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ma empresa Scribd logo
1 de 120
Baixar para ler offline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 공간의 변화
서울혁신파크 옥상공유지 총괄 코디네이터 /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
성원 (coffeetalk@naver.com)
일본은 근대교육 체제를 도입한 후 사회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면서 학교 건축에 다양성을 더해왔다.
- 1872년 (메이지 5) 「학제」 발포로 근대 학교 설립
- 1890년 (메이지 23) 「학교시설준칙」 제정으로 학교 건축 표준화
- 1895 (메이지 28 년) 「학교 건축 도면 설명 및 설계 대요」 통풍, 채광을 위한 편복도교실의 정형화
- 1920년 (관동대지진) 목조에서 RC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전환, 특별교실(음악실, 이과실) 도입
- 1950년대 : 중학교에서 자주성을 중시하며 교과 교실 도입, 소학교는 여전히 획일적 교육
- 1960년대 해외 학교사례 연구 반영 시작
- 197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오픈스쿨 영향과 모색
- 1981(쇼와 56 년)에 신 내진 기준에 따라 시공 시작, 2017년 공립 초 중학교의 98.8 % 내진화 완료
- 1980년대 학교와 지역의 공존과 교류, 협력 의식을 반영한 지역의 마을 학교 개념 발생, 지역개방, 지역 이용
외부공간과 연계성과 일체감 강조 시작
- 1984년 일본문부과학성 ‘다목적 스페이스 보조제도’ 실시. 1985년 기본설계비보조 및 건축가 참여 허용
핵가족화로 인한 개성화, 창의교육 요구에 부합한 열린교실(소학교), 다목적 공간(중학교) 도입
1984~1994년 동안 3000 곳에 오픈스쿨(열린교실) 도입 실적
- 1990년대 소자화(小子化-인구감소), 복합화, 생예학습 대응
- 1996년 환경 고려한 학교시설 정비
- 1997년 에코스쿨 보조사업, 에코스쿨 플러스 사업 등으로 2016년까지 1660개교 시범사업 실시
지역 재해 시 피난 시설로 학교 이용
- 2000년대 학교 정보화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범, 친목 공간 도입 등
- 2001년 6월 오사카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살해사건 (23명 사상) 이후 방범 강화한 폐쇄형 학교 등장
- 2010년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 최근 : 인테리젼스 스쿨 (생애학습 반영, 정보화, 교육고도화, 학교시설복합화, 초중고 일관학교 등 포함)
일본 학교건축 변천
공간 변화 주제 배경과 이유
특별 교실, 교과 교실 다양성 교육, 자주성 교육 요구 반영
오픈스쿨
(열린교실, 다목적 공간)
개성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 활동과 학교생활 공간 필요
토론교육, 협력학습, 융합(STEAM) 교, 제작교육 등 교육 개혁 필요 반영
(다용도 교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 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 등)
외부환경과 연계 아동 신체활동 촉진과 지역 자연환경과 조화
에코스쿨 기후위기, 에너지위기에 대응, 친환경적 학습공간 조성 요구 증가
쾌적한 학습-생활공간 등교거부 학생 증가, 양호실 등교 문제,
집 만큼 쾌적한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개선
안전 학교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상해사건, 화재, 지진에 대한 대비
개방학교->폐쇄 학교, 지역주민 관찰 결합한 인적 안전 결합
내진화 잦은 지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노후 학교에 대한 안전 보강 및 리모델링 필요
인텔리젼스 스쿨
(정보화)
4차 혁명,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영향력 확대로 교육모델 변화
학교정보화 (ICT, 네트워크, 디지털) 교육 고도화 필요
지역의 마을학교 지역사회와 학교협력, 학교시설의 지역개방 필요
목조 건축
(부드러운 건축)
지역 특산의 목재를 활용하고 특색을 드러내는 학교 건축 필요
향후 시설 수요 변화에 따른 변형, 이동, 철거 등 용이한 부드러운 건축 필요
학교시설복합화 인구감소, 고령화, 지방소멸, 재정축소, 학교통폐합, 재정악화로
지역 공공시설과 학교 통합, 지역사회와 협력 강화 필요
일본 학교공간 변화의 주제와 배경
일본의 학교 만들기 10대 과제
1. 집단 생활의 규칙을 배우고, 여러가지 체험이 가능한 생활 환경
2. 6년 간 확실한 배움을 지탱하는 교육 환경
3. 학습, 생활의 양면을 되묻는 교육 환경
(교과교육 효율과 자발적 학습을 위해 교과센터 , 교과미디어실, 교과 교사 스테이션 등 도입 )
4. 학교와 학교의 부드러운 연결-제휴-통합
(초-중, 중-고 등 연령대가 다른 학생들의 공유 공간과 고기능 공간
- 인구감소와 압축도시화로 인한 학교통폐합 영향
5. 건학의 정신에 근거한 특색 있는 사립 학교 만들기
6. 종합적으로 계획된 학교 만들기의 기본 방침
7. 지역의 핵이 되는 학교 만들기 (지역소멸, 학교통폐합에 따라 학교와 지역 관계 재구축)
8. 방재 기능을 갖춘 학교 만들기 (지진, 화재, 폭우, 태풍 등 각종 재난 시 피난과 방재 거점)
9. 다양한 교육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가구
10.디지털화를 토대로 한 학교 만들기와 시스템 제품의 개발
- 일본 교육환경연구소
오픈 스쿨
(다목적 공간, 열린교실, 학급생활공간, 생활복도, 교과교실, 보통교실, 특
별교실, 실습교실, 소 전이공간)
미래 인재상의 변화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인간에게 도전이 되고 있다. 미래
시대에 적합한 교육은 학생들을 지식의 생산자로 인정하고, 이들의 다양성, 개성을 개발하고, 자기주
도성을 함양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이론 전달 중심의 교육에
서 실제 생활 세계의 사실적 과제를 중시하는 교육이 중요해지고, 창조적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해진
다. 과목별 교육은 융합적 교육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어 더더욱 교사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닫힌 교
실에서 개방적이며 다목적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강의 5%, 독서 10%, 시청각 (미디어) 20%, 시연 30%, 토론 50%, 실행 75%, 상호교육 90%
따라서 학습공간도 일방적 강의 보다는 시연, 실행, 토론, 상호교육에 적합하게 조성.
토론(협력)학습과 학습유지 비율
학교 공간의 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는 열린교실이다. 1950년대 영국에서는 집단 수업이
아닌 비공식적 교육활동 공간에 대한 검토와 1965년 이브린 로우 초등학교(Eveline Lowe
Primary School)와 길몽토 초등학교(Guillemont Jinior School)의 실험을 거쳐 열린교실이 확산되
었다. 길몽토 초등학교는 열린교실을 보통교실, 홈베이스, 실습공간, 크고 작은 2개의 닫힌 방(시
청각, 어학 또는 타 용도), 야외 학습공간(테라스 또는 베란다) 등 요소를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한
학습 클러스터로 구성하였다. 홈베이스는 보통교실에 열려 있고, 연속성을 갖는다. 이후 열린교
실은 확산되면서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졌다.
일본은 1970년대 교육의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해 열린교실을 도입했다.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
만 아이치현 히가시우라 오가와 초등학교나 토양마현 흐크미츠 중부초등학교, 기후현 이케다 초
등학교의 의욕적인 열린교실 실험의 성공에 힘입어 1984년 학교의 ‘다목적 공간 면적 보조제도’
가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영국이나 미국의 여러 유닛을 결합한 학습클러스터 보다는 학급별
보통교실에 인접한 열린(학습)공간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일반화했다. 열린교실 설치 사례가 증
가하는 가운데 학급(보통)교실+열린학습공간+작은 전이공간 또는 특별 공간을 조합하는 시도도
나타났다. 후쿠시마 현 미하루 쵸타치이와 초등학교(1985)는 열린학습공간에 일종의 은신처인
소규모 공간을 두어 아이들이 마음을 진정시키거나 계절별로 아이들이 꾸밀 수 있는 공간을 마
련했다. 치바 우타세토중학교(1995)는 보통교실+열린학습공간에 더해서 알코브 작업공간, 도서
공간, 테라스 등 보다 다양한 공간적 요소를 추가해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유도했다.
오픈 스쿨 (열린교실) 이란?
참조 :
영국 열린교실 사례
2002년부터 일본은 공립초등학교에서 교과 간 벽을 없애는 '종합학습'이 본격 도입되면서 진도별
그룹학습이나 학년 전체 워크숍 등 학급 간 벽을 허무는 교육을 전국적로 확산했다, 초등학교에서
는 개방감, 유연한 학습, 생활공간화 등을 위해 열린교실을 구성하는 데 보통 기존 편복도교실에서
교실과 복도 사이의 벽을 개방하고, 복도를 확장하여 생활학습공간화 하는 사례가 많다. 이를 구현
하는 방식도 다양하다. 완전개방, 붙박이 선반을 활용한 반 개방, 이동식 책장이나 학습가구를 이
용한 가변 개방, 미닫이 문이나 접이식 문(단 투명창 활용 개방감 유지)을 활용한 가변 개방 등 다
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저학년과 고학년의 열린교실을 다르게 구현하고 있다. 저학년은
생활안정감에 초점을 맞추고, 고학년은 자발학습, 토론, 그룹별 학습 및 보다 다양한 학습활동 지
원에 초점을 맞추는 등 교육 내용, 신체 조건, 학습 유발 요소, 행동 패턴 등을 고려해서 학습 가구
를 배치하는 열린교실을 구현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했다.
저학년 : (목적) 개방감, 유연한 학습, 생활안정감을 주는 생활공간화
(수단) 교실과 복도 사이 벽 개방, 복도 확장
고학년 : (목적) 자발학습, 토론학습, 협력학습, 다양성 확대
(수단) 열린 교실 조건에서 학습가구 재배치
오픈 스쿨 (열린교실)의 적용 (소학교)
일본의 중학교는 특별 교실형 운영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자율적인 학습자세 육성, 교
과학습 내실화 등을 꾀하기 위해 교과교실형을 채택하는 사례가 1980년대부터 나타났다. 1991년
후쿠시마현 미하루 사쿠라중학교의 사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며 교과교실형 운영이 주목을 끌었
다. 교과교실형 운영 시 잦은 이동학습에 의한 귀속감이 약화될 수 있어 식당에 학급 단위로 함께
앉을 수 있는 큰 테이블과 보관함을 둔 홈베이스를 학급의 생활전용 공간으로 마련하기도 했다. 아
키타 고등학교, 이와테현 이와이즈미초 타나카 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교과교실형을 보완하기 위
해 좀 더 본격적인 홈베이스라는 학급생활전용 공간이 마련되었다.
학급교실+특별교실형 중학교인 후쿠시마 야부키 중학교는 보통교실에 수납(로커) 공간을 인접시
키고, 특별한 벤치 공간이나 전이 공간을 두어 수업과 생활 공간으로서 분위기를 결합하고자 했다.
교과교실형 + 홈베이스(귀속감을 주는 생활전용 공간)
특별교실형 + 보통교실(수납공간 인접, 특별한 벤치, 전이 공간을 결합한 생활공간화)
오픈 스쿨 (열린교실)의 적용 (중학교)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 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横浜市小中学校)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
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
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
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하카타 초등학교(博多小学校)
츠쿠바(つくば) 초등학교
야마가소학교(山鹿市立山鹿小学校)
보통교실 뒤의 전이공간
학급생활공간-홈 베이스
교과교실 운영 시 학급학생들의 귀속감을 갖도록 홈베이스를 학급생활공간으로 조성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다. 복도와 교실 바닥을 거실마루처럼 꾸며
서 학습 , 놀이, 교류,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생활, 활동 공간으로 활용한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
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복도를 소규모 학습공간으로 활용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学小学
에코 스쿨
(외부환경과 연계, 야외 테라스 회랑, 주변 자연과 조화, 자연환기
와 채광, 차양 옥상녹화, 비오톱, 태양광, 바람탑, 지중열, 중정 투명
천정, 벽면녹화, 창호단열, 쾌적한 생활공간화, 다양한 놀이활동 공
간)
일본의 에코 스쿨
환경 부하를 저감하고, 자연과 공생하도록 학교시설을 환경교육의 실제 교재이자 현장이 되게 하
려는 사업이 에코스쿨이다. 학교가 학생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 환경·에너지 교육의 거점이자,
지역에서 지구 온난화 대책을 추진하는 선도가 되게 하는 데 목표가 있다. 추진 실적이 대단한데
1997년~2016년도 사이 총 1663개 에코스쿨이 시범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에코스쿨 플러스 사업은
2019 년에 47 개교가 인정받았다. 거의 2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에코스쿨 사업이 추진된 것을 알
수 있다.
에코스쿨사업을 위한 보조제도가 단지 문부성 예산으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농림수산성 임업
분야, 국토교통성 예산이 결합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립학교는 문부성에서 에코스쿨 플러
스 보조제도, 태양광 발전 도입에 관한 보조제도로, 사립대학은 에코 캠퍼스 추진사업으로, 농림수
산성 임업 분야에서 차세대 임업 기반 조성 교부금으로 목재를 활용한 학교 신개축을 지원한다. 국
토교통성은 지속가능한 건축물 선도사업으로 에코스쿨을 보조한다.
문부성은 에코스쿨을 만드는 데 있어 세가지 점에 유의한다. 관심을 끄는 것은 시설 정비에 있어 '
부드러운 건축'을 강조한 점이다. 이는 지역 산지의 목재를 적극 활용하여 임업을 활성화시키고
RC(강화콘크리트) 구조를 탈피하려는 시도다. 그리고, 인구의 감소, 지역소멸 등 여러 상황에서 학
교의 철거, 재생, 통폐합, 이전 등 목구조가 더 편리하고, 가변성이 있어 경제적이라는 판단을 하는
듯 하다.
- 시설면 : 부드러운 건축
· 학습-생활 공간으로 건강하고 쾌적하게/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로운 학교 / 환경 부하 저감
- 운영면 : 오랜 동안 경제적으로 사용
내구성과 유연성을 배려 / 자연 에너지를 활용 /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
- 교육면 : 환경 학습에 활용
일본의 에코스쿨은 단지 태양광 시설만 두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기, 윈드캐쳐, 태양굴뚝, 자연채광
과 녹색 차양, 옥상녹화, 빗물 활용, 비오톱 조성 등 다각적으로 학교시설을 정비한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반한 환경교육에 노력하고 있다. 예산이 적은 경우 간단한 시설의 경우 적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에코 스쿨 사례로 오구치 미나니 초등학교(大口町立大口南小学校)는 문부성의 지침을 어떻게 적용
하고 있는 지를 잘 보여준다.
I.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부드러운 건축
(1) 아동 친화적 환경을
자연 통풍 + 일사 차폐 → 여름 시원한 학교로 / 고 단열 화 + 겨울 햇볕 온기 이용 → 겨울 따뜻한 교
사에
안뜰의 유리 지붕 마당과 자연 채광 / 나무의 온기가 느껴지는 인테리어 / 자연을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야외 작업 테라스와 안뜰, 비오톱
(2) 지역 친화적 환경을
· 학교 건물의 저층화로 경관과 조화, / 주변에 햇빛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 / 운동장의 모래 비산 방지
빗물 저장조 및 투수성 포장으로 하수 부하 저감
(3) 에너지 저감
· 자연 에너지 이용 및 고효율 기기 --> 에너지, CO 2 배출량의 저감 / 목재 등 천연 소재 사용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II. 경제성, 지속성
(1) 사회변동,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건물을 오래 쓸 수 있도록
- 가변 칸막이, 가변 가구를 사용하여 학습 형태 변화에 대응
- 비내력 내부 간벽을 건식화하여 공간 이용 변화에 대응
- 콘크리트 바닥이 아닌 철강 바닥조 사용하여 가변성을 더함. / 목재 적극 채용
(2) 자연에너지 활용
· 바람 탑을 활용하여 자연 통풍을 촉진 / 안뜰의 자연 채광, 자연 환기의 촉진 / 태양광 패널 설치
- 지열을 활용한 냉난방 공조기 / 풍력발전 가로등 설치 / 빗물저수조와 빗물의 중수활용
(3) 스마트 기능 적용
· LED 조명과 조도 센서, 동작 센서 / 절수형 물 이용기구 / 적절한 공조 구역과 열교환기 채용
· 중앙 조명이나 공조를 교무실에서 집중 관리 / 불필요한 설정 온도 조작 방지
아트리움의 상승기류에 의한 환기흐름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에코 스쿨 사례로 오구치 미나니 초등학교(大口町立大口南小学校)는 문부성의 지침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 지를 잘 보여준다.
III. 환경학습에 활용
(1) 아동 환경 학습 계획
□ 시각적 메시지
· 각 학년마다 환경 전광판을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량과 각방 실내 온도 에어컨 사용량 등을 표
시
□ 감각적 전달
자연 통풍 · 자연 채광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 냉난방 공조기 배관에 온도계 부착
□ 생산
·자가 발전식 자동화 설비 및 사람 진동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 마루 도입
(2) 지역 사람들의 환경, 에너지 의식 향상 계획
· 에코 패널을 승강구와 각 학년 구간에 설치하여 지역민들이 환경, 에너지 문제를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태양광 패널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풍력 발전 외부 조명(LED 조명) 시설
설치
도요타 시립 바시 소학교의 에코 혁신
토요타 바시 초등학교에서는 창문 일사 차폐 루버 설치, 단열 보강, 에너지 절약기구, 태양광 패널, 바
람탑(Wind Catcher), 녹색커튼 등을 설치했다. 그 결과 년간 에너지 소비량은 이전에 비해 60 % 정도
