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17
Download to read offline
- 55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12, Vol. 14, No. 3, pp 55-71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장 문 정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센터 )
박 지 선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원 박사과정)
황 은 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
이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치료 대상 및 중재 방법을 알아보고
자 한 것이다. 총 100명을 대상으로 주력하고 있는 임상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중재
목적과 방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사들의 연령, 근무지 형태, 세
션형태는 주력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은 주로 자
폐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재창조 악기연주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하
고 있었다.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자긍심 향상, 즐거움이나 스트레스 등 정서
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중재를 하고 있으며 주로 재창조악기연주나 노래부르기 등을 하고
있었다. 주로 사용하는 음악은 대중음악이었다. 마지막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회고나 기억 향상을 위해 창조적 악기연주를 적용하며 대부분 대중
가요 중에서 트로트 음악을 적용하고 있었다.
주제어: 음악치료 임상대상, 중재방법
1990년대 후반 국내에 음악치료가 소개된 이후 17여년이 지났다. 그동안 한국의
음악치료는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석사학위과정이 개설되었고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음악치료사가 병원, 특수학교 등에서 활동을 하면서 한국의 음악치료는
학문적으로, 임상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국내 음악치료 실태를 조사한 이정윤(2000)의 연구에 의하면 2000년에는 전국의
7대 광역시와 경기도 지역의 관련 기관 980개를 조사한 결과 단 22개(2%)만이 음악치
료사를 고용하고 있었으며 단 600명 정도의 클라이언트만이 음악치료를 받고 있었다.
또한 대상도 자폐, 정신지체, 발달장애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후 김영신
(2007)은 1999년 처음으로 학위과정을 마친 음악치료사를 배출한 이후 숙명여자대학
교 335명, 이화여자대학교 111명, 명지대학교 71명 등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이 중
* 교신저자: heymt@naver.com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56 -
315명(60.9%)이 음악치료 연구소, 학교, 복지관 등에서 전임 또는 파트타임 음악치료
사로 활동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음악치료는 더욱 발전하여 장애 아동 뿐 만
아니라 일반인, 청소년 등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황은영, 박소연, 2012).
이 같은 사실은 음악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군의 확장 뿐 만 아니라 음악치료 역시
다양한 목적 영역에 맞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음악치료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개념은 근거를 중시하는 근거중심임상
(Evidence-Based Practice: EBP)이며 이는 AMTA가 밝힌 음악치료의 정의에도 제시
되고 있다(AMTA, 2005). 이것은 건강을 촉진하기 위해 어떤 음악치료 중재가 적절한
가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치료의 타당성을 위한 연구자료,
임상적인 관찰, 환자의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Abrams,
2010). 의료적인 영역에서 시작된 이 개념은 단지 여러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뿐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치료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클라이
언트의 선호, 가치, 상황, 특성에 대한 모든 것을 또한 포함한다(Silverman, 2010). 치료
의 효과에 대한 입증뿐만 아니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아는 것 역시 근거중심임상의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라는 메커니즘
하에서 음악치료가 클라이언트의 치료목적 달성에 얼마나 효과적이며, 치료 결과를
위해 어떤 치료방법을 적용하는가에 대한 음악치료 중재의 영향을 아는 것은 임상에
서의 책임감과 영역의 통합에 있어서 매우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Kaplan,
2005).
음악치료 역시 클라이언트를 중시하기 때문에 치료 중재는 대상에 따라 목적과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한 결과에도 차이를 가져온다(황은영, 2008).
자폐아동의 임상중재를 알아본 Kaplan(2005)에 의하면 개별치료 형태가 가장 많았고
목적은 언어/의사소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Jackson(2003)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 2가지 이상의 중재방법을 사용하고 행동적 목
적을 위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국내의 경우 오선화, 김희경, 그리고 고은진(2008) 연구
에 의하면 ADHD 아동의 경우 행동치료적인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많이 적용하
는 방법은 구조화된 활동과 비 구조화된 즉흥연주였다.
근거중심임상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치료사들에게 치료에 대한 임상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대상별로 중재방법과 세션형태 등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
사를 대상으로 주력대상별 세션의 형태, 치료목적, 중재방법 등을 비교함으로써 이후
임상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국내 음악치료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57 -
1) 음악치료의 중재 목적과 방법은 어떠한가?
1-1) 치료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주력 대상영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2) 음악치료 중재 목적, 방법은 주력 대상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사)한국음악치료학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임상에서 일
하고 있는 전문음악치료사였다. 회원주소록을 통해 총 65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 2차 설문응답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메일 주소가 잘못된 150명을 제외한 400부 중 120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완성되지 못한 20부를 제외한 총 1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과정
이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였다. 먼저 2012년 6월 사)한국음악치료학회 주
최 임상페어에 참가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50부의 설문이 회수되었다. 결과의 일반화와 신뢰도를
위해 2차로 추가 표본 수집을 하였다. 2차 표본 수집은 전자메일과 전화 등을 통해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50부가 수집되었다.
측정도구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각 대상영역별로 음악치료 중재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별히 대상에 따라 치료 목적과 중재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대상별로 설문을 고안하였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2008)과 DSM-Ⅳ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목적은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최병철, 2006)에 따라 분류하였다. 중재방법은 Bruscia(1998/2003)에서 제시한 음
악적 경험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성인과 노인의 경우 DSM-Ⅳ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목적은
Choi(1997)에서 제시한 음악치료 목적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설문 작성
이후 박사과정 2인을 통해 그 설문 내용에 대한 일치도를 100% 만족할 때까지 계속적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58 -
으로 수정하였다. 구체적인 문항 정보는 <표 1>과 같다.
