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1 of 269
Download to read offline
Ci~Oi AI-e ~J:i!~ Ei~~ i?-I~
68j~IOIOPI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01야71
ECO I 생태뒷간
TOILET
김성균공공정뻗구소SIP소장
최핑수 A도법인 에코붓다 대표 경생학교교수
제량스님 제주고관사주지
김재일 사쉴생태연구소소장
최훈근랩환경고펙원많
이해일 오대~~립공원사잎
박석동 정토호| 홍보국정
백혜은 A띤법인어모뭇다사무국장
이성미 A댐인 어모붓다환갱엽부장
최은애연구원
조정옥연구원
신명옥연구원
정지영연구원
현희련띤원
올옆쁜rJEi 터전을위한 I ECO I생태뒷간
I TOILET I
을뺑처 시단법인 에코붓다
을뺑인최굉수
빌뺑일 밍08년 12월 26일
전화 O잉 587-8W1
전송 02)587-8998
e-m려1 : erobuddha@jun항O.org
http://www.erobud여la.org
※ 이 자료는 재단법인 민간환경단체진홍회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여는글 l 똥야밥샤다
수서|식 화장실과 푸세식 뒷간
수세식 화조L실에서 일을 본 뒤 레버를누르면 내가 만든 배설물은 몇 배
나더 많은물에 씻겨 내려 금방우리 시야에서 시라진다. 그후그오줌과
똥은 정화조에 담겼다가 더 멀리 흘러가 분뇨처리조}에 모여 처리된다. 수
세식 변소에 누는오줌과똥은내 톰과분리되는순간나외는관계없는그
머나먼 곳으로 보내지는 것이다. 이 수세식 변소는 배설물을 많은 양의 물
로깨끗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방F에혹은부엌과나란히 붙어있기도하다.
그러나 푸세식은 다르다. 뒷간(웬지 푸세식은 뒷간, 수세식은 회장실이
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것 같다)은 사는 공간과는 좀 떨어져 집채의 뒤뜰이
나한쪽구석에 있기 때문에 이름도 ‘뒷간이다. 이 뒷간의 오줌과똥은버
려지는 것이 아니고 그 자리에서 ξL아 밭으로 보내져 거름이 된다. 우리는
밭써l서나는채소를먹지만이채소는내가버린그오줌과똥을먹고자란
것이다. 내가버린 것이 바람과물과태양과흙의 큰에너지를모아입으로
다시 들어오는순환을반복한다.
푸세식 뒷간은 돌고 도는 우주 ?순환의 세계관’ 과 자연의 원리에 순응
한다. 그러나 반대로수세식 회장실은 내 몸에서 분리된 오줌과똥을 나와
ECOTOILET I생태윗간 3
관계없이 그대로 버려 어디론가 시라지게 한다. 그래서 수세식 화장실은
곧 직선적 세계관’ 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수서씩과 푸세식의 세계관
직선적인 세계관에서 시간은 직선적으로 흘러가며 사회와 역사의 변화
또한 직선적으로 성장 발전한다. 그래서 이 흐름은 거꾸로、 되돌릴 수도, 되
돌아갈 수도 없는 불가역적(不可遭션)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직선
적 세계관에서 현재는과거보다좋은것이며 미래는현재보다나은것이라
고 생각하고 이것을 진보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나리를 가장 앞선 나라와
가장 뒤에 있는 나리를 양끝으로 그 시아에 줄을 세운다. 나라의 품질은
GNP로 서열이 매겨지며, 세계 몇 번째 순위인7}에만관심을쏟는다. 국가
의 개발과발전의 목표는바로 이 서열의 앞줄에 서는것이다. 서열의 앞에
선나리는 이른바 선진국이 되고 뒤에 있는 나라는 후진국이라는 이름으로
구분한다. 선진국의 모든 것은 앞서 있고 우수하며 후진국의 모든 것은 뒤
떨어져미개하고야만적이라고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선진국의 거룩한사
명은 미개한 후진국에게 그들의 발전된 문명을 자비롭게 전도하고 이식시
키는것이며, 후진국의 미덕은하루빨리 앞선 나라의 발전을수용하여 그
들의 발지국을 뒤따라가는 것이다. 오로지 물질적 발전, 경제성징에 절대
적 유일의 가치척도가되며 그외의 모든것은무시된다. 이러한서열의 선
두에 서기 위해 국가, 집단 그리고 개인들 시아에서 경쟁은 필연적이며 또
한이 경쟁은결국대립과분쟁 전쟁으로발전할수밖에 없다.
이런 직선적 세계관에서는 경제성7.J--을 위해 자연을 개조하고 변형시키
거나정복, 지배 할수 있는능력이 곧발전이며 성장의 척도가된다. 자연
과더불어 살아온전통과자연친화적인 생활양식을갖고 있는 것은 미개한
4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처 | 이야기
것,혹은 야만으로 치부되며 열등한 것으로 평가된다.이러한 세계관에서는
문회마저도 경제적 우열에 의해 규정되어 발전된 국가의 문화만이 주준
높은 것’ 이며 그렇지 못한 나라의 문화는수준 낮은 것’ 으로 간주된다. 하
지만 어느 나라의 문화든 그것은 동등한 시간적 축적 속에 서로 다른 형태
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문화의 우열이란 있을 수 없다. 우열의 문화인식은
결국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l.!:드는 문회와 버리는 문화
수세식 화장실은 똥을 더럽다’ 는 생각에 기초한다. 똥은 아무 가치가
없는것일뿐아니라더럽기 때문에 없어지거나사라져야할것으로인식하
는 반면에 푸세식 뒷간에서의 똥은 채소의 먹이가 되는 거름일 뿐 아니라
더 없이 소중한자원인 것이다. 예전 시골에서 아이들이 남의 집에서 똥을
누고오면야단을맞았던것도똥은밭에쓰이는거름,즉소중한자원이었
기때문이다.
음식문화는 바로 먹는 것’ 에 대한 문회이고 인류는 역사 속에서 먹는
문화를풍성하게 개발H 왔다. 각 나라마다수많은 조리재료와요리법, 그
리고 식사히는 방법이나 예절 식당이나 음식점의 다OJ=한 설계와 그릇의
디자인 등이 있는 것은모두 먹는문화와 연관되어 있다. 우리 몸을하나의
파이프로생각한다면, 그렇게 요란하고호화로운음식이 바로 입이라는파
이프 입구에 모아져 미각에 즐거움을주고는파이프중간을통과하면서 흡
수되어 온갖에너지원으로분산된 뒤 파이프의 끝에서 밖으로 배출되는것
이다. 그런데 파이프의 앞문회{음식문화)는 다채롭게 발전되어 있지만, 파
이프의 끝 문회{똥의 문화)는 소홀히 처리되거나 무시되고 있으며 파이프
앞의 문혜11 비해 홀대를 받고 있다. 어느 건물이든 회장실(변소)을 보면
ECO TOILET I생태뒷간 5
그 건물을 설계한사람과 소유주 살고 있는 사람의 기본 면모를 알 수 있
다. 그리고 실제 자연계의 순환 사슬 속에 보면 들어오고 나감이라는 것을
따로구분할수 없지만, 결국직선적 세계관속에서는똥을버려 나와상관
없는 이주 먼 곳으로 격리시킨다. 그러나 결국에는 다시 내게 돌아오는 이
치를 망각한 것이 인류의 어리석음이요 생태계의 위기는 바로 이러한 무
지에서비롯된것이다.
오늘날 쓰레기 문제도 이와 같다. 현대문명은 생산히는 방법은 많이 개
발하였지만 폐기하는 이치를 개벌하지 않았다. 먹는 방법은 알지만 씨는
방법을 모르는 변비문화인 것이다. 자연계에 버려야 할 쓰레기란 본래 없
다. 어느 것이든 단 19이라도 에너지를 갖고 있으면 이용이 기능하기 때문
이다. 유용하고 사용가능함에도 쓰레기로 간주된다. 그러나 그 어떤 것도
당징어l 소용이 없으면 미련 없이 버린다. 그래서 버려지고 매립되면 다시
자연 속에 소생되어 샤용될 가능성이 없게 되는 것이다.
어리석음을 깨우는 새로운 각성, 생태적 세계관
환경주의를 넘어 생태주의나 생명운동을 굳이 말하려는 사람들은 바로
잘못된 자연관, 잘못된 역사 인식과 세계관이 바로 어라석음의 근본 원인
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을문제 삼는다. 생태적 각성이란모든 것은
순환하고윤회하며 돌고돌아결국자신에게 돌아오는자연의 이치를깨닫
는 것이다. 생산자 소비자 - 분해자로의 흐름이 다시 생산자로 연결되어
끊임없이 돌고도는순환의 구조가바로자연이며 역써는 것을각성동}는
것이다. 생태적 각성은 이와 같이 미망과 무지에서 비롯된 근대적 세계관
의 치명적인 오류를 깨닫고 새로운 눈뜸 새로운 깨달음으로 이러한 선형
적인 역사인식, 직선적 진보사관의 인식 변화를 강제하는 메시지인 것이
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다. 무한한 성징에란 결국 무한한 자원의 채굴과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데,우리가살고있는 하나뿐인지구’ 는 (무한의세계관을도저히수용할
수 없는 t유한? 한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만약 모든 니라가 세계 최대 소비
국인 미국처럼 산다면 그것은 진보가 아니라 멸망으로 치닫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먹는 밥은 바로 내가 버린 똥 건강한 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며, 그똥은바로내가만든것이다. 더럽고깨끗한것이 본래 없는자연의
이치를 문명의 이름으로 잘못 분별한 것으로부터, 윤회하는 자연의 본래
이치를 직선적이고 선형적인 것으로 인식한 미망으로부터 본래의 자리로
돌아왜1 하며 그러한인류의 어리석음을깨우치게 하는것이 바로생명운
동과 환경운동의 진정한 메시지이다. 생태적 관점에서 볼 때 ‘진보’ 가 앞
과 뒤를 전제로 하여 앞으로 나아간 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제는 진보보
다는 ‘진화’ 라고표현하는것이 오히려 적당하다고생각한다.
에코붓다가 뒷간을 연구하고 조사한목적은 현대사회에서 푸세식 뒷간
을 다시 현대적으로 되살리자는 의미도 있지만, 그것이 갖고 있는 순환적
세계관, 윤회의 가치를 회복하여 자연의 이치에 순응히는 삶을 사는 것이
진정한삶이며 올바른삶임을 이 책을통히여 강조하고자한다.
많은 분들의 옥고(玉f옮가 단순히 수많은 글 중에 하나가 아니라, 한국
、 의 전통 속에 생태적 가치를 회복하고 환경운동과 생명운동을 발전시키는
데 작은도움이 되길 바란다.
ECO TOILET I생태뒷간 7
차 려|
여는 글 | 똥이 밥이다 003
‘바
H
소비주의의 극복과 생태공동체운동 010
밥, 똥그리고 생태공동체 022
현대인의삶과뒷간문화 033
전통뒷간과생태공동체 056
시칠해우소와생태뒷간 068
퍼머컬쳐와생태뒷간 102
영| 똥
생태뒷간탐방의 갈라잡이 110
지리산을품은뒷간남원실상사 124
솔바람가득한지리산생명문화교육원 129
똥오줌과씨름히는사렴하는시람들, 산청 안솔기마을 135
햇살가득한 뒷간 선암사 140
해외 생태뒷간의 유형과 적용사례 147
유럽의생태뒷간탐방기 217
영|삶
똥의 순환을 위한대안기술, 대안사회 226
새로운생활양식과생태적삶 250
1부|밥
소비주의 극복과생태공동체운동
1. 생태위기에 대한 소섭싸회의 tH응
생태위기란 ‘환경과 오염 혹은 파괴가 전 지구적 위험 수준에 이르러
일반 통 · 식물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존 그 자체가 위협받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의미하며 광의적으로는 인류의 동식물과 여타 자연을 포함한 비인
류 사이의 공동체적 관계의 단절을 의미한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태위기의 상황은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1972)J를 시작으로 폴
에를리히의 「인구폭탄{1968h r인구폭발{1990)J 월드리서치 연구소 레스
터 브라운이 1984년 이후 발간히는 「지구환경보고서」, 「성장의 한계」 이후
에 다시 19년 만에 발간된 「한계를 넘어서」 등의 저작들이 생태위기 상황
을 인류에게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UN 산하의 브룬트란트 위원회가 「우
리 공동의 미래(1988)J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생태위기에 대응한 지속
기능한 개발이라는사회발전 전략을 제시하게 된다.
그리고 알도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달」 레이첼 키슨의 「봄의 침
묵:..1, 태오콜본의 「도둑맞은 미래J, 헬레나노르베리 호지의 「오래된 미래J,
「허울뿐인 세계화」, 「모든 것은 땅으로부터」 등이 지구환경의 중요성과 생
1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태위기의 상황을 경고하는 저작들이 쏟。찌고 있혐l도 불구하고 지구의
생태위기 상황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환경론자들의 보
편적인주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구환경보고서 (2003)J은 생태위기의 상황을 디음과
같이설명하고있다.
첫째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해 초l소한의 생활수준조차 유지할 수 없는 지
경이다 개발도상국은 경작지의 1/4 가료에| 심ζ팅꺼| 익화되고 있으
며, 지난 50년간 gL회속도는 접점 빨라지고 있다 이미 5억 이상의
사람이 만성 가근에 시달리고 있는데.2025년이 되면 24'억"'34억에
도달할것이다
둘째 심각한 자구호}학적 변호까 일어나고 있다 20이년 연간 호}석연료 연
소로 인한 탄소배출은 65억 톤에 01르며, 대기 중 이산호딴소 농도
는 370.9ppmOI 된다 01는 적어도 지난 43만 년동안 기장 높은 수
치이며, 아마도 2,000만 년동안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산호딴소 농
도의 증가로 인해 대기옴도가 접접 높Of^1고 있으며, 결국 급격한 기
후변호f7 f 일어날 것이다
셋째 독성 호}혁물질로 인해 장기적 위험이 나타나고 있다 가령 유해폐기
물의 연간 총생산은 적어도 3"'5 억 톤에 이른다 이것들의 대부분
은 펴|가물과 폐수로 방출되면서 토양오염과 지히수 오염의 주범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대부분은 몇 백년이 걸랄 정도
로 오랫동안 잔류S꺼| 된다. 따라서 수 백 년이 지나연 생명체는 오
염물질의 장고가 될 것이다
넷째 전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었던 생물 흔홀에 일어나고 있다. 특히 국제
ECO TOILET I생태뒷간 11
교역의 증가는 외래종의 침입을 증가로 나타나는데 전 세계의 다앙
한 생태계는 점점 더 침략적인 소수의 생물체에 의해 점멸될 위기에
처해있다
다섯째 전 세계 생물종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디는 점이다 생물다
양성이 가장 높다는 원시 열대림이 매년 네팔정도의 크기인 14 만
