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강연)1.콘텐츠판매일반론.pdf

Sam Lee
Sam LeeDirector em Chickenrice
K-콘텐츠 해외 진출과정
1. 콘텐츠판매 일반론
2023.09 이승용
★본 슬라이드는 slideshare.net/isamlee 에 업로드 됩니다
제주 콘텐츠코리아랩
1
학습 내용
교시 시간 테마 9.18(월)
1 1400-1530 이론수업
<콘텐츠 판매 일반론>
강사 소개
프로그램 소개
지식 재산권 관련
2 1530-1700 개별 발표 수업
<자신의 콘텐츠 / 프로그램 소개시간 >
참여자 소개 및 자사 콘텐츠 소개
3 1700-1800 시장 분석 미디어를 통해 보는 싱가폴 콘텐츠 시장
2
1-1.이론 수업
3
이 승용 (Sam Lee)
[경력]
현) 해피업 사업담당 이사
- 애니메이션 사업 전반 총괄
전) LF 파스텔세상 브랜드 사업 담당 이사
- Peter Jensen 브랜드 사업 총괄
전) 오콘 국내외 사업 본부장
- 뽀로로 극장판 및 의류 /카카오 프렌즈
/선물공룡디보/ 애니팡 사업
전) 아이시스컨텐츠 사업 본부장
- 헬로키티 및 산리오 캐릭터 사업 총괄
전)둘리나라 사업팀장
-아기공룡 둘리 애니 사업 총괄
[외부활동]
미디어 교육사/창업보육전문매니저/ 무역사 / 유통관리사
- 前)건국대 겸임교수
- 前) 캐릭터 백서 저자
- (콘텐츠분야) 한국콘텐츠진흥원 , 영화진흥위원회 , 전파진흥협회 서울산업진흥
원, 부산 정보산업 진흥원 등 기관의 콘텐츠 관련 멘토링, 심사위원 , 정책 입안,
강연중
- (창업/무역분야) 중기부 / 창진원/ 경기테크노파크/ 무역협회 중소기업 창업
관련 멘토/ 심사위원
4
강사소개
프로그램 소개
<타이틀> 해외 시장 K-콘텐츠 진출과정 –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 이번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것들>
교시 시간 테마 9.18(월) 19(화) 20(수) 21(목) 22(금)
1 1400-1530 이론수업
콘텐츠 산업
일반론
해외 전시 마
케팅/ 영상물
수출 방법
문화콘텐츠 계
약론
/라이선스 일
반
정부사업 지원
방법을 통한
전시지원
외국바이어와
의 미팅 시뮬
레이션
2 1530-1700 개별 발표 수업
자신의 콘텐츠
/ 프로그램 소
개시간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1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2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3
3 1700-1800 시장 분석 싱가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지아 베트남
5
해외 진출/ 콘텐츠 란?
-해외수출의 다양한 방법
(일반적)
① 간접수출 -> ② 직접 수출 -> ③
라이선스 -> ④ 판매법인 -> ⑤ 합작
투자 -> ⑥ 직접 투자 順
- 그 중에서도 우리는 직접 수출 및 라
이선스에 포커싱 해야 한다
-콘텐츠의 11개 장르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2년 시장 규모 분석 6
신규 사업자가 알아야할 마음가짐
1. 일하는 장소와 쉬는 장소는 분리한다 _ 뇌에게 알려주어 일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2. 루틴 한 업무는 시간을 정해서 한다.
ex) (출근) 지원사업체크 , 이메일 체크
(11시 ~ 2시) 지원사업 업무
(2시 ~ 5시) 사업 구상 및 자료 수집
(5시 ~ 7시) 디자인 작업
3. 저작권공부를 꼭 할 것
-저작권 , 저작인접권, 저작재산권 등
4. 계약은 신중하게 할 것. 꼭 주위에 물어볼 것. 두 번 물어볼 것
5.전문가들과 많은 얘기를 하고 얘기를 듣되, 다 믿지는 말 것
지식 재산권 분류 체계
8
산업재산권 존속 기간
9
정의
브랜드(영어: brand)
어떤 경제적인 생산자를 구별하는 지각된 이미지와 경험
의 집합이며 보다 좁게는 어떤 상품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상표, 표지이다. 숫자, 글자, 글자체, 간략화 된 이미지인 로
고, 색상, 구호를 포함한다.
라이선스(라이센스 x)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 재산권을 “빌려"
주는 행위
<우리 생활속의 라이선스 문제 >
(1) 캐릭터 이름 점포 및 상품
-둘리 슈퍼의 추억
(2) 초등 교사의 문제지에서의 뽀로로
10
IP 3법
IP
산업
저작권
법
공정거
래법
상표법
11
제1조(목적) 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
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상표를 보호함으로써 상표 사용자의 업무
상 신용 유지를 도모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사업자의 시장 지배적 지
위의 남용과 과도한 경제력의 집
중을 방지하고, 부당한 공동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
함으로써 창의적인 기업활동을
조성하고 소비자를 보호함과 아
울러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
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저작권 / 상표권
 저작권 / 상표권 비교
상표권등록 저작권 등록
등록대상 상표 저작물
등록 특허청 한국저작권위원회
요 건 식별력(특별 현저성)
문학 학술 예술의 범위내 창작성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
권리발생시점 등록 시점 창작 시점
보호기간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간
단, 10년씩 갱신 가능
저작자 사망 후 70년간
권리 생기는 시점 등록하는 날로부터 창작 시점부터
12
주요 등록 상표 카테고리
1. 상표권을 등록하면 독점권이 생긴다
2. 상표등록은 선착순 (ex. 티켓 몬스터 )
3. 상표 등록 단계
13
상표권 등록
상품 구분 지식재산권 검색
14
저작권 / 상표권
- 저작권은 무방식주의 : 등록하지 않아도 보호
- 저작물의 이름은 저작권법으로 보호 X , 상표로 보호 해야
- 상표등록이 필요한가 ? 상표등록 후 3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불사용
- 취소심판가능 => 상표로서 가치 효용이 있을 때 등록하자
- 내 저작물을 남이 상표등록 했다면 ?