범주 세부 문항
기본정보
(개인변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근무지(기관․지역), 근무형태, 경력,
대상연령, 세션형태
임상대상 대상장애(혹은 증상)
세션형식
및 방법
치료철학, 치료목적, 효과적인 중재방법
중재방법에 사용된 음악장르
<표 1> 각 문항별 범주와 세부 문항
분석방법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사용하여 각 응답자의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
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임상대상에 따라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임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 대상, 치료목적,
효과적인 중재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설문에 응답한 치료사는 총 100명이며 이들의 분포는 남 4명(4.0%), 여 96명
(96.0%)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치료사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30대가 55명(5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0대가 29명(29.0%)으로 많았다. 20대는 14명(14.0%)이며 50
대 이상은 2명(2.0%)이었다. 학력은 석사학위를 가진 치료사가 85명(8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박사(9명, 9.0%), 대학부설 전문가 과정(4명, 4.0%), 기타 교육기
관(2명, 2.0%)에서 자격을 인정받았다. 근무경력은 평균 51.2개월(SD 41.4)로 약 4년
3개월 정도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앙값은 36개월이었다(표 2참조).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59 -
주력대상 0∼7세 8∼13세 14∼19세 20∼60세 60세 이상 total
연령
20대 5 3 2 2 2 14
30대 14 28 8 3 2 55
40대 4 5 4 12 4 29
50대 이상 0 0 0 0 2 2
임상경력평균
(개월)/중앙값(SD)
42.7/30
(34.1)
50.5/50
(35.1)
39.7/25
(41.6)
71.3/63
(48.1)
52.1/21.5
(55.1)
근무
형태
full 14 11 9 8 6 48
part 9 25 5 9 4 52
total 23
(23.0%)
36
(36.0%)
14
(14.0%)
17
(17.0%)
10
(10.0%)
100
<표 2> 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근무형태로는 파트타임이 52명(52.0%), 전일제 근무자 48명(48.0%)이었으며 근무
지 형태는 복지관이 34명(34.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학교 19명(19.0%), 개인치
료실 18명(18.0%) 순이었다(그림 1참조). 근무지는 서울이 75명(75.0%)이며 경기가 23
명(23.0%)로 전체 98%가 서울,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0
5
10
15
20
25
30
35
40
복지관 학교 병원 개인치료실 생활시설
* 생활시설은 요양원 등 포함
<그림 1> 근무지 기관별 분포도
치료사들이 주력으로 하는 치료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대상연령
이 8~13세가 36명(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0~7세가 23명(23.0%), 20~
60세 17명(17.0%), 14~19세는 14명(14.0%), 마지막으로 노인은 10명(10.0%)이었다.
치료사들의 연령에 따라 주력하는 임상 대상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0 -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44.680, p=0.0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는 8~13세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가 많았는데 20대의 경우는 0∼7세 아동을 대상으
로, 40대의 경우는 20~60세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가 많았다.
세션형태도 0~7세의 경우는 주로 개별세션을 주로 하고 있었으며 14~19세의 경
우는 그룹세션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근무형태도 주력하는 임상대상에 따라 차이
가 있었는데 0~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복지관, 개인치료실 순으로, 14~19
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학교와 개인치료실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8~13세
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복지관과 학교에서 많이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주력대상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표 3참조).
주력대상*
연령
주력대상*
학력
주력대상*
근무형태
주력대상*
근무지
주력대상*
세션형태
주력대상*
치료철학
χ2 44.680 21.604 35.537 10.426 27.436 34.363
p 값 0.000** 0.156 0.049* 0.960 0.007** 0.078
*p< .05, **p< .01
<표 3> 치료사의 일반적 특징과 주력대상 영역과의 교차분석 결과
2. 주력대상별 음악치료 음악중재 조사
1) 0~7세 아동 대상
0세부터 7세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23명(23.0%)이었다. 이들
은 평균 주 6회(SD: 6.8, Med: 2)의 세션을 하고 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20명, 20.0%).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자폐
범주성장애가 12명(12.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지적장애가 10명
(10.0%), 3순위 응답에서는 정서행동 장애가 6명(6.0%)으로 가장 많았다(표 4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폐범주성장애
(12, 12.0%)
지적장애
(10, 10.0%)
정서행동장애
(6, 6.0%)
<표 4> 0~7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1 -
0~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이
12명(12.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7명(7.0%), 인본주의
라는 응답은 4명(4.0%)이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 ‘사회기술 향상’이 9명(9.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8명(8.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즉흥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순으로 응답
하였다(표 5참조).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사회성 향상
(9, 9.0%)
정서기술 향상
(8, 8.0%)
의사소통기술 향상
(7, 7.0%)
1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2 즉흥연주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3 재창조 악기연주 음악감상 즉흥연주
<표 5> 0~7세 아동을 위한 치료목적과 중재방법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동요나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이라는 응답이 9명
(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많았다.
또한 노래부르기 활동에서는 동요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표 6참조).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고전음악 동요/교과서
2 고전음악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고전음악
<표 6> 0~7세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별 음악장르
2) 8~13세 아동
8세부터 13세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36명(36.0%)이었다. 이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2 -
들은 평균 주 8.63회(SD: 10.1, Med: 3.5)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
이 26명(2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인 이하 그룹이 5명(5.0%), 5인 이상
그룹이 4명(4.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을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자폐
범주성장애가 13명(13.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지적장애가 10명
(10.0%), 3순위 응답에서는 건강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7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폐범주성장애
(13, 13.0%)
지적장애
(10, 10.0%)
건강장애
(7. 7.0%)
<표 7> 8~13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8~13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
한 사람이 19명(1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10명
(10.0%), 인본주의라는 응답은 3명(3.0%), 정신역동주의라는 응답은 2명(2.0%)이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10명(10.0%)으로 가장 많았
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사회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10명(10.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9명(9.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정서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즉흥연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8참조).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정서기술 향상
(10, 10.0%)
사회성 향상
(10, 10.0%)
의사소통기술 향상
(9, 9.0%)
1 즉흥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2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3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즉흥연주
<표 8> 8~13세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3 -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동요나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이라는 응답이 13명
(13.0%)로 가장 많았으며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12명(12.0%)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는 동요나 교과서의 음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표 9참
조).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2 고전음악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고전음악
<표 9> 8~13세 아동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3) 14~19세 청소년
14세부터 19세 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4명(14.0%)이었다.
이들은 평균 주 2.6회(SD: 3.2, Med: 1)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
이 8명(8.0%), 5인 이상 그룹이 6명(6.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지
적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가 5명
(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행동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0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지적장애
(7, 7.0%)
자폐범주성장애
(5, 5.0%)
행동장애
(7. 7.0%)
<표 10> 14~19세 청소년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
람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3명(3.0%), 인본주
의라는 응답은 2명(2.0%)이었으며 정신역동적이라는 응답도 1명(1.0%) 있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 ‘사회기술 향상’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4 -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사회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
연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11참조).
<표 11> 14~19세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사회기술 향상
(6, 6.0%)
정서기술 향상
(5, 5.0%)
의사소통기술 향상
(5, 5.0%)
1 재창조 악기연주 음악감상 재창조 악기연주
2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노래부르기
3 즉흥연주 기타* 동작
* 기타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6명(6.0%)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뉴에이지 음악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는 대중가요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2참조).