평방킬로미터씩 사라지고 있다 그린료t드를 제외한 총 산림 면적
은 전체 육지면적의 1/4'면적 정도 부빼 안 되며 01는 농경이 시작
되면서 절반 정도로 줄어든 수치이다 현재 남아 있는 산림의 악
30% 정도는 심각한 피편화와 파괴의 위협에 처해 있으며, 1990년
대 동안만도 전 세계 t템면적014% 정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
다 또 다른 생물 다앙성의 보고인 습지는 지난 100년 동안 50"10
이상사리졌다
‘지구환경보고서’ 는 인구증가 오염물질 증7t, 무분별한 개발 등을 생
태위기의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환경보고서의 지적은 소비
주의사회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된다.
생태위기에 직면하여 소비사회에서 대응하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방식
은 @ 단일적 사안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환경운동, @ 정치적 참여를
매개로 진행하고 있는녹색정치운동 @ 소비자를중심으로 녹색소비자 교
육및환경교육등으로진행되고있다.
이와 같이 소비사회 체제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운동의 성격은 근본적
으로 생태위기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이나 구조적인 과정에 대한
고민 보다는 근본생태론자인 네스의 주장처럼 표피적인 접근 방식에 국한
한접근방식에서생태위기의근본적인문제가시작된다.
12 더울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그리고 생태위기의 문제는 종합과학적이고 공익적이며 기히급수적으
로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혐1도 불구하고 표피적인 문제해결방식이 분
업화 및 전문햄l 근거한 생태위기에 대한 접근양식, 사익에 충실한 접근,
산술급수적 환경개선에 근거한 접근 방식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그 문제의
심각성이있다.
왜냐하면 생태위기의 발생경로는 사회 · 문회적인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전문화 분업화는 자신의 주장만을 관철시키려는 경
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오히려 생태위기 문제의 해결에 딜레마가 될
수있다.
그리고환경은일상생휠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존재임에도불구하고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공공재로써의 역흥써l 대해서는 그리 큰관심이 없
다. 환경은 시징}이라는 매개를중심으로 평가되는 과정에서 환경을 개선하
는행위에 대해서는관심을가지지 않는반면에환경을오염시키는행위에
대해서는파행적 정벌을가하게된다. 이러한일련의과정은환경은시장경
제체제, 즉 자유방임주의적 시장경제체제에서 생태위기 및 환경문제는 만
연히수 빙에1 없는 상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생태위기의 극복은 절실
한사회적 요구이며 사회전체가누려야할공익임에도불구하고 개인이 환
경을 개선하려는강력한동기보다는오히려 환경오염을유발시키는 체제
로구성되어 있다는점이 딜레마인것이다.
생태위기의 문제는 시장기구가 지니고 있는 특수한 상행l 능률성으로
인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심각해짐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환
경개선의 노력, 즉 환경관리는 정부의 특수한 상황인 비능률성 때문에 산
술급수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딜레마인 것이다.
ECOTOILET I생태뒷간 13
2 소비사회 메커니즘의 한계
네스의 지적처럼 일반사회는 생태위기 문제에 대해 표피적인 대응방식
으로 일관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일반
사회=자본주의=소비사회’ 라는힘수관계로단편적인설명을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함수관계는 몇 가지 구조주의적 %꽤를지니고 있다는점
이다.
랩뀐
〈그림 1} 시장의 작용범위
일반사회가 목도 하고 있는 것은 〈그림 1)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일반사회는생산과소비를중심으로 한 경제활혐l 국한한사회활동을생
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경제계의 영역에서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
를 가능하게 하는환경계인 자연자원과 폐기물에 대해서는 그라 관심을 갖
지 않는다. 자연자원과 폐기물은 환경계가 알아서 처리할 일로 취급하고
‘있다.
환경계가담당하고 있는폐기물과쓰레기는경제계의 영역에서 발생히는
것으로생산,소비,유통등의과정을거치면서발생한재화가쓸모없는것으
14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울 위한 공동체 이야기
로 변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환경계는 인간이 생산하고 소비하는데 필요
한 자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불가피하게 폐기물을 처리히는 기능을 하는 곳
인 셈이다. 결과적으로 고체상태의 폐기물은 쓰레기로, 액체상태는 수질오
염으로, 기체상태는대기오염의 형태로그 %꽤가 변화되어 환원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욕망을충족시켜주는과정에 근거한사회적 책임에 충실한
결과로써 다분히 경제적 사고에 기인한메커니즘의 결괴이다. 경저녁에서
언급하고있는각소비자는재화로부터만족을극대화하려는심리와기업
의이윤을최대화하려는심리가상호간에 결합하면서수왜공급을이루
게되고기업은소비자의욕밍벼1 최대한부응하게되면서소비자의욕oJ-에
종속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수요와 공급 자본과 노동 그리고 인간의
욕I엠라는 중간적 수단만 고집하는 결과로서 자연에 대한 이해도 여전히
중간적 수단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놓여 었다는 것이다. 이는 자연에 대한
궁극적인 목적에 대한 고민 영성이나 종교적 차원의 고민의 결여로부터
나타난결괴라고 할수 있다.
결국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나타난 생태위기의 문제에 대해 자연을
공짜라는 인식으로부터 연유하는 것이라는 비판 없이 자본주의는 시장의
문제로, 사회주의는정부의 문제로 취급하게 되는우려를낳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사회, 아나키즘 사화와 같은 대안사회를 주장하는
학자들은 생태위기 시대에 대응한 새로운 사회전략으로 무한한 자연자원
과그에 근거한생산의 가능성을전제로하고 있는자본주의와사회주의에
대한사회를요구하고있다. 이러한사회를흔히 팍객사회’또는 ‘생태공
동체 사회’ 라고 이。F기하는데 이는 자본주의를 상징히는 청색, 사회주의
를상정하는 홍색을 뛰어넘어 생태적 의미를 강조한녹색의 의미를 강조하
고있는것이다.
ECO TOILET I생태윗간 15
3. 대안적 삶, 대안人}호| 그리고 생태공동체 운동
대안사회와생태공동체운동에 대한논의는 ‘공유지의 비극’ 이해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생태위기 사대에 대한 인류사회의 불획실성,
자원은 무한성을 믿고 있는 종교적인 신념에 대한 갚은 성찰에서 시작된
다. 이러한 성찰은 단순히 자연을 대하는 마음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언급했듯이 생태위기 시대에 직면하여 대응한다OJ=한문제해결의 방
법에 대한 새로운 시작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운동방식은 자기성찰, 자기
각성을 전제로 한 일상생활의 개혁운동이다. 이는 청색과 홍색의 사회적
논의와상관없이 있는자리에서 자기와관계되어 있는다양한주체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 된다.
네스가언급한표피적인 이해와대응에서 깊은성찰과반성, 레오폴드
가 언급한 인류는 토지공동제의 일원에 불과하다는 주장, 세일이 언급한
지역사회공동체에 맞는 자연자원의 운영과 적용 등은 궁극적으로 생태공
동체가 지향하여야 할관점을 제시히는 동시에 ‘일반사회 =자본주의 =소
비사회’ 체제로부터 녹색의 실현을생활속에서 강조하고 있는 대목이다.
즉,독신이애인이생기면그대상을 자기’라고부를수있는것은대자
아의 형성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는 것처럼 자연에 대한 이해도 이와 같은
관계로구성되어야하며 궁극적으로이러한의지가생활속에서 그리고지
역사회에그대로반영되어야함을주장히는것이다.
이와같이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지구 곳곳에서는 생태공동제 운동이
진행되는데 이들이 지니고 있는 원리는 앞서 언급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
작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태공동체는 좁은 시야를 갖게 하는
전문화, 동질화를 요구하는 표준화, 작은 것의 아름다움을 무력화 시키는
1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집중화, 다양성을 파기히는 획일화로부터 새로운 질서를 양산해내고 이러
한 일련의 과정을 ‘전일론적 생태학적 프로젝트’ 라는 표현으로 그 실천은
정주형태의 생태공동제의 구상이다.
지구적 생태마을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는 Globa1 Ecovillage
Network(G뼈의 시무국장인 스벤슨 K. Svensson은 뽀∞띠l1age Living ,
: restoring the Earth and Her p,∞p1e(2002)J라는 저작에 ‘What is an
앉뼈성ge?’라는글을 실고 있는데, 이글의 내용은 G돼이 지향하고 있는
생태공동체에대한정의내리고있는부분이라고할수있다.그녀는‘쟁태
공동체는 지구와 그리고 지구와 기대어 존재하는 다OJ=한 생물들과 조회롭
고 지속가능한 삶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인간이 하여야 할 공동체적 모
습이다. 그리고 생태공동체의 목적은 자연환경에 적은 영향을 생활양식의
구현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환경을 조화롭게 히여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생태공동체는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이분화 되어 있는 도시
와농촌의 정주체계를극복하는것이다. 생태미을은 21세기에 있어서 인간
정주체계의 재구조화와 계획을 위해 폭넓게 적용되어야한다라고 주장하
고있다.
스벤슨의 주장은 네스, 레오폴드, 세일 등이 주장하고 있는 생태공동체
의 철학적 사유에 근거한 생활세계의 실천적 구현인 셈이다. 그녀는 이러
한 생태공동제의 구성에 있어서 생태학E∞,10밍r), 공동체(Community),
문화적 영성 (여ture-spirituality)을 강조하고 있다. 생태공동체에서 강
조되고 있는 것은 세계관의 새로운 확장을 요구하는 생태적이고 전일적인
문화를요구하고었다.
ECOTOILET I생태윗간 17
엉성·문화적요소
-영상지연신성
- 삶 찬앙, 문화존중 자연 순환
- 전체론적 • 순환론적 세계관
- 지역화 생명지역, 세계화 저항
생태적요소
- 퍼머걸쳐 생태마을 설계
-0냉성, 샘물다앙성 복구
- 지역유기식품생산 소비와 재순환
- 생태건축, 재생가능에너지 수자월관리
- 녹색사업과 생영주기 분석
사회 경제척 요쇼 창조성, 염배양
- 교육과 의사소통 삶과 배움
- 건강, 예방보전 보조의익뿜
- 공동체묘들기, 의사결정, 갈등해랴
- 복지개선, 노익찌보후 징애우통합
-지역경제지역화떼
〈표 1) GEN의 생태공동체 구성요소
4 대안적 삶을 위한 노력은 'Lf 부터
비데를판매하는회사의 재미있는광고카피가문득생각난다. ‘회장지
를 언제까지 사용하시렵니까? 만약 중국과 인도가 회장지를 사용하기 시
작한다면 몇 년 후에는 지구의 산소를 공급해주는 아마존이 소멸되어 버릴
것입니다 사실, 이 광고 카피는 수세식 화%μ실이 지니고 있는 편리성에
기인한우리의 삶의 양식에 대한 언급은근본적으로 회피한채 자신의 상
품을 판촉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생태위기 상횡을 전달함으로써 비데의 사
용이 환경보호를 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 진 것 같다.
그러나 이 광고는 소비지향적 사회체제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통하여
18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여전히 소비주의를 지향하는 이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
변, 우리는 여전히 자연을 통제하고 자연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생태학
적 원칙은 그리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로지,
경제학적 가치만이 우리의 삶의 중심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봄에 들려야 하는 새소리, 여름 밤에 보이던 반닷불이, 가을 저
녁에 듣던 귀뚜라미 소리, 겨울뱀l 울던 소쩍새 소리... 살아 있다는 것이
가장아름답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소리와흔적이 시라져 가고 있다. 이는
우리가지향하고있는경제학적가치와행동은 미래세대를담보로진행된
다는 신호이다. 인류가새롭게 다짐해야 할생태공동제는 미래세대와함께
하는우리의 삶의 터에 대한고민이다. 이 삶의 터는단순히 물리적인 부분
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 · 경제 · 사회 ·문화등에 대한이해가근