무효 취소 사유는 아님 . 다만 저작권 침해금지 소송 , 상표 사용금지
소송을 통해 권리 확보
15
저작권 등록
www.cros.or.kr
• 등록절차 간단 – 혼자 등록 가능
• 등록기간 짧다 – 2주 소요
• 비용 저렴 – 1회 2-3만원
• 형식적 심사 – 효력이 상대적으로 약함
16
상표권 등록
• 등록절차 복잡- 전문가 도움 필수
• 등록기간 길다 -10개월 이상 소요
• 상표등록비용이 고비용
• 실체 심사 , 공증 심사를 통해 등록되므
로 공신력이 상대적으로 높음
17
해외 상표 등록 _마드리드
- 마드리드 국제 상표 등록이란
국제사무국 (WIPO)에 하나의 영문 출원서 만을 제출한 것으
로 해외 여러 국가에 동시에 출원한 것으로 보도록 하는 제
도
- 특허의 PCT와 유사한 시스템
- 단, 국제특허출원(PCT)는 국제출원을 하면 1차적으로 조약
가입국 전체에 출원한 것이 되고, 나중에 실제로 등록을 받
을 국가에 번역문을 내는 (국내서면) 절차를 밟아야 해당 국
가에 출원한 것으로 2차적으로 간주되는 것이라면, (번역문
안 낸 국가는 취하간주)
- 국제상표등록(마드리드)는 국제 출원 시에 어떤 국가에 출
원(등록)을 할 건지 지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8
생각할 점_저작권
베토벤 교향곡?
셰익스피어 소설?
뽀빠이 만화
백설공주
작가의 사망후 70년 경과로
저작권 소멸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베토벤의 교향곡은 저작인접권
내가 베토벤을 편곡하면 2차 저작권
- 1차 저작권을 침해함과 동시에 나의 권
리 발생
19
생각할 점 _상표권
자동차로 등록되어 있는 BMW 상표권 볼펜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BMW 상표
Q) 나는 BMW 볼펜을 만들수 있을까 ?
20
공정거래법
루이비통닭 사건 (2016) VS 푸라닭
루이비통닭은 안되고 , 푸라닭은 문제 없는 이유 ?
21
레고 VS 뱅크
22
생각할 점_A.I
(출처) 아주경제 22.11.21 23
라이선스의 형태에 따른 분류
구분 전통적인 라이선스 콜라보레이션
계약 기간 1 -2 년 계약 1-3 개월 짧은 계약 기간
대상 업체 중소기업 중심 주로 대기업
브랜드강도 자체 브랜드 력 약함 자체 브랜드 력 강함
브랜드 파워 상품에 제작사의 브랜드나 회사가 나타나
지 않는다
예) 카카오빵 , 뽀로로 가방
상품 하나에 제작사의 브랜드와 캐릭
터 브랜드가 각각 살아있다
예) 디즈니 x 볼빅
24
진화의 방향
전문가 시장 -> 일반인 시장으로 변화하면서 가장 필수 요소 => 플랫폼 !
이제까지 업계에서 하던 업무를 굳이 더 편하게 하기 위해 나온 방식 => 플랫폼 !!
사용하던 사람이 줄어들 수 있다면 -> 플랫폼 !!!
향후 라이선스 시장은 플랫폼이 주도 하는 시장이 될 것
(이제까지 안된 이유) 충분한 투자와 시간이 부족, 이미 두각을 나타내는 플랫폼과 모델이 있음
25
플랫폼들
젤리크루
라이선스 거래 플랫폼 위츠샵
https://www.witzshop.com/
26
1-2 . 개별발표 수업
- 자사의 콘텐츠를 소개해보자
- 자사 콘텐츠가 없다면, 회사소개를 하자
- 창업전이라면 창업한 이후 만들 회사와 콘텐츠를 마치 있는것처럼 상상하여 발표해 보자
- 준비 시간 20분 / 개별 발표 시간 5분
ex) 콘텐츠의 구성 /특징/ 차별점 / 유사한 타 콘텐츠
방송 플랫폼 / 스토리 / 주인공 / 제작의도
예상 매출액 등
27
1-3. 시장 분석
<싱가폴>
28
아세안 (ASEAN)개괄
- 전근대이전까지는 인구밀도가 낮았으나, 산업화이
후 급속한 인구증가
- 싱가폴, 태국은 인구 증가 감소세
- 미얀마, 베트남등은 인구증가율 2명대로 안정
- 캄보디아 필리핀은 2명 이상
- 빈부격차가 심각하다
- 화교들이 경제의 주역
29
동남아의 경제 규모
출처 : IMF 자료 출처 : IMF
30
싱가포르의 역사
- 동남아 같지 않은 동남아
- 미니국가 (서울크기정도)
- 민족은 대부분 중국계. 하지만 중국인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영
미권이라고 생각
- S’pore 혹은 SG 로 표기
- 싱가폴이 영국식민지 시절 말레이반도를 지배
- 59년 말레이 연방으로 독립 -> 65년 눈물을 흘리며 연방에서
독립
- 물이 없는 싱가폴
- 혐오 반대법을 통한 대통합 이룸
- 중국계 74% ( 총인구 545만)
- 영국계 백인도 존재
- 공식언어 : 영어 , 표준중국어, 말레이, 타밀어
- 영어가 실질적인 공용어
- 싱글리시 문제
31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싱가폴 콘텐츠 시장
싱가포르 게임 산업
2020년 기준 싱가포르는 세계 46위의 게임 시장으로 여타
동남아시아 국가에 비해서도 시장 규모는 작은편이지만 동
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게임사가 진출하면서 게임
생태계가 꾸준히 발전 중.
주요 싱가포르 기반 게임 회사로는 가레나, 레이저, 버츄오스,
시크릿랩 등이 있으며, 싱가포르 소재 글로벌 게임사로는
유비소프트, EA, 소니 인터렉티브 엔터테인먼트, 반다이 남
코, 라이엇 게임즈, 티미 스튜디오 등이 있음.
