #1 - IOCP게임서버프로그래밍 #1 - IOCP
게임서버프로그래밍 #1 - IOCP
Seungmo Koo11.4K visualizações
사설 서버를 막는 방법들 (프리섭, 더이상은 Naver) por Seungmo Koo
사설 서버를 막는 방법들 (프리섭, 더이상은 Naver)사설 서버를 막는 방법들 (프리섭, 더이상은 Naver)
사설 서버를 막는 방법들 (프리섭, 더이상은 Naver)
Seungmo Koo33.2K visualizações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por Seungmo Koo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NHN NEXT 2014년도 게임트랙 소개
Seungmo Koo4.1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0 과목소개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 #0 과목소개게임제작개론 : #0 과목소개
게임제작개론 : #0 과목소개
Seungmo Koo7.2K visualizações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por Seungmo Koo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Windows Registered I/O (RIO) vs IOCP
Seungmo Koo29K visualizações
Windows IOCP vs Linux EPOLL Performance Comparison por Seungmo Koo
Windows IOCP vs Linux EPOLL Performance ComparisonWindows IOCP vs Linux EPOLL Performance Comparison
Windows IOCP vs Linux EPOLL Performance Comparison
Seungmo Koo36.9K visualizações
NHN NEXT 게임 전공 소개 por Seungmo Koo
NHN NEXT 게임 전공 소개NHN NEXT 게임 전공 소개
NHN NEXT 게임 전공 소개
Seungmo Koo8.5K visualizações
Game Developer Magazine, May 2012, Supplemental Info por Seungmo Koo
Game Developer Magazine, May 2012, Supplemental InfoGame Developer Magazine, May 2012, Supplemental Info
Game Developer Magazine, May 2012, Supplemental Info
Seungmo Koo2K visualizações

Último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por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qkrwnsrb8049
13 visualizações29 slide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por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ssuser82df24
28 visualizações22 slides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por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starsoul5722
5 visualizações4 slides
RLHF_Lessons_learned.pdf por
RLHF_Lessons_learned.pdfRLHF_Lessons_learned.pdf
RLHF_Lessons_learned.pdfssuser1bc84b
89 visualizações54 slides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por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Sungwoo Park
33 visualizações104 slide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por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choo7913
33 visualizações27 slides

Último(8)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por qkrwnsrb8049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비융합 3조_자세-교정-알림-서비스.ppt
qkrwnsrb804913 visualizaçõe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por ssuser82df24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13_나호석).pptx
ssuser82df2428 visualizações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por starsoul5722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디볼스테로이드파는곳 () 옥시메톨론특징 #클렌부테롤구매【카톡Emm36】#정품테스토스테론
starsoul57225 visualizações
RLHF_Lessons_learned.pdf por ssuser1bc84b
RLHF_Lessons_learned.pdfRLHF_Lessons_learned.pdf
RLHF_Lessons_learned.pdf
ssuser1bc84b89 visualizações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por Sungwoo Park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박사과정 진학을 하기 전 알았으면 좋았을 것들
Sungwoo Park33 visualizações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por choo7913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종합설계프로젝트(1960052 추영호).pptx
choo791333 visualizações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por Kyubok Cho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학교현장에서의 생성형 AI 활용에 대한 법·윤리적 이슈와 대응방안
Kyubok Cho11 visualizações
잡지 검색 예시.pptx por jones cho
잡지 검색 예시.pptx잡지 검색 예시.pptx
잡지 검색 예시.pptx
jones cho70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 1. 게임 제작 개론 #4 게임 밸런싱 NHN NEXT 구승모
  • 2. Agenda • 게임 밸런스란? • 게임 밸런스 유형 • 게임내 개체간 밸런싱 • 온라인 게임 경제 밸런스 • 밸런싱 실습, Quiz, 토론
  • 3. 학습 목표 • 게임 밸런스가 게임에 어떻게 연관되는지 알고 밸런싱이 잘 잡힌 게임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게임 내에서 쓰이는 요소들간의 밸런싱 관계를 설명하고 유추할 수 있다 • 게임 제작 과정에서 밸런싱을 어떤 식으로 잡아 나가는 지 안다 • 온라인 게임 경제 밸런스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그 원인 을 파악할 수 있다
  • 6. 게임 밸런스 • 게임 밸런스란? – 게임 내 요소들간의 균형 + 게임 내 콘텐츠간 조화 – 게임의 완성도를 결정 – 어떤 게임이 밸런싱이 잘 잡혀 있다고 할 수 있는가? • 밸런스가 잘 잡힌 게임? – 플레이어가 공정(fairness)하다고 느낌 – 플레이어는 의미 있는 선택이 지속적으로 주어진다고 생각함 • 밸런스가 결여된 게임? – 플레이어에게 만족감을 주지 못함 • 단조롭고 헷갈리고 절망스러운 느낌 – 개발자의 입장에서도 들인 노력이 헛수고가 됨 • 열심히 만들어 놓은 것이 사용되지 않음
  • 7. 전략의 붕괴 • Warcraft 2 – 한 전략이 너무 선호되어 일방적인 선택이 나오는 경우 – Ogre Mage의 Bloodlust 쓰는 것이 킹왕짱(?) 전략 그때는 말이지… 오우거 메이지 9마리에 블러드를 1초만에 걸 수 있어야 컨트롤 좀 한다고 말할 수 있었단다.
