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slideshow foi denunciado.
Seu SlideShare está sendo baixado. ×

세계 출판 시장 현황과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Carregando em…3
×

Confira estes a seguir

1 de 45 Anúncio

세계 출판 시장 현황과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Baixar para ler offline

2019년 10월에 작성한 자료입니다. 국내/외 출판 시장의 주요 현황과 출판 사업에서 지속 가능한 성공을 이루기 위한 성공 전략을 여러 사례를 통해 도출했습니다. 출판 생태계에 있는 여러 관계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2019년 10월에 작성한 자료입니다. 국내/외 출판 시장의 주요 현황과 출판 사업에서 지속 가능한 성공을 이루기 위한 성공 전략을 여러 사례를 통해 도출했습니다. 출판 생태계에 있는 여러 관계자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Anúncio
Anúncio

Mais Conteúdo rRelacionado

Diapositivos para si (20)

Semelhante a 세계 출판 시장 현황과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20)

Anúncio

Mais de 류 영호 (8)

Mais recentes (20)

Anúncio

세계 출판 시장 현황과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1. 1. 세계 출판 시장 현황과 지속 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2019. 10. 류영호 Ryu, Youngho
  2. 2. 목차 1. 세계 출판 시장의 주요 현황 2. 미디어 환경 변화와 출판의 확장 3. 출판 콘텐츠의 변화 추진 사례 4.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1. 세계 출판 시장의 주요 현황 2. 미디어 환경 변화와 출판의 확장 3. 출판 콘텐츠의 변화 추진 사례 4.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2
  3. 3. 1. 세계 출판 시장의 주요 현황 3
  4. 4. 세계 출판(종이책+전자책) 시장 규모는 2010년 1,170억 달러, 2018년 1,260억 달러(약 150조 원)로 매년 약 1~2% 증가 추세 4
  5. 5. 세계 전자책 시장은 2018년 총 118억 달러(약 14조원) 규모. 북미 시장에서 전자책의 시장 점유율은 20% 내외로 최근 감소 추세 5
  6. 6. 세계 출판 시장을 주도하는 7대 강국의 시장 점유율은 미국, 중국, 독일, 영국 순이며, 한국은 10위 내에 위치 6
  7. 7. [참고] 영미권을 중심으로 본 출판 사업자별 변화 • 출판사 ü BIG 5 출판 중심의 시장 판도 à 종이책 매출의 감소, 디지털 상품으로 대응,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진행 ü 소형 및 1인 출판사의 성장 à 셀프 퍼블리싱 플랫폼의 영향 • 서점 ü 오프라인 체인 서점 감소(반스앤노블 매각), 아마존 중심의 온라인 서점 급성장세 ü 독립서점(동네서점)의 부활 à지역 커뮤니티 충실, 큐레이션 강화 • 플랫폼 ü 구글과 애플 등 메이저 플랫폼 기업의 출판 콘텐츠 사업 진출 ü 북테크(book tech) 스타트업의 출판업계 진출 확대 : 왓패드, 인키트 등 7 • 출판사 ü BIG 5 출판 중심의 시장 판도 à 종이책 매출의 감소, 디지털 상품으로 대응,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진행 ü 소형 및 1인 출판사의 성장 à 셀프 퍼블리싱 플랫폼의 영향 • 서점 ü 오프라인 체인 서점 감소(반스앤노블 매각), 아마존 중심의 온라인 서점 급성장세 ü 독립서점(동네서점)의 부활 à지역 커뮤니티 충실, 큐레이션 강화 • 플랫폼 ü 구글과 애플 등 메이저 플랫폼 기업의 출판 콘텐츠 사업 진출 ü 북테크(book tech) 스타트업의 출판업계 진출 확대 : 왓패드, 인키트 등