CO 2 발생을 절감했다. 시설의 정비와 더불어 바시 초등학교에서는 환경 교육과 적절한 시설 운용을
실천에 주력한 결과다. 그리고, 이 학교를 에너지와 생태학습의 현장으로 바꾸었다.
- 교직원 + 디자이너 워크숍/ 교사의 에코 체험 학습 / 바람탑 구조 배우기 / 어린이 에코 가이드
- 에너지, 환경 관련 연간 학습 계획 작성 / 조도의 조절 체감
녹색커튼
愛知県北名古屋市・西春中学校
京都市立朱雀第四小学校녹색 중
개별 교실에서 각각 테라스 복도 또는 운동장
으로 바로 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적 활동 촉진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学小学校)
테라스 복도
国立音楽大学 附属小学校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
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
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学校
)
학교의 중심 생활공간-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
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
는 기반이 된다.
사각 지대없는 ‘큰 집’ 같
은 배움터
西南学院小学校는 규슈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학교 법인인 西南学院이
초등학교를 신설하며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
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보통 교실, 예배당, 체육관,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
을 중정 아트리움의 순환동선에 배
치했다. 또한 층고를 낮게 하되, 열
린 공간을 층마다 다시 두어 안정감
과 개방감의 균형을 만들고, 공간
적으로 상하 층의 교류를 촉진시켰
다. 아트리움 중앙의 큰 계단은 어
디서나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합
창, 공연, 념 촬영, 발표 등 다양한
행사가 벌어진다.
미국과 캐나다 정부와 교육부서, 놀이 활동가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는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다. 신체적 리터러시는 1993년 마가렛 화이트헤드
박사가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체육교육과 스포츠 국제 협회에서
발표한 개념.
놀이의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보조 개념은
‘움직임 어휘력(Movement vocabulary)’이다. 이것은 몸짓 (소통)언어, 신체적 이동 기술
, 움직임, 운동 기술 뿐 아니라 신체적 활동이 이뤄지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독해
력과 판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요즘 아이들은 점차 스마트폰과 가상 게임에 지나치게
빠져 신체적 문맹률이 높아지고 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놀이공간과 환경, 놀이 재료들
을 탐색하고, 만져보고,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한다. 이러한 공간적, 물
질적 또는 몸을 통해 체감하며 파악하는 물리적 이해력을 신체적 리터러시는 포함하고 있
다.
신체적 리터러시의 한 측면이 환경에 대한 이해라면 또 다른 측면은 신체 사용능력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이동기술, 달리기, 몰고 가기(농구에서 드리블), 도약, 등반, 건너뛰기,
포복, 깡충깡충 뛰기, 스케이팅, 몸 펴기(Stretching), 수영, 정지, 회전, 던지기, 받기, (공)
차기, (야구 공) 치기 등 다양한 운동기술, 신체의 미세조작 기술, 균형 능력, 자극에 대한
민첩성, 근력, 지구력 등을 포함한다.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놀이에 종종 수
반되는 경쟁과 도전은 신체 사용능력을 키우는 데 자극과 동기를 부여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적 리터러시가 발달한 아이들은 자신감, 자존감, 지도력을 얻게 된다.
놀이와 신체적 리터러시
아츠 노조미 유치원(厚木のぞみ幼稚園) 복도 놀이
터
안전 학교
(내진화, 화재 안전, 방범 안전, 노후시설 개선)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
정
학교 시설의 방범 대책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상해사건 등 사회적 문제가 된 학교 범죄 발생 이후 학교 시설의 방범 안전 대책이
강화되었다. 아동 학생의 안전 확보를 위해 먼저 범죄 기도자의 침입을 통제하기 위해 방범 카메라,
정문 인터폰 설치, 전자자물쇠, 경보기 등 시설의 정비, 직원실, 관리실 배치와 부지 내외에서 전망의
확보에 유의할 뿐 아니라, 방범 매뉴얼의 정비, 지역 주민과의 연계 등 소프트 하드 양면을 염두에 두
고 있다.
공간 시설면에서 주목할 점은 학교 부지 내외의 전망을 개선하고, '사람의 눈'을 확보하는 것에 중점
을 두어 사각 지대를 없애는 등 연구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망을 해치는 관목이나 담
장을 철거하고 투과성이 높은 울타리로 교체하거나, 교무실이나 교장실, 경비실 등의 창을 대형 투명
유리로 변경하거나, 건물의 개축 · 보수와 함께 행정실, 교무실 등 1 층 아동 승강구가 보이는 위치로
이동 배치한 예도 볼 수 있다.
시설복합화를 할 때 사각지대를 없애고 ‘지켜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고려한다.
노후 학교시설의 리모델링
일본의 초 중학교는 1965 년대 후반부터 학생 수의 급증 시기에 많이 정비되었다. 즉, 지금
일본에 있는 학교 건물의 대부분은 현재 40 세 전후인 "아라포"세대를 위해 지어졌다. 학교
시설의 평균 개축 주기는 약 42 년 정도인데, 1969 년 경 건축 된 학교들이 노후화로 개축 대
상이 되었다. 일본 학교의 건축은 1956~1977 년이 피크였다. 가까운 장래에 이러한 학교들
에 대한 노후 대책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일본 문부성은 '장기수명화 재생' 전략에 따라
기존 골조를 보강하고 비내력벽의 공간 가변성을 더하는 등 미래 교육목표에 맞게 개선하거
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일본의 몇몇 사례들을 보면 병렬 배치된 교사 사이의 공간을 아트리움, 아트리에로 바꾸고
상부에 배기구를 두어 스텍 효과에 의한 자연환기를 유도하기도 하고 생활공간화 한다.
기존 노후학교의 일반 형태인 편복도교실의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교실 창밖으로 테
라스 회랑을 부착하여 외부 활동 및 이동 공간을 확보하거나 차양 역할을 하게 한다. 과감히
기존 복도를 확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뿐 아니다. 교실과 복도, 때로는 교실과 테라스 회랑의
간벽을 없애고 접이식 창호나 미닫이 창호로 대체하기도한다.
센다이시 립포 마치 초등학교(仙台市立蒲町小学
甲南女子中高等学校 중정을 실내공간화
마을 학교
(지역개방, 지역활용, 학교시설복합화, 학교통합(일관학교), 지역특성 반영한 목
조)
스크울 레볼루션의 저자이자 일본 학교 건축의 거
목인 나가사와 사토루 교수의 발언
"학교는 본래 지역의 문화를 전하는 장소이자, 지역
에서 사는 법을 가르치는 장소였다."
나가사와 사토루 교수는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해 세
가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첫째는 '아이들의 협력' 서로의 의견과 존재를 인정
하고, 교류하며 함께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자신의
의견이 받아 들여지는 학습의 기쁨이 자신감으로
이어진다.
둘째, '교사의 협력'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 뿐
아니라 학교가 지향하는 교육 목표를 공유하면서
협력하여 아이를 키워 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학
교는 교사가 협력하여 조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큰 변혁을 이뤄낼 수 있다.
셋째는 ‘지역 공동체와 학교의 협력'이다. 지역을 기
반으로 '배움의 공동체 양육의 공동체 ’가 되어야 한
다. “
지역과 학교건축의 변화 - 목재 적극 활용
일본의 학교건축은 (1990년대부터 소자화(小子化-인구감소), 복합화, 생예학습 대응) 최근 지역과 연
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크게 3가지 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지역의 재료(특히 목재)를 활용한 학교건축
- 지역의 풍토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상징으로서 학교건축
- 학교건축, 운영에 있어 지역민의 참여와 시설복합화
오이타현 분고오노 시 아사지 소학교-중학교(大分県豊後大野市立朝地小学校・中学
校)는 지역 만들기의 상징으로 건축되었다. 학교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나무를 사용하
여 목조로 지어졌다. 지역의 목조 문화를 재인식하고 향토에 대한 이해와 애착심을 키
우기 위해서다. 아사지 학교처럼 학교를 신축 또는 증축하면서 목조로 짓는 경우가 많
은 데 이는 일본 문부성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에 힘 입은 바 크다.(2010년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이뿐 아니다. 농림수산성
도 차세대 임업 기반 조성 교부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목조 학교는 지역 자원의 활용
의미도 있지만 무엇보다 목조건축물의 내진성을 높인 목조 결구법 등 건축기법이 충
분히 발달했을 뿐 아니라, 목조의 취약점인 화재에 대비하여 목구조에서 내화, 방화,
화재 확산 차단 방법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길이 학교를 가로지르는, 장식구슬발 목구조 학교
큐슈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시립 야마가 초등학교 (山鹿市立 山鹿小学校) 설계에 참여했는데 이 학
교 건축은 2014년 독특한 대형 목조 건축으로 JIA 일본 건축 대상을 수상했다. 야마가시는 본래 목
재자원이 풍부한 산촌으로 온천과 삼나무의 여왕으로 불리는 백향목으로 유명하다. 야마가 학교 건
축은 바로 이 삼나무를 사용했다. 바닥변적이 9,000㎡ 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집성공학목재
가 아닌 통나무를 그대로 사용했다. 넓은 공간을 치받치 가로지를 굵은 통나무를 구하기 어려워 작
은 직경의 목재로 폭 넓은 공간을 받치기 위해 장식구슬발 구조(南京玉すだれ構造)법을 활용했다.
장식구슬발 구조는 105mm 직경이 작은 목재만으로도 조금씩 각도를 바꾼 선재가 무수히 이어 가
교를 짜고, 폭이 8m 정도인 보통 교실을 문제없이 가로지를 수 있다. 체육관처럼 더 넓은 공간은 좀
더 직경이 큰 목재를 사용했지만 역시 이 장식구슬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장식구슬발 구조의
특징은 작은 직경의 목재로도 폭 넓은 건물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목구조의 아름다운 구
조미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학교 건축에서 전통적인 RC(철근을 넣은 강화 콘크리트) 구
조는 단지 상자 모양을 만들 뿐이다.
야마가 초등학교 건축에서 눈에 띄는 점은 목구조 뿐 아니다. 느긋한 박공의 단층 건물들이 통으로
연결되지 않고, 구분되면서도 나란히 병렬로 배치된 점이다. 이러한 구분과 배치는 목재건축에서
방화대책을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부지 전체는 남북으로 크게 세분하고 가장 북쪽 블록에는 체육
관과 음악 홀, 도서관, 가정과 교실, 급식 동 등 시설을 배치했다. 그 남쪽에는 「배움의 가도 '라고
부르는 넓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중앙 블록에는 2 층 고학년 보통 교실과 "표현의 무대'라고 부르는
계단 교실, 관리동 등이 줄 지어있다. 남쪽으로는 '배움의 들판」라고 이름 붙인 우거진 정원이 있고,
이것을 끼우는 형태로 단층 저학년 동이나 도공 생활과 실, 특별 지원 학급이 이어진다. 운동장은
학교 부지의 동쪽에 인접해 있다.
흥미로운 점은 학교 건물 사이를 지나는 「배움의 가도」는 외부에 널리 개방되어 생활 도로로 사용
된다는 사실이다. 이곳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원래 예전부터 야마가 학교는 이런 생
활 도로가 학교 사이를 관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원럐 마을 신사가 담 없이 학교와 연결되어 있었
일본의 학교시설복합화 방향
“학교는 지역 아동성장의 장이
며, 지역 활동의 무대이기도 합
니다. 또한 지역 주민의 평생 학
습관이며 고령자의 삶의 보람을
만들어내는 장소가 됩니다.”
일본의 학교는 학교교육에 있어
아동청소년들의 ‘학습’, ‘생활’, ‘
클럽활동’을 지원하고,
지역활동과 연계하여 지역민에
대한 ‘사회교육’, ‘사회체육’ ‘학
교지원’, ‘자원봉사 활동’, ‘행사’
를 수용하는 공간이자,
지역재난 시 ‘피난소’, ‘피난훈련
장, 지역거점’으로 역할을 수행
하는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개
방하고,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본 교육공간건축연구회
교토 오이케시립중학교 사례
고령화, 인구감소, 지역소멸, 압축도시, 지자체 재정악화, 도심 부지확보 어려움 등 여러가지 이
유로 일본의 경우 학교시설복합화가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교토 오이케시립중학교(京都御池
中学校)의 사례는 상상 이상이었다. 학교건물에 상업시설, 보육원, 시민교육센터, 노인복지시설,
방재비축창고, 건물관리회사 까지 들어와 있다. 학교시설복합화는 단지 교육부처의 문제가 아
니라 지역소멸, 압축도시 전략에 기반해서 아베 내각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고, 학교시설복합화
시설정비과라는 부서도 따로 두고 있다.
1.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 일관학교
2. 학교와 통합된 복합시설
① 보육원 / ② 노인 복지 시설 (데이 케어 센터) / ③ 교육 센터 (일종의 문화센터) / ④ 상업 시
설
⑤ 방재 비축 창고 /⑥ 빌딩 관리 회사
상이한 시설을 배치할 때는 몇 가지 원칙이 있었다.
- 각 시설은 출입구 · 동선을 명확하게 나누어 배치 /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은 운동장에 접해서
배치
(아동 · 학생의 체육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 등의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 )
- 상업 시설은 도로변에 접해 배치.(인도 레스토랑의 야외 테라스 석을 마련하는 등, 거리의 활기
)
이러한 시설 복합화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 기존 방식에 비해 시설 정비 · 유지 관리 비용이 30 % 감축.
- 설계에서 유지 관리까지 일괄 발주에 의한 효율적인 사업 실시.
- 복합 시설의 24 시간 관리 체제 · 정기적 모니터링을 포함
- 안심 효율적인 유지 관리.
- 세대 간 교류와 활기의 창출 초중고 일관 교육의 실현.
후쿠오카 [하카타 초등학교]
일본에서 학교 디자인의 변화는 인구감소, 지역소멸, 압축도시, 학교통폐합 등의 이슈와 무관
하지 않다. 이때 학교통폐합은 아주 민감하고 복잡하다. 이러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것
으로 평가받는 일본의 학교 중 한 곳인 후쿠오카의 하카타 초등학교. 4개 교구 학교의 통폐합
이후 벌써 10년이 지났다. 초기 통폐합의 저항감은 뿌리 깊었다. 각 지역의 경쟁의식과 지역
학교 폐쇄에 대한 상실감 등으로 통폐합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통폐합 과정에서 규모가 큰 새로운 학교를 지어야했는데 이때 학교건축 디자인을 공모했다.
공모에서 건축가 쿠도 카즈미의 제안이 선택되었다. 그는 "학교는 마을, 마을 학교 '라는 컨셉
과 '열린 교실'을 핵심으로 새로운 통폐합 초등학교를 제안했다. 그 동안 일본의 많은 학교 건
물은 국가 표준 설계서에 준하여 북측에 복도, 남쪽 교실인 똑 같은 형태였다. '열린 교실'은 교
실의 경계 벽을 없애고 학급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배움의 장을 제공했다. 초기에는 많은 우려
와 저항감이 있었으나 상상 이상으로 아이들의 자유, 자율성이 발휘되어 당초의 우려는 불식
되었다. 카페의 백색 소음 속에서 집중이 잘 되 듯, 열린 공간의 개방된 시야, 소음 속에서 긍정
적인 변화들이 일어났다. '열린 교실'에서는 어린이 자신이 참여하여 팀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는 느낌을 갖게 되고 오히려 소음에 신경쓰고 수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교사의 의식도 변했다.
초기에는 옆 반의 수업 소리나 자신의 지도활동이 타 교사에 보이는 것에 신경을 썼지만 점점
익숙하게 되고, 교사끼리 적당한 긴장감을 만들어내고, 다양한 지도방침을 융합하게 되면서 '
열린 학교'에서 수업 노하우는 지금까지 계속 전수되고 있다.
아쉽게도 한국의 학교에 1996년 시범적으로 몇몇 학교에 도입되었던 '열린 교실'은 현장의 저
항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도서관, 음악실, 식당 등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 할 수 있도록 배치)
학부모, 강사, 지역민 대기실 마련
시설의 회유성 확보 (교사동 · 체육관 · 공민관 2 층 갑판으로 연결)
학교와 시민공원의 통합
도쿄 스기나미 제10 소학교는 지역의 시민공원과 학교를 공간적으로 통합했다. 운동장
은 공원 숲 속의 일부처럼 보인다. 공원과 학교 운동장 사이에 담은 없다. 학교 수영장은
지역스포츠센터 시민수영장과 통합하여 운영한다. 지역공동체와 학교의 연결성을 높이
기 위한 시도 중 하나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숲에서 놀고 숲을 관찰하고, 시민들도 아
이들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점점 더 지역공동체에서 공공시설과 학교의 중요
성이 커진다.
미래 학교
(인텔리젼스 스쿨, ICT, 네트워크화, 디지털화, 미디어 리터러시)
미래 학교 공간의 변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많은 학교가 1차, 2차 대전 후 도시재건과 베이비붐 시기였던 1950년대부
터 1980년대 사이에 지어졌다. 특히 1950~1960년대 세워진 기존 학교의 교실은 일방적인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 모델에 맞게 만들어졌다. 학생들은 줄 지어 배치된 책상과 걸상에 앉아서 듣기만 해야
했고, 유연성이 부족했다. 우리는 미래교육에 대해 생각할 때 교실을 분리할 수 없다. 교육계 많은 사