본을이루어야한다. 이것이 표피적인사회시스템을극복하는길이며 생태
공동체를 이루는 길이다.
• 대의민주주의체계가 가지고 %는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여
보여주고 gA논 합의제 의사결정방식
• 지역의 자원과환경적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용하는 가술의 적용
• 생명과 살아 움직잎을 원칙에 두고 진행하고 있는 자연농법의 현장들
• 지역의 행|성 복원과 구성원들 ζ뻐| 마음의 교류를 위한 지역문화 축제
• 획일적 교육전달체계에서 전인적 교육체계를 도모하고 %는 교육현ε플
• 지역 내의 순환, 거래의 대면성을 호}복시키기 위한 공동체 경제의 운영,
•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자ζh하고 침여하는 마을 만들기
• 일상생활 속에서 도시와 농촌의 공생 · 공존의 삶의 터를 이루는 생활공동
체현장들
• 나 혼X까 O fLl라 서로 기대어 존'^H하고 있다는 열린 마음
ECO TOILET I생태윗간 19
이상의 내용들은 생태공동체의 현조써l서 거의 공통적으로 진행되고 있
는 내용들이다. 결국, 생태공동체는분권화, 다%댁, 분산화를 이ψl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이야기 속에서 지역정치, 중간기술, 생태건축, 민주적
의사결정 방식 등의 다OJ=한 의미들을 제공받게 된다. 최근에 들어 생태공
동체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 드라마 전원일기가 보여주었던 농촌의 여유로운 일상
과 자연주의에 기초한 관심이 아니길 바란다. 잘못하면 우리가 그래왔듯
이 에버랜드에서 자연에 대한동경과동물사랑을배워야하는것을반복적
으로 진행할지 모른다. 이제 생태공동체는 지금이 생태위기 시대라는 것
을 인식하고, 생태학적 자각과 공동체 의식의 확장을 통하여 나의 일상세
계의 변혁을 바탕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성이 비관적인 것만
은아니다.
• 도시에서는 공동주거를 바탕으로
• 농촌에서는 생태마을을 바탕으로
• 보다 근본적인 성찰적 삶을 위해서는 계획공동체를 통허여
• 그리고 영성적 ^P-t과 성찰을 위해.A.i는 영성→련 공동체를 통뼈
• 도시와 농촌간의 공생의 법칙을 위해서는 생활공동체를 통하여
• 내가 서 %는 자리에서 진행되는 마을만틀가를 통하여
.01웃죠뻐| 미음과 대면관계를 여는 지역통화로
위와 같은 다양한 방식과 스펙트럼이 우리의 희망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그 희망은 한 가지 전제가 있다. 지난 몇 백년 동안 문명사적으로
전개되어 온 친소비지향적 자ζL이 필요하다. 이 자각은 우리가 종교적 신
념에 대한 가치를 얻는 과정과 동일하다. 종교적 신념울 통하여 하나의 가
2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치를 만들어 기듯이 생태위기 시대의 생태학적 지각을 통하여 친소비주의
적 생활체계에 대한 성찰과 생태공동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
한 일련의 과정이 영성〈F련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생태공동체의 가능성
은무궁무진하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새로운 영성적 자각과그 모든 것이
대지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분명한 것은 지금의 시대는 첨
단정보시대, 유전공학의 시대를 바탕으로 우리의 삶의 질을 개선하지만,
반면에 생태위기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위협히는 시대히는 것도 명심빼
야한다. 이러한 경고는 우리가 만들어 온 것이며 단지 알리려고 하지 않을
뿐이었다. 이러한생태위기를극복을위한새로운삶의 패러다임의 시작은
‘생태공동체 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미래세대와함께하기 위한생태적인삶의 터를바꾸는과정에서 나타나
는 혼란은 미래지향적 삶의 터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것이므로 오히려 견
딜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미 우리가 저질러 진행되어 오고 있는 현재의 생
태위기 상황은 더 큰 사회적 붕괴와 희망을 빼앗아갈지 모른다. 붕괴되는
희망속에 우리의 자녀가 있다면 우리는그저 간과할수 없는 일이다. 그래
서 소비주의 시대에 대안적 삶이 필요하며 이는 생태공동체로부터 시작할
수있다.또한소비사회를극복할수있는대안이기도하다.
ECO TOILET I생태윗간 21
밥, 똥, 그리고 생태공동제
1.밥이생명이다
우리에게는 먹고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을 기능하게 하는 것이
밥이다. 그러나그먹고시는일을위하여 ‘밥이곧생명이다”는사실은무
시한채 지내왔다. 그 결과밥과둘려싼모든관계를간과하고오로지 내가
먹는식탁위에 올라온밥한공기로 배를채우는 것에 강한 애착을보여 왔
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그러나밥은단순히 밥이 아니라우주와 연결되어 있다는것이 생명운
동진영의주징F이다.
22
“자금 여기 이 밥과 한 몸이 되게 하소서 구세공보
“이 공g때1 3.!뜬 이웃들의 공덕을 생각할 때 저의 덕행이 부끄럽습니다”
-소심경
“너의 가득찬 그릇을 보라 나는 이 음식 속에서 나의 존재를 떠맡닷}는 온 우
주의 존재를 본다 틱낱한 스님의 식사기도
“이 음츠l을 먹음으로써 나는 물질의 기슴에 들어가고 또한 냐는 꿈을 현실로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바꾸는 복즙한 생명활횡11 잠재배| 됩니다 어l드워드 브라운의 시
밥 한 사발 먹는 것이 우주와 함께하는 것이다" -~엘순
위의 말 속에서는 법에 대한 의미를 생명의 입징벼l서 강조하고 있다. 밥
과한몸을 이루는과정은 생명을 이해하는 과정이며, 타자와의 관계를 이
해하는일이며, 더 나아가서는나의 호흡이 우주의 호흡과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며, 그 어느 것도 나와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나의 생명이
소중하듯다른존재도소중하다는것에 대하여 중요한의미를두고 있다.
성경에는 밥과관련된 몇 가지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요한복음 2장 1
절 ~12절에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예수가 포도주를 만드는 기적, 마태복
음 14장 13절 N21절에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여자와 아이 외에
오천 명을 먹이고도 열두 광주리를 남긴 일 등에 관한 이야기는 나와 타자
관계에 있어서 우선해야 할 일이 나눔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마기복음 14장 22절 ~25절에 흔히 최후의 만찬이라고 불라는 성만
찬의이야기가있다.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꺼|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저|자들에게 주시며
가리λ때 받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A뻐|하시고 저희
에게 주시니 이를 마시매 가라사대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진실로 너희에게 O 딛노니 내가 포도나돼|서 난 것을
하나님 나라에서 새것으로 마시는 날까지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히시니라’
이 성만찬을 개신교에서는 ‘성찬식’ , 천주교에서는 ‘영성체 라는 의례
라고 하고, 이를 예수와 내가하나 되는 행위로 생명을 약속받는다고 이해
ECOTOILET I생태윗간 23
하고있다. 성만찬의 빵과포도주는그리스도의 몸과 피를상징하고 있다.
이러한관계는예수와하나됨을상정하기도한다. 한장소에서 하나의 빵
과 공동의 잔을 나누었다는 것은 어느 때 어느 곳에라도 거기에 참여하는
자들이 예수와 하나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만찬 의식은 예수에
대한 회싱F이기도하며 감사의 식사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나와 예수가하나 됨은 예수의 십자가의 수난과부활에 동참
하는행위로써 구원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밥이라는
것을 매개로 히여 나눔을 실천하는 밥상공동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대목아기도하다.
성만찬이 보여주고 있는밥상공동체는모두가함께 나눈다는 것으로단
순한도덕적 의무가아니라신을알고전체를지각히는신앙행위이며 예배
행위이다. 즉밥을 대할때 나와관계된 전체를자각하고그관계를 이해하
여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종교적 행위와 같은 신성한 마음으로 대하여야
할 자세를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더욱 굶주리고 이웃과의 존재
를 인식하고 생태계 위기의 상황을고려한관계의 형성에 기초한 밥상공동
체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축제와 같은 분위기로 인간과 인간
관계속에서의 자기실현, 소외된 노동의 가치회복으로 생명문화, 생태공동
체를복원해내는 중요한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땅의 집
사로 인식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생명문화와생태공동체를구성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보는데 린 화이트의 주장처럼 창세기 1장 26
절 ~28절에 다스리라’ 에 대한 해석이 지배자 소유자라는 인간중심주의
적인 해석에서 관리자, 집λh 목자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 맥 ’
을 같이 하고 있다. 즉, 유대-기독교 사싱이 생태위기의 근원으로 취급받
아왔던 오류로부터 벗어나는 내용이며 기독교가 생태중심주의적 견해를
24 더울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충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하늘과 새땅과 같
은 새로운 탄생에 대한 감사히여야 할 도덕적 책무와 희망을 강조하고 있
는것이다.
결국 성만찬은 위기적 상햄 문화적 감수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문화적 감수성은생명문화윤리를부여하고그것을예배와같이 니눔의
실천으로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윤형근의 주징J처럼 노동을통하여 얻어 지는밥은하나님
의 창조행위에 동참히는 일로 그 자체가 거룩하며 하나의 예배에 해딩히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기독교는우주의 움직임이 하나님의 창조로부터 시작
된다는확고한 믿음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밥을 먹는 것은하나님과자연과 인간이 만나게 되는우주적 사건인 동
시에 하나님의 창조행위와 인간의 노동 우주의 카오스적 질서에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주론적 결과는 우리의
기운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밥을중심으로기독교가지니고있는운동적의미는생태위기의상황을
극대화 시키고 인간중심주의적 · 소비지향적 · 물질지향적 자본주의 사회
체계에 대한 성찰로 예수의 나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며 그 메시
지를 통히여 기독교의 진정한 복음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
고 하나님이 날 마다각기 다른 모습으로 창조한 것을 서로의 조화와 질서
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자연 더 나。f가서는 우주적 공생을 의미히는 것이며
우리는그실천으로밥상공동체의실천의중요성을언급하고있는것이다.
l 윤형근, 밥 성만찬 발우공양, 모심과살림연구소밥과 명싱J, 2002,pp. 58-59.
ECO TOILET I생태뒷간 25
불교의 식시수행법으로는 발우공%에 있다. 발우공양은 내 몸을 이루
는 음식을 공경히는 미음으로 먹을 만큼의 음식을 먹는 생명살림실천이라
고 할수 있다. 발우는수행자가사용하는 밥그릇을 의미하며, 발우공양은
불가의 식사법으로 대중들과 둘러앉아 일정한 법식에 따라공O.}을 히는 것
을 의미한다. 발우공%뇨을 진행될 때 소심경을 게송하게 되는데, 소심경 앞
에 나오는 전발게에는 보시하는 사람, 보시물건이 깨끗하기를 기원드리게 ”
된다.
그리고 발우공양은 먹을 만큼의 자신의 발우에 담아먹고 뜨거운숭늄에
남긴 김치나무조각등으로 깨끗이 그릇을닦아마시고, 다시 맑은물을 이
용해 손으로 깨끗이 탐아낸 뒤 발우수건으로 닦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식
사는 대중들과 함께하게 되는데, 대중들과 함께 함으로써 찬이 봐라면
서로 공평하게 나눈다. 그리고 공양이 끝난 후 성원들간에 의견을 나누고
얄리는대중공사를한다. 이러한발우공양은수행과정에서도공동체를이
루는중요한기제로작용하게된다.
이와같이 조심경’ 잉은불교의발우공양의의미를잘전달하고있는데,
조심경’에서는물한방울,쌀한톨,바람한점이밥과연관되어있지않
은 것이 없으며 밥이 우주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은 조심경’은나자신의문제가아니라현재숨쉬고있는수많은자
연과사람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셈이다.
소심경은 모든 중생의 노고와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일상의 삶과
수행에 대하여 반성하고 발원히는 마음을 점검하며 모든중생과 함께 공동