  8. 8. [국내] 서적-신문-잡지 출판업과 인쇄업, 출판유통업을 포함한 2016년 출판산업 전체의 매출 규모는 약 20조 7,658억원으로 전년대비 1.2% 증가 8
  9. 9. [국내] 출판산업 중 일반 단행본에 해당하는 서적출판업의 매출액 은 16년 기준 약 1조 1,732억원으로 전년대비 2.9% 감소. 교과서 및 학습서적 출판업은 약 2조 8,244억원으로 전년대비 0.2% 증가 9
  10. 10. [국내] 도서출판 시장 규모의 추이를 보면, 06년~16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1.0%로 타 콘텐츠 산업에 비해 다소 정체된 양상 10
  11. 11. [국내] 17년 말, 국내 출판사 수는 57,153개이며, 지역별로는 서울 58.6%, 수도권 소재 출판사가 79.2%로 대다수 출판사가 밀집 11
  12. 12. [국내] 1종 이상의 신간도서를 발행한 출판사는 17년 기준으로 7,775개로 나타났으며, 진흥원 발행통계 기준 출판사 수를 문체부 에 신고된 출판사 수와 비교하면, 2017년 무실적 출판사 비율은 86.4% 12
  13. 13. [국내] 전국 서점수는 2,050개. 10년 전 대비 36.9% 감소. 100평 이상은 9.0% 증가. 대형서점은 증가한 반면, 지역토착 중소형 서점 은 감소 13
  14. 14. [국내] 출판 소매 매출 추이는 16년 기준 전년대비 증가. 유통 경로 별로 보면, 오프라인 매출은 16년 기준 전년대비 0.7% 감소, 온라 인 매출은 전년대비 16.5% 증가 14
  15. 15. [국내] 주요 대형서점의 전체 매출액 규모는 17년 8,202억원으로 16년 대비 1.9% 증가. 인터넷서점은 16년과 17년에 전년대비 16.5%, 10.5% 증가 15
  16. 16. [국내] 오락문화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 서적구입비의 지출은 2010 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 17년 월평균 12,157원. 오락문화비 항 목에서 서적 차지 구성비는 7.0% 16
  17. 17. [국내] 17년 기준, 도서 구매자가 선호하는 유통 경로별 비중은 대 형서점 > 인터넷서점 > 동네서점 순이며, 인터넷서점을 제외한 대 형서점과 동네서점은 15년 대비 감소한 것으로, 격차는 더욱 심화 17
  18. 18. [참고] 2019년 교보문고 상반기 베스트셀러 분석(요약) 키워드 ‘인문학의 귀환’ : 종합 100위 권 내 인문 19종으로 분야별 1위, Top 10에도 2권 진입 ○ 상반기 주요 트렌드 - 캡틴 노블: 여성 작가들의 눈부신 활약 - 늘어난 40대 독자… 올 상반기 구매 1위는 41세 1978년생 - 독서시장 불황에도 커지는 분야가 있다 ① 반짝 늘어난 어린이 독자, 동화도 시리즈가 인기 견인 ② 불황 속에도 교육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 학습서 시장 신장 ③ 구독경제 시대, 가성비 높은 eBook 분야 훈풍 - 다양한 뉴미디어 주목, 크리에이터셀러까지 대활약 ○ 데이터로 본 2019년 상반기 독서시장 - 인문 취업/수험서 분야 상승, 소설 여행 분야는 하락 - 여성 독자 비중 60.7%, 40대 독자 비중 32.9%... 40대 여성이 21.5% 가장 큰 비중 - 모바일, 주력 채널로 : 오프라인영업점 50.5%, 인터넷채널 21.7%, 모바일채널 27.8% ○ 2019년 상반기 베스트셀러 도서 분석 - 1위는 혜민 스님의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 - 100위 권 내 인문 분야 19종으로 약진, 에세이 18종, 소설 14종으로 뒤이어 - eBook분야 1위는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100위 중 22종이 인문 18 키워드 ‘인문학의 귀환’ : 종합 100위 권 내 인문 19종으로 분야별 1위, Top 10에도 2권 진입 ○ 상반기 주요 트렌드 - 캡틴 노블: 여성 작가들의 눈부신 활약 - 늘어난 40대 독자… 올 상반기 구매 1위는 41세 1978년생 - 독서시장 불황에도 커지는 분야가 있다 ① 반짝 늘어난 어린이 독자, 동화도 시리즈가 인기 견인 ② 불황 속에도 교육비 지출은 꾸준히 증가… 학습서 시장 신장 ③ 구독경제 시대, 가성비 높은 eBook 분야 훈풍 - 다양한 뉴미디어 주목, 크리에이터셀러까지 대활약 ○ 데이터로 본 2019년 상반기 독서시장 - 인문 취업/수험서 분야 상승, 소설 여행 분야는 하락 - 여성 독자 비중 60.7%, 40대 독자 비중 32.9%... 40대 여성이 21.5% 가장 큰 비중 - 모바일, 주력 채널로 : 오프라인영업점 50.5%, 인터넷채널 21.7%, 모바일채널 27.8% ○ 2019년 상반기 베스트셀러 도서 분석 - 1위는 혜민 스님의 <고요할수록 밝아지는 것들> - 100위 권 내 인문 분야 19종으로 약진, 에세이 18종, 소설 14종으로 뒤이어 - eBook분야 1위는 <철학은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 100위 중 22종이 인문