람들은 지난 40년간 교육에서 확연한 변화가 있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왜 신축학교 조차 낡은 근
대적 교실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까? 많은 교사들은 유연성은 그저 넓은 공간의 큰 상자 같은 교실
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학습상자, 즉 교실이 필요하다.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인공지능 기반 검색, 유튜브 등 기술은 학생들이 지식을 습득하고, 일하는
방식을 확연하게 바꾸고 있다. 학생들은 좀 더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학습을 주도하고, 서로 협력하
며 연구하고, 만들고, 학습 과목을 넘나들며 지식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활동과 학습이 기존
의 커다란 학습 상자 안에서 가능할까? 많은 교육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자
극하기 위해 교육학과 공간을 연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제 보다 유연한 학습을 위해 유연
하고 복합적인 학습 허브 또는 학습 스튜디오로 교실이 바뀌어야 한다.
** 21C 학교에서 학습의 특징
- 지식의 암송과 저장이 아니라 지식의 창조적 생산을 포함해야 한다.
- 학습은 개인의 경쟁적인 공부가 아니라 여럿이 함께 하는 협력적 실천으로 바뀌며 소속감을 갖게
한다.
- 학습은 실제 세계의 문제 또는 맥락과 연결되며 과목을 넘어 융합된다.
** 현대적인 학습 공간 6개 분야
- 학습공간 / 교사와 학생 지원 공간 / 학습 가구 / 환경 (소리, 채광, 환기, 온도, 건축물에 구현된 지
식 등등) / 접근성 / 교류공간
다양한 형태의 학습생활공간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
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
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나가사키 큐슈문화소학교-중학교
규슈문화학교는 '앞으로 세계에서 사는 아이들에게 탐구 정신, 사고력, 의사
소통 능력, 배려와 협동심 등의 자질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 자질을 확실히
익혀 미래 세계로 뻗어가는 동시에 더 나은 국제 사회를 구축하는 인재를 육
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갖고 있는 학교이다. 이곳은 아래의 5가지 역량을 육성
하는 데 학습을 초점을 두고 있다.
- 끈기 있게 생각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힘
-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논리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힘
- 문장이나 용어를 제대로 읽고 자신의 말로 설명 할 수 있는 힘
- 학습에 대한 의욕을 갖고, 평소 흥미 · 관심을 가지는 힘
- 스스로 과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관점 ·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힘
이러한 교육목표에 따라 학교 공간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 지 잘 보여 주는
곳이다. 문화학교란 이름답게 학교 앞에 다실을 두어 누구나 사용하게 한 점
이나 풍부한 목재를 사용한 점, 교과교실, 특활실, 보통교실, 도서관, 복도, 식
당 등 쾌적하고 안락하고 안정되게 꾸민 점이 특징. 특히 주목을 끄는 곳은 교
무실인데 복도와 교무실 사이에 벽이 없고 프론트 형태로 학생들이 편안하게
교무실로 오게 끔 개방성을 더 했다. 커뮤니티 실을 따로 만든 점도 주목.
학교 학습가구의 변화
토론, 소그룹 학습을 강조하는 데 따라 학교 학습가구의 변화가 눈에 띈다. 이동이
쉽게 의자와 책상에 바퀴가 달려 있거나, 의자 책상 일체형이거, 모아서 원형으로
배치하기 쉽거나, 그룹 토의 시 발표를 위해 화이트 보드나 투명 보드가 의자에 부
착되어 있거나, 별도의 이동식 소형 투명 보드 등이 눈에 띈다. 입식 책상이나, 좌식
책상도 등장하고 있다.
일본의 UDS가 만든 예나플랜학교
호텔, 카페 등 상업시설 개발로 유명한 UDS가 마을만들기와 연계한 사업과 더불어 학
교만들기에도 뛰어들고 있다. UDS 대표 나카가와는 급변하는 시대에 ' 스스로 생각하
는 힘을 기르는 창의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마을
만들기 사업과 연계해서 '학교 만들기'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UDS가 학교만들기와 관
련해서 추진한 대표적 사업은 나가노현 사쿠호쵸의 폐교를 리모델링해서 새롭게 일본
최초의 예나플랜학교로 개교하는 "학교 법인 시게루의오이나타( 大日向)초등학교」
가 있다. 예나플랜 학교는 네델란드에서 유래한 대안 학교로 한 사람 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고 스스로 배우는 것을 소중히 하는 교육 개념을 따른다. 네덜란드에는 예나 플
랜 교육을 도입하는 학교가 220 곳 이상이다.
예나 플랜 교육의 특징 4 가지는 다른 나이의 아이들이 함께 배우는 '멀티 에이지', 아
이들과 교사가 함께 논의하는 '써클 대화', 교과 구분이 없는 '월드 오리엔테이션' , 그
리고 자립 학습인 '단절 시간' 이다.
UDS 는 이 학교의 건물 리노베이션 기획 , 설계 , 마을 사람들에게도 개방되는 학교급
식 식당인 오이나타('大日向) 식당 운영을 맡고 있다. 또한 UDS 대표 나카가와는 학교
법인의 평의원으로서 운영 지원도 하고 있다.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학교식당이지만 마을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다.
학교에서 제작자 교육과 제작공방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
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제작자운동과 교육방식의 변화
“제작자운동은 학교가 구성주의(인간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한
다는 이론) 교육과 자기주도학습으로 복귀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학생들의 매체
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키우고,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며, 독립적으로 기술 지
식을 습득 할 수있게 하는 운동이다.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학습 대안이 아니라 현
대 학습이 실제로 변화해야할 방향” ( Stager , 2014)
“교육자는 매체를 활용하여 기술을 탐구하고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기대하는 대로
배울 수 있게할 수 있다. 교육자는 제작자교육을 통해 구성주의와 디자인 사고를 활
용하면서 미디어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확장할 수 있다.
- 구성주의
"학습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물건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이
해를 구축 할 때 가장 잘 일어난다.”(Donaldson, 2014, 1면)
- 미디어 리터러시
각종 미디어를 사용, 분석, 비평, 평가, 창작하고,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와 지식을
획득, 이해, 공유, 확산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소통, 협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현대교육은 미디어 역량을 높이는 데 적합하지 않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전반적으
로 높아지려면 교육은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에 기반해야 한다.” (Media
smart)
제작자공방과 STE(A)M교육과 학교 공간의 변화
"제작자 공방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만들고, 발명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디자인하
고, 조작하고, 탐혐하고, 발견하고, 프로그램을 짜고, 건축하고, 공작을 하고, 그림
을 그리는 그 이상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첨단 기술 도구 및 재료를 이용하면서 각자 또는 공동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제작자공방은 STEA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예술, 수학) 같은 통합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이상적 기반이다. "
- 뉴질랜드 타우파키 학교, 제작자 공방, 킴바스(Kim Baars)
제작(기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인공지능(AI), 로봇, 자동화 등 급
변하는 첨단기술혁신과 기술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기
술 적응력, 기술적 창의력, 제작 경쟁력, 자기학습능력을 육성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
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미래기술의 진보와 사회변화는 학교에 새로운 교육적 과제(제작교육, 융합교육, 창
의교육)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 또한
요구 받고 있다.
학교 정보화 - 인텔리젼스 학교
편복도 교실의 리모델리아
사례 – 일본 외 지역
기존 학교의 층간 연결-아트리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1953년 지어진 스메토바르 마르코비치(Svetozar Marković) 초등학교 는 2017
년 과감한 리모델링을 시도했다. 이 학교는 기존 건물에 직각으로 새로운 건물을 증축하면서 건물의 접
합점에 지하에서부터 2층까지 수직으로 각 층을 연결하는 아트리움을 만들어 환기와 채광, 연결성과 개
방성을 개선했다.
편복도 교실이 편안하고 즐거운 리듬이 있는 공간으로
베를린의 에리카 만(Erika-Mann) 초등학교는 1915년 권위주의적인 교육 문화가 그대로 반영된 일
련의 편복도 교실형 학교로 건축되었다. 최근 이 옛 학교는 성공적으로 편복도 교실을 하루 종일 사
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겁고 리듬 있는 학습-생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대형 거울이 있는 복도와
다양한 용도의 공동 공간, 놀이 공간은 기존 교실을 터서 조성했다. 편복도 교실 형태가 많은 우리의
학교에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참조할만한 사례.
빈 교실을 수납 및 휴식 공간으로
복도에 유리 부착
빈 교실을 놀이공간으로
학교 공간에 관한 일본 서적들
1. 보통교실의 학습활동을 풍부하게 조성.
○ ICT 장비, 붙박이 학습 가구, 좌석의 배치에 변화를 주는 등 가능한 다양한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보통교실의 활용 범위를 확장한다.
2. 여러 분반에 걸쳐 바닥을 유연하게 사용. (가변, 연결, 유연 공간)
○ 보통 교실 + 다목적 공간, 소규모 학습 공간을 포함해서 교실 주위에 다양한 배움이 가능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거나 가변적인 장치를 마련한다.
3. 함께 또는 따로 흩어지는 공간 (보통교실+소규모 공간)
○ 수업 중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학습이 필요할 때 다른 학습 집단과 완전히 분리하지 않는 작은 공간
을 보통 교실의 근처에 마련한다.
4. 교과 학습의 매력을 향상시키는 교과교실 또는 교과센터
○ 교과실, 교과 미디어실, 교재실, 교사 공간, 과제 전시공간 등을 포함하는 교과센터와 교과거실을 조
성하여 교과학습의 집중도와 자발성, 매력을 높인다.
5. 다양한 체험과 제작이 가능한 다목적 특별교실
○ 실험, 실습, 창작 등 아이들의 자기 작업을 위한 범용성을 갖춘 특별교실을 교과교실과 별도로 구성
하여 운영할 때 각 교실의 활용도가 높아 지고, 학교 전체의 활기가 높아진다.
6. 언제든지 책이 손에 잡히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환경
○ 도서관을 어떤 교실에서도 이용하기 쉬운 학교 중심에 매력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고 더욱 활용을 도
모하여 각 교과 조사 학습의 활용이나 아이들의 자주적 ·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 할 수있다.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7. ICT 학습 활동 확산
○ 컴퓨터, 디지털 TV, 전자 칠판 등의 ICT 환경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때에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각 교과 수업에서 조사 학습과 관찰 · 실험 정리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8. 학습 결과물의 전시와 개방된 자료센터
○ 미술 교실과 과학 교실 등 특별 교실과 연결하여 교재와 아이들의 학습 작품이나 결과물을 전시하
는 장소로서 자료센터를 개방한다. 아이들에게 자료와 작품을 보여주므로 교과의 매력을 보여 줄 수
있고, 작품을 통해 관심과 주목을 받을 수 있어 자발적 학습을 자극 할 수있다.
9. 극적인 발표와 다목적 활동을 위한 광폭 대형 계단
○ 큰 계단 공간을 발표 및 토론 등 교육 활동에 활용하며, 개방적 공간에서 청중에게 자신의 생각과 작
품에 대해 발표하면서 표현력을 키운다.
10. 외국어에 더 친숙한 공간 조성
○ 보통 교실과 외국어 교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외국어 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
11. 아이들을 환대하는 학교 현관과 접근로
○ 학 등교하는 어린이와 선생님을 환대하는 느낌으로 교 현관과 주위 접근로를 디자인한다. 또한 이
곳이 선생님, 학생들의 기분 좋은 만남과 교류의 공간이 되게 한다.
12.학교에 만남의 장소를 조성
○ 복도와 학교 곳곳에 다른 반, 다른 학년의 어린이들이 서로 접촉하고 사회성을 익힐 수 있는 만남의
공간을 조성한다.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13. 편안한 화장실
○ 화장실, 급수대를 밝고 깨끗한 공간으로 , 사용하기 즐거운 장소로 조성한다.
14. 기능적이고 개방적인 교무실
○ 교무실을 선생님들이 휴식하고 수업을 준비하며, 선생님과 교류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되, 카운터
방식으로 개방하여 보다 쉽게 아이들이 선생님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조성, 라운지, 카운터, 상담
코너
15.화려한 무대와 공연장소
○ 음악 교실을 보통교실과 연계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서 배치하며, 음악 수업 시간뿐 아니라 쉬
는 시간이나 방과후 에도 불편이나 부담없이 연주하거나, 발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에 친밀감을
갖도록 여건 마련.
16.학생들의 '예술 작품' 전시 공간
○ 평소 자주 다니거나 모이는 복도나 홀 등을 아이들의 작품 전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반
을 설치하거나 벽 재료를 고려.
17.교내 어디에나 운동할 수 있는 공간 마련
○ 장소를 가리지 않고 부담없이 운동하며 놀 수 있도록 운동장이나 체육관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친밀한 장소에서도 몸을 움직이며 놀고, 운동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
18. 날씨에 상관없이 마음껏 운동 할 수있는 공간
○충분한 면적과 높이를 확보한 실내 체육관 또는 우천 시에도 이용할 수 있는 필로티 구조 하부 공
간을 운동, 활동 공간으로 조성
19. 텃밭, 식당, 조리실
○ 「요리」, 「먹는다」의 일련의 흐름을 체험 할 수 있도록 조리실, 식사 공간을 일체로 정비하고,
학교 텃밭 활동을 포함하여 식 문화의 포괄적 체험과 지식 제공 환경 조성
20.학교 전체를 환경 교육의 현장화
○ 생태, 에너지, 자원 절약 등 학교 전체를 환경 교육의 현장으로 조성
21. 눈부시지 않고 덥지 않은 교실
○ 교실을 반드시 남향으로 배치한다는 고정 관념에서 탈피하여 눈부시지 않고 안정되고 은은한 자
연채광이 들어오면서 햇볕에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22. 자연 통풍 · 환기를 활용한 교실
○ 통풍 · 환기를 위해 옥상까지 자연 환기구를 설치하거나, 자연 환기를 고려한 바람길, 바람 통로
유지.
23. 학교 건축에 목재를 적극 활용
○ 건물의 기둥 · 보 및 인테리어에 목재를 활용하여 따뜻함과 느낌있는 학습 · 생활 환경을 조성한
다. 특히 목재 등 지역에서 나온 목재의 활용은 지구 온난화 대책, 지역의 활성화, 문화의 계승으로
도 이어진다.
24. 학교 벽면, 옥상, 운동장 녹화
○ 운동장, 화단, 옥상, 학교 벽면 등 학교를 녹화한다. 학교를 보다 자연적이고 쾌적한 공간으로 만
들어 학생들의 건강에 기여. 또한 냉방 에너지 절약.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25.지역성을 살린 학교 디자인
○ 자연 환경과 지역의 전통 문화 등 학교의 역사와 기억을 배려하여 졸업생과 지역의 사람들 모
두 자부심과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학교로 디자인
26. 오랫동안 계속 사용하는 학교
○ 내력 구조 자체는 공고히 하되, 내부 비내력벽의 위치나 설비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배려
하여 교육 내용 · 방법의 변화와 학생 수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27. 지역에 열린 안전한 학교
○ 학교 시설을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개방하되 동시에 세밀한 배치를 통해 보안성을 고려한 복
합시설 학교를 조성하므로 지역과 연계를 강화하고 , 그 결과 지역 전체가 아이들을 보호하도록
여건을 조성한다.
28. 지역의 사람들을 위한 학교
○ 수업에 협력하고, 자원 봉사 활동을 하는 등 학교를 방문하는 지역민들을 위한 학교 내 공간을
마련하여, 자원봉사의 거점이 되는 동시에 폭 넓은 교류의 장소로 기능하게 한다.
29. 학교를 마을 만들기의 거점으로
○ 학교가 지역의 거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도록 특별 교실을 개방하거나 사회 교육
시설 (도서관, 문화센터 등), 노인시설, 유아시설, 피난장소, 행정기관 등을 포함하는 학교로 복합
화하여 평생학습, 지역사회문화 활동과 연계. (지방소멸, 인구감소, 고령화, 압축도시 영향)
30. 학교를 지역의 스포츠 거점으로
○ 학교 운동 시설을 지역에 개방하여 지역의 스포츠 거점으로 활용한다.