<표 12> 14~19세 청소년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고전음악 대중가요 교과서 기타*
2 뉴에이지 교과서 재즈 뉴에이지
3 재즈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교과서
* 기타는 동작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 포함
4) 20~60세 성인
20세부터 60세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7명(17.0%)이었다. 이
들은 평균 주 2.3회(SD: 3.2, Med: 1)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로는 개별세션
이 8명(8.0%), 5명이상 그룹 세션이 8명(8.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발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5 -
달장애가 4명(4.0%), 스트레스가 4명(4.0%)으로 가장 많았으며 3순위 응답에서는 게
임/알코올중독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표 13참조).
<표 13> 20~60세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발달장애
(4, 4.0%)
스트레스
(4, 4.0%)
게임/알코올중독
(5. 5.0%)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람이 5명(5.0%)
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정신역동주의, 인본주의라는 응답이 각각 4명(4.0%)으
로 많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자긍심 향상’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즐거움 제공’이라는 응답이 4명(4.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스
트레스 대처’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자긍심 향상을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연
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표 14참조).
<표 14> 20~60세 성인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긍심 향상
(6, 6.0)
즐거움 제공
(4, 4.0%)
스트레스 대처
(3, 3.0%)
1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2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음악감상
3 즉흥연주 기타* 기타*
* 기타는 다양한 활동 포함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6명(6.0%)로 가장 많았으며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6 -
대중가요중 발라드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는 대중음악 중 발라드를 부른다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5참조).
<표 15> 20~60세 성인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고전음악 대중가요/발라드 고전음악 대중가요/댄스
2 대중음악/발라드 대중가요/트로트 동요 동요
5) 60세 이상 노인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0명(10.0%)이었다. 이들은
평균 주 7.9회(SD: 5.2, Med: 9)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이 4명
(4.0%), 5인 이하 그룹, 5인 이상 그룹은 각각 3명(3.0%)이었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치매
가 9명(9.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뇌졸중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
으며, 3순위 응답에서는 기분장애/우울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표 16참조).
<표 16> 60세 이상의 노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치매
(9, 9.0%)
뇌졸중
(6, 6.0%)
기분장애/우울
(5. 5.0%)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람이
4명(4.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본주의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많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기억/회고’가 5명(5.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
서는 ‘집중력/주의력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
는 ‘긍정적 정서 증진/표현’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기억/회고를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연주
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긍정적 정서증진을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이
라고 응답하였다(표 17참조).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7 -
<표 17>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기억/회고
(5, 5.0%)
집중력/주의력
(5, 5.0%)
긍정적 정서 증진/표현
(7, 7.0%)
1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2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3 동작 - 동작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대중가요 중에서 트로트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모든 활동에서 대중가요를 활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표 18참조).
<표 18>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2 고전음악 - - 뉴에이지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임상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력하고 있는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고 각 대상에 따라 치료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 그리고 활동별로
어떤 음악을 사용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결
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주력대상에 차이가 있었다. 먼저 치료사들은
연령에 따라 주력대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한 30대의
치료사들(55명, 55%)은 주로 8~13세의 아동들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
았으며(28명, 51%), 0~7세의 아동들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14명, 25%).
40대의 치료사들(29명, 29%)은 20~60대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
으며(12명, 41%), 8~13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는 5명(17%)이었다. 통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8 -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20~60대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40대
치료사의 경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 대상에 따라 치료사의 자격
과 경력, 지식의 정도 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적인 접근을 실시하지만 경력을 쌓아가면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많
은 관심을 가지고 치료대상을 만나게 되는 경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는 경력과 임상
의 태도, 관심, 철학은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는 선행연구(Knight, 2008)와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하지만 국내 치료사의 경우 아직까지 대상에 따라 치료철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대부분의 치료사들이 자신의 철학을 확립하기보다는 절충
적인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거나 학과 과정 중에 경험한 접근법을 기초로 임상에 적용
하는 등 대상에 적절한 치료철학을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이 가장 많았으며(73명, 73%) 치료
목적은 주로 사회성, 정서, 의사소통 기술 향상이었고 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의 음악치료 임상영역이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는 있으나
음악치료에서 현재까지 특수아동이 주력대상임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대
상에게 시행되고 있는 중재의 형태는 적극적인 음악활동의 즉흥연주나 악기연주가
많았다. 이는 음악치료가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충분히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중재방
법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은 주로 자긍심 향상, 즐거움 제공, 그리
고 스트레스 대처를 치료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은 재창
조 악기연주와 노래부르기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음악장르는 대중가요와 고전
음악이 주를 이루었다.
넷째, 노인들의 경우 치료사들의 치료목적은 주로 기억 및 회고, 집중 및 주의력
향상, 긍정적 정서증진 및 표현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음악치료는 노인
들의 기억 및 회고를 위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정서적인 지원에도 음악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노인복지정책의 확장으로 각 시, 군,
구에 노인종합 복지관이 설립되고 노인들의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도 매우 활성화
되고 있다. 이미 질환을 가진 노인들 뿐 아니라 일반노인들의 여가, 정서적 지원을 위
해서도 음악치료 중재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치료사들의 평균 경력은 4년 이상으로 임상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가진 치료사들이므로 그 응답에 신뢰성을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결과를 일반
화하기 위해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므로 더 많은 표본수와 포괄적인 전문 치료사를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9 -
대상으로 조사를 한다면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임상의 치료목적과 중재방법 이상의 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치료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 그리고 활동에 적합한 음악장
르를 조사하였지만 기타 변인과 함께 치료사의 질적인 보고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더
욱 임상발전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치료사 한 명이 다양한 대상군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 설문에
서는 주력대상을 선택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주간 시수에 따라서 주력대상을 정
할 수도 있고, 시수는 적지만 치료철학에 적합한 대상을 선택할 수도 있는 변인을 포함
하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항목을 구체화하거나 중재대상의 선택에 대한 가이드라인
을 주어 보다 정확하면서도 세분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주력임상에 따른 치료목적과 중재방법을 조사하고 분석함으
로써 국내의 음악치료사들에게 국내임상의 현황을 제공하고 임상발전의 방향을 제시
하는데 그 시사점을 가진다. 국내에 음악치료학과가 개설된 이래 정규교육과정을 마친
음악치료사가 각 임상영역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일하고 있으며 어떤 방법을 사용
하고 있는가를 아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특히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교육경험, 관심에
따라서 그 임상영역을 선택하고 시행할 수 있겠지만 그와 더불어 각 영역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을 이해하고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본다는 측면에서 치료사들
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국내음악치료가 대상의 필요에 부합되는 의미
있는 치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음악치료가 적절한 중재임을
밝히는 근거중심임상(EBP)의 가치를 보여주는 것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70 -
참고문헌
김영신 (2007). 국내 음악치료 석사학위 졸업생의 취업현황. 음악치료사 자격에
대한 전국 대학원 심포지엄 토론회 발표자료, 숙명여자대학교.