싱가포르 게임 소비자는 전체 인구 중 41.8%인 약 250만 명
수준으로 이용자 중 74.5%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편이며 중국계 모바일 게임 선호 현상이 큰 편.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내에서 국제적인 규모의 이스포츠 행사를 개최
하기에 최적의 장소로 꼽히면서 도타2의 글로벌 경기, 프리
파이어 월드 시리즈 등 다양한 이스포츠 행사를 주최하면서
이스포츠 허브로 발돋움 중
32
게임관련 회사들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인니센터 조사
33
방송의 구조
(Free TV)
(Pay TV)
- 종편 : 모든 콘텐츠를 편성가능한 종합
케이블 방송
- SO : Service Provider of Cable TV
- IPTV : 통신영역 . Mobile service company
- PP : Program Provider (Cable TV )
OTT VOD
(Over the Top)
Subscription VOD : 구독형
Transactional VOD : 편당 결제
Advertising VOD : 광고형
34
TV시장
싱가포르 내 TV 보급률은 96% 수준으로 대다수 가정이 보
유 중이며 공중파 TV 시장은 싱가포르 국영 방송사 미디어
콥이 6개 채널에서 4가지 공식 언어로 방영 중.
유료 TV는 독과점 통신사인 싱텔 TV와 스타허브 TV가 양
분하고 있으며 ‘KBS월드’, ‘tvN’, ‘tvN 무비’, ‘ONE’, ‘아리랑
TV’ 등을 통해 한국 콘텐츠를 방영 중.
OTT 시장은 2021년에만 54% 성장했으며 2년 연속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빠르게 성장 중. 주요 TV 사업자의
OTT 플랫폼으로는 미와치, 싱텔 TV 고, 캐스트, 스타허브
TV+가 있으며 해당 서비스들은 IPTV 기반의 VoD와 공중
파 무료 라이브 시청, 다양한 유료 채널 번들링과 협업 중
인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의 구독권을 함께 제공 중. 글
로벌 OTT 서비스 중에서는 넷플릭스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며 넷플릭스에서는 미디어콥 콘텐츠를 추가하면서 글
로벌 구독자들의 싱가포르 콘텐츠 시청 접근성이 높아짐.
구글 검색 순위에서 상위 6개 작품이 한국 드라마로 조사
되면서 한국 드라마에 관한 관심이 높은 편으로 한국 드라
마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35
싱가포르 OTT
- PwC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OTT 시장은 코로나19 여
파로 2021년에 54% 성장했으며 2년 동안 연속해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
- OTT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실내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많은
가정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기 시작하면서
2019년에 2억 3,600만 달러(약 3,256억 원) 규모였던
OTT 시장은 2022년 7억 300만 달러(9,701억 원)로 3
배 이상 성장
- 2022년 이후에도 OTT 시장의 성장세는 연평균
13.62%로 두 자릿수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이에 따
라 2026년까지 10억 달러(1조 3,800억 원)를 넘어설
전망
36
싱가포르 OTT
싱가포르의 공중파 TV 채널을 독점하고 있는 미디어콥과
유료 IPTV 사업 시장을 양분하는 싱텔TV와 스타허브 TV
에서도 모바일 시청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OTT
앱을 개발하여 배포함
세 사업자 모두 HBO Go 등 다양한 유료 채널 구독권을
패키지로 판매하고 있으며 싱텔, 스타허브의 경우 통신사
캐리어빌링으로 맺어진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여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구독권을 판매 중
특히 싱텔에서 출시한 캐스트 서비스의 경우 싱텔 모바
일 가입자 대상으로 온라인 뉴스 구독권,스트리밍(Viu,
HBO Go, TVB애니웨어+, 아이치이, 넷플릭스, 아마존 프
라임 등) 구독권,소프트웨어 구독권(마이크로소프트 365
등), 음원 스트리밍 구독권 (스포티파이, KK박스,
타이달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판매하면서 라이브TV,
VoD, 유료 채널, 모바일 구독권 구매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플랫폼을 운영 중
TV 채널 OTT의 공통점으로 세 플랫폼 모두 영어, 중국어,
타밀어, 말레이어, 한국어, 일본어, 등 언어별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다민족 국가인 싱가포르의
소비자들을 배려한 인터페이스가 특징
37
싱가포르 OTT
구독형 스트리밍 OTT 시장의 성장률은 2018년 30%, 2019년
29.1%, 2020년 37.3%, 2021년 30%로 4년 연속 30% 수준의 성
장을 거듭하면서 2017년 3,100만 달러(약 427억 원) 수준에서 3
배에 가까운 2022년 1억 달러(약 1,380억 원) 수준까지 성장하였
으며 2027년까지 두 배에 가까운 2억 달러(약 2,760억 원) 규모
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
구독형 스트리밍 OTT의 보급률은 2017년 13.7%(80만 명)에서
2022년 26.2%(160만 명) 수준으로 4명 중 1명이 사용 중이며,
2027년에는 39.5%로 5명 중 2명(240만 명)이 사용할 것으로 전
망
시장 성장은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미국계 글로벌 스트리밍 OTT 서비스가 주도하고 있으며 싱가
포르 국내의 구독형 OTT 서비스는 훅(HOOQ)이 2020년 서비스
를 중단하면서 해외 플랫폼이 시장 내 우위를 유지
금액별로는 HBO 고 서비스가 월간 13.98 싱가포르 달러(약
13,000원)로 가장 비싼 편이며 그 뒤를 이어 넷플릭스 12.98 싱
가포르 달러(약 12,000원), 디즈니+와 유튜브 프리미엄이 11.98
싱가포르 달러(약 11,000원) 등의 금액으로 제공 중이며, 무료 광
고 버전은 뷰(Viu)와 유튜브 프리미엄만 제공하며 대부분 자체
제작 독점 콘텐츠를 강점으로 유료 고객을 유치 중
38
한류동향
39
40
마켓 총평
- 싱가폴은 도시국가로, 자신들을 아시아의 일원이 아닌 유럽이나 오세아니아등의 백인 국가와 동
일시 하는 분위기가 있음
- 대부분이 중국인의 후손이나, 중국인이라고 묻는 것을 실례라고 생각함