Mais conteúdo relacionado

Mais procurados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Seongwon Kim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Seongwon Kim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Seongwon Kim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Seongwon Kim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Seongwon Kim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Seongwon Kim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Seongwon Kim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eongwon Kim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Seongwon Kim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Seongwon Kim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eongwon Kim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Seongwon Kim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Seongwon Kim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Seongwon Kim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Seongwon Kim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Seongwon Kim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Seongwon Kim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Seongwon Kim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활 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Seongwon Kim
 

Mais procurados (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학교공간재구조화의 공간 요소별 사례와 운동장의 변화 0720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Understanding of modern school's learning space design
 
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Future green smart school
Future green smart school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현대교육학의 요구와 학습공간 모델 20230404.pdf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미래그린스마트학교 학습공간의 이해와 사례 (업그레이드 축약 버전)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학교 건축 디자인의 역사와 주요 사례.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그린스마트 미래학교의 이해 20221204 (22년 최종 보완수정).pdf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Space compositon and examples of future school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Design guide for learnning space renovation of green smart future school 20...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독일학교 건축 사전기획 분석 요약
 
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Sustainable green school
Sustainable green school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학교운동장의 재구조화와 사례들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미래학교의 교육개념과 중점교육 모델들 몇 가지.pdf
 
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Kindergarten space design
Kindergarten space design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마을의 공공장소와 공동체의 조건.pdf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도시 놀이터 네트워크와 다양성, 공동체 참여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와 사례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마을공동체와 도시공유지 텃밭놀이터
 
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학교시설관련법규
학교시설관련법규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자연주의 숲 놀이터에 대한 이해 20201207.pdf
 

Semelhante a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Seongwon Kim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Seongwon Kim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Seongwon Kim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Seongwon Kim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진 이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다운 이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Heekyung12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여성환경연대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hiiocks kim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Lally Jung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Jihyun Kim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cbs15min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경희 배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지현 김
 
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경희 배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Seongwon Kim
 

Semelhante a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18)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미래 학교의 학교 중심 공간, 광장형 공간의 사전 기획 사례와 사전 기획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학교 중심 공간의 사전기획 사례와 주안점에 대해-20240326.pptx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Template for school visioning and designing learning space
 
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Campus as  space services
Campus as space services
 
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미사교 보고서최종
미사교 보고서최종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Designing Childeren's Library of 20 years later
 
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보고서 진짜 최종
보고서 진짜 최종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서울시 학교농장 조성지원사례(2014)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20101218천개학교발제(조한)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정자중학교 학습효과 개선을 위한 서비스디자인 워크숍 결과 정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A+스타일 sbl로 배우는 한국사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우수한 교육정보 서비스 사례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세바시15분 융합과 창의의 미래형 교실을 만들자 - 김창호 삼천포초등학교 교사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
참교육학부모회<학부모신문282호>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My travel journal to et world2
 
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학부모신문 288호
학부모신문 288호
 
Gandhiphil
GandhiphilGandhiphil
Gandhiphil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마을교육공동체 공간 사례와 디자인 -김성원.pdf
 

Mais de Seongwon Kim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Seongwon Kim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Seongwon Kim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Seongwon Kim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Seongwon Kim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Seongwon Kim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Seongwon Kim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Seongwon Kim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Seongwon Kim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Seongwon Kim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Seongwon Kim
 

Mais de Seongwon Kim (13)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자전거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보행자친화도시와 마을을 위하여.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쌓기 워크숍 강의자료 20230127.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돌담 쌓기 자료 202201003.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예술주의 놀이터 운동.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기술놀이와 협력놀이-20220529.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도시의 풍경을 바꾸는 다양한 놀이터를 위하여 20201025.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공간에서 장소로(나의 장소만들기의 경험들).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21세기 도서관의 변화와 공간 디자인.pdf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독일 겔젠키르헨 행복학교의 사전기획 보고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보스턴 학교운동장 디자인 가이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옥스퍼드 대학의 영국 학교 건축 안내서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공간의 변화