  19. 19. [참고] 2019년 교보문고 상반기 베스트셀러 분석(요약) (1) 분야별 - 인문, 취업/수험서 상승 2019년 상반기 판매권수와 판매액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지난해에 이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초중고학습뿐만 아니라 취업/수험서 분야까지 학습서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철학, 심리학 등이 관심을 받으며 인문 분야 또한 13.1%로 급격한 신장세를 보였고, 아동, 유아, 가정생활, 요리 분야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 소설, 여행 하락 소설 분야의 판매가 급격히 하락하여 -14.1%로 역신장했다. 여행 분야는 중심축인 여행 가이드북이 모바일앱과 SNS에 실시간 정보 경쟁에서 뒤쳐지며 매해 하락세를 면치 못 하고 있다. - 중고학습 분야 가장 많은 판매 비중 차지, 아동, 인문 점유율 확대 판매권수 기준으로 중고학습 분야가 11.1%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도서판매 점유율 차지했다. 아동 분야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인문은 지난해 주춤했다가 다시 7.7%로 회복 했다. (2) 성별/연령별 성별에 따른 도서 판매량을 살펴보면 여성 독자가 60.7%로 높은 구매력을 이어갔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 독자의 구매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가는 추세다. 자녀 학습서부터 문학, 실용, 전문서 등 다양한 도서 분야를 섭렵하는 연령대이기 때문에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40대 여성이 전체 도서 구매자의 21.5%를 차지함에 따라 출판계의 메인 타깃 독자층으로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19 (1) 분야별 - 인문, 취업/수험서 상승 2019년 상반기 판매권수와 판매액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지난해에 이어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다. 초중고학습뿐만 아니라 취업/수험서 분야까지 학습서는 큰 폭으로 상승했다. 철학, 심리학 등이 관심을 받으며 인문 분야 또한 13.1%로 급격한 신장세를 보였고, 아동, 유아, 가정생활, 요리 분야의 상승이 눈에 띄었다. - 소설, 여행 하락 소설 분야의 판매가 급격히 하락하여 -14.1%로 역신장했다. 여행 분야는 중심축인 여행 가이드북이 모바일앱과 SNS에 실시간 정보 경쟁에서 뒤쳐지며 매해 하락세를 면치 못 하고 있다. - 중고학습 분야 가장 많은 판매 비중 차지, 아동, 인문 점유율 확대 판매권수 기준으로 중고학습 분야가 11.1%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도서판매 점유율 차지했다. 아동 분야는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인문은 지난해 주춤했다가 다시 7.7%로 회복 했다. (2) 성별/연령별 성별에 따른 도서 판매량을 살펴보면 여성 독자가 60.7%로 높은 구매력을 이어갔다.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 독자의 구매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가는 추세다. 