- 중국어를 못하고 영어만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들이 많음
- 대학이 국내에 거의 없고, 아시아인 특유의 높은 교육열로 인해 일정한 수준이상의 사람들은 모
두 유학경력이 있음
- 타 아시아 국가보다 우월하다는 의식이 있음
- 청소부, 메이드등의 업무는 방글라데시, 인도등의 이전 영국식민지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 낮은 임
금으로 처리. 이들은 일정기간후 시민권 획득. 현재는 이렇게 시민권을 얻은 사람들이 늘어나서
사회 불안요소가 되어가는중
- 유색 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이 은근히 있으나, 한국인은 중국계로 인식
- 미주/ 유럽 회사들이 아시아 진출시 대부분 싱가폴에 아시아지역 HQ 를 두고 있음 (영어등 문제)
감사합니다
연락처 : vivasam@naver.com
41
1 de 41

Recomendados

231013.콘텐츠IP의확장전략과라이선싱_대구강연.pdf por
231013.콘텐츠IP의확장전략과라이선싱_대구강연.pdf231013.콘텐츠IP의확장전략과라이선싱_대구강연.pdf
231013.콘텐츠IP의확장전략과라이선싱_대구강연.pdfSam Lee
21 visualizações56 slides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por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Sam Lee
551 visualizações46 slides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20201208 por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20201208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20201208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스 실무 20201208 Sam Lee
364 visualizações43 slides
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 ( 한사대) por
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 ( 한사대) 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 ( 한사대)
애니메이션캐릭터산업 ( 한사대) Sam Lee
745 visualizações45 slides
(제주)콘텐츠유통성공사례및전략 211122 por
(제주)콘텐츠유통성공사례및전략 211122(제주)콘텐츠유통성공사례및전략 211122
(제주)콘텐츠유통성공사례및전략 211122Sam Lee
294 visualizações29 slides
캐릭터 해외 마케팅 강의 por
캐릭터 해외 마케팅 강의 캐릭터 해외 마케팅 강의
캐릭터 해외 마케팅 강의 Sam Lee
411 visualizações18 slides

Mais conteúdo relacionado

Similar a (제주강연)1.콘텐츠판매일반론.pdf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 por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Sam Lee
840 visualizações29 slides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por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Sam Lee
311 visualizações47 slides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 por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Sam Lee
47 visualizações88 slides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 por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Sam Lee
11 visualizações36 slides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 por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Sam Lee
1.1K visualizações41 slides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por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Sam Lee
694 visualizações35 slides

Similar a (제주강연)1.콘텐츠판매일반론.pdf(20)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 por Sam Lee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
방송콘텐츠의 국내 및 해외판매 전략(부콘협)
Sam Lee840 visualizações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por Sam Lee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예술가가 알아야할 비즈니스 기초 (수정본 )
Sam Lee311 visualizações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 por Sam Lee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
(부산)애니메이션콘텐츠의활용및해외마케팅_210728.pdf
Sam Lee47 visualizações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 por Sam Lee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
(제주강연)2.해외전시마케팅_1.pdf
Sam Lee11 visualizações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 por Sam Lee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
애니메이션 캐릭터 사업 기본 _메세강의용 191106
Sam Lee1.1K visualizações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por Sam Lee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오리지널 IP 장출과 라이선스 실무
Sam Lee694 visualizações
캐릭터 라이선스 기초 por Sam Lee
캐릭터 라이선스 기초 캐릭터 라이선스 기초
캐릭터 라이선스 기초
Sam Lee9.4K visualizações