오선화, 김희경, 고은진 (2008). ADHD 아동의 음악치료방법 및 음악치료사의 자
기효능감과 ADHD 인식도와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2), 57-82.
이정윤 (2000). 한국의 음악치료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최병철 (2006). 음악치료학 2판. 서울: 학지사.
황은영 (2008). 음악치료 실행자가 지각한 치료결과를 가져오는 음악치료 변인 연
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1), 19-34.
황은영, 박소연 (2012). 국내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 동향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지. 14(1), 1-19.
Abrams, B. (2010). Evidence-based music therapy practice: An integral
understanding. Journal of Music Therapy, 47(4), 351-379.
AMTA (2005). What is music therapy? http://www.musictherapy.org/about/musictherapy.
Bruscia, K. (2003). 음악치료. 최병철 역. 서울: 학지사.
Choi, B. C. (1997). Professional and patients attitudes about the relevance of
music therapy as a treatment modality in NAMT approved psychiatric
hospitals. Journal of Music Therapy, 34(4), 277-292.
Kaplan, R. S., & Steele, A. L. (2005). An analysis of music therapy program
goals and outcomes for clients with diagnoses on the autism spectrum.
Journal of Music Therapy, 42(1), 2-19.
Knight, A. J. (2008). Music therapy internship supervisors and pre-internship
stud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aires. Journal of Music
Therapy, 45(1), 75-92.
Jackson, N. A. (2003). 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s and their role in
the treatment of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Music Therapy, 40(4), 302-323.
Silverman, M. J. (2010). Integrating music therapy into the evidence-based
treatments for psychiatric consumers. Music Therapy Perspectives, 28(1),
4-10.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71 -
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s and Their Goals
According to Their Main Clients.
Jang, Moon-Jung
Park, Ji-Sun
Hwang, Eun-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rpose and the methods of
intervention for clients according to their ag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of
100 music therapists in Korea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ages of music
therapists and his or her working place, methods of interven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main clients. Second, child clients are intervened to improve their social
connection by re-creative playing. Third, adult clients are interven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or emotional aspect like pleasure or stress management by playing
re-creative playing or singing. Genre of music used is popular music. Last, creative
playing are used for elder clients to improve their memory and reminiscence and the
trot is mainly used.
key words: music therapy subject, method of intervention.
1차원고 접수일:2012년 9월 25일
수정원고 접수일:2012년 10월 29일
게재 확정일:2012년 11월 10일

More Related Content

Similar to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혜원 정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혜원 정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혜원 정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혜원 정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혜원 정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혜원 정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혜원 정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혜원 정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혜원 정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usong o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혜원 정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혜원 정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혜원 정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혜원 정
 

Similar to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20)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차지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정미라 최영경 2006 음악치료adhd유아 음악능력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2008 한국음악치료학회지 제 10권_2호(2008)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정미라 2006 음악치료 adhd유아 주의집중 자기통제력 효과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박소연황은영2006 음악치료 관련 최근_연구동향을_통한_우리나라_음악치료연구의_새로운_패러다임_조망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정현주 2008 주의집중력 증진 음악인지 프로그램 효과 연구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송현주 2007 학습장애 인지증진치료 활용고찰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2013 송윤희 학교폭력 감소 및_예방을_위한_음악_프로그램_개발_연구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김귀복2008 음악치료adhd유아 문제행동 사회적수용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2007 지민정 음악심리치료를 통한 자폐성향_아동의_사회성향상과_행동발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백란희 2009 adhd음악활동 조사연구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현대오일뱅크 게임컨셉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최정혜 2004 음악치료 adhd 충동성 및 효과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2007 김진애최애나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_및_사회성에_미치는_영향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_음악교육학_연구의_현황과_과제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2011 신미경 집단음악치료가 저소득층 아동의_사회성_향상에_미치는_영향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김배정 2009 adhd 핵심증상 음악치료
 

More from 혜원 정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혜원 정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혜원 정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혜원 정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혜원 정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혜원 정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혜원 정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혜원 정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혜원 정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혜원 정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혜원 정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혜원 정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혜원 정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혜원 정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혜원 정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혜원 정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혜원 정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혜원 정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혜원 정
 

More from 혜원 정 (20)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2 이수진 초등학생 내재화 문제행동 발달경로에 미치는 아동인성 및 양육효과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1 강현숙 아동 사회성발달미치는 음악선호도 및 음악경험변인조사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13이슬기 교사 음악교수효능감 유아 사회정서행동 영향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8 조정은 자폐아동 사회성발달 음악치료적 교수전략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09장혜원 음악활동 관찰 유아 사회성평가 측정도구개발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4 유연옥 유아의 연령별 인성교육_프로그램의_연구경향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2 장혜성 장애전담교사들의 관점에서 바라본_통합어린이집_발달지체유아의_음악활동_경험에_관한_질적연구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조형숙 음률stram교육 유아 문제해결력 창의적인성 정서지능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4 정서사회성향상프로그램 다문화아동의 자아존중 또래관계기술 정서행동문제 효과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2 장혜원 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의_사회적_관계를_유도하는_음악의_특성에_관한_··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0 손경원 초등학생들의 사회ㆍ정서적 능력_함양을_위한__인성교육_통합_프로그램의_효과_분석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박혜영 박부진 집단음악치료프로그램 초등 저아동 사회성 영향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3 윤관기 움직임 방과후학교음악프로그램 음악성췯 사회성, 자아존중감 향상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2 정현주 김수지 전국 초중등 학교_내_음악교육_활성화를_위한_음악프로그램_실태_조사_연구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윤희정 자아관련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음악치료효과 메타분석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4 박효정 학교폭력예방문화지표개발 타당화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류방란 학생변화를 통해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효과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13김미숙 학교교육 행복수준 지수 개발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09 손경원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_사회정서적_기술_교육프로그
 