자녀 학습서부터 문학, 실용, 전문서 등 다양한 도서 분야를 섭렵하는 연령대이기 때문에 상승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40대 여성이 전체 도서 구매자의 21.5%를 차지함에 따라 출판계의 메인 타깃 독자층으로서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20. 20. [참고] 2019년 교보문고 상반기 베스트셀러 분석(요약) (3) 채널별 : 모바일, 주요 채널로 자리매김 오프라인과 인터넷 채널에 비해 모바일 채널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유통사들의 모바일 채널이 성장하고 있지만, 도서의 경우는 책을 보고 내용을 인지한 후 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교보문고의 경우 모바일을 통해 영업점에서 바로 구매를 할 수 있는 바로드림 서비스가 판매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모바일 채널은 전체 대비 27.8%의 점유율로 웹 구매를 월등히 넘어섰다. 모바일 채널의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올 상반기 바로드림 서비스 이용 채널별 점유율에서도 모바일 채널이 89.9%를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0 (3) 채널별 : 모바일, 주요 채널로 자리매김 오프라인과 인터넷 채널에 비해 모바일 채널이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유통사들의 모바일 채널이 성장하고 있지만, 도서의 경우는 책을 보고 내용을 인지한 후 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특징이 있다. 교보문고의 경우 모바일을 통해 영업점에서 바로 구매를 할 수 있는 바로드림 서비스가 판매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 모바일 채널은 전체 대비 27.8%의 점유율로 웹 구매를 월등히 넘어섰다. 모바일 채널의 이용이 활발해지면서 올 상반기 바로드림 서비스 이용 채널별 점유율에서도 모바일 채널이 89.9%를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21. 21. 2. 미디어 환경 변화와 출판의 확장 21
  22. 22. 뉴미디어는 각종 콘텐츠 제작과 유통 구조를 혁신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와 모바일 기반으로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공존 뉴미디어 환경 출판 콘텐츠 종이를 벗어난 출판 콘텐츠 이용의 일 상화 à 아날로그와 디지털이 연계된 출 판 기획과 제작, 유통 전반에 대대적인 변화 출판/신문/잡지 등 전통적인 페이퍼/올 드 미디어 à 스마트 모바일 기반의 개인 /뉴미디어 시대 로 이동 22
  23. 23. 종이책 중심의 전통적인 독자들도 보다 능동적으로 출판 콘텐츠 정보 입수, 구매 결정의 변수가 검색/입소문 등이 중심으로 변화 23
  24. 24. 초연결의 시대에 소비자가 특정 콘텐츠에 대해 소구력을 높일 수 있는 동력은 발견성(discoverability)과 편의성(convenience) 큐레이션(Curation) 빈지 뷰잉(Binge viewing) 24
  25. 25. [참고] 전자책.. 구입에서 넷플릭스형 무제한 월정액 시대로 단권 구입 대신 월정액 무제한 스트리밍 방식으로 소비 형태 변화 (subscription economy) 월 1만원이하 요금으로 원하는 전자책을 자유롭게 구독해 읽는 방식 킨들 언리미티드, 스크리브드( scribd), 리디셀렉트, 밀리의 서재, 교보문고 sam, 예스24 북클럽 등 25