MD가 알아야할 라이선스 기본지식 por Sam Lee
MD가 알아야할 라이선스 기본지식 MD가 알아야할 라이선스 기본지식
MD가 알아야할 라이선스 기본지식
Sam Lee3K visualizações
[비즈클래스 3기] 2주차 2강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싱 실무 | (주)오콘 판권사업팀 이승용 부장 por BIZ+
[비즈클래스 3기]  2주차 2강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싱 실무 |  (주)오콘 판권사업팀 이승용 부장[비즈클래스 3기]  2주차 2강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싱 실무 |  (주)오콘 판권사업팀 이승용 부장
[비즈클래스 3기] 2주차 2강 오리지널 IP 창출과 라이선싱 실무 | (주)오콘 판권사업팀 이승용 부장
BIZ+1.3K visualizações
중국온라인플랫폼탐방프로그램.pdf por ssuser2f0dc9
중국온라인플랫폼탐방프로그램.pdf중국온라인플랫폼탐방프로그램.pdf
중국온라인플랫폼탐방프로그램.pdf
ssuser2f0dc91K visualizações
라이선싱 실무 _ 코카강의 1711001 1_edited por Sam Lee
라이선싱 실무 _ 코카강의 1711001 1_edited라이선싱 실무 _ 코카강의 1711001 1_edited
라이선싱 실무 _ 코카강의 1711001 1_edited
Sam Lee544 visualizações
8조 아이코닉스 por Byung Ju Choi
8조 아이코닉스8조 아이코닉스
8조 아이코닉스
Byung Ju Choi2.9K visualizações
8조 아이코닉스 por Byung Ju Choi
8조 아이코닉스8조 아이코닉스
8조 아이코닉스
Byung Ju Choi1.4K visualizações
(제주강연)4.트레이드쇼사용법.pdf por Sam Lee
(제주강연)4.트레이드쇼사용법.pdf(제주강연)4.트레이드쇼사용법.pdf
(제주강연)4.트레이드쇼사용법.pdf
Sam Lee8 visualizações
8조 아이코닉스(최종) por ssagajibaby
8조 아이코닉스(최종)8조 아이코닉스(최종)
8조 아이코닉스(최종)
ssagajibaby4.1K visualizações
발표자료(권리 소멸 특허 활용 플랫폼) por 준배 안
발표자료(권리 소멸 특허 활용 플랫폼)발표자료(권리 소멸 특허 활용 플랫폼)
발표자료(권리 소멸 특허 활용 플랫폼)
준배 안242 visualizações
애니메이션·캐릭터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현황 및 발전방향.pdf por Sam Lee
애니메이션·캐릭터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현황 및 발전방향.pdf애니메이션·캐릭터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현황 및 발전방향.pdf
애니메이션·캐릭터 업계의 메타버스 활용현황 및 발전방향.pdf
Sam Lee461 visualizações
[Company b] 스타트업 해외진출 실전 및 마케팅 전략 shawn_2017.10.29_v1.1 por JEONG HAN Eom
[Company b] 스타트업 해외진출 실전 및 마케팅 전략 shawn_2017.10.29_v1.1[Company b] 스타트업 해외진출 실전 및 마케팅 전략 shawn_2017.10.29_v1.1
[Company b] 스타트업 해외진출 실전 및 마케팅 전략 shawn_2017.10.29_v1.1
JEONG HAN Eom451 visualizações
(에리카강의자료)브랜드 사업으로 풀어보는 지식재산권의 세계 por Sam Lee
(에리카강의자료)브랜드 사업으로 풀어보는 지식재산권의 세계 (에리카강의자료)브랜드 사업으로 풀어보는 지식재산권의 세계
(에리카강의자료)브랜드 사업으로 풀어보는 지식재산권의 세계
Sam Lee51 visualizações
8조 아이코닉스(2012.04.25) por ssagajibaby
8조 아이코닉스(2012.04.25)8조 아이코닉스(2012.04.25)
8조 아이코닉스(2012.04.25)
ssagajibaby3.4K visualizações

Mais de Sam Lee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 por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Sam Lee
23 visualizações18 slides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 por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Sam Lee
25 visualizações23 slides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por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Sam Lee
37 visualizações14 slides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 por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Sam Lee
32 visualizações33 slides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por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Sam Lee
191 visualizações22 slides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por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Sam Lee
259 visualizações23 slides

Mais de Sam Lee(12)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 por Sam Lee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
(제주강연)5.외국바이어들과의 미팅 시뮬레이션.pdf
Sam Lee23 visualizações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 por Sam Lee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
(충북콘)2023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230731.pdf
Sam Lee25 visualizações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por Sam Lee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라이선싱을 통한 굿즈의 활성화 전략
Sam Lee37 visualizações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 por Sam Lee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