  • 1. 일본 학교건축의 변천을 통해 살펴본 미래 학교 공간의 변화 서울혁신파크 옥상공유지 총괄 코디네이터 / 생활기술과 놀이 멋짓 연구소장 김 성원 (coffeetalk@naver.com)
  • 2. 일본은 근대교육 체제를 도입한 후 사회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면서 학교 건축에 다양성을 더해왔다. - 1872년 (메이지 5) 「학제」 발포로 근대 학교 설립 - 1890년 (메이지 23) 「학교시설준칙」 제정으로 학교 건축 표준화 - 1895 (메이지 28 년) 「학교 건축 도면 설명 및 설계 대요」 통풍, 채광을 위한 편복도교실의 정형화 - 1920년 (관동대지진) 목조에서 RC (철근 콘크리트) 구조로 전환, 특별교실(음악실, 이과실) 도입 - 1950년대 : 중학교에서 자주성을 중시하며 교과 교실 도입, 소학교는 여전히 획일적 교육 - 1960년대 해외 학교사례 연구 반영 시작 - 1970년대 영국에서 일어난 오픈스쿨 영향과 모색 - 1981(쇼와 56 년)에 신 내진 기준에 따라 시공 시작, 2017년 공립 초 중학교의 98.8 % 내진화 완료 - 1980년대 학교와 지역의 공존과 교류, 협력 의식을 반영한 지역의 마을 학교 개념 발생, 지역개방, 지역 이용 외부공간과 연계성과 일체감 강조 시작 - 1984년 일본문부과학성 ‘다목적 스페이스 보조제도’ 실시. 1985년 기본설계비보조 및 건축가 참여 허용 핵가족화로 인한 개성화, 창의교육 요구에 부합한 열린교실(소학교), 다목적 공간(중학교) 도입 1984~1994년 동안 3000 곳에 오픈스쿨(열린교실) 도입 실적 - 1990년대 소자화(小子化-인구감소), 복합화, 생예학습 대응 - 1996년 환경 고려한 학교시설 정비 - 1997년 에코스쿨 보조사업, 에코스쿨 플러스 사업 등으로 2016년까지 1660개교 시범사업 실시 지역 재해 시 피난 시설로 학교 이용 - 2000년대 학교 정보화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범, 친목 공간 도입 등 - 2001년 6월 오사카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살해사건 (23명 사상) 이후 방범 강화한 폐쇄형 학교 등장 - 2010년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 최근 : 인테리젼스 스쿨 (생애학습 반영, 정보화, 교육고도화, 학교시설복합화, 초중고 일관학교 등 포함) 일본 학교건축 변천
  • 3.
  • 4.
  • 5. 공간 변화 주제 배경과 이유 특별 교실, 교과 교실 다양성 교육, 자주성 교육 요구 반영 오픈스쿨 (열린교실, 다목적 공간) 개성화 교육을 위한 다양한 학습 활동과 학교생활 공간 필요 토론교육, 협력학습, 융합(STEAM) 교, 제작교육 등 교육 개혁 필요 반영 (다용도 교실, 여유교실, 집중장소, 활동 유형별 다목적 교실, 제작 스튜디오형 교실, 대형학습 블럭 등) 외부환경과 연계 아동 신체활동 촉진과 지역 자연환경과 조화 에코스쿨 기후위기, 에너지위기에 대응, 친환경적 학습공간 조성 요구 증가 쾌적한 학습-생활공간 등교거부 학생 증가, 양호실 등교 문제, 집 만큼 쾌적한 생활공간으로서 학교 공간 개선 안전 학교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상해사건, 화재, 지진에 대한 대비 개방학교->폐쇄 학교, 지역주민 관찰 결합한 인적 안전 결합 내진화 잦은 지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노후 학교에 대한 안전 보강 및 리모델링 필요 인텔리젼스 스쿨 (정보화) 4차 혁명, 인터넷, 모바일 미디어 영향력 확대로 교육모델 변화 학교정보화 (ICT, 네트워크, 디지털) 교육 고도화 필요 지역의 마을학교 지역사회와 학교협력, 학교시설의 지역개방 필요 목조 건축 (부드러운 건축) 지역 특산의 목재를 활용하고 특색을 드러내는 학교 건축 필요 향후 시설 수요 변화에 따른 변형, 이동, 철거 등 용이한 부드러운 건축 필요 학교시설복합화 인구감소, 고령화, 지방소멸, 재정축소, 학교통폐합, 재정악화로 지역 공공시설과 학교 통합, 지역사회와 협력 강화 필요 일본 학교공간 변화의 주제와 배경
  • 6. 일본의 학교 만들기 10대 과제 1. 집단 생활의 규칙을 배우고, 여러가지 체험이 가능한 생활 환경 2. 6년 간 확실한 배움을 지탱하는 교육 환경 3. 학습, 생활의 양면을 되묻는 교육 환경 (교과교육 효율과 자발적 학습을 위해 교과센터 , 교과미디어실, 교과 교사 스테이션 등 도입 ) 4. 학교와 학교의 부드러운 연결-제휴-통합 (초-중, 중-고 등 연령대가 다른 학생들의 공유 공간과 고기능 공간 - 인구감소와 압축도시화로 인한 학교통폐합 영향 5. 건학의 정신에 근거한 특색 있는 사립 학교 만들기 6. 종합적으로 계획된 학교 만들기의 기본 방침 7. 지역의 핵이 되는 학교 만들기 (지역소멸, 학교통폐합에 따라 학교와 지역 관계 재구축) 8. 방재 기능을 갖춘 학교 만들기 (지진, 화재, 폭우, 태풍 등 각종 재난 시 피난과 방재 거점) 9. 다양한 교육 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가구 10.디지털화를 토대로 한 학교 만들기와 시스템 제품의 개발 - 일본 교육환경연구소
  • 7. 오픈 스쿨 (다목적 공간, 열린교실, 학급생활공간, 생활복도, 교과교실, 보통교실, 특 별교실, 실습교실, 소 전이공간)
  • 8. 미래 인재상의 변화 인공지능, 자동화, 로봇,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의 급격한 발달은 인간에게 도전이 되고 있다. 미래 시대에 적합한 교육은 학생들을 지식의 생산자로 인정하고, 이들의 다양성, 개성을 개발하고, 자기주 도성을 함양하면서 협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또한 이론 전달 중심의 교육에 서 실제 생활 세계의 사실적 과제를 중시하는 교육이 중요해지고, 창조적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해진 다. 과목별 교육은 융합적 교육으로 전환해 나가고 있어 더더욱 교사간 협력이 중요해지고, 닫힌 교 실에서 개방적이며 다목적의 복합적인 공간으로 변화를 요구 받고 있다.
  • 9. 강의 5%, 독서 10%, 시청각 (미디어) 20%, 시연 30%, 토론 50%, 실행 75%, 상호교육 90% 따라서 학습공간도 일방적 강의 보다는 시연, 실행, 토론, 상호교육에 적합하게 조성. 토론(협력)학습과 학습유지 비율
  • 10. 학교 공간의 변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는 열린교실이다. 1950년대 영국에서는 집단 수업이 아닌 비공식적 교육활동 공간에 대한 검토와 1965년 이브린 로우 초등학교(Eveline Lowe Primary School)와 길몽토 초등학교(Guillemont Jinior School)의 실험을 거쳐 열린교실이 확산되 었다. 길몽토 초등학교는 열린교실을 보통교실, 홈베이스, 실습공간, 크고 작은 2개의 닫힌 방(시 청각, 어학 또는 타 용도), 야외 학습공간(테라스 또는 베란다) 등 요소를 하나의 유닛으로 결합한 학습 클러스터로 구성하였다. 홈베이스는 보통교실에 열려 있고, 연속성을 갖는다. 이후 열린교 실은 확산되면서 다양한 변형들이 이루어졌다. 일본은 1970년대 교육의 다양성을 수용하기 위해 열린교실을 도입했다. 여러 시행착오가 있었지 만 아이치현 히가시우라 오가와 초등학교나 토양마현 흐크미츠 중부초등학교, 기후현 이케다 초 등학교의 의욕적인 열린교실 실험의 성공에 힘입어 1984년 학교의 ‘다목적 공간 면적 보조제도’ 가 시작되었다. 일본에서는 영국이나 미국의 여러 유닛을 결합한 학습클러스터 보다는 학급별 보통교실에 인접한 열린(학습)공간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일반화했다. 열린교실 설치 사례가 증 가하는 가운데 학급(보통)교실+열린학습공간+작은 전이공간 또는 특별 공간을 조합하는 시도도 나타났다. 후쿠시마 현 미하루 쵸타치이와 초등학교(1985)는 열린학습공간에 일종의 은신처인 소규모 공간을 두어 아이들이 마음을 진정시키거나 계절별로 아이들이 꾸밀 수 있는 공간을 마 련했다. 치바 우타세토중학교(1995)는 보통교실+열린학습공간에 더해서 알코브 작업공간, 도서 공간, 테라스 등 보다 다양한 공간적 요소를 추가해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유도했다. 오픈 스쿨 (열린교실) 이란?
  • 12. 2002년부터 일본은 공립초등학교에서 교과 간 벽을 없애는 '종합학습'이 본격 도입되면서 진도별 그룹학습이나 학년 전체 워크숍 등 학급 간 벽을 허무는 교육을 전국적로 확산했다, 초등학교에서 는 개방감, 유연한 학습, 생활공간화 등을 위해 열린교실을 구성하는 데 보통 기존 편복도교실에서 교실과 복도 사이의 벽을 개방하고, 복도를 확장하여 생활학습공간화 하는 사례가 많다. 이를 구현 하는 방식도 다양하다. 완전개방, 붙박이 선반을 활용한 반 개방, 이동식 책장이나 학습가구를 이 용한 가변 개방, 미닫이 문이나 접이식 문(단 투명창 활용 개방감 유지)을 활용한 가변 개방 등 다 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다. 또한 저학년과 고학년의 열린교실을 다르게 구현하고 있다. 저학년은 생활안정감에 초점을 맞추고, 고학년은 자발학습, 토론, 그룹별 학습 및 보다 다양한 학습활동 지 원에 초점을 맞추는 등 교육 내용, 신체 조건, 학습 유발 요소, 행동 패턴 등을 고려해서 학습 가구 를 배치하는 열린교실을 구현하는 사례가 속속 등장했다. 저학년 : (목적) 개방감, 유연한 학습, 생활안정감을 주는 생활공간화 (수단) 교실과 복도 사이 벽 개방, 복도 확장 고학년 : (목적) 자발학습, 토론학습, 협력학습, 다양성 확대 (수단) 열린 교실 조건에서 학습가구 재배치 오픈 스쿨 (열린교실)의 적용 (소학교)
  • 13. 일본의 중학교는 특별 교실형 운영방식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여기에 자율적인 학습자세 육성, 교 과학습 내실화 등을 꾀하기 위해 교과교실형을 채택하는 사례가 1980년대부터 나타났다. 1991년 후쿠시마현 미하루 사쿠라중학교의 사례가 전국적으로 알려지며 교과교실형 운영이 주목을 끌었 다. 교과교실형 운영 시 잦은 이동학습에 의한 귀속감이 약화될 수 있어 식당에 학급 단위로 함께 앉을 수 있는 큰 테이블과 보관함을 둔 홈베이스를 학급의 생활전용 공간으로 마련하기도 했다. 아 키타 고등학교, 이와테현 이와이즈미초 타나카 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교과교실형을 보완하기 위 해 좀 더 본격적인 홈베이스라는 학급생활전용 공간이 마련되었다. 학급교실+특별교실형 중학교인 후쿠시마 야부키 중학교는 보통교실에 수납(로커) 공간을 인접시 키고, 특별한 벤치 공간이나 전이 공간을 두어 수업과 생활 공간으로서 분위기를 결합하고자 했다. 교과교실형 + 홈베이스(귀속감을 주는 생활전용 공간) 특별교실형 + 보통교실(수납공간 인접, 특별한 벤치, 전이 공간을 결합한 생활공간화) 오픈 스쿨 (열린교실)의 적용 (중학교)
  • 14. 요코하마 코호 초등학교의 벽 없는 교실 일본 가나가와 현 요코하마시립 코호 초등학교(横浜市小中学校)는 2001년 다각화된 학습에 대응하기 위해 교실 공간을 리모델링했다. 이 학교가 선택한 방법은 교실의 복도쪽 벽을 개방 하는 것이었다. 이 학교 교실에는 복도쪽 문도 창문도 없다. 대신 목재를 최대한 이용한 효율 적인 교실가구를 도입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초기에는 빈 교실을 이용해서 개방 교실을 실험 한 후 확대했다. 코호 초등학교는 리모델링 후 2002년 일본목재청장년단체 연합회 인테리어 부문상, 2006년 어린이환경학회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 19. 학급생활공간-홈 베이스 교과교실 운영 시 학급학생들의 귀속감을 갖도록 홈베이스를 학급생활공간으로 조성
  • 20. 다용도 광폭 계단 – 개방적이고 극적인 학습공간 경험의 제공 다용도 광폭 계단은 수업, 발표, 공연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대개는 학교 로비나 홀에서 2~3층으로 연결되는 중앙계단에 설치하는 경우가 있지만 별도의 이동식 다용도 광폭 계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런한 구조는 집중력을 높이고 공간에 대한 감각을 높이고 활동을 촉진한다.
  • 21. 생활-학습 복도 ‘열린교실’ 정책으로 일부 학교에 폭 넓은 복도가 조성되었다. 복도와 교실 바닥을 거실마루처럼 꾸며 서 학습 , 놀이, 교류,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생활, 활동 공간으로 활용한다. 보다 다양한 학교 내 생활과 활동, 학습을 위해 단지 복도의 폭만 넓히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다. 복도는 어떻게 조성하느 냐에 따라 놀이공간, 휴식 공간, 모임공간, 학습공간, 수납공간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22. 복도를 소규모 학습공간으로 활용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学小学
  • 23.
  • 24. 에코 스쿨 (외부환경과 연계, 야외 테라스 회랑, 주변 자연과 조화, 자연환기 와 채광, 차양 옥상녹화, 비오톱, 태양광, 바람탑, 지중열, 중정 투명 천정, 벽면녹화, 창호단열, 쾌적한 생활공간화, 다양한 놀이활동 공 간)