  26. 26. 최근 출판 콘텐츠의 범위 확대는 웹소설과 웹툰이 주도하는 콘텐츠 시장의 급격한 성장과 IP 산업의 파급 효과가 원인 • 국내 웹툰과 웹소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스낵컬처(snack culture) 현상 주도 à 드라마/영화 등 영상화 및 캐릭터 사업을 위한 OSMU 기반 분야로 관심 집중 • 국내 웹소설 시장 규모는 2013년 100억원, 2014년 200억 원, 2015년 400억 원, 2016년 1천억 원으로 지속 성장 à 2017년 약 2천억 원 추정 • 국내 웹툰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약 2,590억 원, 예비 작가 15만명 이상 à 2017년 약 4,300억 원 추정 (1차 매출 기준, KT경영경제연구소 자료) • IP 사업 관련 각종 공모전과 스토리 창작 지원 프로그램 확대 : 한국콘텐츠진흥원, 민간 사업자들의 투자 • 출판사의 웹 콘텐츠 시장 진출 : 위즈덤하우스미디어그룹 <저스툰>, 민음사 <브릿G> 등 • 국내 웹툰과 웹소설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스낵컬처(snack culture) 현상 주도 à 드라마/영화 등 영상화 및 캐릭터 사업을 위한 OSMU 기반 분야로 관심 집중 • 국내 웹소설 시장 규모는 2013년 100억원, 2014년 200억 원, 2015년 400억 원, 2016년 1천억 원으로 지속 성장 à 2017년 약 2천억 원 추정 • 국내 웹툰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약 2,590억 원, 예비 작가 15만명 이상 à 2017년 약 4,300억 원 추정 (1차 매출 기준, KT경영경제연구소 자료) • IP 사업 관련 각종 공모전과 스토리 창작 지원 프로그램 확대 : 한국콘텐츠진흥원, 민간 사업자들의 투자 • 출판사의 웹 콘텐츠 시장 진출 : 위즈덤하우스미디어그룹 <저스툰>, 민음사 <브릿G> 등 26
  27. 27. [참고] 웹소설과 웹툰의 영상화 인기 카카오페이지 웹소설 à 드라마 네이버 웹툰 à 영화 해당 출판물과 극중에 언급된 도서의 판매량 급증 27
  28. 28. [참고] 출판 콘텐츠와 OSMU • 서사를 가진 문학 작품 또는 만화 등을 원천 콘텐츠로 활용 à 영화, 드라마, 뮤지컬, 연극 등으로 확장 •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인터넷 소설/만화가 원천 콘텐츠로 활용 • 스토리텔링 중심의 기반 à 원천 콘텐츠가 가진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담아낼 수 있으며, 다른 플랫폼에서의 활용에 있어 매우 중요함 • 출판 콘텐츠의 경우, 베스트셀러가 된 도서 선호 à 콘텐츠의 경쟁력 검증 • 후속 콘텐츠의 제작 측면에서 대중성 보장 • 서사를 가진 문학 작품 또는 만화 등을 원천 콘텐츠로 활용 à 영화, 드라마, 뮤지컬, 연극 등으로 확장 • 2000년대에 들어서는 인터넷 소설/만화가 원천 콘텐츠로 활용 • 스토리텔링 중심의 기반 à 원천 콘텐츠가 가진 이야기를 성공적으로 담아낼 수 있으며, 다른 플랫폼에서의 활용에 있어 매우 중요함 • 출판 콘텐츠의 경우, 베스트셀러가 된 도서 선호 à 콘텐츠의 경쟁력 검증 • 후속 콘텐츠의 제작 측면에서 대중성 보장 28
  29. 29. 해외 출판 콘텐츠 업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오디오북 (audio book)은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결되면서 멀티유즈형 독자 들에게 인기 • 아마존은 자사의 자회사 Audible을 통해 전체 미 국 오디오북 시장의 40% 이상 점유 • 스마트 스피커 시장의 확대에 따른 동반 성장 à 미 국 인구의 26%가 지난 12개월 동안 오디오북 이용 (B2C+B2B) • 미국 기준, 출판사는 79,000개 이상의 새로운 오 디오북 발행 (2016년 대비 29% 증가) • HarperCollins, Hachette, Simon & Schuster 및 Penguin Random House는 전자책 판매가 약 5 % 감소 했지만, 오디오북 판매 확대로 디지털 사업에 서 수익 개선 • 아마존은 자사의 자회사 Audible을 통해 전체 미 국 오디오북 시장의 40% 이상 점유 • 스마트 스피커 시장의 확대에 따른 동반 성장 à 미 국 인구의 26%가 지난 12개월 동안 오디오북 이용 (B2C+B2B) • 미국 기준, 출판사는 79,000개 이상의 새로운 오 디오북 발행 (2016년 대비 29% 증가) • HarperCollins, Hachette, Simon & Schuster 및 Penguin Random House는 전자책 판매가 약 5 % 감소 했지만, 오디오북 판매 확대로 디지털 사업에 서 수익 개선 29
  30. 30. 3. 출판 콘텐츠의 변화 추진 사례 30