제를 이루겠다는불교의 가르침에 충실한생활철학이라고할수 있다.
조심경’ 의 내용의 일부인 ‘오관재 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각색하면 다
음과같다.
26 더울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은혜가 갖될어 있고
한 톨의 료뻐l도 만민의 노고가스며 있으며
한 올의 실타2Hot~도 베 짜는 여인의 피땀이 서려 있다
이물을마시고이음식을먹고이옷을입고
부지런히수행정진하여
괴로움이 없는 시람, 지유로운 시료에| 되어
일체중생의 은혜에 보답하컸l습니다
‘ 성만찬이나 발우공양 등 종교적 의례나 실천에서 보여주고 있는 밥의
의미는 일상을 통하여 밥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밥이 되기 위한 과정에 함
께나누는삶을강조하고있는것이다.특히이러한밥에대한새로운문제
의식은 생태위기 시대에 모든 것이 더불어 존재한다는 전일론적 세계관으
로 공동체적 의식의 광역적 확산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여진다.
2 폼도생명이다
Nick Grant, 뼈rk Moodie, & αrris Wæ:ion의 rSewage S이ltiOns :
Answeringthe 않11 ofNatureJ에 똥에 대한 이야기를 희회한내용이 있다.
2 소심경은 발우공양 할때 외우는불교의 경전으로 부처님을 회쟁}면서 그 공덕에 감λ}하는 회발게, 모
든 중생의 노고와은혜를 감"-t하는 오관게, 싹l의 하루 수행생활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삽시거1 . 해탈주,
모든배고푼중생들과명등하게 나누어 먹겠다는생반게 정식게 등으로구성되어 있다 싸에코붓다{엮),
r밥과깨달음의 길 발우꽁양J, 정토출판, 2003
ECOTOILET I생태뒷간 27
도교 : 똥은 그저 생7l느니라
유교 · 공자 가라사대, ‘똥은 생긴다.
불교 . 똥이 생기면, 그것은 진정 똥이 아니니라
선불교 : 자금 이 순간 생기는 똥의 소리, 그 무엇일꼬?
효무교 · 이 똥은 전생에서 생긴 것이니라
이슬람교 · 똥이 생기느니, 이것은 모두 알라의 돗Ol로다
쿼101커교 : 똥은 모든 사람에게서 생가는 것이니라
카톨럭교 : 똥이 생기노LI. 그것은 너무나 미E팅}도다
장로교 - 우리는 그와 같은 것을 논한 적이 결코 없느니.
유대교 . 왜 우리에게만 똥이 생기는 것인가
무교 똥을믿지않노라
프로테스탄트교 : 똥이 생기나니, 그것은 네가 노동을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
문이니라
무가지론 : 똥이 생길수도 있느니.
실존주의 : 도대체 똥이란 무엇인가?
똥에 대한 단상은 종교 혹은 철학적 지향점에 띠라 약간의 상이힘을 지
니고 있다. 그러나이러한똥에 대한다OJ=한단%에도불구하고 인류는똥
에 대한 인식을 그리 깊게 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더럽고, 추하고, 냄새나
고, 귀찮고, 어딘가보이지 않는곳에 처리하여야히는대상정도로취급한
다. 인류는똥을처리하여야할폐기물로취급하고있다. 이와같은생각은
자연의 순환계가닫힌계와 열린계의 관점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먹고 배설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고 또 다른 생명을 키우고 결
국그생명이 우리의 식탁에 오르고그오름을통하여 우리의 생명이 연장
28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율 위한 공동체 이야기
하는 순환적 체계를 인식히는 열린계라는 인식보다는 많은 생산과 수획은
화학비료로 인한 재배, 그리고 화학비료로 재배된 먹거리의 공급, 배설물
의 폐기, 낭비와 오염으로 이어지는 닫혀있는 체계가 지배적이다. 똥에 대
한 인식의 부재는 똥에 대한 인식의 부재뿐만 아니라 똥과 관련된 다OJ=한
스펙트럼에 대한부재를 낳고 있다.
첫째로는 땅에 대한 얀식을 못하고 있다. 땅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 된
다. Aldo l..eoφ,ld는 r모래 군의 열 두달」이라는 저작을 통히여 인류가 토
지를 대해야 할윤리를 제시한 바 있다. 그는 인류가 토지공동체로서의 일
원으로해야할 역할을강조하고 있다. 토지공동체는바람, 흙, 그리고다양
한 생물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인류도 토지를 바탕으로 생명을 유지히는
공동체의 일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레오폴드의 주장은 인류가토지를대
하는 자세, 그리고 윤리적 관점을 생태적 측면에서 고민할 것을 이야기하
고있는것이다.
그리고 레위기 25장 23절에는 토지를 대히는 자세를 전하고 있는데,
“토지를 영영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라. 너희는 나그네요. 우
거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라고 전하고 있다. 또한 레위기 25장 8
절부터 14절에 희년에 대하여 전하고 있다. ‘너는 일곱 얀식년을 계수할지
니 이는 칠년이 일곱 변인 즉 안식년 일곱 번 동안곧 사십 구년이라. 칠월
십일은 속죄임이니 너는 니팔 소리를 내되 전려l서 나팔을 크게 불지며
제오십년을거룩하게히여전국국민에게자유를공포하나이해는너희에
게 희년이니 너희는 각각 그 기업으로 돌아가며 각각 돌아가며 그 가족에
게 돌아갈지며”라고 전하고 있다.
이 성경의 의미는 시람, 땅, 그리고 공동제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는 것
이다. 그 중에서 땅의 회복은 사람이 땅을 대하는 자세를 정하고 있는 것이
ECOTOILET 1생태윗간 29
다. 이렇듯땅은쉬기도하고그를통하여 또다른공동체를복원해내고그
공동제가생명의근원이된다는것을간과해서는안된다.
나의 몸은 외부의 것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
서 언급했듯01 예수는 ‘냐는 밥얘. 나를 먹고 내 피를 마셔 나를 기념함
으로써 평화를 얻고 영원한생명을 얻으라라고 했다. 예수가 전하는 나는
자신의 몸이며 붉은 피 그 자체 즉, 생명인 것이다. 자기의 희생을 통해 새
로운생명을복원해내는혁명적 조치를언급하고 있는것이다.
이는자기가자신을 벼림으로써 똥으로 썩게 만든 다는 것은자기 자신
을 비우는 일이다. 즉 밥이 똥이요, 똥이 밥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똥은 다
시 거름으로 변하여 흙으로 돌아가고 흙은 다시 생명을 머금고 열매를 맺
게 하고그것은다시 밥이 되어 돌아오는공동체적 관계와상생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밥이 똥이 되어 준다는 것은 단순히 배설물로써의
기능이 아니라 생명의 순환속에서 공동체적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분명한유기체적관계가형성되고있댐l도불구하고그것이나
의 몸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3. 밥과 똥의 해띔. 그리고 생태공동체
김용옥과 전경수의 「똥은 자원이다」에서는 밥과 똥의 하나됨을 이렇게
설명하고있다.
30
문영의 똥은 다시 문명의 밥으로 살아야 효κf 밥과 똥은 몸을 지나가는 소화
관에 의해 연결된 개념이며 -心=r웹 같은 냉훌二用의 개념이다 밥과 통은
천지자연의 생EH사슬에 있어서 언가론적으로 연결되어 %는 총체적 일환의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두 측면이다 우리는 맛있게 밥 먹는 것만 생각하지 맛있게 똥 싸는 것은 생각
히지 못효κt tL반 먹으면 ~11각고 생각히면서 똥 못 누면 죽는 다는 생각을 하
지 못효!Cf. 존재의 윤리적 가치가 밥 먹는데 있다고 생ζ팅땐서, 그것이 똥 누
는데 있다고 생갱}지 않는다 나의 존재 이유가 밥을 잘 먹는데 있다고 생각
하면서, 그것이 똥 누는데 있다고 생ζ팅f^1 않는다 나의 존재 01유가 밥을 잘
먹는데 있다고 생끽연{면서도、 내가 살아 있는 이유가 똥을 잘 누기위해 있다
고 생각히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똥의 조건에 따라 밥이 결정된다는 너무나
도 기초적 생물학적 사실에 대해 우리는 너무 관S을 기울어지 않는다
아마도 이 글은 인류가규범적으로 정하고 있는 밥과똥에 대한 인식이
라고할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밥과똥은하니어며, 결국에는
생태공동체를구성하는 중요한 시작이라는 점이다.
재래식 뒷간 시스탱은 사람→똥→똥거름 → 식물→ 사람으로 진행
된다.돋통시의순환시스랩은사람→똥 → 돼지먹이 → 돼지→돋거름
→식물→사람의순으로진행된다.그리고산안마을과같은일부의계획
공동체에서도밥→똥 →거름→ 땅살림 →생명살림-+밥의관계를가
장중요한의제로삼는다. 콜롬비아의 커피농장도 하나의 순환체계를중심
으로한생산을하고있는데 커피원두가수확되고나서농장에서나온부
산물은 열대버섯을 키우는데 사용되며, 버섯찌꺼기는 지렁이, 소, 돼지 등
의 먹이가되며, 지렁이는닭의 먹이가되고, 소와돼지의 배설물은생물가
스와 커피농장과 채소밭의 퇴비로 되며, 생물가스의 에너지는 벼섯재배과
정에 재사용된다. 콜롬비아농민들은 이와같은과정을통히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이전에 있던 새로운 업종을창출해내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보여주고 있는 것은 새로운 것에 대한 생태이
ECO TOILET I생태뒷간 31
해인 동시에 생태설계로써 숨겨진 연겨I]ffiidden ∞m때on)에 대한 근본
적인 이해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이다. 즉 구성체간의 네트워크, 물질의 순
환, 복합적인 파트너쉽, 다양성의 인정, 그리고 최적회를바햄l 두고 있는
것이다.
밥과똥이 하나됨은숨겨진 연겨]ffiidden conn때on)에 대한 이해로부
터 시작하여 대지와 그를 바탕으로 살아가고 있는 인류를 비롯한 모든 존
재들에 대한 영성적 차원의 이해이다. 그리고 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아
름다운 밥을 만드는 일이며 지구가 하나의 살아 있는 생명체라는 것을 인
식하는일이다.
뚱굉
〈그림 2 콜롬비아 커피농징을 둘러싼 생태학적 군락 체계
자료 F. ~ Tæ Hdden ~ Dotbie<좌(2002, pp. ~←ZJl.
32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현대인의삶과뒷간문화
1.현대인의삶과똥
똥이란말을한지에서는분樓)이라하여 인간이 먹은쌀C*)이 변한漢)
물건C*+異)이라는뭇의 합성어로서 하루에 한 번씩 인간이 배설히는물질
이다. 이런가 하면 똥이라는 순수한 우리나라 말이 영광스럽게도(7) 6.25
전쟁에 참여한유엔면1 소개되어 영어사전에 올라와 있는 'Dung’ (핑, 그
리고 유럽에서 만들어진 단어로서 밤에 만들어져 담 밖의 길에 버려져 형
성되는 흙이란 의며 의 'nightsoi1’ 등 각기 다력l 부르고 일컬어지는 등
항상우리의 생활과밀접한관계를가지면서 기깝지만멀리하고싶은단어
로서존재하고있다.
한편, 과학적인 관점에서 똥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소화되지 않은 음
식물과 소회관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이나 박리된 점막을 포함하는데, 사람
의 경우 대변야佛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섭취한 식물중 결징에서 미소화
물의 수분이 흡수되고 상피에서는 점액이 분비되어서 생성된 대변의 색은
주로 담춤객소에 의하여 누렇고, 냄새는 인돌, 스카톨, 황화수소등과같은
취기이다. 배출은 소회관 끝에 모였다가 직장과 항문 부근에 있는 근육의
ECO TOIL.ET I생태뒷간 33
상호작용에 의해 체외로 배설된다.
2 폼과인간
1) 밑을 닦는 유일한 동물?
인간은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하고 하루에 1회 대변을 배설하는데 동물과
차이점이 있다면 동물은 먹이를 먹고 배설하면서 밑을 탐는 일을 하지 않
는 반면에 유독 인간만은 문명화 될수록 위생이라는관점에서 청결을 유지
하기 위하여 스스로 밑을닦는유일한동물이라고생각된다.
밑은 맘는 방법도 주변 환경과 여건에 江봐 다OJ'한 형태로 변화되어 오
고 있는데, 옛날에는 똥을 배설 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잎이나
나뭇잎을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이러한물질을구하기 어려운지역에서
는돌이나마른흙등모든것이 다가능하였다. 지금도중동이나아시아의
일부국기에서는밑을돌로해결하고있다고하나최근에는이러한천연자
원을 이용하던 방법에서 좀 더 발전되어 종이와 헝짚으로 대체되었고 최근
에는물(비데)로확대되어 보급되는실정이다.
한편 인간의 몸은다른동물과 마찬가지로똥을배설한후굳이 밑을닦
지 않아도 항문의 오돌도돌한근육이 똥이 묻지 않고빠질 수 있도록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신체적 기능이 있혐l도 불구하고 이제는 똥을 배설
하고 밑을 딱지 않는다고 히는 것은 문명인으로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되
었으니 다행인가불행인가?
이마도 우리 인간이 밑을 닦는 행동은 위생적인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
하여 우리 인간의 문화로서 굳어진 것으로 인간의 관점에서는합리적인 행
34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동이라고 사료되나, 물은 생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고 이를
자연으로환류시키는데 반하여 인간은자신의 편안과안락힘을추구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자원을 낭비하고 이를 당연히 여기는 비환경친화적인 동
물로 발전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최초에 똥을 누고 밑을 닦은 인간은
과연누구였을까?
2)똥이여저멀리…
먼 옛날에 살던 원시인과 마찬가지로 인간과 똥의 관계는 하루에 한변
씩 배설하는 행위 그 자체는 변화가 없지만 똥을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이