2012 장문정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_목적과_중재방법_비교_연구

  • 1. - 55 - 한국음악치료학회지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12, Vol. 14, No. 3, pp 55-71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장 문 정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센터 ) 박 지 선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원 박사과정) 황 은 영*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 이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치료 대상 및 중재 방법을 알아보고 자 한 것이다. 총 100명을 대상으로 주력하고 있는 임상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중재 목적과 방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사들의 연령, 근무지 형태, 세 션형태는 주력대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은 주로 자 폐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성 향상을 목적으로 재창조 악기연주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적용하 고 있었다. 셋째,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자긍심 향상, 즐거움이나 스트레스 등 정서 적인 면에 초점을 맞춘 중재를 하고 있으며 주로 재창조악기연주나 노래부르기 등을 하고 있었다. 주로 사용하는 음악은 대중음악이었다. 마지막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치매 노인을 대상으로 회고나 기억 향상을 위해 창조적 악기연주를 적용하며 대부분 대중 가요 중에서 트로트 음악을 적용하고 있었다. 주제어: 음악치료 임상대상, 중재방법 1990년대 후반 국내에 음악치료가 소개된 이후 17여년이 지났다. 그동안 한국의 음악치료는 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석사학위과정이 개설되었고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음악치료사가 병원, 특수학교 등에서 활동을 하면서 한국의 음악치료는 학문적으로, 임상적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고 있다. 국내 음악치료 실태를 조사한 이정윤(2000)의 연구에 의하면 2000년에는 전국의 7대 광역시와 경기도 지역의 관련 기관 980개를 조사한 결과 단 22개(2%)만이 음악치 료사를 고용하고 있었으며 단 600명 정도의 클라이언트만이 음악치료를 받고 있었다. 또한 대상도 자폐, 정신지체, 발달장애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후 김영신 (2007)은 1999년 처음으로 학위과정을 마친 음악치료사를 배출한 이후 숙명여자대학 교 335명, 이화여자대학교 111명, 명지대학교 71명 등의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이 중 * 교신저자: heymt@naver.com
  • 2.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56 - 315명(60.9%)이 음악치료 연구소, 학교, 복지관 등에서 전임 또는 파트타임 음악치료 사로 활동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현재 음악치료는 더욱 발전하여 장애 아동 뿐 만 아니라 일반인, 청소년 등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황은영, 박소연, 2012). 이 같은 사실은 음악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군의 확장 뿐 만 아니라 음악치료 역시 다양한 목적 영역에 맞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음악치료에서 중요시 되고 있는 개념은 근거를 중시하는 근거중심임상 (Evidence-Based Practice: EBP)이며 이는 AMTA가 밝힌 음악치료의 정의에도 제시 되고 있다(AMTA, 2005). 이것은 건강을 촉진하기 위해 어떤 음악치료 중재가 적절한 가를 평가하기 위한 접근법으로 이해될 수 있는데 치료의 타당성을 위한 연구자료, 임상적인 관찰, 환자의 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는 모든 것을 말한다(Abrams, 2010). 의료적인 영역에서 시작된 이 개념은 단지 여러 연구를 통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는 것뿐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치료를 선택하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클라이 언트의 선호, 가치, 상황, 특성에 대한 모든 것을 또한 포함한다(Silverman, 2010). 치료 의 효과에 대한 입증뿐만 아니라 치료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들과의 관계를 아는 것 역시 근거중심임상의 기반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치료라는 메커니즘 하에서 음악치료가 클라이언트의 치료목적 달성에 얼마나 효과적이며, 치료 결과를 위해 어떤 치료방법을 적용하는가에 대한 음악치료 중재의 영향을 아는 것은 임상에 서의 책임감과 영역의 통합에 있어서 매우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Kaplan, 2005). 음악치료 역시 클라이언트를 중시하기 때문에 치료 중재는 대상에 따라 목적과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으며 또한 이로 인한 결과에도 차이를 가져온다(황은영, 2008). 자폐아동의 임상중재를 알아본 Kaplan(2005)에 의하면 개별치료 형태가 가장 많았고 목적은 언어/의사소통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Jackson(2003)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 2가지 이상의 중재방법을 사용하고 행동적 목 적을 위한 중재가 가장 많았다. 국내의 경우 오선화, 김희경, 그리고 고은진(2008) 연구 에 의하면 ADHD 아동의 경우 행동치료적인 목적이 가장 많았으며 가장 많이 적용하 는 방법은 구조화된 활동과 비 구조화된 즉흥연주였다. 근거중심임상이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치료사들에게 치료에 대한 임상 정보 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지만 국내에서는 대상별로 중재방법과 세션형태 등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활동 중인 음악치료 사를 대상으로 주력대상별 세션의 형태, 치료목적, 중재방법 등을 비교함으로써 이후 임상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국내 음악치료 발전을 도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3.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57 - 1) 음악치료의 중재 목적과 방법은 어떠한가? 1-1) 치료사의 개인 변인에 따라 주력 대상영역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1-2) 음악치료 중재 목적, 방법은 주력 대상영역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 이 연구의 대상은 사)한국음악치료학회원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현재 임상에서 일 하고 있는 전문음악치료사였다. 회원주소록을 통해 총 650명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 였으며 회수율을 높이기 위해 전화, 이메일 등을 통해 2차 설문응답을 요청하였다. 그 결과 메일 주소가 잘못된 150명을 제외한 400부 중 120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하거나 완성되지 못한 20부를 제외한 총 10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과정 이 연구는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였다. 먼저 2012년 6월 사)한국음악치료학회 주 최 임상페어에 참가한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조사에 대한 동의를 구한 후 설문조사 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50부의 설문이 회수되었다. 결과의 일반화와 신뢰도를 위해 2차로 추가 표본 수집을 하였다. 2차 표본 수집은 전자메일과 전화 등을 통해 9월 1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50부가 수집되었다. 측정도구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각 대상영역별로 음악치료 중재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특별히 대상에 따라 치료 목적과 중재 방법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대상별로 설문을 고안하였다. 아동과 청소년의 경우, 대상은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 육법’(2008)과 DSM-Ⅳ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목적은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최병철, 2006)에 따라 분류하였다. 중재방법은 Bruscia(1998/2003)에서 제시한 음 악적 경험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한편, 성인과 노인의 경우 DSM-Ⅳ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치료 목적은 Choi(1997)에서 제시한 음악치료 목적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설문 작성 이후 박사과정 2인을 통해 그 설문 내용에 대한 일치도를 100% 만족할 때까지 계속적
  • 4.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58 - 으로 수정하였다. 구체적인 문항 정보는 <표 1>과 같다. 범주 세부 문항 기본정보 (개인변인) 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근무지(기관․지역), 근무형태, 경력, 대상연령, 세션형태 임상대상 대상장애(혹은 증상) 세션형식 및 방법 치료철학, 치료목적, 효과적인 중재방법 중재방법에 사용된 음악장르 <표 1> 각 문항별 범주와 세부 문항 분석방법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은 SPSS 19.0을 사용하여 각 응답자의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 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임상대상에 따라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임상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주력하고 있는 대상, 치료목적, 효과적인 중재방법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일반적 특성 설문에 응답한 치료사는 총 100명이며 이들의 분포는 남 4명(4.0%), 여 96명 (96.0%)이었다. 설문에 응답한 치료사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30대가 55명(5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40대가 29명(29.0%)으로 많았다. 20대는 14명(14.0%)이며 50 대 이상은 2명(2.0%)이었다. 학력은 석사학위를 가진 치료사가 85명(85.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박사(9명, 9.0%), 대학부설 전문가 과정(4명, 4.0%), 기타 교육기 관(2명, 2.0%)에서 자격을 인정받았다. 근무경력은 평균 51.2개월(SD 41.4)로 약 4년 3개월 정도의 경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중앙값은 36개월이었다(표 2참조).