  31. 31. 온/오프 하이브리드와 맞춤형 출판의 확장 종이책과 디지털 기술의접목 즉석에서 종이책 제작 • 대량의 오프셋 인쇄가 아닌 소량 주문도 즉석에서 제작 가능한 Espresso Book Machine(EBM) • 서점/도서관에서 운영 à 단행본 1권5분 제작 • AR(Augmented Reality) 기술을 종이책에 연계해서 새로운 방식의 출판 제작 활성화 à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독서 가능(교육 출 판중심) 31 https://www.youtube.com/watch?v=F2ieduC3wCI https://www.youtube.com/watch?v=WFondwsk9bQ
  32. 32. 출판 콘텐츠의 확장과 새로운 부가가치 사업 확대 스낵컬처의시대 출판의 OSMU • <마션>(앤디 위어), <미생>(윤태호) 등 웹소설과 웹툰을 통해 인기를 얻은 출판물이 영화와 드라마 제작을 통해 고부가가치창출 • 언제 어디서나 간편히 즐길 수 있는 스낵 처럼 이동시간 등 짧은 시간에도 쉽게 즐 길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소비트렌드 32
  33. 33. 참여와 공유의 시대를 반영한 신개념 출판 소셜 퍼블리싱플랫폼 독자 참여형 출판모델 • 독자의 인기 투표를 통해 해당 도서를 디지털화하 는 독자 참여형 프로젝트 • 최종 출간 결정 시 아마존에서 선인세 지급, 전자 책 출간 계약 진행. 투표 독자에겐 전자책 무료 제공 • 웹/모바일 기반으로 개인이 제한없이 자신만 의 콘텐츠를 등록하고 출판물로 제작/판매 가능한 플랫폼의 인기 • 카카오 브런치, 교보문고 퍼플 등 33
  34. 34. 4차 산업혁명시대, 정보통신기술(ICT)과 출판의 만남 북테크(Book tech) 시대 빅데이터(Big data)와 도서 정보 • 구글북스 라이브러리에 등록된 수천만권의 도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공 • 도서 데이터 아카이빙, 지식정보 서비스에 활용 à 빅데이터 기술 적용 • 책과 기술의 결합을 통해 새로운 출판 콘텐츠의 기획과 제작, 유통 생태계 구축 진행 • 기성 출판업계의 디지털 트랜스 포메이션과 함 께 역량있는 스타트업의 출판업계 진출 34
  35. 35. [참고] 4차 산업혁명과 출판 콘텐츠의 연결 인공지능이 쓰는 소설 구글의 <Talk to Books> 35 • <TED 2018>(2018.4.) 컨퍼런스에서 레이 커즈와일(구글 인공지능 분야 임원)이 공개 • 특정 주제에 대한 책과 그 내용이 담긴 문장을 찾아주는 인공지능(AI) 서비스 à 구글북스의 데이터 활용 à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36. 36. 디지털과 데이터를 통한 사전 독자 확보와 콘텐츠 제작 콜라보레이션(collaboration) 출판 인공지능(AI) 활용 출판 • 독자 참여형 원고 작성과 글을 읽는 독자의 연령대 와 성별, 직업 등 신상 정보, 독자가 매긴 별점, 수정 요구 사항 등의 피드백.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축 적 à 출간 여부 판단 à 37종 출간 중 24종이 아 마존 베스트셀러 • 최근 <왓패드>도 유사한 서비스 오픈 • 선(先) 디지털-후(後) 종이책 출간 모델은 디 지털 콘텐츠 플랫폼과 기성 출판사간의 협력 출판으로 높은 시너지 효과 • 퍼블리+유유출판사, 퍼블리+미래엔 등 36
  37. 37. 4. 지속가능한 출판 사업 전략 37
  38. 38.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의 확산 - 디지털과 소셜미디어와 친해져라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 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외부 생태계)의 파괴 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 로세스 • 출판사가 확보하고 있는 각종 콘텐츠를 가공하여, 발견성과 편의성을 높여야 구매력 상승 à 독자와 의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는 출판사의 미래 경쟁력 • 뉴욕공공도서관의 인스타노블(Insta Novels)은 책과 소셜미디어 융복합의 대표적인 사례로 등장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 기업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제품 및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해 디지털 역량 을 활용함으로써 고객 및 시장(외부 생태계)의 파괴 적인 변화에 적응하거나 이를 추진하는 지속적인 프 로세스 • 출판사가 확보하고 있는 각종 콘텐츠를 가공하여, 발견성과 편의성을 높여야 구매력 상승 à 독자와 의 인게이지먼트(engagement)는 출판사의 미래 경쟁력 • 뉴욕공공도서관의 인스타노블(Insta Novels)은 책과 소셜미디어 융복합의 대표적인 사례로 등장 38https://www.youtube.com/watch?v=NNtUmk-vAoI