  • 10. Fairness (PvP) • 공평함 – 플레이어가 각자가 이길 수 있는 기회가 동등하도록 – 실력을 제외한 모든 조건(기회)이 동등하게 주어지도록 함 • 대칭형(symmetric) – 동일한 룰과 동일한 조건에서 시작 – 공평함을 달성하기 가장 쉬운 방법 – (예) Chess, 바둑, 가위바위보 • 대칭 게임도 엄밀히 말하자면 비대칭인 경우가 많음 • 국가별 바둑 룰에 따라 6집 가량 공제 – 레벨디자인에서의 대칭성 • 너무 뻔하면 질릴 수 있음: 레벨적 기능으로는 대칭이지만 그것이 대칭 처럼 보이지 않도록 꾸미는 것이 중요 • 비대칭형(asymmetric) – 서로 다른 조건이나 룰 아래에서 시작 – 공평함을 달성하기 어렵지만 흥미로움이 있음 – (예) 스타크래프트
  • 11. Pacing (PvP) • 타 플레이어를 따라잡을 수 있는 합리적인 기회 제공 – 이것이 밸런싱 되지 않으면 선행 유저를 절대로 이길 수 없음 • Pacing은 피드백에 대한 함수 – 긍정적인 피드백: 플레이어의 성공에 대해 보상을 제공 – 부정적인 피드백: 플레이어의 실패에 대해 벌을 주는 것 • 긍정과 부정 피드백의 균형이 필요 – 긍정 피드백 위주 사용시 • 후발주자는 선발주자를 따라잡을 수 없음 • 이기는 사람만 계속 이기는 구조: 지는 사람은 게임을 접음 – 부정 피드백 위주 사용시 • 확실히 누가 우세하다는 느낌이 없는 게임이 됨 • 우세함이 나오더라도 임시적이라는 느낌 (언제 털릴지 모르는 불안감?) • 황금률 – 실수를 범하지 않은 플레이어가 이길 수 없는 상황에 놓이지 않도록
  • 12. Appropriately Challenging (PvE) • 적절한 난이도의 도전 – 플레이어의 학습곡선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주어 계속 도전하도록 만드는 것 • 플레이어는 게임에 익숙해지기까지 실수를 많이 하게 됨 – 실수에 대해 벌을 주는 것보다 배울 때마다 약간의 보상을 제공 해서 실수의 실망감을 상쇄시키도록 함 – 도전에 대한 성공시 단순히 레벨이 오르는 것보다는 선택의 폭 이 넓어지는 보상을 제공 하는 것이 바람직 • 허들은 낮지만 깊이는 점점 더 생기는 구조 • (예) 반격기 제공: 피격중 반격도 되네? • 황금률 – 게임을 배우는 과정이 재미있어야 하고, 점점 숙달될수록 더 재 미있어져야 함
  • 13. Appropriately Challenging (PvE) • 적절한 수준의 도전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들 – 성공시마다 난이도를 증가시켜라 – 플레이어가 쉬운 부분은 빨리 지나가게 하라 – 도전의 층위를 만들어라 • (예) 필수 미션만 끝내도 클리어, 보너스 미션까지 완료시 업적 제공 – 캐주얼 유저들은 그냥 스토리를 경험하는 것을 원하는 경우가 많음 • (예) 플레이어의 난이도 선택 – (예) Easy mode: 필수 스토리에 집중하여 진행할 수 있도록 – (예) Hard mode: 도전을 제공하되 지루하지 않게 – 다양한 플레이어와 플레이 테스트를 하라 • 숙련자와 비숙련자를 섞어서 테스트 – 예측 가능한 AI를 만들어라 • 플레이어가 숙련 가능하도록 하는 것 • 플레이어는 AI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배움 • (예) 눈이 붉게 반짝 거리면 필살기 사용함?