문명화될수록점점 멸어지고있는것같다. 이러한현상은문명화된사회
일수록 가급적 멀리 더 멀리 하려던 흔적이 보인다. 즉 영어에서 쓰는
‘hights여l’ 은 그 의미가확실히 와닿는 기분이 물씬 든다. 그리 멸지 않은
옛날 유럽 사람들은 똥을 배설을 하고 나서 똥을 집 밖의 도로변에 버리므
로 빔에 만들어지는흙이라 해서 ‘hight +soiI’ 하였다는 것이 단적으로 이
를증명하여준다.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이 하루에 한번 씩 똥을 배설하지만 자기 집에는
두고싶지 않아서 야밤에 몰래 버리는그행위는 “똥이여 제발멀리 사라져
다오” 히는기분을...
이러한 감정은 비단 멀리 외국어l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변소
와처가는 멀수록좋다”고히는속댐l서 보면 똥은우리의 눈에 기급적 뜨
지 않고 멀리 있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은 아마도 인간이 똥에 대한솔
직한심정을보여주는것이 아닌가한다.
ECO TOILET I생태윗간 35
쩍 훨협
〈그림 3) 자연과 똥의 자원순환형 생태계
3) 똥이여! 다시한번
똥은 싫어도 그 가치는 중요한 것이 아닌가? 더욱이 논과 밭에 심은 작
물에 필요한 거름원으로서 과거에는똥보다 더 좋은 것은 없었고특히 똥
을 대신할 비강} 마땅치 않은 우리의 농경문빼서 똥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비료원이었다. 그래서 똥은싫지만똥을밭에다주는것은불가피
한 일이었다.즉 똥은 자양→음~-풍→거릉→자연으로 순환되는 자원으
로자리매김을하고 있었고최근까지도도시민의 똥은주변농촌지역의 비
료로서 그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 않았는가?
기록에 의하면 棄I!J(者 1t三十 棄義者 俠五十{기회자 장삼십 기분자 장
오십Y 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의 의미는 재%를 버리면 사람은 곤장 30대
똥樓}을 버리는 사람은 곤장 50대를 친다고 하는 말로서 백성들이 쓰레기
를 버리지 못하게 한 의미도 있지만 똥이 유일한 비료이자 귀중한 자원이
었던 것을 함부로 버려 자원을 낭비히는 것을 엄히 다스렸던 것을 의미한
다고하겠다. 싫은똥이지만목구멍이 포도청이라...
36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4 똥과자연파괴
현대에 들어 똥에 대한 생각은 우리 인간이 위생적인 삶을 영위하려면
나쁜 영향을 주는 버려야 옹}는 물질로서 멀면 멀수록 좋고 가능한 한 빨리
버려야 하는 천덕꾸러기로 생각되는 경호에 짙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의 똥 처리 과정은 자연-람식→똥→희석수→수
거→처리→하천방류 됨으로서 자연으로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계
의 오염물질로의 부담을 주고 또한 이 과정에서 수자원 낭비와 경제적인
손실을 주므로 자원순환시스템에 역행히는 형태로 정착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이유는위생과청결이라는명분을갖고발전되는현상에지만인
간을 위하역 자원이 다량 소비되고 이로 인하여 지구가 악영향을 받는 일
은지구차원에서는바람직하지 않는것이지만그누가이를탓하랴...
이러한 인간 편의주의 행태仍態로 인하여 수세식변소에서 성인 하루
에 소비하는 물 사용량은{약 42리터) 가정용수의 약 1/3이 되며 각 가정에
서 1.5리터용플라스틱 음료수용기1개에 물을채워 변기 물탱크에 넣어 두
면 1년에 약 4500만톤의 물을 절약할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실정에서 요
즈음설치가증가히는비데는상류층을넘어 이제는중산층에 널리 보급되
고 펼수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어 똥은 수자원의 낭비를 부축이고 자연을
훼손하는애물단지로 전락하는상햄l 처빼 있지 않은7t?
3 현대인의 삶의 공간과 똥
1) 시글의똥
ECO TOILET I생태뒷간 37
인분 핸드북을 쓴 조셉젠킨스의 글중에 다음과 같은 글이 삽H되고 있
다. ‘나는어릴적에힌국전에참전하였던군인들의 이야기를들은적이 있
는데 맥주를 한두 잔 마시고 나면 으레 뒷간이야기가 나온다. 한국인들은
행인들로 하여금 자기들의 회장실에서 용변을 보도록 꿀어들이기 위히여
회장실은 잘 꾸미는 것을 보고 놀랍고도 신기하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의
똥오줌을원하는사람이 있다는사실이 너무나기이한웃음거리고기억에
남아있다
이 글을 대하면서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지금부터 약
50여년 전이라고 하면 그렇게 오래전 이야기는 아닌 것 같은데 지금의 청
소년들이이러한이야기를들으면과연몇명이나이해할것인가?
지금은천덕꾸러기가된 ‘똥’도왕년에도그래도대우깨나받았던시절
이 있다는사실이 믿기기 어려운 실정이니 이것이 만물의 영%에라는 인간
의 관점에서 보면 현명한 선택인지 잘못된 행태인지 의아스럽기만 하다.
아래의글은강원대학교권오길교수님이 ‘똥은금이다’ 라는글로서 1950
년에 우리 나라 똥이 어떠한 대우를 맞고 이용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구구
절절이 똥의 위대한 힘이 느껴지는 기분이 든다 .
38
때는 바야흐로 1950년대 후반으로 이 시절어|는 사람 똥은 금갑에었다고 한
다 설거자통에서 나오는 구정물은 쇠죽을 끓이거나 돼지먹이가 되었고 과채
류 등은 소 돼지가 먹었다. 시람들이 먹던 음식, 생선뼈 는 개나 닭의 먹이가
되었고 오줌똥은 썩여 밭으로 보내고 소나 돼지의 우리에서 나온 것들은 밑거
름이 되었다 농가의 농부들은 매달 똥징관)으로 똥을 퍼 갔고 가을에 콩 몇말
을 그 값으로 쳐 주었다 “집의 똥 내주이소’ 지나치면서 들었던 옆집 이주머
니와 검게 탄농부의 대화였다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똥장군
한편 겨울이면 개똥망태 어깨에 메고온동네를돌아다니며 개 똥을주
워모았다.개똥을찾아다니던그때모습을생각하면지금도웃음이나온
다 ‘개 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라는속담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다 익에 되
는 개똥이 따로 있으니 흰 개의 흰 개똥이 좋았던 모OJ이다. 그래서 “똥누
면 분칠해 말려 두겠다”는 노랭이 심보를 가진 사람을 빗댄 말까지 생겨난
모양이다.
또한시골에서는허리나팔다리 뼈를다치면똥술을해먹고또똥을환
부에붙이곤했다. 똥먹은똥돼지 애기는들었어도똥먹은똥사람애기는
처음듣는 이도 있을 것이다. 시골의 똥개도 비슷한 처리방법이다. 마댐l
서 아이가똥을누면 그것은 강아지 차지였고 항문에 묻은똥까지 혈아 먹
어밑씻개가따로필요없었다.
이글은 읽는 사람 중 몇 사른센 이러한 내용이 우리나라에서 행하여진
3. 똥징군은똥을담아옮기는동을말하며, 오줌장군도 있다 ‘농 (장군부) 라고 읽으며 장군이 바로 액체
를담는그릇이나용기를의미합니다 따라서 똥장군이란똥을담는용기라는의미가될니다 ‘옮’ 글자를
포함하는글자들은 일반적으로 행벼와관계되며, 실제 예로서 鍵(두레박관〉은행벼, 양철통, 음료수,
통조림의 캔(æn)이라는뭇으로 쓰인다,
ECOTOILET I생태뒷간 39
일이라고 믿을까마는 이러한이야기는 비단우리 나리에서만 있는 것이 아
니라 많은 나리에서 비슷하게 인분을 이용하고 활용하였던 거 같다. 이와
유사한사례를 보면 멕시코에서는 야생개 라고 불리우는데, 이 개는 특정
은 사람이 모래사징에서 용변을 보면 조그만 털북숭이 멕시코 개들이 볼
일을 끝날 때 까지 기다리다가 일이 끝나면 김이 모락모락 나는 인분을 채
1분도 걸리지 않고맛있게 해결하여 주변을깨끗이 한다고한다. 그리고 인
도에서는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돼지의 먹이로 해결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과거에는 인분은 귀중한 퇴비이자 동물의 먹이로 활용되어
그야말로 벼릴 것이 없는 완벽한 하나의 자원이었다. 따라서 똥을 자원화
하고 아껴 자연친화적인 삶을살아왔기에 한국 중국 및 일본을 비롯한아
시아 국가에서는 사람의 배설물을 폐기물로 보지 않고 자연자원으로 이해
하였던 것이고, 이 점에서 。씨아인들은 서양인보다 진보했다고 평가히는
사람도었다.
40
인분은 토양과 사람의 보약
히말라야 산약지멍에서 사는 훈지족은 명균적으로 1α써l
이상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건강비결은 먹는 자
연식품과 그것을 재배하는 토%딸 포함하여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 달려있다고 한다 훈족은 인분을 퇴비회하고 그것을
농업에 사용하는데 퇴비를 만들때 사험이나동물의 분을 먹고 남은 쓰레기 나뭇잎,
숙성시킨 인분등가능한 모든 것을 땅혐l 묻어둔항아리 속에 넣어 6개월 이상숙
성시켜 사용한다고한다.
더울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2) 도시의똥
현대에 들어서 도시의 똥은 철저하게 사람으로부터 분리되고 외면당하
는과정을밟아왔다. 그과정은우리의 근대화가서양의 문물과문화를 거
의 무비판적으로수용하면서 똥에 대한서양인의 혐오와기피의 관점이 철
저하게 내면화한 과정이기도 하다. 오늘날 도시인은 가능하면 똥을 보지
않고냄새 맡지 않고접촉송찌 않는것이 문회이고문명인 시대를살고 있
다. 이 과정에서 똥은 철저히 도시인의 생활 영역에서 감춰졌다.
이제는 거의 보편화된 양변기는 똥을 우리의 시야에서 감추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하였다. 양변기 말 자체가 저양에서 온 변기’ 를 의미하는 것
으로 전래의 우리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양변기에서 똥은 우리의 시야
에서 완전히 은폐된 채 물속에 잠겨 나름의 존재감마저 풍기지 못한 채
잠시 머물다 영원한 어둠의 하수관거로 λ봐진다. 그것이 다시 세싱써l
모습을 나타내는 때는 그 탄생이 그러했듯이 그 마지막 소멸의 순조써l서
나가능하다.
똥을 우리의 인지 세계에서 완벽하게 배제하기 위하여 진화를 거듭한
양변기는 드디어 비데의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 이제는 최소한의 손길이
없이도 뒷마무리가 가능한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사람들은 그저 비데가
설치된 양변기에 앉았다 일어나기만 하면 된다. 그 와중에 우리는 거의 똥
의 존재감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게 됐다. 이것이 당연히 도래해야할 문명
의 진보의 한귀결인지는모르겠다. 그러나그렇게만 치부해버리기에는부
족한점이너무많다.
변기가 진화되는 과정에서 개발된 휴지, 세정제, 방향제 등의 물품은 철
저히 똥을 우리의 감ζ에l서 배제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본래
ECO TOILET I생태뒷간 41
자연성을 갖는 똥의 성질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만들어진 세정제, 방향제
등의 물질은 당연히 반 자연적 물질일 수부써l 없다. 자연분해 되어야 할똥
은세정제나표백살균제 등의 약휩l 섞여 자연분해가 쉽지 않게 된다. 세
정제, 표백제 등의 물질이 수중의 분해환경 - 미생물환경 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수세식 양변기의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최근 개발된 일련의 친 환경적
변기라는 것들도 환경문제에서 완전히 지유롭지는 못한 것 같다. 일례로
포세식 변기는물사용량을줄이기 위해 인분의 악취차단용으로거품을이
용히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히는 거품의 경우 전형적인 계면활성제로서 수
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지 않은물질이라 할수 있다.
아마도 똥과 사람과의 관계를 멀리하는 그 어떤 시도도 환경 파괴라는
근본적인 한계상황의 숙명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그것은 똥의 특성이
사람이라는 생물체에서 나온 생물질æIOMASS)이라는 운명을 갖기 때문
이다. 자연계의 모든 것이 생멸의 순환체계를 갖듯이 똥이라는 것도 그 순
환체계의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멸해지고 다른 물질로 변회{∞nversion)하
기때문이다.
오늘날의 똥은 과연 예전 우리의 농경문빽서 똥 그자체가 곡식이요.
채소인시절의 풍경과는많이 다르다. 이제는농촌에서도 인분을거름으로
활용하는 일은 매우 드문일이 돼버렸다. 이런 상햄l서 도시에서의 똥이
위생의 관점에서나 우리의 인식영역안에 겨우 틈입할수 있는 현실은 어쩌
면 매우당연한노릇일지도모른다.
완벽하게자연세계와격리된하수관거를 지나도시의똥은분뇨처리장
이나 병합하수처리%에서 일부는 물로 일부는 개스 물질로 일부는 미생물
로전환되어그운명을다하게된다.
42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그러나 여기서 생각하여야 할 중요한 문제는 우리니라의 경우 좁은 면
적에약 4,800만명이라는많은인구가살이야하니 전국의시골지역도이
제는도시화하여 도시지역과같은상태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는사실이며
이로 말미암아 머지않은 장래에 모든 국민이 배설히는 똥은 이제는 더 이
상의 자원으로서 있는것이 아니라우리가많은돈을들여 처리하지 않으
면안되는 환경오염물질로전환되었다는점에있다.
가정 .:i:lA~
C그 C그
해앙배수
상가 사무실 공공기관 기타
매립 人 7f
~....., 재활용
〈그림 4) 똥의 발생원 및 처리방법
ECO TOILET I생태윗간 43
4 현대인의 삶의 결과, 폼과 분뇨
1) 현대인의 삶의 결과 똥의 운명
앞에서 도시의 똥이 더 이상 자원이 아니라 많은 돈을 들여 처리하여야
하는 물질로 전락되었다고 하였으나 이제는 이러한 현/한l 도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시골에서도같은현싱이 발생하고 있다. 똥의 관점에서 본시
골과도시는이제는그차이가없어져 가고있다. 일례를들면전통적인시
골풍경에서는전기나상F수도등이 없고초가집이 있으며 집안에는외양간
이 있어 소도 키우고집문을 나서면 바로 들판이 어우러져 목가적이고 전