  39. 39. [참고] 인플루언서(Influencer)의 추천 영향력 확대 39 • 북튜버(Booktuber)의 책 추천/서점 홍보/글쓰기 강좌 등 인기 • <겨울서점>, <책읽찌라>, <흥버튼> 등 • 1인 미디어와 SNS의 일상화로 지속 전망 • 저자/출판사/서점의 핵심 홍보 채널화 • 인플루언서 : 많은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유명인사 • 빌 게이츠는 블로그 <게이츠 노트>를 통해 책 추천 (여름 휴가 시즌, 올해의 책 등) • 단기간 판매량 급증. 저자/출판사의 호응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448&aid=0000266366
  40. 40. 새로운 저자와 크리에이터 발굴 및 육성 강화 - 저자 매니지먼트 시대를 준비하라 • 고독한 노동자 ‘김동식’의 천일야화 같은 이야기들 à 첫 소설집 3권은 4만부 판매. 드라마 제작 논의 중, 서울디지털포럼(SDF) 프로젝트 진행 • 특기를 갖고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을 출판 콘 텐츠 저자 또는 콜라보레이션 기획 출판으로 연결 사례 다수 진행 à 대도서관(유튜브의 신), 도티& 잠뜰(학습만화 캐릭터 활용) 등 • 작가이면서 방송 활동도 병행하는 멀티라이터와 SNS에서 인플루언서로 유명한 사람을 출판 콘텐 츠 저자/작가로 발굴하고 양성하는 시스템 개발 추진 • 고독한 노동자 ‘김동식’의 천일야화 같은 이야기들 à 첫 소설집 3권은 4만부 판매. 드라마 제작 논의 중, 서울디지털포럼(SDF) 프로젝트 진행 • 특기를 갖고있는 유튜브 크리에이터 등을 출판 콘 텐츠 저자 또는 콜라보레이션 기획 출판으로 연결 사례 다수 진행 à 대도서관(유튜브의 신), 도티& 잠뜰(학습만화 캐릭터 활용) 등 • 작가이면서 방송 활동도 병행하는 멀티라이터와 SNS에서 인플루언서로 유명한 사람을 출판 콘텐 츠 저자/작가로 발굴하고 양성하는 시스템 개발 추진 40
  41. 41. 한발 앞서는 콘텐츠 기획과 지속적인 실행력 - 협력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라 • 일본의 출판사 4곳과 매거진 제작사가 뜻을 모아서 만든 메타 플랫폼 à “세상을 사는 지혜"라는 태그 라인에 적합한 책을 출판사의 편집자가 스스로 선 택 à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발췌해서 인터넷에 기사 형태로 등록 • 발췌 내용에 따라 태그로 구분해서 카테고리 구성 à 각 책마다 도서 구입이 가능하도록 아마존/혼 토/기노쿠니아 서점과 링크 • 독자들이 쉽고 빠르게 출판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웹/모바일 사이트를 구축하고, 지속적 으로 이어가는 전략과 실행력이 지속가능한 성장 유도 • 일본의 출판사 4곳과 매거진 제작사가 뜻을 모아서 만든 메타 플랫폼 à “세상을 사는 지혜"라는 태그 라인에 적합한 책을 출판사의 편집자가 스스로 선 택 à 가장 유효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발췌해서 인터넷에 기사 형태로 등록 • 발췌 내용에 따라 태그로 구분해서 카테고리 구성 à 각 책마다 도서 구입이 가능하도록 아마존/혼 토/기노쿠니아 서점과 링크 • 독자들이 쉽고 빠르게 출판 정보와 콘텐츠를 이용 할 수 있는 웹/모바일 사이트를 구축하고, 지속적 으로 이어가는 전략과 실행력이 지속가능한 성장 유도 41