  • 25. 일본의 에코 스쿨 환경 부하를 저감하고, 자연과 공생하도록 학교시설을 환경교육의 실제 교재이자 현장이 되게 하 려는 사업이 에코스쿨이다. 학교가 학생 뿐 아니라 지역 사회에서 환경·에너지 교육의 거점이자, 지역에서 지구 온난화 대책을 추진하는 선도가 되게 하는 데 목표가 있다. 추진 실적이 대단한데 1997년~2016년도 사이 총 1663개 에코스쿨이 시범사업으로 인정되었다. 에코스쿨 플러스 사업은 2019 년에 47 개교가 인정받았다. 거의 20여 년 동안 지속적으로 에코스쿨 사업이 추진된 것을 알 수 있다. 에코스쿨사업을 위한 보조제도가 단지 문부성 예산으로만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농림수산성 임업 분야, 국토교통성 예산이 결합된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공립학교는 문부성에서 에코스쿨 플러 스 보조제도, 태양광 발전 도입에 관한 보조제도로, 사립대학은 에코 캠퍼스 추진사업으로, 농림수 산성 임업 분야에서 차세대 임업 기반 조성 교부금으로 목재를 활용한 학교 신개축을 지원한다. 국 토교통성은 지속가능한 건축물 선도사업으로 에코스쿨을 보조한다. 문부성은 에코스쿨을 만드는 데 있어 세가지 점에 유의한다. 관심을 끄는 것은 시설 정비에 있어 ' 부드러운 건축'을 강조한 점이다. 이는 지역 산지의 목재를 적극 활용하여 임업을 활성화시키고 RC(강화콘크리트) 구조를 탈피하려는 시도다. 그리고, 인구의 감소, 지역소멸 등 여러 상황에서 학 교의 철거, 재생, 통폐합, 이전 등 목구조가 더 편리하고, 가변성이 있어 경제적이라는 판단을 하는 듯 하다. - 시설면 : 부드러운 건축 · 학습-생활 공간으로 건강하고 쾌적하게/ 주변 자연 환경과 조화로운 학교 / 환경 부하 저감 - 운영면 : 오랜 동안 경제적으로 사용 내구성과 유연성을 배려 / 자연 에너지를 활용 / 낭비없이 효율적으로 사용. - 교육면 : 환경 학습에 활용 일본의 에코스쿨은 단지 태양광 시설만 두는 것이 아니라 자연환기, 윈드캐쳐, 태양굴뚝, 자연채광 과 녹색 차양, 옥상녹화, 빗물 활용, 비오톱 조성 등 다각적으로 학교시설을 정비한다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기반한 환경교육에 노력하고 있다. 예산이 적은 경우 간단한 시설의 경우 적
  • 26.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에코 스쿨 사례로 오구치 미나니 초등학교(大口町立大口南小学校)는 문부성의 지침을 어떻게 적용 하고 있는 지를 잘 보여준다. I.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부드러운 건축 (1) 아동 친화적 환경을 자연 통풍 + 일사 차폐 → 여름 시원한 학교로 / 고 단열 화 + 겨울 햇볕 온기 이용 → 겨울 따뜻한 교 사에 안뜰의 유리 지붕 마당과 자연 채광 / 나무의 온기가 느껴지는 인테리어 / 자연을 가까이 느낄 수 있는 야외 작업 테라스와 안뜰, 비오톱 (2) 지역 친화적 환경을 · 학교 건물의 저층화로 경관과 조화, / 주변에 햇빛을 완화할 수 있는 구조 / 운동장의 모래 비산 방지 빗물 저장조 및 투수성 포장으로 하수 부하 저감 (3) 에너지 저감 · 자연 에너지 이용 및 고효율 기기 --> 에너지, CO 2 배출량의 저감 / 목재 등 천연 소재 사용
  • 27.
  • 28.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II. 경제성, 지속성 (1) 사회변동,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건물을 오래 쓸 수 있도록 - 가변 칸막이, 가변 가구를 사용하여 학습 형태 변화에 대응 - 비내력 내부 간벽을 건식화하여 공간 이용 변화에 대응 - 콘크리트 바닥이 아닌 철강 바닥조 사용하여 가변성을 더함. / 목재 적극 채용 (2) 자연에너지 활용 · 바람 탑을 활용하여 자연 통풍을 촉진 / 안뜰의 자연 채광, 자연 환기의 촉진 / 태양광 패널 설치 - 지열을 활용한 냉난방 공조기 / 풍력발전 가로등 설치 / 빗물저수조와 빗물의 중수활용 (3) 스마트 기능 적용 · LED 조명과 조도 센서, 동작 센서 / 절수형 물 이용기구 / 적절한 공조 구역과 열교환기 채용 · 중앙 조명이나 공조를 교무실에서 집중 관리 / 불필요한 설정 온도 조작 방지
  • 29.
  • 30.
  • 32.
  • 33. 오구치 미나미 초등학교 사례 에코 스쿨 사례로 오구치 미나니 초등학교(大口町立大口南小学校)는 문부성의 지침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는 지를 잘 보여준다. III. 환경학습에 활용 (1) 아동 환경 학습 계획 □ 시각적 메시지 · 각 학년마다 환경 전광판을 설치하여 태양광 발전량과 각방 실내 온도 에어컨 사용량 등을 표 시 □ 감각적 전달 자연 통풍 · 자연 채광을 체감할 수 있도록 하고 , 냉난방 공조기 배관에 온도계 부착 □ 생산 ·자가 발전식 자동화 설비 및 사람 진동에 의해 발전하는 발전 마루 도입 (2) 지역 사람들의 환경, 에너지 의식 향상 계획 · 에코 패널을 승강구와 각 학년 구간에 설치하여 지역민들이 환경, 에너지 문제를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태양광 패널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풍력 발전 외부 조명(LED 조명) 시설 설치
  • 34.
  • 35. 도요타 시립 바시 소학교의 에코 혁신 토요타 바시 초등학교에서는 창문 일사 차폐 루버 설치, 단열 보강, 에너지 절약기구, 태양광 패널, 바 람탑(Wind Catcher), 녹색커튼 등을 설치했다. 그 결과 년간 에너지 소비량은 이전에 비해 60 % 정도 CO 2 발생을 절감했다. 시설의 정비와 더불어 바시 초등학교에서는 환경 교육과 적절한 시설 운용을 실천에 주력한 결과다. 그리고, 이 학교를 에너지와 생태학습의 현장으로 바꾸었다. - 교직원 + 디자이너 워크숍/ 교사의 에코 체험 학습 / 바람탑 구조 배우기 / 어린이 에코 가이드 - 에너지, 환경 관련 연간 학습 계획 작성 / 조도의 조절 체감
  • 37.
  • 40. 개별 교실에서 각각 테라스 복도 또는 운동장 으로 바로 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체적 활동 촉진 데이쿄대학초등학교(帝京大学小学校)
  • 43. 외부(야외, 지역사회)로 열려 있는 요추카이도 사츠키 유치원 일본의 문부과학성은 2010년 6월 유치원 시설을 위한 기초 디자인 가이드에서 소개하고 있는 대표 적인 유치원 5곳 중 한 곳. 이 유치원의 디자인의 목적은 명확하다. 1. 다양한 삶의 경험을 위한 환경 디자인 2. 아동의 신체적 개발을 위한 공간 제공 3. 유치원과 가족, 지역 사이의 결속을 강화할 수 있는 시설 4. 다양한 활동과 주변으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 교사의 여러 곳에 야외로 바로 연결되는 입출입구가 있고, 강당의 무대 뒷편은 야외로 열려 있다. 지 역 행사 때는 마당이 객석이 된다.
  • 44. 차양이 있는 긴 테라스는 이동 동선이 되고 야외 활동을 더욱 촉진시킨다.
  • 45. 카와카미 촌립 카와카미 중학교(川上村立川上中学校 )
  • 46. 학교의 중심 생활공간- 아트리움 학교의 가족들은 누구일까? 교직원, 학생,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 이웃들을 환대하고, 자연스럽게 교류 하고, 다양한 사회적 생활을 누릴 수 있는 공간을 어떻게 학교에 마련할 수 있을까? 로비 또는 홀에 중공 공간을 만들어 각 층을 연결하거나, 때로는 기존 건물들을 이어 조성한 아트리움(중정)은 학교 내 새로운 생활과 활동공간을 제공할 뿐 아니라 채광, 환기, 에너지 효율을 증대할 뿐 아니라 새로운 동선을 제공하 는 기반이 된다.
  • 47.
  • 48. 사각 지대없는 ‘큰 집’ 같 은 배움터 西南学院小学校는 규슈를 대표하는 유서 깊은 학교 법인인 西南学院이 초등학교를 신설하며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사각지대가 없는 "큰 집" 과 같은 배움터를 목표로 삼았다. 보통 교실, 예배당, 체육관, 도서관, 교무실 등 학교 생활의 핵심 공간들 을 중정 아트리움의 순환동선에 배 치했다. 또한 층고를 낮게 하되, 열 린 공간을 층마다 다시 두어 안정감 과 개방감의 균형을 만들고, 공간 적으로 상하 층의 교류를 촉진시켰 다. 아트리움 중앙의 큰 계단은 어 디서나 볼 수 있으며, 이곳에서 합 창, 공연, 념 촬영, 발표 등 다양한 행사가 벌어진다.
  • 49. 미국과 캐나다 정부와 교육부서, 놀이 활동가들 사이에서 가장 자주 사용하는 유행어는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다. 신체적 리터러시는 1993년 마가렛 화이트헤드 박사가 호주 멜버른에서 개최된 여성과 소녀들을 위한 체육교육과 스포츠 국제 협회에서 발표한 개념. 놀이의 신체적 리터러시(Physical Literacy)를 좀 더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보조 개념은 ‘움직임 어휘력(Movement vocabulary)’이다. 이것은 몸짓 (소통)언어, 신체적 이동 기술 , 움직임, 운동 기술 뿐 아니라 신체적 활동이 이뤄지는 다양한 환경과 조건에 대한 독해 력과 판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요즘 아이들은 점차 스마트폰과 가상 게임에 지나치게 빠져 신체적 문맹률이 높아지고 있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놀이공간과 환경, 놀이 재료들 을 탐색하고, 만져보고,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상황을 판단한다. 이러한 공간적, 물 질적 또는 몸을 통해 체감하며 파악하는 물리적 이해력을 신체적 리터러시는 포함하고 있 다. 신체적 리터러시의 한 측면이 환경에 대한 이해라면 또 다른 측면은 신체 사용능력이다. 이것은 기본적인 이동기술, 달리기, 몰고 가기(농구에서 드리블), 도약, 등반, 건너뛰기, 포복, 깡충깡충 뛰기, 스케이팅, 몸 펴기(Stretching), 수영, 정지, 회전, 던지기, 받기, (공) 차기, (야구 공) 치기 등 다양한 운동기술, 신체의 미세조작 기술, 균형 능력, 자극에 대한 민첩성, 근력, 지구력 등을 포함한다. 신체적 능력이 발달하는 과정에서 놀이에 종종 수 반되는 경쟁과 도전은 신체 사용능력을 키우는 데 자극과 동기를 부여한다. 이 과정에서 신체적 리터러시가 발달한 아이들은 자신감, 자존감, 지도력을 얻게 된다. 놀이와 신체적 리터러시
  • 51. 안전 학교 (내진화, 화재 안전, 방범 안전, 노후시설 개선)
  • 52.
  • 53.
  • 54. 교실 밖 창문 테라스 – 일본의 학교건축 기준 개 정
  • 55. 학교 시설의 방범 대책 이케다교대부속소학교 상해사건 등 사회적 문제가 된 학교 범죄 발생 이후 학교 시설의 방범 안전 대책이 강화되었다. 아동 학생의 안전 확보를 위해 먼저 범죄 기도자의 침입을 통제하기 위해 방범 카메라, 정문 인터폰 설치, 전자자물쇠, 경보기 등 시설의 정비, 직원실, 관리실 배치와 부지 내외에서 전망의 확보에 유의할 뿐 아니라, 방범 매뉴얼의 정비, 지역 주민과의 연계 등 소프트 하드 양면을 염두에 두 고 있다. 공간 시설면에서 주목할 점은 학교 부지 내외의 전망을 개선하고, '사람의 눈'을 확보하는 것에 중점 을 두어 사각 지대를 없애는 등 연구와 개선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전망을 해치는 관목이나 담 장을 철거하고 투과성이 높은 울타리로 교체하거나, 교무실이나 교장실, 경비실 등의 창을 대형 투명 유리로 변경하거나, 건물의 개축 · 보수와 함께 행정실, 교무실 등 1 층 아동 승강구가 보이는 위치로 이동 배치한 예도 볼 수 있다.
  • 56. 시설복합화를 할 때 사각지대를 없애고 ‘지켜보는 사람들의 시선’을 고려한다.
  • 57. 노후 학교시설의 리모델링 일본의 초 중학교는 1965 년대 후반부터 학생 수의 급증 시기에 많이 정비되었다. 즉, 지금 일본에 있는 학교 건물의 대부분은 현재 40 세 전후인 "아라포"세대를 위해 지어졌다. 학교 시설의 평균 개축 주기는 약 42 년 정도인데, 1969 년 경 건축 된 학교들이 노후화로 개축 대 상이 되었다. 일본 학교의 건축은 1956~1977 년이 피크였다. 가까운 장래에 이러한 학교들 에 대한 노후 대책에 막대한 비용이 필요하다. 일본 문부성은 '장기수명화 재생' 전략에 따라 기존 골조를 보강하고 비내력벽의 공간 가변성을 더하는 등 미래 교육목표에 맞게 개선하거 나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일본의 몇몇 사례들을 보면 병렬 배치된 교사 사이의 공간을 아트리움, 아트리에로 바꾸고 상부에 배기구를 두어 스텍 효과에 의한 자연환기를 유도하기도 하고 생활공간화 한다. 기존 노후학교의 일반 형태인 편복도교실의 공간적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교실 창밖으로 테 라스 회랑을 부착하여 외부 활동 및 이동 공간을 확보하거나 차양 역할을 하게 한다. 과감히 기존 복도를 확장하는 경우도 있다. 이뿐 아니다. 교실과 복도, 때로는 교실과 테라스 회랑의 간벽을 없애고 접이식 창호나 미닫이 창호로 대체하기도한다.
  • 58. 센다이시 립포 마치 초등학교(仙台市立蒲町小学
  • 60.
  • 61. 마을 학교 (지역개방, 지역활용, 학교시설복합화, 학교통합(일관학교), 지역특성 반영한 목 조)
  • 62. 스크울 레볼루션의 저자이자 일본 학교 건축의 거 목인 나가사와 사토루 교수의 발언 "학교는 본래 지역의 문화를 전하는 장소이자, 지역 에서 사는 법을 가르치는 장소였다." 나가사와 사토루 교수는 학교 공간 변화에 대해 세 가지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첫째는 '아이들의 협력' 서로의 의견과 존재를 인정 하고, 교류하며 함께 자라도록 하는 것이다. 자신의 의견이 받아 들여지는 학습의 기쁨이 자신감으로 이어진다. 둘째, '교사의 협력'이다.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 뿐 아니라 학교가 지향하는 교육 목표를 공유하면서 협력하여 아이를 키워 가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학 교는 교사가 협력하여 조직으로 움직이기 시작하면 큰 변혁을 이뤄낼 수 있다. 셋째는 ‘지역 공동체와 학교의 협력'이다. 지역을 기 반으로 '배움의 공동체 양육의 공동체 ’가 되어야 한 다. “
  • 63. 지역과 학교건축의 변화 - 목재 적극 활용 일본의 학교건축은 (1990년대부터 소자화(小子化-인구감소), 복합화, 생예학습 대응) 최근 지역과 연 계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크게 3가지 점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지역의 재료(특히 목재)를 활용한 학교건축 - 지역의 풍토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상징으로서 학교건축 - 학교건축, 운영에 있어 지역민의 참여와 시설복합화 오이타현 분고오노 시 아사지 소학교-중학교(大分県豊後大野市立朝地小学校・中学 校)는 지역 만들기의 상징으로 건축되었다. 학교는 지역에서 생산되는 나무를 사용하 여 목조로 지어졌다. 지역의 목조 문화를 재인식하고 향토에 대한 이해와 애착심을 키 우기 위해서다. 아사지 학교처럼 학교를 신축 또는 증축하면서 목조로 짓는 경우가 많 은 데 이는 일본 문부성의 적극적인 지원과 정책에 힘 입은 바 크다.(2010년 「공공 건축물 등에 있어서 목재의 이용 촉진에 관한 법률 」 제정. 이뿐 아니다. 농림수산성 도 차세대 임업 기반 조성 교부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목조 학교는 지역 자원의 활용 의미도 있지만 무엇보다 목조건축물의 내진성을 높인 목조 결구법 등 건축기법이 충 분히 발달했을 뿐 아니라, 목조의 취약점인 화재에 대비하여 목구조에서 내화, 방화, 화재 확산 차단 방법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 64.