원적인 분위기를 느껴야 하는데 이제는 이러한 것들이 하나 둘 우리의 시
야에서 사라지고 문명의 도구들이 에워싸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가정마
다 사용하는 가구나 소비하는 물질틀이 도시와 다른 바 없고 도로는 아스
팔트와시멘트 보도블록으로포장되어 있어 겉모습은산뜻하고편리한모
습을 보이고 있으나 반면에 토양생태계는 숨을 쉬지 못하여 제 기능을 발
휘하지 못하고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편하고 쉬운 것을 선호하는 경향과
경제적인 활동의 축이 집중되는 새로운 문명의 발달은 젊은이들을 시골에
서 도시로 이동시켜 시골에서는 이제 인구의 노령화로 인히여 실제적으로
농사를 지을 젊은 사람이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골에서의 노
동인력은 주로 노령층으로 구성되어 운영되는 특정을 보이고 있어 농시에
펼요한 유기질비료를 만들고 사용해뼈밍하고 히는 일들이 어려워져 쉽고
편한화학비료에 의존하게 되는상황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시골의 농사에서 귀중한자원으로대우받던 ‘똥’ 이 이제는더 이상필요치
않는 더러운 물질로 전락되는 동시에 처리에 많은 돈을 들여야 종}는 상황
44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이당연시되고있다.
a 현대인의삶과분뇨
우리 나리에서 발생히는 분뇨의 발생량은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
가 있고, 한사람이 하루에 배출하는 생분뇨의 양은 일반적으로 평균 1Q 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똥이라 히여도 수세식의 경우 정화조 및
오수처리시설에서 일정기간동안부패되어 줄어드는특성을 갖고 있다.
최근 10년간분뇨 및 정화조폐액의 발생량을 〈표 2>에서와 같이 생분뇨
〈표 2 지난 10년간 분뇨 발생량 및 처리대S랑
(닫위 : m'/일)
발생랑 처리대응발
구분
겨| 분뇨 X옆홉찌I액 겨| 수거분뇨 정화조찌|액
1993 44,879 11.859 33.020 26,η6 11,812 14,964
1994 42,579 10,735 31,844 28.365 10,302 18,063
1995 45.9이 9.493 36,408 26,앉38 7.130 19,838
1앉갯8 5,954 8,411 37,543 26,362 7 않3 18.679
1997 46,872 τ563 39,309 25,934 6,440 19A94
1998 47,162 6,589 40,573 26,447 5,584 20,864
1~갯9 47,495 5.864 41,631 27,934 5,148 22,739
2000 47,388 5,202 갱,186 25,798 4.501 21.297
2001 48,227 4.623 43,604 ‘ 26,184 4,251 21.933
2002 48,쩌4 3.984 44.511 32,420 3,676 28,744
ECOTOILET I생태뒷간 45
의 양은 수세식에 의한 정화처리를 거치는 곳이 증가하면서 1993년 이후
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블 보였으며, 2002년에는 3,984 m3
/일 (1,454.2
천m3
/년) 정도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수세식의 증가로 인한정화조도입이
증가하면서 정화조폐액(슬러지)의 발생량은 1995년에 36, 408m3
/일
(13,잃8천m3
/넨으로 매년 증가히는 경향을 보여 2002년에는 44,511m
3
/일
(16,246천m3
/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뇨는 생분뇨로 배출되어 수거되거나, 정화조로 유입되는데 정
화조에 유입된 분뇨는 오랜 기간동안 분해되고 안정화되어 1년에 1회씩 청
소되어 정화조폐액으로 발생된다. 생분뇨의 원단위는 1인당 1일 얘kg, 정
화조폐액은 약 0.4~0.5kg발생된 후 수거되어 위생처리징에서 처리되거
나, 해%버H출혹은 액비로서 현징써l서 재활용된다.
전체분뇨의 처리현횡을 보면 1일 발생량 32,240m3
중에 수거분뇨는
3,676m3
이며, 정화조폐액은 28,744m3
이며, 이들 중에 약 98%가 수거 운
반되어 처리되고 있고약20/0는수거운반이 불가능하여 처리할수 없는양
이다.
수집 운반되어 처리대^d-이 되는 분뇨 및 정화폐액의 처리방법을 보면,
위생처리장 혹은 환경사업소로 명칭을 사용히는 곳에서 31,819떠의 분뇨
가 처리되고, 분뇨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는 양이 30,961m3
/일 이며, 해
양투기로 111m
3
/일, 재활용으로 746떠/일 처리되고 있다. 여기에서 분뇨처
리시설은 지자체가 단독의 전용시설을 설치히여 처리하는 경우와 하수처
리징에 설치하여 병합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집 · 운반되어 액비로 이
용되는재활용은전체 발생량에 대하여 미비한수준이다.
분뇨처리시설에서 분뇨 및 생분뇨가호기성소화, 혐기성소화혹은 액
상밤l법 등에 의히여 처리되어 분해되고 고형물의 형태로 발생되는 것은
46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슬러지로서 분뇨처리 슬러지라는 명칭으로통계를 집계하고 있다.
분뇨처리조에서 처리되어 최종산물로 발생하는 분뇨처리 슬러지는 대
부분이 재활용, 매립, 해C썽H출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처분되고 있다
분뇨처리 슬러지의 최종처분 현횡을 보면 1998년 분뇨처리 슬러지 발
생량의 85%가 매립과 해양배출에 처분되었으나, 1999년 이후부터는 퇴비
화등의 재활용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에 매립과 해OJ=배출에 의한 최종
처분은 급격히 감소하여 2001년에는 분뇨슬러지의 89.3%가 퇴비화 등에
재활용되었고 나머지 10.6%가 매립과 해%배H출에 의해 처분되었다.2002
년 현재 분뇨슬러지의 처분 현황으로는 재활용 71.6%, 해양배출 19.9%, 매
립 6.6%, 기타처리 19% 순으로 처분되어 증가추세의 재활용비율은 전년
도에 비해 감소하고 해OJ=배출과 매립에 의한 처분이 증가하였다.2005년
도부터 분뇨처리시설의 처리용량01 700빼%엔 시설에서 배출되는 슬러
지에 대해서는직 · 매립이 금지되어 현재 매랩되는양이 거의 줄었으나제
로베이스까지 기.0]:하며, 해양배출을 가능한 억제하고 육성에서 재활용하
는체계로의 개선이 펼요한실정이다.
한편향후분뇨의 발생과처리후발생하는분뇨처리슬러지 발생량을예
측하여 보면 인구가증가하는상황11서 분뇨의 발생량도증가하고 따라서
분뇨슬러지의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뇨처리장
의 하수처리장과의 연계 등으로 인히여 실제적으로는 미래의 분뇨처리슬
러지의 발생량은감소할것으로나타난다.
ECOTOILET I생태뒷간 47
〈표 3) 여|측자료를 이용한 분뇨처리슬러지 발생량 예측
년도
요ιF 분뇨 헬슬러l조지 겨| 딘발워생슬러량지 슬밟싣러황지 슬발러생지랑
(잉 (m3!일) (m3!일) (m3!일) (kglm3) (얘/웰 (동떤)
1앉l8 46.286. 밍3 6.589 40 강3 47.162 9.5 띠8039 163.534
1999 46,616,6η 5.864 41.631 47.495 9.5 451,∞3 164.61:웠
2000 47008111 5.202 잉,186 47.388 9.5 450,186 164.318
2001 47,영2,8;;정 4,623 43.604 48,227 9.5 458,157 167,227
2002 47.6::웠 618 3.984 44,511 48.495 9.5 460.7C저 168.156
2003 47,925,318 3,영8 45,455 49,393 ‘ 9.5 469,236 171.271
2004 48.199.227 3.695 46.440 50.135 9.5 476.286 173.844
2005 48,460,590 3,485 47.425 50,910 9.5 483,643 176,530
2006 48.710.241 3.299 48.410 51,709 9.5 491.237 179.301
2007 4얘8,’:,94쩌8,463 3.133 49.395 52,528 9.5 4월,016 1않,141
2008 49.175.329 2,앉33 50,380 53,363 9.5 506.946 185.035
2009 49,391,042 a잃6 51,365 54,낀1 9.5 515.001 187,975
2010 49,않4,482 2,걷O 52,350 55,αB 9.5 523;159 190.953
2011 49,π킬,861 z∞3 53 경5 55.938 9.5 531,406 193.963
2012 49,954,138 2얘4 54.320 56.814 9.5 539,730 197.001
2013 50,107,196 2,393 55.304 57.697 9.5 548,121 잉0,064
2014 50,240,035 2,297 56.289 58.앉킹8 9.5 556,570 203.148
2015 50,352,318 2,207 57.274 59.481 9.5 565,0꺼 206.2히
48 더불어 A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5. 현대인의 생명지킴이, 지렁이와 똥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이 생존하면서 발생시키는 똥 그 자체는
변뺨1 없다고하더라도그 재와 이용랜방법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으
며 특히 최근에들어서는귀중한자원이라는관념에서 벗어나비용을들여
처리하는물질로자리메김을하고있는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지구 생태계를 약 5억 년 전부터 기꾸고 보살펴온
지렁이의생태적인기능을이용한똥의관계를살펴보면다행스럽게도지
렁이는 옛날부터 이것을 즐겨 먹이로 이용하고 정화하여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약 4천 년 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슈벨인에 의한 점토화석(結土化石)
에지렁이가토OJ=-을비옥하게하여주고지렁이가많은곳에농사를지으면
수확이 많다는 기록을 전하고 있으며 지령이는 나일강이나 메소포타미아
강가에서 장마철에 떠내려 오는 동물의 분灌:), 식물의 줄기, 동식물의 사
체 등을 처리(먹이)하면서 번식하고 똥을 배설히여 땅을 기름지게 한 것으
로추정하고있다.
이와같은지렁이의 기능은지금에도전세계에서 도처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서울시민이 날마다 배설하는 똥
이 난지하수처리%에서 매일 약 50-톤씩 지렁이로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처리히는 똥은 서울인구의 4분의 1(약 250만 명 추정)이 배설하는 양으로
서 각 가정, 사업장 및 공동주택(아파트 등)의 정화조 및 오수정화처리시설
에서 수거한양을처리하고나온최종슬러지를약 8,000여 평의 지렁이 사
육징L에서 지렁이에게 먹이고 있다. 만약에 여기서 나온 똥을 지렁이가 먹
어 주지 않는다면 아마도 이 똥은 태우거나 메우거나 아니면 바디에 뿌려
ECO TOILET I생태뒷간 49
야할운명이 아니겠는가?
지렁이 !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그밝l서 이 지구를 위하여 묵묵히 일
하는그대여그대는과연이지구를지키는위대한생물체로다. 그렇다면
지렁이는 인간의 똥만을 처리히는가 ? 아니다 자 보라 ! 지렁이는 인간만
편애히는그런좁은시야를가지 동물이 아닌 것을. 지렁이는인간과동물
을차별하지 않으며, 똥의 더러움과 깨끗함을논하지 않고 그 실체를보고
행동하지않는가?
몽과 지렁이사육상 (난지도) 소똥과 지렁이 사육상 (중국)
위 사진에서 지렁이가 인간의 똥과 소의 똥을 처리하는 사육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사실로부터 우리가조금만노력하면 어렵지 않게 동물
의 배설하는똥을환경친회적으로관리할수 있음을알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렁이는 우리 인간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이 자연과
생물을 위하여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절실히 느끼게 하는 사례
를들어보고자한다.
아래의 사진은 우리 살고 있는 어느 곳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개똥이
다. 최근에 들어서는 각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커우는 붐이 일어서 이집 저
집에서 여러 종의 애완동물을 카우고 있으며 애완동물은 예외 없이 똥을
배설한다는사실이다. 애완동물의 똥을처리하는방법은여러 가지가있지
5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율 위한 공동처| 이야기
만대부분의 경우히수구나쓰레기통에 넣어 처리하나개의 경우에는유독
가정의 밖인 도로변, 공터, 공원 및 잔디 등에 많이 방기판 현상에 목격
된다.
이름모를개띔공터에세 이름 모를 개똥{죠!CI에세
그러나 이러한것도시간이 지나면 아무도 청소하고관리하지 않았지만
우리의 눈에서 자연스럽게 사라져 가고 있다. 누구인가? 이 지구를 깨끗이
청소하는 대지의 청소부는?
물론이러한일은자연계의많은미생물이서로어우러져처리하였지만
이 중에서 지렁이의 역할을확인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하여 보았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면 개똥위에서 지렁이가 분주히 먹이를 먹는 것을 볼
수있으며, 더 나-àt가서는개털까지도먹어 치우는것을알수있다.
개똥을먹는지렁이 개똥,개털및과일껍질
ECOTOILET I생태뒷간 51
아래 사진에서는 지렁이가 개똥과 털을 먹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상
태를보여주는것으로 일부먹이가남아있기는하지만지렁이가먹어서 일
부는 지렁이 똥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지렁이가
이렇게 먹이를 처리하고 증식이 가능한 것인가를 알 수 있는 것을 파악하
기 위하어 지렁이 알을 찾아본 결과 많은 알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지렁이는 인간의 똥과소와같은가축의 위시하여 애완견의 똥