  • 5.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59 - 주력대상 0∼7세 8∼13세 14∼19세 20∼60세 60세 이상 total 연령 20대 5 3 2 2 2 14 30대 14 28 8 3 2 55 40대 4 5 4 12 4 29 50대 이상 0 0 0 0 2 2 임상경력평균 (개월)/중앙값(SD) 42.7/30 (34.1) 50.5/50 (35.1) 39.7/25 (41.6) 71.3/63 (48.1) 52.1/21.5 (55.1) 근무 형태 full 14 11 9 8 6 48 part 9 25 5 9 4 52 total 23 (23.0%) 36 (36.0%) 14 (14.0%) 17 (17.0%) 10 (10.0%) 100 <표 2> 치료사의 일반적 특성 근무형태로는 파트타임이 52명(52.0%), 전일제 근무자 48명(48.0%)이었으며 근무 지 형태는 복지관이 34명(34.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학교 19명(19.0%), 개인치 료실 18명(18.0%) 순이었다(그림 1참조). 근무지는 서울이 75명(75.0%)이며 경기가 23 명(23.0%)로 전체 98%가 서울, 경기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0 5 10 15 20 25 30 35 40 복지관 학교 병원 개인치료실 생활시설 * 생활시설은 요양원 등 포함 <그림 1> 근무지 기관별 분포도 치료사들이 주력으로 하는 치료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대상연령 이 8~13세가 36명(3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0~7세가 23명(23.0%), 20~ 60세 17명(17.0%), 14~19세는 14명(14.0%), 마지막으로 노인은 10명(10.0%)이었다. 치료사들의 연령에 따라 주력하는 임상 대상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
  • 6.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0 -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χ2=44.680, p=0.000).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30대의 경우 는 8~13세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가 많았는데 20대의 경우는 0∼7세 아동을 대상으 로, 40대의 경우는 20~60세를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가 많았다. 세션형태도 0~7세의 경우는 주로 개별세션을 주로 하고 있었으며 14~19세의 경 우는 그룹세션을 많이 하고 있었다. 또한 근무형태도 주력하는 임상대상에 따라 차이 가 있었는데 0~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복지관, 개인치료실 순으로, 14~19 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학교와 개인치료실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8~13세 의 학령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복지관과 학교에서 많이 근무하고 있었다. 그러나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주력대상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표 3참조). 주력대상* 연령 주력대상* 학력 주력대상* 근무형태 주력대상* 근무지 주력대상* 세션형태 주력대상* 치료철학 χ2 44.680 21.604 35.537 10.426 27.436 34.363 p 값 0.000** 0.156 0.049* 0.960 0.007** 0.078 *p< .05, **p< .01 <표 3> 치료사의 일반적 특징과 주력대상 영역과의 교차분석 결과 2. 주력대상별 음악치료 음악중재 조사 1) 0~7세 아동 대상 0세부터 7세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23명(23.0%)이었다. 이들 은 평균 주 6회(SD: 6.8, Med: 2)의 세션을 하고 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20명, 20.0%).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자폐 범주성장애가 12명(12.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지적장애가 10명 (10.0%), 3순위 응답에서는 정서행동 장애가 6명(6.0%)으로 가장 많았다(표 4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폐범주성장애 (12, 12.0%) 지적장애 (10, 10.0%) 정서행동장애 (6, 6.0%) <표 4> 0~7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 7.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1 - 0~7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이 12명(12.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7명(7.0%), 인본주의 라는 응답은 4명(4.0%)이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 ‘사회기술 향상’이 9명(9.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8명(8.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사회성 향상을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즉흥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순으로 응답 하였다(표 5참조).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사회성 향상 (9, 9.0%) 정서기술 향상 (8, 8.0%) 의사소통기술 향상 (7, 7.0%) 1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2 즉흥연주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3 재창조 악기연주 음악감상 즉흥연주 <표 5> 0~7세 아동을 위한 치료목적과 중재방법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동요나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이라는 응답이 9명 (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많았다. 또한 노래부르기 활동에서는 동요를 사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표 6참조).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고전음악 동요/교과서 2 고전음악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고전음악 <표 6> 0~7세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활동별 음악장르 2) 8~13세 아동 8세부터 13세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36명(36.0%)이었다. 이
  • 8.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2 - 들은 평균 주 8.63회(SD: 10.1, Med: 3.5)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 이 26명(2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5인 이하 그룹이 5명(5.0%), 5인 이상 그룹이 4명(4.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을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자폐 범주성장애가 13명(13.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지적장애가 10명 (10.0%), 3순위 응답에서는 건강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7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폐범주성장애 (13, 13.0%) 지적장애 (10, 10.0%) 건강장애 (7. 7.0%) <표 7> 8~13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8~13세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 한 사람이 19명(19.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10명 (10.0%), 인본주의라는 응답은 3명(3.0%), 정신역동주의라는 응답은 2명(2.0%)이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10명(10.0%)으로 가장 많았 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사회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10명(10.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9명(9.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정서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즉흥연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8참조).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정서기술 향상 (10, 10.0%) 사회성 향상 (10, 10.0%) 의사소통기술 향상 (9, 9.0%) 1 즉흥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2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3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즉흥연주 <표 8> 8~13세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 9.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3 -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동요나 교과서에 나오는 음악이라는 응답이 13명 (13.0%)로 가장 많았으며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12명(12.0%)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는 동요나 교과서의 음악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표 9참 조).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동요/교과서 2 고전음악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고전음악 <표 9> 8~13세 아동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3) 14~19세 청소년 14세부터 19세 까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4명(14.0%)이었다. 