  • 14. Meaningful Choices • No Dominant Strategy – 우월전략이 발견되면 룰을 바꾸어야 함 • 절대우위의 단일 전략  다양한 전략 • 선택과 욕구의 균형이 필요 – 선택 > 욕구: 압도당해버림 – 선택 < 욕구: 불만족, 좌절 – 선택 = 욕구: 자유와 만족을 느낌 • 선택지 자체가 의미가 있어야 함 – 가위바위보처럼 (랜덤처럼) 느껴지면 안됨 – 당연히 특정 선택지만 선호하게 해서도 안됨 • 우월전략이 될 가능성이 높음  전략의 붕괴 – 보통은 HRHR로 디자인
  • 15. Balanced Resources • 자원의 균형이 필요 – 게임 내 존재하는 여러 자원 요소들(stat)간의 균형을 의미 – 활동적 액션이 너무 비싸면, 그 액션은 사용하지 않게 됨 • (예) 4시간에 한 번 쓸 수 있는 필살기? • Engine & Deadlock 상황에는 대처법이 반드시 있어야 함 – Engines: 스킬 조합으로 무한 리소스 생성이 가능한 경우 • (예) 드래곤에이지: HP약간소모  MP생성, MP약간소모  HP채우기 – Deadlocks: 자원간 순환 조건이 걸리는 경우 • (예) 세틀러 3: 석공의 집을 짓는데 석공이 필요함 • (예) 스타크래프트: 드론을 생산하는 해처리는 드론으로만 지을 수 있음 – 위의 예시로 제시한 게임들은 어떻게 해결했을까? • 황금률 – 게임 내의 모든 자원 요소들은 가끔이라도 쓸모가 있어야 함 – 각 자원을 사용했을 때의 비용은 보상 값에 비례해야 함
  • 16. Rewards & Punishment • 보상과 벌의 균형이 필요 – 보상: 칭찬, 점수, 플레이연장, 관문, 과시, 능력치, 자원, 완료 – 벌: 수치심, 감점, 플레이단축, 역행, 능력치 감소, 자원 소모 • 보상에 대한 심리 – 호의가 계속되면 권리인줄 알게 됨 • 보상의 양을 점차 증가시키기: 유저는 알면서도 큰 보상으로 느낌 • 가변적인 보상을 제공 – (예) 몬스터 잡을 때마다 평균 10골드를 주고 싶다면? – (예) 회사에 매주 금요일마다 도넛 돌리기 vs 가끔씩 돌리기? • 벌에 대한 심리 – 보상이 벌보다 행동 강화에 유리 (예: WoW의 음식 버프) – 강력한 벌은 강력한 보상과 함께 밸런싱 되어야 함 – 벌의 가능성은 도전을 증가시킴 • 플레이어는 자신의 성공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됨 • (예) 디아블로의 하드코어 모드
  • 17. 게임내 개체간 밸런싱 방법 (Transitive, Intransitive, and Fruity)
  • 18. Transitive • 개체 밸런싱을 위한 가장 직접적인 방법 – 비용대비 효과 값을 기준으로 상호 변환 – (예) MP 40의 가치는 공격력 얼마의 가치와 동등한가? – 한번 잘 못 맞추면 연관된 전부를 바꿔야 함 • Cost/Benefit Ratio – 너무 딱 맞출 필요는 없음 • 대략 맞추고 피드백 받아서 계수 조정 – 한계 체증 법칙을 적용해야 함 • Pacing 때문 • 무차원(Dimensionless) 환산 – 단위가 없는 특정 값으로 변환(mapping) – (예) 스킬의 가치를 특정 무차원 값으로 사상한다면? • 스킬 A: 공격력 40, MP 5소모, 쿨다운 2초, 즉시 시전 효과  100 • 스킬 B: 공격력 100, MP 10소모, 쿨다운 5초, 시전 시간 2초  ??