정부지원사업지원방법_전주진흥원_221006.pdf
Sam Lee32 visualizações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por Sam Lee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제로부터 시작하는 창업 이야기
Sam Lee191 visualizações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por Sam Lee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21년 문화콘텐츠 지원사업 지원방법
Sam Lee259 visualizações
넷플릭스 서비스내의 애니메이션의 장르 분석을 통한 넷플릭스 향 애니메이션 구성 도출 por Sam Lee
넷플릭스 서비스내의 애니메이션의 장르 분석을 통한 넷플릭스 향 애니메이션 구성 도출넷플릭스 서비스내의 애니메이션의 장르 분석을 통한 넷플릭스 향 애니메이션 구성 도출
넷플릭스 서비스내의 애니메이션의 장르 분석을 통한 넷플릭스 향 애니메이션 구성 도출
Sam Lee476 visualizações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 por Sam Lee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
한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현황
Sam Lee466 visualizações
한국내 라이선스 일반 조건 por Sam Lee
한국내 라이선스 일반 조건 한국내 라이선스 일반 조건
한국내 라이선스 일반 조건
Sam Lee1.8K visualizações
브랜드 비즈니스의 최신동향 _한양사이버대 por Sam Lee
브랜드 비즈니스의 최신동향 _한양사이버대 브랜드 비즈니스의 최신동향 _한양사이버대
브랜드 비즈니스의 최신동향 _한양사이버대
Sam Lee502 visualizações
Peter Jensen brand info_181015_eng por Sam Lee
Peter Jensen  brand info_181015_engPeter Jensen  brand info_181015_eng
Peter Jensen brand info_181015_eng
Sam Lee300 visualizações
kocca 강의 _ 수정본 _ 라이선스 실무 por Sam Lee
kocca 강의 _ 수정본 _ 라이선스 실무 kocca 강의 _ 수정본 _ 라이선스 실무
kocca 강의 _ 수정본 _ 라이선스 실무
Sam Lee390 visualizações

(제주강연)1.콘텐츠판매일반론.pdf

  • 1. K-콘텐츠 해외 진출과정 1. 콘텐츠판매 일반론 2023.09 이승용 ★본 슬라이드는 slideshare.net/isamlee 에 업로드 됩니다 제주 콘텐츠코리아랩 1
  • 2. 학습 내용 교시 시간 테마 9.18(월) 1 1400-1530 이론수업 <콘텐츠 판매 일반론> 강사 소개 프로그램 소개 지식 재산권 관련 2 1530-1700 개별 발표 수업 <자신의 콘텐츠 / 프로그램 소개시간 > 참여자 소개 및 자사 콘텐츠 소개 3 1700-1800 시장 분석 미디어를 통해 보는 싱가폴 콘텐츠 시장 2
  • 4. 이 승용 (Sam Lee) [경력] 현) 해피업 사업담당 이사 - 애니메이션 사업 전반 총괄 전) LF 파스텔세상 브랜드 사업 담당 이사 - Peter Jensen 브랜드 사업 총괄 전) 오콘 국내외 사업 본부장 - 뽀로로 극장판 및 의류 /카카오 프렌즈 /선물공룡디보/ 애니팡 사업 전) 아이시스컨텐츠 사업 본부장 - 헬로키티 및 산리오 캐릭터 사업 총괄 전)둘리나라 사업팀장 -아기공룡 둘리 애니 사업 총괄 [외부활동] 미디어 교육사/창업보육전문매니저/ 무역사 / 유통관리사 - 前)건국대 겸임교수 - 前) 캐릭터 백서 저자 - (콘텐츠분야) 한국콘텐츠진흥원 , 영화진흥위원회 , 전파진흥협회 서울산업진흥 원, 부산 정보산업 진흥원 등 기관의 콘텐츠 관련 멘토링, 심사위원 , 정책 입안, 강연중 - (창업/무역분야) 중기부 / 창진원/ 경기테크노파크/ 무역협회 중소기업 창업 관련 멘토/ 심사위원 4 강사소개
  • 5. 프로그램 소개 <타이틀> 해외 시장 K-콘텐츠 진출과정 – 동남아 시장을 중심으로 < 이번 프로그램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것들> 교시 시간 테마 9.18(월) 19(화) 20(수) 21(목) 22(금) 1 1400-1530 이론수업 콘텐츠 산업 일반론 해외 전시 마 케팅/ 영상물 수출 방법 문화콘텐츠 계 약론 /라이선스 일 반 정부사업 지원 방법을 통한 전시지원 외국바이어와 의 미팅 시뮬 레이션 2 1530-1700 개별 발표 수업 자신의 콘텐츠 / 프로그램 소 개시간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1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2 자신이 잘알고 있는 콘텐츠 소개 3 3 1700-1800 시장 분석 싱가폴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지아 베트남 5
  • 6. 해외 진출/ 콘텐츠 란? -해외수출의 다양한 방법 (일반적) ① 간접수출 -> ② 직접 수출 -> ③ 라이선스 -> ④ 판매법인 -> ⑤ 합작 투자 -> ⑥ 직접 투자 順 - 그 중에서도 우리는 직접 수출 및 라 이선스에 포커싱 해야 한다 -콘텐츠의 11개 장르 출처 : 한국콘텐츠진흥원 ,22년 시장 규모 분석 6
  • 7. 신규 사업자가 알아야할 마음가짐 1. 일하는 장소와 쉬는 장소는 분리한다 _ 뇌에게 알려주어 일에 집중할 수 있게 한다 2. 루틴 한 업무는 시간을 정해서 한다. ex) (출근) 지원사업체크 , 이메일 체크 (11시 ~ 2시) 지원사업 업무 (2시 ~ 5시) 사업 구상 및 자료 수집 (5시 ~ 7시) 디자인 작업 3. 저작권공부를 꼭 할 것 -저작권 , 저작인접권, 저작재산권 등 4. 계약은 신중하게 할 것. 꼭 주위에 물어볼 것. 두 번 물어볼 것 5.전문가들과 많은 얘기를 하고 얘기를 듣되, 다 믿지는 말 것
  • 10. 정의 브랜드(영어: brand) 어떤 경제적인 생산자를 구별하는 지각된 이미지와 경험 의 집합이며 보다 좁게는 어떤 상품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상표, 표지이다. 숫자, 글자, 글자체, 간략화 된 이미지인 로 고, 색상, 구호를 포함한다. 라이선스(라이센스 x) 내가 가지고 있는 지식 재산권을 “빌려" 주는 행위 <우리 생활속의 라이선스 문제 > (1) 캐릭터 이름 점포 및 상품 -둘리 슈퍼의 추억 (2) 초등 교사의 문제지에서의 뽀로로 10