까지도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확인하였다.
일정기간 경과후의 사육상 발견되는지렁이 알
한편도시지역에서 똥을처리하는기술은똥에 함유되어 있는기생충과
병원균을 멸균하는 것이 위생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포인트로 다루어지
고있다. 지렁이가똥을먹었을때 똥안에 있는기생충의 변화상태를파악
하여 본결과, 표 4에서와같이 처리되어 발견할수 없는것으로나타나위
생학적 인 면에서도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52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표 4) 지렁이가 섭취한 애완건 분 안정성 조사 (분변 그램당 충란수)
기생충란의 종류
구 분 장내선흥
징내월충
개화충 개소화흥 개편충
말티스
시 츄
요크셔틀
-I「I EE드
/
※ 지렁이 시육장치에 지렁이 개체수 30미리 입식, 애완견 분 투입랑 잉g
a 인간과 동물 똥 무엇이 다른가?
생태학적인관점에서보면음식과똥은유기물이라는관점에서보면거
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또한 인간의 똥이나 동 · 식물의 배설물{똥) 역시
차이를보이지 않는다고생각된다. 그런데 유독인간의 경우에는문화와경
제가 발달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순
환되어 처리되던 물질이 순치적으로 인간의 관점에서 인위적인 방법으로
관리가전환되고있다.
1) 자연과 합일(슴-)하는 동물의 똥
동물이나 식물은 자연스럽게 먹이를 먹고 이를 자연에 보내 생태계와
어우러지는삶을살고 더 나아가서는배설물이 생태계의 순환을돕고풍요
롭게히는데 일익을담당하고있다. 이러한현상은비단오밝l만하는것
ECOTOILET I생태뒷간 53
이 아니라수억년아니 지구가태어남과동시에 이 지구상의 모든생물체
가 같이 서로 연계하면서 살아가는 형태를 띠우며 살아오고 있지 않나 생
각된다.
물론 초기에는 인간도 이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자연인의 하나로서
삶을 시작하고 성장하면서 죽을 때 까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것
같다. 즉 인간도 자연 안에서 삶을 영위하고 호흡하고 사라지면서 현재까
지 탈없이 견디지 않았나 한다.
새들은 나무나 식물의 열매를 먹고 저 멀리 날아가 다른 지역에 배설함
으로써 식물이 널리 퍼지도록 히는데 지대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또한 해
안71에 사는 새들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해안에 배설하는 구아노D는 육지
에서 생성된 비료물질이 바디에 흘러들어가 폐기되고 사장@댐짧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물고기가 먹고 이것을 다시 육지로 다시 돌아와 식물의 영
OJ:물질로 다시 순환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I언에 브뼈ôf는 똥
자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인간。l 배설송}는 똥도 쌀, 배추, 고추, 고기 등
을 섭취하여 우리의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활용하고 과잉으로 많거나 필요
없는물질들은자연계에배출하는것으로자연은이것을받아들이고분해
시켜 동 · 식물은 이것을 영OJ'원으로 하여 성장한다. 이러한 기능은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닌 그 자체가 생태계의 순환원리에 따라 자연계의 수
많은 동 · 식물이 상호보완적인 삶을 살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일이 아
닌가? 만약에 이러한 생태계의 물질순환이 빙F해받거나 정지되면 생태계는
더 이상 의 활동을 멈추고 파괴될 것이고 결국 이러한 상태에 다다랙l 되
54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면자연적으로인간도더 이상삶을지탱하기 어려운상황이 될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은 이 지구를 보존하고 지키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
을기울이고있으나이러한노력에도불구하고우리의삶의터전이고우리
의 후손들이 살아가야할이 지구가위협받고 있다. 이와같이 지구를괴롭
히는 것 중에는 우리 인간으로부터 기원하는 것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행동들이 대부분개발과우리 인간의 만족을추구하는과
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인간이 배설하는
‘똥’도과거에는그러하지 않았지만현재에 들어서는이 지구에 나쁜영향
을 주는 물질로 변형되어 가고 있지 않은가? 즉 인간의 똥을 자연으로 보
내어 생태계의 순환원리에 의하지 않고 이것을 물로 행구고 짜고 태우고
하는 등 우리의 틀에 맞추어 관리함으로서 자연계의 순환 고리를 끊고 있
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과연 이러한 생각과 행동이 자연생태계의 이치에
맞는것인가?과연우리와똥은지금어디로가고 있으며 미래에는어디로
갈것인가?
자연계에서 폐기물이란존재하지 않으며 !
생물의 배설물은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는 자원이다.
ψα옹phJ낭n때15: 인분 핸드백 저자)
ECO TOILET I생태뒷간 55
전통뒷간과생태공동체
1. 뒷ξ뻐| 대한 01해오} 공동체 삶
뒷간의 의미는 14591년
r
월인석보」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뒤를 보는
집’ 그리고 ‘뒷마댐l 자리한 집’ 이라는 뭇으로 설명되고 있다. 인분을
‘뒤’ 라는 의미로 표현한 셈이다. 다시 설명하면 ‘뒷마당 한 켠에 자리한
집’ , 마당 한 귀퉁이에 놓인 건물’ 돗이다. 뒷간은 살림채와 떨어져 있으
며 뒷마뱀 별채 형태로 떨어져 있는 공간으로 뒤에 따로 떨어진 측간’
이란의미로 ‘뒷간’이라고불리고있다.
우리나라의 뒷간은 서구적 개념인 볼일 보는 곳과 씻는 곳을 통합적으
로 구성한 화장실의 개념이 아니라 씻는 공간과 볼일 보는 공간을 분리된
하나의독립된공간으로써의 기능을가지고있는곳이라고할수있다.
이러한의미를지닌우리나라의 전통뒷간은자연과분리된 이분법적 사
고에 근거한 접근이 아니라 주변의 자연 조건과 생활 형태에 순응한 공동
체적 삶의 형태에서 비롯되었다. 전통적 농경국가는먹거리를생산하는과
정에서 필요한 거름이 중요한 공동체적 기제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를 기능하게 하는 것을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찾아왔다. 또한 일상생활
5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속에서 먹거리 생산에 필요한 요소를 찾는 것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기
제에 순응한 생산체계 보다는 지역적이며 생태적이며 공동체적 모습 속에
서의 먹거리 생산을원칙으로하는과정에서 생산에 필요한수단을찾으려
했다. 이것은 밥과똥과삶을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나기는과정으로 인
분을 통해 생명순환의 원리를 적용시켜왔던 것이다. 이러한 똥을 이용한
거름은 지역공동체에 순응한 삶의 양식으로 그 지역의 여건과조건에 띠라
다랙l 나타났다. 전통뒷간이 내용적 차별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궁극적으
로는 생태적이며 자연순환의 법칙에 의거한 과학성과 경제성이 내재된 생
태학적 원칙에 근거하여 운영되었음을 알수 있다. 가령, 강원도 지역에서
는 갯간을 이용하여 거름을 만들어 낸다거나 제주도에서는 통시를 이용하
여 인분의 문제를해결한다거나 일반농촌농가에서는수거식 뒷간을만들
어 해결하기도했다. 이러한뒷간의 적용원리는자연의 생태적 순환을도
모하고인간과자연과의자연스러운결합을통하여이루어진사회 · 문화
적인행위였던것이다.
그러나 농경문화 이후 도시주의 출현은 진보에 대한 편견, 다양성에 대
한 편견, 인간중심주의의 편견, 과학기술중심주의에 대한 편견 등을 양산
시키면서 똥의 문제에 있어서는 ‘전통’ 이라는 표현으로 일단락시킴으로써
전근대적이며 불결한대상으로뒷간의 의미를전락시키게 된다. 결국도시
주의는 경제주의와생태주의는 조회를 이룰수 없는관계를 만들어 냄으로
써 전통뒷조f에 대한 생태학적 김수성은 경제학적 이성으로 전환시키는 결
괴를초래하게된다.
ECO TOILET I생태윗간 57
2 전통뒷ζ벡 유형과 그 특성
뒷간에는 여러 형태가 있는데 주변의 자연조건과 생활양식에 따라차이
가 있다. 구들난방을 하여 재가 많은 집에서는 갯간을 만들고, 재를 많이
내지 못하거나퇴비를빨리 많이 내야하는집에서는수거식 뒷간을짓고,
일부산골에서는돋통시(똥돼짓간)를 만들기도 했다.
뒷간은 가장 일반적 인 수거식 분뇨 처리 형태로써 인분이 일정한 양이
되면 퍼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뒷간의 인분을 퇴비로 사용하기 위해서
는밭두둑가에구덩이를파서옮겨두고일정기간썩힌뒤거름으로사용을
한다. 보통 여름에는 4,5일 뒤에 꺼내 사용하고 봄, 가을에는 m일 뒤에 꺼
내 사용히는데 암흑색으로 변했을 경우에만 꺼내 사용을 한다. 일정 시간
을두고썩힌후땅에뿌리면인분퇴비가흙과섞여흙속의미생물이복합
적으로 작용하여 분해과정을 거침으로써 퇴비가 안정화되고 채독도 방지
하고땅속의 영양분을장기간유지시커는 역할을한다. 그리고수분조절
/ 을 위해 오줌통을따로 두어 인분과뇨를분리하였다.
갯간은 집에 뒷간을 별도로두지 않고재간의 한켠에서 볼일을볼수 있
도록만든곳으로, 한켠에 디딩돌을두 개를놓고 앞에는재를쌓아두며 뒤
에는 똥재를 쌓아두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볼일을 본 후 앞에 있는 재를
뿌린 후 나무 삽으로 떠서 한쪽에 던져 쌓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방식
은 퇴비화 방식을 있는 자리에서 할 수 있는 편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
는특정을지니고있다.
해우소는사찰의 동안거, 하안거 기간동안사찰 경내와주변자연 조건
속에서자립경제를도모할수있는중요한영역으로농사의풍년을보장해
주는 장소인 동시에 근심을 푸는 장소로 이해하고 있다. 해우소는 해의소
58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뼈歡F에라는의미로 ‘옷을벗는곳’이라는의미를지니고있다. 이 의미는
속곳 · 속바지 · 속치마까지 켜입은 선인들이 볼일을 보는 과정에서 옷을
몇 개쯤 벗어뇌야 시원하게 뒷일을 볼 수 있다는 의미로 뒷간의 이름을 옷
벗는장소로표현한것이다.
해우소는산의 지형적 특성으로 고려하여 대부분 산비탈에 위치를 하고
있다. 비탈에 위치한 해우소는 전면 1층 뒷면 2층의 누각구조로 되어 있
다. 해우소의 상단부는 사찰 건축의 끝자빽l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사찰 영역의 아랫부분인 밭의 시작부분에 자리 잡는다. 상단부에서 볼일
을본후하단부에서 인분을꺼내 밭과바로 연결되어 거름으로쉽게 사용
하는 구조로 되어 았다. 이러한 비탈구조는 통풍, 채광, 산소공급, 보온효
과, 자연발효, 냄새제거 등에 있어서 정점으로 작용하는 면을 충분히 고려
한선택이라고할수있다.
통시는 똥돼지간, 돋통시로 불리기도 하는데 인분을 돼지가 먹어서 처
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뒷간을 의미한다. 제주당+ 지리산 자락 마을
에 부분적으로 통시를 이용하고 었다. 통시구조는 누각 또는 수평 구조로
되어 있으며 부출 밑이 돼지우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부출의 높이는 돼지가
머리를들고들어와먹을수있는정도의높이로되어 있다. 돼지에게부족
한인분을대신하여음식찌꺼기 농산물찌꺼기와바맥l 깔아놓은짚과마
른 풀 그리고 돼지똥이 혼합되어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섞여 두엄
이 되는데 이 두엄을 퇴비로 사용하고 있다.
ECOTOILET I생태뒷간 59
〈표 5) 전통뒷간의 유형과 그 특성
구붐 뒷간 햇간 해우소 룡시
전통뒷간의 가장 아궁이에 불을 구조물 하단부 누각 또는 수평
일반적인형태 때고 나온 재를 자체가 접해 있 구조로 부칠 밑
분뇨가 일정량이 인분위에 얻어 는 땅과 일정한 이 돼지우리와
원리
되면 퍼내는 식 인분냄새를 제거 거리를 두고 있 연결되어 돼지가
으로구성 시킴 으며 벽체도 공 머리를 들고 툴
재와 인분이 흔 기 습기의 소통 어와먹을수있
합되어 똥재카 에 지장이 없게 게구성됩
되는것 되어있음
밭두둑기에 구덩 재, 닥엽, 왕겨, 낙엽, 왕겨, 울, 짚, 음식찌꺼기
이를 파서 옮겨 풀 채소 찌꺼기 채소 찌꺼기 등 등과 인분과 돼
발효방식
놓고 어느 정도 등을이용 을 01용 지똥이 섞혀 두
썩힘 엄이될
냄새제거방식 재 재, 석회
처리방식
시간을 두고 땅 발효 후 거름으 발효 후 거를으 발효 후 거름으
에뿌려시용 로사용 로사용 로사용
적용대상지역
농촌지역에서 보 강원도 지역에서 사찰에서 주로 저뚜도통돼지간
편적으로시용 보편적으로사용. 사용 지리산통돼지간
경기 포천 김준 경북 상주 푸른 선암사해우소 경남 산청 차성
권씨뒷간 누리햇간 불영사해우소 건씨뒷간
전북 부안 전경 일지압해우소
적용사려|
식씨뒷간 보덕사해우소
충남 Of산 01동 표충사 태동암
범씨뒷간 해우소
문경정토수련원
oK우소
3. 전톰뒷ξ펙 생태공동체적 의미
1) 자연과 대호까 가능한 경로를 지니고 있다
현대문명은 단절과분리의 원칙에 근거하는 것으로 생명 순환의 관계를
철저히 차단하고분리시키는 일이다. 이것은공간을구성하는과정에도그
60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econewsletter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ecobuddha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ecobooklet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econewsletter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econewsletter
 