  • 19. Intransitive • Cost/Benefit을 직접적으로 연관시킬 수 없는 경우 사용 – 거시적인 측면에서 먼저 정해놓기에 좋음 • (예) 전사 > 도적 > 법사 > 전사 – 전략이 너무 뻔히 보이면 운이나 랜덤에 의존하게 됨 • 대표적으로 가위-바위-보 • (Transitive와 섞어서) 전략적 요소가 들어가도록 해야 함
  • 20. Payoff Matrix • 그래서, 변화를 통한 재미를 주기 – 앞의 단순한 예제에 대한 보상행렬 Leg Sweep Fwd Kick Stomp Leg Sweep 0 +1 -1 Fwd Kick -1 0 +1 Stomp +1 -1 0 • Transitive+Intransitive Mixing – 자원소모 도입 (MP): Stomp 3, Kick 2, Sweep 1 – 피격시 벌로 5 MP와 동가의 데미지를 입는다고 할 때 보상 행렬 Leg Sweep Fwd Kick Stomp Leg Sweep 0 +6 -3 Fwd Kick -6 0 +6 Stomp +3 -6 0 – 밸런싱을 위해서 각각의 공격이 어떤 빈도로 나오도록 해야할까?
  • 21. Fruity • 짬뽕 vs 자장면 – 오렌지와 사과중 어떤게 더 좋아? • Transitive 및 Intransitive 방법을 쓰기 힘든 경우 사용 – 수학이 통하지 않는 경우로 가장 어렵고 힘든 밸런싱 – 엄청난 테스트를 통한 피드백으로 고쳐나가는 방식 • 플레이테스트를 통한 계수(factor) 조정 • Factor의 Magic number를 찾기 위해 – (예) 스트리트파이터 • 캐릭터를 몇 가지의 (플레이 패턴) 분류로 나누고 • 특공대(?) 선발 후 이들간의 수많은 대전을 통하여 밸런스를 잡음 – (예) 스타크래프트 • 베틀넷의 수많은 경기에 대한 통계를 활용하여 조정
  • 23. Fruity Process • 계수 모델링  테스트  피드백  계수조정  테스트 – 우주 상수(?) 처럼 특정 계수 값(magic number)을 찾는 과정 • 배가와 반분법 (Rule of 2) – (예) 스킬의 데미지가 100인데, 좀 많은 것 같다면? • 얼마로 조정하고 다시 테스트할 것인가? “In Street Fighter, there is no possible way to create a ‘balancing algorithm’ that will tell you if Chun Li's walking speed should be faster. … … You could do a year of math on that and still be more wrong about it than my guess in two seconds.” From http://us.battle.net/wow/en/forum/topic/1965842821
  • 25. Sources and Sinks • 게임의 모든 자원은 생성되어 소멸됨 – 이 자원의 흐름을 설계하는 것이 경제 밸런싱의 핵심 • 생성과 소멸에 대한 제어 • 샘(source)에서 솟아서 하수구(sink)로 빠지는 것 – Sources: MP Regen, 몬스터 스폰, 아이템 드랍, … – Sinks: 내구도, 탄환 소모, MP사용, 몬스터 디스폰(사망), … • 생성과 소멸의 균형이 필요 – 생성 > 소멸: 인플레이션 – 생성 < 소멸: 디플레이션 – 그렇다면, 생성=소멸? • 엄밀히 말하면 생성이 소멸보다 약간 더 커야 한다 • 그 이유는?