  • 11. IP 3법 IP 산업 저작권 법 공정거 래법 상표법 11 제1조(목적) 이 법은 저작자의 권리와 이에 인접 하는 권리를 보호하고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산업의 향상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상표를 보호함으로써 상표 사용자의 업무 상 신용 유지를 도모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하고 수요자의 이익을 보호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 법은 사업자의 시장 지배적 지 위의 남용과 과도한 경제력의 집 중을 방지하고, 부당한 공동행위 및 불공정거래행위를 규제하여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 함으로써 창의적인 기업활동을 조성하고 소비자를 보호함과 아 울러 국민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 을 도모함을 목적으로 한다.
  • 12. 저작권 / 상표권  저작권 / 상표권 비교 상표권등록 저작권 등록 등록대상 상표 저작물 등록 특허청 한국저작권위원회 요 건 식별력(특별 현저성) 문학 학술 예술의 범위내 창작성 사상이나 감정의 표현 권리발생시점 등록 시점 창작 시점 보호기간 설정 등록이 있는 날부터 10년간 단, 10년씩 갱신 가능 저작자 사망 후 70년간 권리 생기는 시점 등록하는 날로부터 창작 시점부터 12
  • 13. 주요 등록 상표 카테고리 1. 상표권을 등록하면 독점권이 생긴다 2. 상표등록은 선착순 (ex. 티켓 몬스터 ) 3. 상표 등록 단계 13
  • 14. 상표권 등록 상품 구분 지식재산권 검색 14
  • 15. 저작권 / 상표권 - 저작권은 무방식주의 : 등록하지 않아도 보호 - 저작물의 이름은 저작권법으로 보호 X , 상표로 보호 해야 - 상표등록이 필요한가 ? 상표등록 후 3년간 사용하지 않으면 불사용 - 취소심판가능 => 상표로서 가치 효용이 있을 때 등록하자 - 내 저작물을 남이 상표등록 했다면 ? 무효 취소 사유는 아님 . 다만 저작권 침해금지 소송 , 상표 사용금지 소송을 통해 권리 확보 15
  • 16. 저작권 등록 www.cros.or.kr • 등록절차 간단 – 혼자 등록 가능 • 등록기간 짧다 – 2주 소요 • 비용 저렴 – 1회 2-3만원 • 형식적 심사 – 효력이 상대적으로 약함 16
  • 17. 상표권 등록 • 등록절차 복잡- 전문가 도움 필수 • 등록기간 길다 -10개월 이상 소요 • 상표등록비용이 고비용 • 실체 심사 , 공증 심사를 통해 등록되므 로 공신력이 상대적으로 높음 17
  • 18. 해외 상표 등록 _마드리드 - 마드리드 국제 상표 등록이란 국제사무국 (WIPO)에 하나의 영문 출원서 만을 제출한 것으 로 해외 여러 국가에 동시에 출원한 것으로 보도록 하는 제 도 - 특허의 PCT와 유사한 시스템 - 단, 국제특허출원(PCT)는 국제출원을 하면 1차적으로 조약 가입국 전체에 출원한 것이 되고, 나중에 실제로 등록을 받 을 국가에 번역문을 내는 (국내서면) 절차를 밟아야 해당 국 가에 출원한 것으로 2차적으로 간주되는 것이라면, (번역문 안 낸 국가는 취하간주) - 국제상표등록(마드리드)는 국제 출원 시에 어떤 국가에 출 원(등록)을 할 건지 지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8
  • 19. 생각할 점_저작권 베토벤 교향곡? 셰익스피어 소설? 뽀빠이 만화 백설공주 작가의 사망후 70년 경과로 저작권 소멸 비엔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연주한 베토벤의 교향곡은 저작인접권 내가 베토벤을 편곡하면 2차 저작권 - 1차 저작권을 침해함과 동시에 나의 권 리 발생 19
  • 20. 생각할 점 _상표권 자동차로 등록되어 있는 BMW 상표권 볼펜에는 등록되어 있지 않은 BMW 상표 Q) 나는 BMW 볼펜을 만들수 있을까 ? 20
  • 21. 공정거래법 루이비통닭 사건 (2016) VS 푸라닭 루이비통닭은 안되고 , 푸라닭은 문제 없는 이유 ? 21
  • 24. 라이선스의 형태에 따른 분류 구분 전통적인 라이선스 콜라보레이션 계약 기간 1 -2 년 계약 1-3 개월 짧은 계약 기간 대상 업체 중소기업 중심 주로 대기업 브랜드강도 자체 브랜드 력 약함 자체 브랜드 력 강함 브랜드 파워 상품에 제작사의 브랜드나 회사가 나타나 지 않는다 예) 카카오빵 , 뽀로로 가방 상품 하나에 제작사의 브랜드와 캐릭 터 브랜드가 각각 살아있다 예) 디즈니 x 볼빅 24
  • 25. 진화의 방향 전문가 시장 -> 일반인 시장으로 변화하면서 가장 필수 요소 => 플랫폼 ! 이제까지 업계에서 하던 업무를 굳이 더 편하게 하기 위해 나온 방식 => 플랫폼 !! 사용하던 사람이 줄어들 수 있다면 -> 플랫폼 !!! 향후 라이선스 시장은 플랫폼이 주도 하는 시장이 될 것 (이제까지 안된 이유) 충분한 투자와 시간이 부족, 이미 두각을 나타내는 플랫폼과 모델이 있음 25
  • 26. 플랫폼들 젤리크루 라이선스 거래 플랫폼 위츠샵 https://www.witzshop.com/ 26
  • 27. 1-2 . 개별발표 수업 - 자사의 콘텐츠를 소개해보자 - 자사 콘텐츠가 없다면, 회사소개를 하자 - 창업전이라면 창업한 이후 만들 회사와 콘텐츠를 마치 있는것처럼 상상하여 발표해 보자 - 준비 시간 20분 / 개별 발표 시간 5분 ex) 콘텐츠의 구성 /특징/ 차별점 / 유사한 타 콘텐츠 방송 플랫폼 / 스토리 / 주인공 / 제작의도 예상 매출액 등 27
  • 29. 아세안 (ASEAN)개괄 - 전근대이전까지는 인구밀도가 낮았으나, 산업화이 후 급속한 인구증가 - 싱가폴, 태국은 인구 증가 감소세 - 미얀마, 베트남등은 인구증가율 2명대로 안정 - 캄보디아 필리핀은 2명 이상 - 빈부격차가 심각하다 - 화교들이 경제의 주역 29
  • 30. 동남아의 경제 규모 출처 : IMF 자료 출처 : IMF 30
  • 31. 싱가포르의 역사 - 동남아 같지 않은 동남아 - 미니국가 (서울크기정도) - 민족은 대부분 중국계. 하지만 중국인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영 미권이라고 생각 - S’pore 혹은 SG 로 표기 - 싱가폴이 영국식민지 시절 말레이반도를 지배 - 59년 말레이 연방으로 독립 -> 65년 눈물을 흘리며 연방에서 독립 - 물이 없는 싱가폴 - 혐오 반대법을 통한 대통합 이룸 - 중국계 74% ( 총인구 545만) - 영국계 백인도 존재 - 공식언어 : 영어 , 표준중국어, 말레이, 타밀어 - 영어가 실질적인 공용어 - 싱글리시 문제 31
  • 32. (출처) 한국콘텐츠진흥원 싱가폴 콘텐츠 시장 싱가포르 게임 산업 2020년 기준 싱가포르는 세계 46위의 게임 시장으로 여타 동남아시아 국가에 비해서도 시장 규모는 작은편이지만 동 남아시아 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게임사가 진출하면서 게임 생태계가 꾸준히 발전 중. 주요 싱가포르 기반 게임 회사로는 가레나, 레이저, 버츄오스, 시크릿랩 등이 있으며, 싱가포르 소재 글로벌 게임사로는 유비소프트, EA, 소니 인터렉티브 엔터테인먼트, 반다이 남 코, 라이엇 게임즈, 티미 스튜디오 등이 있음. 싱가포르 게임 소비자는 전체 인구 중 41.8%인 약 250만 명 수준으로 이용자 중 74.5%가 스마트폰으로 게임을 즐기는 편이며 중국계 모바일 게임 선호 현상이 큰 편. 싱가포르는 동남아시아 내에서 국제적인 규모의 이스포츠 행사를 개최 하기에 최적의 장소로 꼽히면서 도타2의 글로벌 경기, 프리 파이어 월드 시리즈 등 다양한 이스포츠 행사를 주최하면서 이스포츠 허브로 발돋움 중 32