이들은 평균 주 2.6회(SD: 3.2, Med: 1)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 이 8명(8.0%), 5인 이상 그룹이 6명(6.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지 적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자폐범주성장애가 5명 (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행동장애가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0참조).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지적장애 (7, 7.0%) 자폐범주성장애 (5, 5.0%) 행동장애 (7. 7.0%) <표 10> 14~19세 청소년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 람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절충주의라는 응답이 3명(3.0%), 인본주 의라는 응답은 2명(2.0%)이었으며 정신역동적이라는 응답도 1명(1.0%) 있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 ‘사회기술 향상’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정서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 10.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4 - ‘의사소통기술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사회기술 향상을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 연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다음으로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순으로 응답하였다(표 11참조). <표 11> 14~19세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사회기술 향상 (6, 6.0%) 정서기술 향상 (5, 5.0%) 의사소통기술 향상 (5, 5.0%) 1 재창조 악기연주 음악감상 재창조 악기연주 2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노래부르기 3 즉흥연주 기타* 동작 * 기타는 다양한 활동을 포함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6명(6.0%)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뉴에이지 음악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는 대중가요라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2참조). <표 12> 14~19세 청소년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고전음악 대중가요 교과서 기타* 2 뉴에이지 교과서 재즈 뉴에이지 3 재즈 치료사 창작곡 치료사 창작곡 교과서 * 기타는 동작활동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 포함 4) 20~60세 성인 20세부터 60세까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7명(17.0%)이었다. 이 들은 평균 주 2.3회(SD: 3.2, Med: 1)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로는 개별세션 이 8명(8.0%), 5명이상 그룹 세션이 8명(8.0%)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발
  • 11.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5 - 달장애가 4명(4.0%), 스트레스가 4명(4.0%)으로 가장 많았으며 3순위 응답에서는 게 임/알코올중독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표 13참조). <표 13> 20~60세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발달장애 (4, 4.0%) 스트레스 (4, 4.0%) 게임/알코올중독 (5. 5.0%)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람이 5명(5.0%) 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정신역동주의, 인본주의라는 응답이 각각 4명(4.0%)으 로 많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자긍심 향상’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 에서는 ‘즐거움 제공’이라는 응답이 4명(4.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는 ‘스 트레스 대처’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자긍심 향상을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연 주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하였으며 스트레스 대처를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응답하였다(표 14참조). <표 14> 20~60세 성인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자긍심 향상 (6, 6.0) 즐거움 제공 (4, 4.0%) 스트레스 대처 (3, 3.0%) 1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2 노래부르기 즉흥연주 음악감상 3 즉흥연주 기타* 기타* * 기타는 다양한 활동 포함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고전음악이라는 응답이 6명(6.0%)로 가장 많았으며
  • 12.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6 - 대중가요중 발라드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다음으로 많았다. 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는 대중음악 중 발라드를 부른다는 응답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표 15참조). <표 15> 20~60세 성인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고전음악 대중가요/발라드 고전음악 대중가요/댄스 2 대중음악/발라드 대중가요/트로트 동요 동요 5) 60세 이상 노인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는 총 10명(10.0%)이었다. 이들은 평균 주 7.9회(SD: 5.2, Med: 9)의 세션을 하고 있었으며 세션형태는 개별세션이 4명 (4.0%), 5인 이하 그룹, 5인 이상 그룹은 각각 3명(3.0%)이었다. 이들이 치료하고 있는 대상으로 3순위까지 순위별로 응답한 결과 1순위에서는 치매 가 9명(9.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서는 뇌졸중이 6명(6.0%)으로 가장 많았 으며, 3순위 응답에서는 기분장애/우울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표 16참조). <표 16> 60세 이상의 노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음악치료사의 대상순위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치매 (9, 9.0%) 뇌졸중 (6, 6.0%) 기분장애/우울 (5. 5.0%)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의 치료철학은 인지-행동주의라고 응답한 사람이 4명(4.0%)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인본주의라는 응답이 3명(3.0%)으로 많았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치료적 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을 묻는 질문에 치료목 적으로는 1순위 응답에서는 ‘기억/회고’가 5명(5.0%)으로 가장 많았으며 2순위 응답에 서는 ‘집중력/주의력 향상’이라는 응답이 5명(5.0%)으로 가장 많았다. 3순위 응답에서 는 ‘긍정적 정서 증진/표현’이 7명(7.0%)으로 가장 많았다 효과적인 중재방법의 순위를 응답한 결과, 기억/회고를 위해서는 재창조 악기연주 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며 긍정적 정서증진을 위해서는 노래부르기가 가장 효과적이 라고 응답하였다(표 17참조).
  • 13.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7 - <표 17>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 적용순위 치료목적 1순위 응답 대상 (N, %) 2순위 응답 대상 (N, %) 3순위 응답 대상 (N, %) 기억/회고 (5, 5.0%) 집중력/주의력 (5, 5.0%) 긍정적 정서 증진/표현 (7, 7.0%) 1 재창조 악기연주 재창조 악기연주 노래부르기 2 노래부르기 노래부르기 재창조 악기연주 3 동작 - 동작 한편, 각 활동별로 주로 사용하는 음악장르를 순위로 응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감상에서는 1순위 응답으로 대중가요 중에서 트로트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다른 모든 활동에서 대중가요를 활용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표 18참조). <표 18> 60세 이상 노인을 위한 음악활동별 음악장르 순위 음악감상 노래부르기 악기연주 동작 1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대중가요/트로트 2 고전음악 - - 뉴에이지 결론 및 논의 이 연구는 임상에서 일하는 음악치료사를 대상으로 그들의 주력하고 있는 대상을 연령별로 구분하고 각 대상에 따라 치료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 그리고 활동별로 어떤 음악을 사용하는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 것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결 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라 주력대상에 차이가 있었다. 먼저 치료사들은 연령에 따라 주력대상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한 30대의 치료사들(55명, 55%)은 주로 8~13세의 아동들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 았으며(28명, 51%), 0~7세의 아동들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14명, 25%). 40대의 치료사들(29명, 29%)은 20~60대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 으며(12명, 41%), 8~13세 아동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는 5명(17%)이었다. 통계