  • 26. 시간 경제와 화폐 경제 • 시간은 곧 돈(gold)이다? – money = f ( time ) – 경제 밸런싱의 기준 • (예) 플레이어가 1시간 투자하면 얼마의 돈을 부여할 것인가? • 귀속 시스템 – 생성될 가치를 시간으로 제어하는 대표적인 방법 • (예) 인던 쿨타임은 3일에 1번, 인던이 생성하는 가치는 2만 골드 – 이 인던을 공략하는데는 1만 골드가 든다면 (물약, 장비 수리 등) – 3일의 시간은 1만 골드를 생산하는 효과 – 귀속 시스템이 없다면? • 몬스터 개체수와 리스폰 타임, 드랍률을 통해 특정 사냥터의 시간당 가치가 매겨짐  하수구가 발달하지 않는 한 극악의 드랍률 • 돈으로 시간을 사는 경우도 있는가? – Value = f ( money ) = g ( time )
  • 27. 부분유료화와 게임내 경제 • 돈으로 시간을 구매하는 경우 – 유료정액제(P2P) 게임 • Eve-online의 PLEX, TERA의 Chronoscroll • 현금으로 플레이 사용권한을 구매하여 게임내에서 재판매 가능 – 부분유료화(F2P) 게임 • 거래 가능한 캐시 아이템 – 현질(?)의 양성화가 가능: 작업장의 돈을 먹는 구조 • (before) 현금  불법 작업장  게임머니 • (after) 현금  게임사의 캐시아이템  게임머니 • 주의! 인플레이션을 유발 시키는 게임 아이템 판매는 신중해야 함 • 시간과 돈의 순환 구조 – 플레이어의 노력(시간)이 얼마만큼의 재화(골드)로 환산되는지 인지할 수 있어야 함 • 돈 많은 사람(직장인?)은 돈으로 가치를 구매 • 시간 많은 사람(학생?)은 시간으로 가치를 구매
  • 28. 인플레이션 • 약간의 인플레이션은 보통 존재 – 게임 콘텐츠를 소모함으로써 재화의 소멸이 됨 – 콘텐츠 업데이트 속도가 재화 축적 속도를 못 따라 가기 때문 • 재화의 생성 > 4차원 > 재화의 소멸 – 하수구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오토, 봇을 통한 재화 생성 속도의 증가 – 아이템 복사 또는 그에 준하는 버그 상황 • 증상 – 화폐 가치 하락으로 인한 신규 유저와 기존 유저간의 간극 커짐 • 현질 유도, 장비 면접, … – 현물이 화폐를 대체하기도 함 • 화폐 소지 제한 등의 이유가 더해진 경우
  • 29. 가상 경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 양극화 – 인플레이션  골드가치 하락  기존 유저보다 더 많은 골드가 있어야 기존 유저만큼의 수준이 될 수 있음  상위 콘텐츠 진입 장벽  장비 면접 • 통제와 독점 – 특정 세력의 콘텐츠 (사냥터) 제한  양극화 • 기대치 이하의 재화 공급으로 인한 디플레이션 • 사재기 – 잦은 밸런스 패치로 인해 특정 아이템의 가치에 대한 불확실성 • 더 비싸질지도 모른다는 우려 – 경제 규모가 작은 경우, 특정 세력이 공급을 인위적으로 제어
  • 31. 실습 • Transitive한 방법 실습 – 플레이어가 100초를 플레이 했을 때, 80Gold의 돈을 갖게 하고 싶다면, (플레이어 및 몬스터 레벨은 1이라고 가정) • MP / HP 디자인은 어떻게 할 것인지? • 기본 스킬 데미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 몬스터의 HP 및 공격 데미지는 어떻게 할 것인지? • HP 포션 가격은 어떻게 매길 것인지? • 힌트 – 정해야 할 것들을 찾기 • 몬스터 몇 마리 잡게 할 것인가? • 한 마리 잡는데 걸리는 시간과 이동(쉬는) 시간은 어떻게? • 기본 스킬 사용 주기와 데미지, 그리고 필요 MP는? • 몬스터 한 마리의 적정 HP는? • 플레이어의 MP 리젠
  • 32. Quiz & Discussion • Quiz – MP 리젠 값을 변경시키면? – 전투 밸런스와 경제 밸런스의 관계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다면? • 그룹 토론 주제 – 게임 내 재화가 많이 쌓여있는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 • 현실 세계에서는 어떻게 하는가? 게임과 비슷한가? • 유저들이 가상화폐를 많이 가지고 있는데 토해내게(?) 하고 싶다면?
  • 33. 끝 • Q&A • 강의 주제 안에서 알고 싶은 것은 게시판에 남겨주세요 • 차주 강의 내용은 플레이어에 대한 이해 • 과제 공지 – 토론 준비 해올 것 • 소요시간 가이드: 각 주제별 20분 가량 개별 준비 – 주제 • 게임의 긍정적/부정적 영향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 게임 몰입의 원인과 개선 방법은? • MMORPG 중독을 관리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상호 평가를 통한 보너스 점수 부여 예정
  • 34. 참고 자료 • The Art of Game Design, Jesse Schell • Game Architecture and Design, Andrew Rollings et al. • Game Balance Concepts – http://gamebalanceconcepts.wordpress.com/2010/07/07/level-1-intro-to-game-balance/ • 참고 링크 – http://www.gamasutra.com/view/news/181326/Richard_Garfields_strategies_for_game_bala ncing_.php – http://www.wowpedia.org/Category:Formulas_and_game_mechan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