  • 34. 방송의 구조 (Free TV) (Pay TV) - 종편 : 모든 콘텐츠를 편성가능한 종합 케이블 방송 - SO : Service Provider of Cable TV - IPTV : 통신영역 . Mobile service company - PP : Program Provider (Cable TV ) OTT VOD (Over the Top) Subscription VOD : 구독형 Transactional VOD : 편당 결제 Advertising VOD : 광고형 34
  • 35. TV시장 싱가포르 내 TV 보급률은 96% 수준으로 대다수 가정이 보 유 중이며 공중파 TV 시장은 싱가포르 국영 방송사 미디어 콥이 6개 채널에서 4가지 공식 언어로 방영 중. 유료 TV는 독과점 통신사인 싱텔 TV와 스타허브 TV가 양 분하고 있으며 ‘KBS월드’, ‘tvN’, ‘tvN 무비’, ‘ONE’, ‘아리랑 TV’ 등을 통해 한국 콘텐츠를 방영 중. OTT 시장은 2021년에만 54% 성장했으며 2년 연속 높은 성장세를 유지하며 빠르게 성장 중. 주요 TV 사업자의 OTT 플랫폼으로는 미와치, 싱텔 TV 고, 캐스트, 스타허브 TV+가 있으며 해당 서비스들은 IPTV 기반의 VoD와 공중 파 무료 라이브 시청, 다양한 유료 채널 번들링과 협업 중 인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의 구독권을 함께 제공 중. 글 로벌 OTT 서비스 중에서는 넷플릭스에 대한 선호가 높은 편이며 넷플릭스에서는 미디어콥 콘텐츠를 추가하면서 글 로벌 구독자들의 싱가포르 콘텐츠 시청 접근성이 높아짐. 구글 검색 순위에서 상위 6개 작품이 한국 드라마로 조사 되면서 한국 드라마에 관한 관심이 높은 편으로 한국 드라 마 선호 현상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 35
  • 36. 싱가포르 OTT - PwC에 따르면, 싱가포르의 OTT 시장은 코로나19 여 파로 2021년에 54% 성장했으며 2년 동안 연속해서 높은 성장세를 유지 - OTT 시장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외출이 제한되면서 실내 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으며 많은 가정에서 스트리밍 서비스를 구독하기 시작하면서 2019년에 2억 3,600만 달러(약 3,256억 원) 규모였던 OTT 시장은 2022년 7억 300만 달러(9,701억 원)로 3 배 이상 성장 - 2022년 이후에도 OTT 시장의 성장세는 연평균 13.62%로 두 자릿수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며이에 따 라 2026년까지 10억 달러(1조 3,800억 원)를 넘어설 전망 36
  • 37. 싱가포르 OTT 싱가포르의 공중파 TV 채널을 독점하고 있는 미디어콥과 유료 IPTV 사업 시장을 양분하는 싱텔TV와 스타허브 TV 에서도 모바일 시청에 대한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OTT 앱을 개발하여 배포함 세 사업자 모두 HBO Go 등 다양한 유료 채널 구독권을 패키지로 판매하고 있으며 싱텔, 스타허브의 경우 통신사 캐리어빌링으로 맺어진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활용하 여 다양한 스트리밍 서비스의 구독권을 판매 중 특히 싱텔에서 출시한 캐스트 서비스의 경우 싱텔 모바 일 가입자 대상으로 온라인 뉴스 구독권,스트리밍(Viu, HBO Go, TVB애니웨어+, 아이치이, 넷플릭스, 아마존 프 라임 등) 구독권,소프트웨어 구독권(마이크로소프트 365 등), 음원 스트리밍 구독권 (스포티파이, KK박스, 타이달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판매하면서 라이브TV, VoD, 유료 채널, 모바일 구독권 구매를 한 번에 관리할 수 있는 올인원(All-in-One) 플랫폼을 운영 중 TV 채널 OTT의 공통점으로 세 플랫폼 모두 영어, 중국어, 타밀어, 말레이어, 한국어, 일본어, 등 언어별로 콘텐츠를 검색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다민족 국가인 싱가포르의 소비자들을 배려한 인터페이스가 특징 37
  • 38. 싱가포르 OTT 구독형 스트리밍 OTT 시장의 성장률은 2018년 30%, 2019년 29.1%, 2020년 37.3%, 2021년 30%로 4년 연속 30% 수준의 성 장을 거듭하면서 2017년 3,100만 달러(약 427억 원) 수준에서 3 배에 가까운 2022년 1억 달러(약 1,380억 원) 수준까지 성장하였 으며 2027년까지 두 배에 가까운 2억 달러(약 2,760억 원) 규모 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 구독형 스트리밍 OTT의 보급률은 2017년 13.7%(80만 명)에서 2022년 26.2%(160만 명) 수준으로 4명 중 1명이 사용 중이며, 2027년에는 39.5%로 5명 중 2명(240만 명)이 사용할 것으로 전 망 시장 성장은 넷플릭스, 디즈니+, 애플TV,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등 미국계 글로벌 스트리밍 OTT 서비스가 주도하고 있으며 싱가 포르 국내의 구독형 OTT 서비스는 훅(HOOQ)이 2020년 서비스 를 중단하면서 해외 플랫폼이 시장 내 우위를 유지 금액별로는 HBO 고 서비스가 월간 13.98 싱가포르 달러(약 13,000원)로 가장 비싼 편이며 그 뒤를 이어 넷플릭스 12.98 싱 가포르 달러(약 12,000원), 디즈니+와 유튜브 프리미엄이 11.98 싱가포르 달러(약 11,000원) 등의 금액으로 제공 중이며, 무료 광 고 버전은 뷰(Viu)와 유튜브 프리미엄만 제공하며 대부분 자체 제작 독점 콘텐츠를 강점으로 유료 고객을 유치 중 38
  • 40. 40 마켓 총평 - 싱가폴은 도시국가로, 자신들을 아시아의 일원이 아닌 유럽이나 오세아니아등의 백인 국가와 동 일시 하는 분위기가 있음 - 대부분이 중국인의 후손이나, 중국인이라고 묻는 것을 실례라고 생각함 - 중국어를 못하고 영어만으로 의사소통을 하는 사람들이 많음 - 대학이 국내에 거의 없고, 아시아인 특유의 높은 교육열로 인해 일정한 수준이상의 사람들은 모 두 유학경력이 있음 - 타 아시아 국가보다 우월하다는 의식이 있음 - 청소부, 메이드등의 업무는 방글라데시, 인도등의 이전 영국식민지 국가에서 온 사람들이 낮은 임 금으로 처리. 이들은 일정기간후 시민권 획득. 현재는 이렇게 시민권을 얻은 사람들이 늘어나서 사회 불안요소가 되어가는중 - 유색 인종에 대한 인종차별이 은근히 있으나, 한국인은 중국계로 인식 - 미주/ 유럽 회사들이 아시아 진출시 대부분 싱가폴에 아시아지역 HQ 를 두고 있음 (영어등 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