  • 14.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68 - 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20~60대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40대 치료사의 경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임상 대상에 따라 치료사의 자격 과 경력, 지식의 정도 등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초기에는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행동적인 접근을 실시하지만 경력을 쌓아가면서 심리적인 문제를 다루는 데 많 은 관심을 가지고 치료대상을 만나게 되는 경향을 가진다는 것이다. 이는 경력과 임상 의 태도, 관심, 철학은 대상에 따라 달라진다는 선행연구(Knight, 2008)와도 일치하는 결과였다. 하지만 국내 치료사의 경우 아직까지 대상에 따라 치료철학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 다. 이러한 결과는 아직까지 대부분의 치료사들이 자신의 철학을 확립하기보다는 절충 적인 접근법을 사용하고 있거나 학과 과정 중에 경험한 접근법을 기초로 임상에 적용 하는 등 대상에 적절한 치료철학을 갖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이 가장 많았으며(73명, 73%) 치료 목적은 주로 사회성, 정서, 의사소통 기술 향상이었고 장애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에서의 음악치료 임상영역이 다양하게 확대되어 가고는 있으나 음악치료에서 현재까지 특수아동이 주력대상임을 확인하는 결과이다. 또한 이러한 대 상에게 시행되고 있는 중재의 형태는 적극적인 음악활동의 즉흥연주나 악기연주가 많았다. 이는 음악치료가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충분히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중재방 법임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성인을 주력대상으로 하는 치료사들은 주로 자긍심 향상, 즐거움 제공, 그리 고 스트레스 대처를 치료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중재방법은 재창 조 악기연주와 노래부르기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사용한 음악장르는 대중가요와 고전 음악이 주를 이루었다. 넷째, 노인들의 경우 치료사들의 치료목적은 주로 기억 및 회고, 집중 및 주의력 향상, 긍정적 정서증진 및 표현이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음악치료는 노인 들의 기억 및 회고를 위해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정서적인 지원에도 음악이 지속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노인복지정책의 확장으로 각 시, 군, 구에 노인종합 복지관이 설립되고 노인들의 질병에 대한 예방 및 치료도 매우 활성화 되고 있다. 이미 질환을 가진 노인들 뿐 아니라 일반노인들의 여가, 정서적 지원을 위 해서도 음악치료 중재가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이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 참여한 치료사들의 평균 경력은 4년 이상으로 임상에 대한 충분한 경험을 가진 치료사들이므로 그 응답에 신뢰성을 가질 수 있었다. 하지만 결과를 일반 화하기 위해 더 많은 표본이 필요하므로 더 많은 표본수와 포괄적인 전문 치료사를
  • 15.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69 - 대상으로 조사를 한다면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임상의 치료목적과 중재방법 이상의 변인들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치료목적과 효과적인 중재방법, 그리고 활동에 적합한 음악장 르를 조사하였지만 기타 변인과 함께 치료사의 질적인 보고도 함께 이루어진다면 더 욱 임상발전을 위해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치료사 한 명이 다양한 대상군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아 설문에 서는 주력대상을 선택하여 답하도록 하였다. 이는 주간 시수에 따라서 주력대상을 정 할 수도 있고, 시수는 적지만 치료철학에 적합한 대상을 선택할 수도 있는 변인을 포함 하고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항목을 구체화하거나 중재대상의 선택에 대한 가이드라인 을 주어 보다 정확하면서도 세분화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주력임상에 따른 치료목적과 중재방법을 조사하고 분석함으 로써 국내의 음악치료사들에게 국내임상의 현황을 제공하고 임상발전의 방향을 제시 하는데 그 시사점을 가진다. 국내에 음악치료학과가 개설된 이래 정규교육과정을 마친 음악치료사가 각 임상영역에서 어떤 목적을 가지고 일하고 있으며 어떤 방법을 사용 하고 있는가를 아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특히 음악치료사가 자신의 교육경험, 관심에 따라서 그 임상영역을 선택하고 시행할 수 있겠지만 그와 더불어 각 영역에 필요한 적절한 목적을 이해하고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확인해 본다는 측면에서 치료사들 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국내음악치료가 대상의 필요에 부합되는 의미 있는 치료로 자리 잡고 있으며 이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 음악치료가 적절한 중재임을 밝히는 근거중심임상(EBP)의 가치를 보여주는 것임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16. 한국음악치료학회지(제14권 3호, 2012) - 70 - 참고문헌 김영신 (2007). 국내 음악치료 석사학위 졸업생의 취업현황. 음악치료사 자격에 대한 전국 대학원 심포지엄 토론회 발표자료, 숙명여자대학교. 오선화, 김희경, 고은진 (2008). ADHD 아동의 음악치료방법 및 음악치료사의 자 기효능감과 ADHD 인식도와의 관계.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2), 57-82. 이정윤 (2000). 한국의 음악치료 실태 조사. 이화여자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최병철 (2006). 음악치료학 2판. 서울: 학지사. 황은영 (2008). 음악치료 실행자가 지각한 치료결과를 가져오는 음악치료 변인 연 구. 한국음악치료학회지. 10(1), 19-34. 황은영, 박소연 (2012). 국내 음악치료 관련 학위논문 동향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지. 14(1), 1-19. Abrams, B. (2010). Evidence-based music therapy practice: An integral understanding. Journal of Music Therapy, 47(4), 351-379. AMTA (2005). What is music therapy? http://www.musictherapy.org/about/musictherapy. Bruscia, K. (2003). 음악치료. 최병철 역. 서울: 학지사. Choi, B. C. (1997). Professional and patients attitudes about the relevance of music therapy as a treatment modality in NAMT approved psychiatric hospitals. Journal of Music Therapy, 34(4), 277-292. Kaplan, R. S., & Steele, A. L. (2005). An analysis of music therapy program goals and outcomes for clients with diagnoses on the autism spectrum. Journal of Music Therapy, 42(1), 2-19. Knight, A. J. (2008). Music therapy internship supervisors and pre-internship student: a comparative analysis of questionaires. Journal of Music Therapy, 45(1), 75-92. Jackson, N. A. (2003). 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s and their role in the treatment of early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ADHD. Journal of Music Therapy, 40(4), 302-323. Silverman, M. J. (2010). Integrating music therapy into the evidence-based treatments for psychiatric consumers. Music Therapy Perspectives, 28(1), 4-10.
  • 17. 주력임상대상에 따른 음악치료 목적과 중재방법 비교 연구 - 71 - A Survey of Music Therapy Methods and Their Goals According to Their Main Clients. Jang, Moon-Jung Park, Ji-Sun Hwang, Eun-Yo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urpose and the methods of intervention for clients according to their ages.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survey of 100 music therapists in Korea and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the ages of music therapists and his or her working place, methods of interven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main clients. Second, child clients are intervened to improve their social connection by re-creative playing. Third, adult clients are intervened to improve their self-esteem or emotional aspect like pleasure or stress management by playing re-creative playing or singing. Genre of music used is popular music. Last, creative playing are used for elder clients to improve their memory and reminiscence and the trot is mainly used. key words: music therapy subject, method of intervention. 1차원고 접수일:2012년 9월 25일 수정원고 접수일:2012년 10월 29일 게재 확정일:2012년 11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