  42. 42. 독자와 만나는 마케팅 방식의 변화 - 사람들의 라이프스타일에 주목하라 • 이케아UK는 웸블리 매장에서 18년 7월 31일부터8월 5일까지 맨부커상 위원회와 공동 독서 이벤트 진행 • 영국에서 가장 훌륭한 픽션을 읽고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내방 고객들에게 제공 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 후 6시까지 1인당 1시간 짜리 슬롯 이용 가능. 자격은 18 세 이상으로, 사전 무료 신청 • Reading Rooms에는 13종의 맨부커상 선정 타이틀( 종이책) 비치 à 이용자는 한 권을 집에 가져갈 수 있 게 고객 혜택 제공 • 서점이 아닌 곳에서 새로운 독자를 만들고, 저자 간담회 등 각종 이벤트 개최 추진 à 공간과 접근 방식의 변화는 기억에 오래 남고, 입소문 시작 • 이케아UK는 웸블리 매장에서 18년 7월 31일부터8월 5일까지 맨부커상 위원회와 공동 독서 이벤트 진행 • 영국에서 가장 훌륭한 픽션을 읽고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내방 고객들에게 제공 à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 후 6시까지 1인당 1시간 짜리 슬롯 이용 가능. 자격은 18 세 이상으로, 사전 무료 신청 • Reading Rooms에는 13종의 맨부커상 선정 타이틀( 종이책) 비치 à 이용자는 한 권을 집에 가져갈 수 있 게 고객 혜택 제공 • 서점이 아닌 곳에서 새로운 독자를 만들고, 저자 간담회 등 각종 이벤트 개최 추진 à 공간과 접근 방식의 변화는 기억에 오래 남고, 입소문 시작 <IKEA Reading Rooms> 42
  43. 43. 소확행의 시대, 독립출판/독립서점의 확대 - 개인의 창작력과 취향을 저격하라 43 • 개인이나 소규모 그룹의 사람들이 모여 직접 독립출판 • 셀프 퍼블리싱 플랫폼의 확대, 종이책/전자책 제작 기술의 발전, 다양한 마케팅 채널 운영 가능 • 크라우드 펀딩(crowd funding) 활용 • 거대 자본과 분리된 자금으로 만든 서점 • 주인과 손님의 취향에 맞춘 차별화된 도서 진열 • 책과 함께 다양한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친밀한 거리에서 저자와의 만남 기회 제공 • 고정비 상승, 도서 공급 등 문제 해결 필요
  44. 44. 결언 • 국내/외 출판 콘텐츠 시장은 여전히 종이책과 오프라인 채널이 주류지만, 모바일과 개인이 주도하는 생태계로 이동하고 있음 • 출판은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후행적으로 반영하지만, 가장 밀도있는 내용과 구성으로 시대상과 트렌드를 분석하는 매체로 생명력을 지속할 것임 • 스마트 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출판의 위기를 말하기도 하지만,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출판 콘텐츠를 만드는 실험과 도전이 많아지고 있음 à 4차 산업혁명이 2020년대 출판의 변곡점으로 작용될 전망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균형점을 가장 잘 맞추는 콘텐츠 시장은 바로 출판(책)이며, 책을 뿌리에 둔 OSMU(One Source Multi Use)는 기대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 국내/외 출판 콘텐츠 시장은 여전히 종이책과 오프라인 채널이 주류지만, 모바일과 개인이 주도하는 생태계로 이동하고 있음 • 출판은 정치경제/사회문화를 후행적으로 반영하지만, 가장 밀도있는 내용과 구성으로 시대상과 트렌드를 분석하는 매체로 생명력을 지속할 것임 • 스마트 미디어 환경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출판의 위기를 말하기도 하지만, 미디어 환경에 최적화된 새로운 출판 콘텐츠를 만드는 실험과 도전이 많아지고 있음 à 4차 산업혁명이 2020년대 출판의 변곡점으로 작용될 전망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균형점을 가장 잘 맞추는 콘텐츠 시장은 바로 출판(책)이며, 책을 뿌리에 둔 OSMU(One Source Multi Use)는 기대 이상의 부가가치 창출 44
  45. 45. 류영호 (교보문고, 부장) bookerslab@gmail.com https://www.facebook.com/ryuyoungho75 https://twitter.com/pageraum M. 010-3827-7369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