  • 65.
  • 66. 길이 학교를 가로지르는, 장식구슬발 목구조 학교 큐슈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시립 야마가 초등학교 (山鹿市立 山鹿小学校) 설계에 참여했는데 이 학 교 건축은 2014년 독특한 대형 목조 건축으로 JIA 일본 건축 대상을 수상했다. 야마가시는 본래 목 재자원이 풍부한 산촌으로 온천과 삼나무의 여왕으로 불리는 백향목으로 유명하다. 야마가 학교 건 축은 바로 이 삼나무를 사용했다. 바닥변적이 9,000㎡ 에 이르는 대규모 프로젝트에 집성공학목재 가 아닌 통나무를 그대로 사용했다. 넓은 공간을 치받치 가로지를 굵은 통나무를 구하기 어려워 작 은 직경의 목재로 폭 넓은 공간을 받치기 위해 장식구슬발 구조(南京玉すだれ構造)법을 활용했다. 장식구슬발 구조는 105mm 직경이 작은 목재만으로도 조금씩 각도를 바꾼 선재가 무수히 이어 가 교를 짜고, 폭이 8m 정도인 보통 교실을 문제없이 가로지를 수 있다. 체육관처럼 더 넓은 공간은 좀 더 직경이 큰 목재를 사용했지만 역시 이 장식구슬발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장식구슬발 구조의 특징은 작은 직경의 목재로도 폭 넓은 건물의 구조를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목구조의 아름다운 구 조미를 드러낼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 학교 건축에서 전통적인 RC(철근을 넣은 강화 콘크리트) 구 조는 단지 상자 모양을 만들 뿐이다. 야마가 초등학교 건축에서 눈에 띄는 점은 목구조 뿐 아니다. 느긋한 박공의 단층 건물들이 통으로 연결되지 않고, 구분되면서도 나란히 병렬로 배치된 점이다. 이러한 구분과 배치는 목재건축에서 방화대책을 위한 조치이기도 하다. 부지 전체는 남북으로 크게 세분하고 가장 북쪽 블록에는 체육 관과 음악 홀, 도서관, 가정과 교실, 급식 동 등 시설을 배치했다. 그 남쪽에는 「배움의 가도 '라고 부르는 넓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중앙 블록에는 2 층 고학년 보통 교실과 "표현의 무대'라고 부르는 계단 교실, 관리동 등이 줄 지어있다. 남쪽으로는 '배움의 들판」라고 이름 붙인 우거진 정원이 있고, 이것을 끼우는 형태로 단층 저학년 동이나 도공 생활과 실, 특별 지원 학급이 이어진다. 운동장은 학교 부지의 동쪽에 인접해 있다. 흥미로운 점은 학교 건물 사이를 지나는 「배움의 가도」는 외부에 널리 개방되어 생활 도로로 사용 된다는 사실이다. 이곳을 시민들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다. 원래 예전부터 야마가 학교는 이런 생 활 도로가 학교 사이를 관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원럐 마을 신사가 담 없이 학교와 연결되어 있었
  • 67.
  • 68.
  • 69.
  • 70.
  • 71.
  • 72. 일본의 학교시설복합화 방향 “학교는 지역 아동성장의 장이 며, 지역 활동의 무대이기도 합 니다. 또한 지역 주민의 평생 학 습관이며 고령자의 삶의 보람을 만들어내는 장소가 됩니다.” 일본의 학교는 학교교육에 있어 아동청소년들의 ‘학습’, ‘생활’, ‘ 클럽활동’을 지원하고, 지역활동과 연계하여 지역민에 대한 ‘사회교육’, ‘사회체육’ ‘학 교지원’, ‘자원봉사 활동’, ‘행사’ 를 수용하는 공간이자, 지역재난 시 ‘피난소’, ‘피난훈련 장, 지역거점’으로 역할을 수행 하는 공간으로서 지역사회에 개 방하고, 복합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다. 일본 교육공간건축연구회
  • 73. 교토 오이케시립중학교 사례 고령화, 인구감소, 지역소멸, 압축도시, 지자체 재정악화, 도심 부지확보 어려움 등 여러가지 이 유로 일본의 경우 학교시설복합화가 곳곳에서 진행되고 있다. 교토 오이케시립중학교(京都御池 中学校)의 사례는 상상 이상이었다. 학교건물에 상업시설, 보육원, 시민교육센터, 노인복지시설, 방재비축창고, 건물관리회사 까지 들어와 있다. 학교시설복합화는 단지 교육부처의 문제가 아 니라 지역소멸, 압축도시 전략에 기반해서 아베 내각 차원에서 진행하고 있고, 학교시설복합화 시설정비과라는 부서도 따로 두고 있다. 1. 초등학교와 중학교 통합 - 일관학교 2. 학교와 통합된 복합시설 ① 보육원 / ② 노인 복지 시설 (데이 케어 센터) / ③ 교육 센터 (일종의 문화센터) / ④ 상업 시 설 ⑤ 방재 비축 창고 /⑥ 빌딩 관리 회사 상이한 시설을 배치할 때는 몇 가지 원칙이 있었다. - 각 시설은 출입구 · 동선을 명확하게 나누어 배치 / 보육원과 노인복지시설은 운동장에 접해서 배치 (아동 · 학생의 체육 수업이나 동아리 활동 등의 모습을 가까이서 볼 수 있다. ) - 상업 시설은 도로변에 접해 배치.(인도 레스토랑의 야외 테라스 석을 마련하는 등, 거리의 활기 ) 이러한 시설 복합화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고 밝히고 있다. - 기존 방식에 비해 시설 정비 · 유지 관리 비용이 30 % 감축. - 설계에서 유지 관리까지 일괄 발주에 의한 효율적인 사업 실시. - 복합 시설의 24 시간 관리 체제 · 정기적 모니터링을 포함 - 안심 효율적인 유지 관리. - 세대 간 교류와 활기의 창출 초중고 일관 교육의 실현.
  • 74.
  • 75.
  • 76.
  • 77. 후쿠오카 [하카타 초등학교] 일본에서 학교 디자인의 변화는 인구감소, 지역소멸, 압축도시, 학교통폐합 등의 이슈와 무관 하지 않다. 이때 학교통폐합은 아주 민감하고 복잡하다. 이러한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한 것 으로 평가받는 일본의 학교 중 한 곳인 후쿠오카의 하카타 초등학교. 4개 교구 학교의 통폐합 이후 벌써 10년이 지났다. 초기 통폐합의 저항감은 뿌리 깊었다. 각 지역의 경쟁의식과 지역 학교 폐쇄에 대한 상실감 등으로 통폐합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통폐합 과정에서 규모가 큰 새로운 학교를 지어야했는데 이때 학교건축 디자인을 공모했다. 공모에서 건축가 쿠도 카즈미의 제안이 선택되었다. 그는 "학교는 마을, 마을 학교 '라는 컨셉 과 '열린 교실'을 핵심으로 새로운 통폐합 초등학교를 제안했다. 그 동안 일본의 많은 학교 건 물은 국가 표준 설계서에 준하여 북측에 복도, 남쪽 교실인 똑 같은 형태였다. '열린 교실'은 교 실의 경계 벽을 없애고 학급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배움의 장을 제공했다. 초기에는 많은 우려 와 저항감이 있었으나 상상 이상으로 아이들의 자유, 자율성이 발휘되어 당초의 우려는 불식 되었다. 카페의 백색 소음 속에서 집중이 잘 되 듯, 열린 공간의 개방된 시야, 소음 속에서 긍정 적인 변화들이 일어났다. '열린 교실'에서는 어린이 자신이 참여하여 팀에서 수업을 하고 있다 는 느낌을 갖게 되고 오히려 소음에 신경쓰고 수업에 집중하게 되었다. 교사의 의식도 변했다. 초기에는 옆 반의 수업 소리나 자신의 지도활동이 타 교사에 보이는 것에 신경을 썼지만 점점 익숙하게 되고, 교사끼리 적당한 긴장감을 만들어내고, 다양한 지도방침을 융합하게 되면서 ' 열린 학교'에서 수업 노하우는 지금까지 계속 전수되고 있다. 아쉽게도 한국의 학교에 1996년 시범적으로 몇몇 학교에 도입되었던 '열린 교실'은 현장의 저 항으로 제대로 운영되지 못했다.
  • 78.
  • 79. 도서관, 음악실, 식당 등을 지역 주민들에게 개방 할 수 있도록 배치) 학부모, 강사, 지역민 대기실 마련 시설의 회유성 확보 (교사동 · 체육관 · 공민관 2 층 갑판으로 연결)
  • 80.
  • 81.
  • 82.
  • 83.
  • 84. 학교와 시민공원의 통합 도쿄 스기나미 제10 소학교는 지역의 시민공원과 학교를 공간적으로 통합했다. 운동장 은 공원 숲 속의 일부처럼 보인다. 공원과 학교 운동장 사이에 담은 없다. 학교 수영장은 지역스포츠센터 시민수영장과 통합하여 운영한다. 지역공동체와 학교의 연결성을 높이 기 위한 시도 중 하나다.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숲에서 놀고 숲을 관찰하고, 시민들도 아 이들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켜본다. 점점 더 지역공동체에서 공공시설과 학교의 중요 성이 커진다.
  • 85.
  • 86. 미래 학교 (인텔리젼스 스쿨, ICT, 네트워크화, 디지털화, 미디어 리터러시)
  • 87. 미래 학교 공간의 변화 동서양을 막론하고 가장 많은 학교가 1차, 2차 대전 후 도시재건과 베이비붐 시기였던 1950년대부 터 1980년대 사이에 지어졌다. 특히 1950~1960년대 세워진 기존 학교의 교실은 일방적인 지식전달 방식의 학습 모델에 맞게 만들어졌다. 학생들은 줄 지어 배치된 책상과 걸상에 앉아서 듣기만 해야 했고, 유연성이 부족했다. 우리는 미래교육에 대해 생각할 때 교실을 분리할 수 없다. 교육계 많은 사 람들은 지난 40년간 교육에서 확연한 변화가 있었다고 말한다. 그럼에도 왜 신축학교 조차 낡은 근 대적 교실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까? 많은 교사들은 유연성은 그저 넓은 공간의 큰 상자 같은 교실 이면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다른 형태의 학습상자, 즉 교실이 필요하다. 컴퓨터, 인터넷, 모바일, 인공지능 기반 검색, 유튜브 등 기술은 학생들이 지식을 습득하고, 일하는 방식을 확연하게 바꾸고 있다. 학생들은 좀 더 주체적으로 결정하고, 학습을 주도하고, 서로 협력하 며 연구하고, 만들고, 학습 과목을 넘나들며 지식을 융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활동과 학습이 기존 의 커다란 학습 상자 안에서 가능할까? 많은 교육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자 극하기 위해 교육학과 공간을 연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제 보다 유연한 학습을 위해 유연 하고 복합적인 학습 허브 또는 학습 스튜디오로 교실이 바뀌어야 한다. ** 21C 학교에서 학습의 특징 - 지식의 암송과 저장이 아니라 지식의 창조적 생산을 포함해야 한다. - 학습은 개인의 경쟁적인 공부가 아니라 여럿이 함께 하는 협력적 실천으로 바뀌며 소속감을 갖게 한다. - 학습은 실제 세계의 문제 또는 맥락과 연결되며 과목을 넘어 융합된다. ** 현대적인 학습 공간 6개 분야 - 학습공간 / 교사와 학생 지원 공간 / 학습 가구 / 환경 (소리, 채광, 환기, 온도, 건축물에 구현된 지 식 등등) / 접근성 / 교류공간
  • 88. 다양한 형태의 학습생활공간 학교에는 지식전달을 위한 교실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상담, 소통과 교류, 창작, 토의와 의사결정, 발 표, 전시, 휴식, 놀이 등 다양한 활동과 학습 공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주장은 최근 학교 공간 디자인의 대원칙이 되고 있다. 다양한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고 배치하는 학교공간 디자인에 학습 클러스 터, 학습 허브란 개념이 등장한다.
  • 89. 나가사키 큐슈문화소학교-중학교 규슈문화학교는 '앞으로 세계에서 사는 아이들에게 탐구 정신, 사고력, 의사 소통 능력, 배려와 협동심 등의 자질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그 자질을 확실히 익혀 미래 세계로 뻗어가는 동시에 더 나은 국제 사회를 구축하는 인재를 육 성한다'는 교육 목표를 갖고 있는 학교이다. 이곳은 아래의 5가지 역량을 육성 하는 데 학습을 초점을 두고 있다. - 끈기 있게 생각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힘 - 논리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논리적으로 설명 할 수 있는 힘 - 문장이나 용어를 제대로 읽고 자신의 말로 설명 할 수 있는 힘 - 학습에 대한 의욕을 갖고, 평소 흥미 · 관심을 가지는 힘 - 스스로 과제를 발견하고 다양한 관점 · 관점에서 생각할 수 있는 힘 이러한 교육목표에 따라 학교 공간이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 지 잘 보여 주는 곳이다. 문화학교란 이름답게 학교 앞에 다실을 두어 누구나 사용하게 한 점 이나 풍부한 목재를 사용한 점, 교과교실, 특활실, 보통교실, 도서관, 복도, 식 당 등 쾌적하고 안락하고 안정되게 꾸민 점이 특징. 특히 주목을 끄는 곳은 교 무실인데 복도와 교무실 사이에 벽이 없고 프론트 형태로 학생들이 편안하게 교무실로 오게 끔 개방성을 더 했다. 커뮤니티 실을 따로 만든 점도 주목.
  • 90.
  • 91.
  • 92.
  • 93. 학교 학습가구의 변화 토론, 소그룹 학습을 강조하는 데 따라 학교 학습가구의 변화가 눈에 띈다. 이동이 쉽게 의자와 책상에 바퀴가 달려 있거나, 의자 책상 일체형이거, 모아서 원형으로 배치하기 쉽거나, 그룹 토의 시 발표를 위해 화이트 보드나 투명 보드가 의자에 부 착되어 있거나, 별도의 이동식 소형 투명 보드 등이 눈에 띈다. 입식 책상이나, 좌식 책상도 등장하고 있다.
  • 94.
  • 95.
  • 96.
  • 97.
  • 98. 일본의 UDS가 만든 예나플랜학교 호텔, 카페 등 상업시설 개발로 유명한 UDS가 마을만들기와 연계한 사업과 더불어 학 교만들기에도 뛰어들고 있다. UDS 대표 나카가와는 급변하는 시대에 ' 스스로 생각하 는 힘을 기르는 창의교육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마을 만들기 사업과 연계해서 '학교 만들기' 사업에도 뛰어들었다. UDS가 학교만들기와 관 련해서 추진한 대표적 사업은 나가노현 사쿠호쵸의 폐교를 리모델링해서 새롭게 일본 최초의 예나플랜학교로 개교하는 "학교 법인 시게루의오이나타( 大日向)초등학교」 가 있다. 예나플랜 학교는 네델란드에서 유래한 대안 학교로 한 사람 한 사람의 개성을 존중하고 스스로 배우는 것을 소중히 하는 교육 개념을 따른다. 네덜란드에는 예나 플 랜 교육을 도입하는 학교가 220 곳 이상이다. 예나 플랜 교육의 특징 4 가지는 다른 나이의 아이들이 함께 배우는 '멀티 에이지', 아 이들과 교사가 함께 논의하는 '써클 대화', 교과 구분이 없는 '월드 오리엔테이션' , 그 리고 자립 학습인 '단절 시간' 이다. UDS 는 이 학교의 건물 리노베이션 기획 , 설계 , 마을 사람들에게도 개방되는 학교급 식 식당인 오이나타('大日向) 식당 운영을 맡고 있다. 또한 UDS 대표 나카가와는 학교 법인의 평의원으로서 운영 지원도 하고 있다.
  • 99. 학교법인이 운영하는 학교식당이지만 마을 주민들도 이용할 수 있다.
  • 100. 학교에서 제작자 교육과 제작공방의 중요성 대두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기술소비문화에 익숙하고 단지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리는 교육 적 좀비인 학생들을 단지 소비자에서 창조적 제작자로 만들 수 있는 가능성을 갖고 있다.” (Alberta Education, 2011; Fullan, 2013; Wagner & Compton, 2012) “제작에 기반한 교육은 우리가 교육학 및 학습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Kurti, Kurti, & Flemming, 2014)
  • 101. 제작자운동과 교육방식의 변화 “제작자운동은 학교가 구성주의(인간은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지식과 의미를 구성한 다는 이론) 교육과 자기주도학습으로 복귀할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학생들의 매체 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키우고, 독창적이고, 혁신적이며, 독립적으로 기술 지 식을 습득 할 수있게 하는 운동이다. 학교에서 제작자운동은 학습 대안이 아니라 현 대 학습이 실제로 변화해야할 방향” ( Stager , 2014) “교육자는 매체를 활용하여 기술을 탐구하고 참여함으로써 학생들이 기대하는 대로 배울 수 있게할 수 있다. 교육자는 제작자교육을 통해 구성주의와 디자인 사고를 활 용하면서 미디어사용능력(Media Literacy)을 확장할 수 있다. - 구성주의 "학습은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 물건을 만드는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이 해를 구축 할 때 가장 잘 일어난다.”(Donaldson, 2014, 1면) - 미디어 리터러시 각종 미디어를 사용, 분석, 비평, 평가, 창작하고, 미디어를 이용하여 정보와 지식을 획득, 이해, 공유, 확산하거나, 미디어를 통해 소통, 협력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현대교육은 미디어 역량을 높이는 데 적합하지 않다. 미디어 리터러시가 전반적으 로 높아지려면 교육은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실천에 기반해야 한다.” (Media smart)
  • 102. 제작자공방과 STE(A)M교육과 학교 공간의 변화 "제작자 공방은 학생들과 교사가 함께 만들고, 발명하고, 모형을 제작하고, 디자인하 고, 조작하고, 탐혐하고, 발견하고, 프로그램을 짜고, 건축하고, 공작을 하고, 그림 을 그리는 그 이상의 많은 것들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첨단 기술 도구 및 재료를 이용하면서 각자 또는 공동으로 작업 할 수 있다. 제작자공방은 STEAM(과학, 기술, 엔지니어링, 예술, 수학) 같은 통합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이상적 기반이다. " - 뉴질랜드 타우파키 학교, 제작자 공방, 킴바스(Kim Baars) 제작(기술)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이유는 인공지능(AI), 로봇, 자동화 등 급 변하는 첨단기술혁신과 기술환경에 대응하기 위해서 기술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기 술 적응력, 기술적 창의력, 제작 경쟁력, 자기학습능력을 육성시킬 수 있는 통합교육 에 적합하다는 인식이 바탕에 깔려 있다. 미래기술의 진보와 사회변화는 학교에 새로운 교육적 과제(제작교육, 융합교육, 창 의교육)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교육적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공간의 변화 또한 요구 받고 있다.
  • 103. 학교 정보화 - 인텔리젼스 학교
  • 104.
  • 105.
  • 107. 기존 학교의 층간 연결-아트리움 세르비아 베오그라드에 1953년 지어진 스메토바르 마르코비치(Svetozar Marković) 초등학교 는 2017 년 과감한 리모델링을 시도했다. 이 학교는 기존 건물에 직각으로 새로운 건물을 증축하면서 건물의 접 합점에 지하에서부터 2층까지 수직으로 각 층을 연결하는 아트리움을 만들어 환기와 채광, 연결성과 개 방성을 개선했다.
  • 108.
  • 109. 편복도 교실이 편안하고 즐거운 리듬이 있는 공간으로
  • 110. 베를린의 에리카 만(Erika-Mann) 초등학교는 1915년 권위주의적인 교육 문화가 그대로 반영된 일 련의 편복도 교실형 학교로 건축되었다. 최근 이 옛 학교는 성공적으로 편복도 교실을 하루 종일 사 용할 수 있는 편안하고, 즐겁고 리듬 있는 학습-생활공간으로 탈바꿈했다. 대형 거울이 있는 복도와 다양한 용도의 공동 공간, 놀이 공간은 기존 교실을 터서 조성했다. 편복도 교실 형태가 많은 우리의 학교에 변화를 주고자 할 때 참조할만한 사례. 빈 교실을 수납 및 휴식 공간으로
  • 111.
  • 114.
  • 115. 학교 공간에 관한 일본 서적들
  • 116. 1. 보통교실의 학습활동을 풍부하게 조성. ○ ICT 장비, 붙박이 학습 가구, 좌석의 배치에 변화를 주는 등 가능한 다양한 학습 활동이 가능하도록 보통교실의 활용 범위를 확장한다. 2. 여러 분반에 걸쳐 바닥을 유연하게 사용. (가변, 연결, 유연 공간) ○ 보통 교실 + 다목적 공간, 소규모 학습 공간을 포함해서 교실 주위에 다양한 배움이 가능한 공간을 구성할 수 있도록 고려하거나 가변적인 장치를 마련한다. 3. 함께 또는 따로 흩어지는 공간 (보통교실+소규모 공간) ○ 수업 중 개별 또는 소그룹으로 학습이 필요할 때 다른 학습 집단과 완전히 분리하지 않는 작은 공간 을 보통 교실의 근처에 마련한다. 4. 교과 학습의 매력을 향상시키는 교과교실 또는 교과센터 ○ 교과실, 교과 미디어실, 교재실, 교사 공간, 과제 전시공간 등을 포함하는 교과센터와 교과거실을 조 성하여 교과학습의 집중도와 자발성, 매력을 높인다. 5. 다양한 체험과 제작이 가능한 다목적 특별교실 ○ 실험, 실습, 창작 등 아이들의 자기 작업을 위한 범용성을 갖춘 특별교실을 교과교실과 별도로 구성 하여 운영할 때 각 교실의 활용도가 높아 지고, 학교 전체의 활기가 높아진다. 6. 언제든지 책이 손에 잡히는 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습 환경 ○ 도서관을 어떤 교실에서도 이용하기 쉬운 학교 중심에 매력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고 더욱 활용을 도 모하여 각 교과 조사 학습의 활용이나 아이들의 자주적 · 자발적인 학습을 촉진 할 수있다.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 117. 7. ICT 학습 활동 확산 ○ 컴퓨터, 디지털 TV, 전자 칠판 등의 ICT 환경을 정비하고, 필요한 장소에서 필요한 때에 충분히 활용 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각 교과 수업에서 조사 학습과 관찰 · 실험 정리 등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한다. 8. 학습 결과물의 전시와 개방된 자료센터 ○ 미술 교실과 과학 교실 등 특별 교실과 연결하여 교재와 아이들의 학습 작품이나 결과물을 전시하 는 장소로서 자료센터를 개방한다. 아이들에게 자료와 작품을 보여주므로 교과의 매력을 보여 줄 수 있고, 작품을 통해 관심과 주목을 받을 수 있어 자발적 학습을 자극 할 수있다. 9. 극적인 발표와 다목적 활동을 위한 광폭 대형 계단 ○ 큰 계단 공간을 발표 및 토론 등 교육 활동에 활용하며, 개방적 공간에서 청중에게 자신의 생각과 작 품에 대해 발표하면서 표현력을 키운다. 10. 외국어에 더 친숙한 공간 조성 ○ 보통 교실과 외국어 교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외국어 교육을 위한 환경 조성 11. 아이들을 환대하는 학교 현관과 접근로 ○ 학 등교하는 어린이와 선생님을 환대하는 느낌으로 교 현관과 주위 접근로를 디자인한다. 또한 이 곳이 선생님, 학생들의 기분 좋은 만남과 교류의 공간이 되게 한다. 12.학교에 만남의 장소를 조성 ○ 복도와 학교 곳곳에 다른 반, 다른 학년의 어린이들이 서로 접촉하고 사회성을 익힐 수 있는 만남의 공간을 조성한다.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 118.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13. 편안한 화장실 ○ 화장실, 급수대를 밝고 깨끗한 공간으로 , 사용하기 즐거운 장소로 조성한다. 14. 기능적이고 개방적인 교무실 ○ 교무실을 선생님들이 휴식하고 수업을 준비하며, 선생님과 교류하는 공간으로 조성하되, 카운터 방식으로 개방하여 보다 쉽게 아이들이 선생님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조성, 라운지, 카운터, 상담 코너 15.화려한 무대와 공연장소 ○ 음악 교실을 보통교실과 연계 이용할 수 있도록 고려해서 배치하며, 음악 수업 시간뿐 아니라 쉬 는 시간이나 방과후 에도 불편이나 부담없이 연주하거나, 발표할 수 있도록 하여 음악에 친밀감을 갖도록 여건 마련. 16.학생들의 '예술 작품' 전시 공간 ○ 평소 자주 다니거나 모이는 복도나 홀 등을 아이들의 작품 전시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반 을 설치하거나 벽 재료를 고려. 17.교내 어디에나 운동할 수 있는 공간 마련 ○ 장소를 가리지 않고 부담없이 운동하며 놀 수 있도록 운동장이나 체육관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친밀한 장소에서도 몸을 움직이며 놀고, 운동할 수 있도록 환경 조성. 18. 날씨에 상관없이 마음껏 운동 할 수있는 공간 ○충분한 면적과 높이를 확보한 실내 체육관 또는 우천 시에도 이용할 수 있는 필로티 구조 하부 공 간을 운동, 활동 공간으로 조성
  • 119. 19. 텃밭, 식당, 조리실 ○ 「요리」, 「먹는다」의 일련의 흐름을 체험 할 수 있도록 조리실, 식사 공간을 일체로 정비하고, 학교 텃밭 활동을 포함하여 식 문화의 포괄적 체험과 지식 제공 환경 조성 20.학교 전체를 환경 교육의 현장화 ○ 생태, 에너지, 자원 절약 등 학교 전체를 환경 교육의 현장으로 조성 21. 눈부시지 않고 덥지 않은 교실 ○ 교실을 반드시 남향으로 배치한다는 고정 관념에서 탈피하여 눈부시지 않고 안정되고 은은한 자 연채광이 들어오면서 햇볕에 가열되지 않도록 한다. 22. 자연 통풍 · 환기를 활용한 교실 ○ 통풍 · 환기를 위해 옥상까지 자연 환기구를 설치하거나, 자연 환기를 고려한 바람길, 바람 통로 유지. 23. 학교 건축에 목재를 적극 활용 ○ 건물의 기둥 · 보 및 인테리어에 목재를 활용하여 따뜻함과 느낌있는 학습 · 생활 환경을 조성한 다. 특히 목재 등 지역에서 나온 목재의 활용은 지구 온난화 대책, 지역의 활성화, 문화의 계승으로 도 이어진다. 24. 학교 벽면, 옥상, 운동장 녹화 ○ 운동장, 화단, 옥상, 학교 벽면 등 학교를 녹화한다. 학교를 보다 자연적이고 쾌적한 공간으로 만 들어 학생들의 건강에 기여. 또한 냉방 에너지 절약.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 120. 일본 문부성 배포-새로운 학교 만들기 아이디어 예시 25.지역성을 살린 학교 디자인 ○ 자연 환경과 지역의 전통 문화 등 학교의 역사와 기억을 배려하여 졸업생과 지역의 사람들 모 두 자부심과 친밀감을 가질 수 있는 학교로 디자인 26. 오랫동안 계속 사용하는 학교 ○ 내력 구조 자체는 공고히 하되, 내부 비내력벽의 위치나 설비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배려 하여 교육 내용 · 방법의 변화와 학생 수의 증감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27. 지역에 열린 안전한 학교 ○ 학교 시설을 지역사회에 적극적으로 개방하되 동시에 세밀한 배치를 통해 보안성을 고려한 복 합시설 학교를 조성하므로 지역과 연계를 강화하고 , 그 결과 지역 전체가 아이들을 보호하도록 여건을 조성한다. 28. 지역의 사람들을 위한 학교 ○ 수업에 협력하고, 자원 봉사 활동을 하는 등 학교를 방문하는 지역민들을 위한 학교 내 공간을 마련하여, 자원봉사의 거점이 되는 동시에 폭 넓은 교류의 장소로 기능하게 한다. 29. 학교를 마을 만들기의 거점으로 ○ 학교가 지역의 거점으로서 역할을 충분히 다할 수 있도록 특별 교실을 개방하거나 사회 교육 시설 (도서관, 문화센터 등), 노인시설, 유아시설, 피난장소, 행정기관 등을 포함하는 학교로 복합 화하여 평생학습, 지역사회문화 활동과 연계. (지방소멸, 인구감소, 고령화, 압축도시 영향) 30. 학교를 지역의 스포츠 거점으로 ○ 학교 운동 시설을 지역에 개방하여 지역의 스포츠 거점으로 활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