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ecobuddha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What's hot (20)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7·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3월 4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9월 10월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19th ecobook festival guidebook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월 2월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와 에코페미니즘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
에코붓다 - 환경수행일지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5월 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9월 10월
 
환경정의 소개
환경정의 소개환경정의 소개
환경정의 소개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9·10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5년 7월 8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6년 5·6월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별첨1]2018 환경정의 활동보고서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에코붓다 소식지 2014년 11월 12월
 
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착한 농부 지렁이
착한 농부 지렁이
 
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Community kitchen v
Community kitchen v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
잡코리아 글로벌 프런티어 12th_냉장고야부탁해_탐방계획서
 

Similar to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환경연대
 
코칭과 새로운문화
코칭과 새로운문화코칭과 새로운문화
코칭과 새로운문화Rohjoonshik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성훈 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녹색당 강령(20120304)
녹색당 강령(20120304)녹색당 강령(20120304)
녹색당 강령(20120304)은영 김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환경연대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여성환경연대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환경연대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성훈 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여성환경연대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환경연대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푸드스마일즈 우양
 
환경세미나
환경세미나환경세미나
환경세미나Eunjae Won
 
환경논총 제52권
환경논총 제52권환경논총 제52권
환경논총 제52권EPISNU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여성환경연대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여성환경연대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환경타임즈
 

Similar to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20)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3호 (소식지, 2005)
 
코칭과 새로운문화
코칭과 새로운문화코칭과 새로운문화
코칭과 새로운문화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
지속 가능한 삶을 위한 먹거리 과제와 전망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19호 (소식지, 2004)
 
녹색당 강령(20120304)
녹색당 강령(20120304)녹색당 강령(20120304)
녹색당 강령(20120304)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경남여성환경포럼]참고자료_ 에코페미니즘 서평(2003년)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22호 (소식지, 2004)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마을생태교육 전망 만들기(2002년 여성환경연대 전국연수 발제)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환경활동가 전국연수(2001년)_마을생태교육 전망만들기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07호 (소식지, 2001)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슬로푸드 생명다양성의 이해, 맛의 방주, 먹을 권리...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42호 (소식지, 2011)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여성이 새로 짜는 세상 35호 (소식지, 2008)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
먹을거리와 공동체운동(우양)요약
 
환경세미나
환경세미나환경세미나
환경세미나
 
환경논총 제52권
환경논총 제52권환경논총 제52권
환경논총 제52권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지역사회와 여성건강 (2003)
 
워크숍발표
워크숍발표워크숍발표
워크숍발표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생협속에 여성을 주체로 세우려는 노력 (2001)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07 김연화 환경과 건강 그리고_소비자(김연화)
 

생태뒷간 -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이야기

  • 1. Ci~Oi AI-e ~J:i!~ Ei~~ i?-I~ 68j~IOIOPI
  • 2.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01야71 ECO I 생태뒷간 TOILET
  • 3. 김성균공공정뻗구소SIP소장 최핑수 A도법인 에코붓다 대표 경생학교교수 제량스님 제주고관사주지 김재일 사쉴생태연구소소장 최훈근랩환경고펙원많 이해일 오대~~립공원사잎 박석동 정토호| 홍보국정 백혜은 A띤법인어모뭇다사무국장 이성미 A댐인 어모붓다환갱엽부장 최은애연구원 조정옥연구원 신명옥연구원 정지영연구원 현희련띤원 올옆쁜rJEi 터전을위한 I ECO I생태뒷간 I TOILET I 을뺑처 시단법인 에코붓다 을뺑인최굉수 빌뺑일 밍08년 12월 26일 전화 O잉 587-8W1 전송 02)587-8998 e-m려1 : erobuddha@jun항O.org http://www.erobud여la.org ※ 이 자료는 재단법인 민간환경단체진홍회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
  • 4. 여는글 l 똥야밥샤다 수서|식 화장실과 푸세식 뒷간 수세식 화조L실에서 일을 본 뒤 레버를누르면 내가 만든 배설물은 몇 배 나더 많은물에 씻겨 내려 금방우리 시야에서 시라진다. 그후그오줌과 똥은 정화조에 담겼다가 더 멀리 흘러가 분뇨처리조}에 모여 처리된다. 수 세식 변소에 누는오줌과똥은내 톰과분리되는순간나외는관계없는그 머나먼 곳으로 보내지는 것이다. 이 수세식 변소는 배설물을 많은 양의 물 로깨끗하게 처리하기 때문에 방F에혹은부엌과나란히 붙어있기도하다. 그러나 푸세식은 다르다. 뒷간(웬지 푸세식은 뒷간, 수세식은 회장실이 라는 표현이 어울리는 것 같다)은 사는 공간과는 좀 떨어져 집채의 뒤뜰이 나한쪽구석에 있기 때문에 이름도 ‘뒷간이다. 이 뒷간의 오줌과똥은버 려지는 것이 아니고 그 자리에서 ξL아 밭으로 보내져 거름이 된다. 우리는 밭써l서나는채소를먹지만이채소는내가버린그오줌과똥을먹고자란 것이다. 내가버린 것이 바람과물과태양과흙의 큰에너지를모아입으로 다시 들어오는순환을반복한다. 푸세식 뒷간은 돌고 도는 우주 ?순환의 세계관’ 과 자연의 원리에 순응 한다. 그러나 반대로수세식 회장실은 내 몸에서 분리된 오줌과똥을 나와 ECOTOILET I생태윗간 3
  • 5. 관계없이 그대로 버려 어디론가 시라지게 한다. 그래서 수세식 화장실은 곧 직선적 세계관’ 이 반영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수서씩과 푸세식의 세계관 직선적인 세계관에서 시간은 직선적으로 흘러가며 사회와 역사의 변화 또한 직선적으로 성장 발전한다. 그래서 이 흐름은 거꾸로、 되돌릴 수도, 되 돌아갈 수도 없는 불가역적(不可遭션)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직선 적 세계관에서 현재는과거보다좋은것이며 미래는현재보다나은것이라 고 생각하고 이것을 진보라고 한다. 그리고 모든 나리를 가장 앞선 나라와 가장 뒤에 있는 나리를 양끝으로 그 시아에 줄을 세운다. 나라의 품질은 GNP로 서열이 매겨지며, 세계 몇 번째 순위인7}에만관심을쏟는다. 국가 의 개발과발전의 목표는바로 이 서열의 앞줄에 서는것이다. 서열의 앞에 선나리는 이른바 선진국이 되고 뒤에 있는 나라는 후진국이라는 이름으로 구분한다. 선진국의 모든 것은 앞서 있고 우수하며 후진국의 모든 것은 뒤 떨어져미개하고야만적이라고생각한다. 따라서 이들선진국의 거룩한사 명은 미개한 후진국에게 그들의 발전된 문명을 자비롭게 전도하고 이식시 키는것이며, 후진국의 미덕은하루빨리 앞선 나라의 발전을수용하여 그 들의 발지국을 뒤따라가는 것이다. 오로지 물질적 발전, 경제성징에 절대 적 유일의 가치척도가되며 그외의 모든것은무시된다. 이러한서열의 선 두에 서기 위해 국가, 집단 그리고 개인들 시아에서 경쟁은 필연적이며 또 한이 경쟁은결국대립과분쟁 전쟁으로발전할수밖에 없다. 이런 직선적 세계관에서는 경제성7.J--을 위해 자연을 개조하고 변형시키 거나정복, 지배 할수 있는능력이 곧발전이며 성장의 척도가된다. 자연 과더불어 살아온전통과자연친화적인 생활양식을갖고 있는 것은 미개한 4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처 | 이야기
  • 6. 것,혹은 야만으로 치부되며 열등한 것으로 평가된다.이러한 세계관에서는 문회마저도 경제적 우열에 의해 규정되어 발전된 국가의 문화만이 주준 높은 것’ 이며 그렇지 못한 나라의 문화는수준 낮은 것’ 으로 간주된다. 하 지만 어느 나라의 문화든 그것은 동등한 시간적 축적 속에 서로 다른 형태 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문화의 우열이란 있을 수 없다. 우열의 문화인식은 결국문화적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l.!:드는 문회와 버리는 문화 수세식 화장실은 똥을 더럽다’ 는 생각에 기초한다. 똥은 아무 가치가 없는것일뿐아니라더럽기 때문에 없어지거나사라져야할것으로인식하 는 반면에 푸세식 뒷간에서의 똥은 채소의 먹이가 되는 거름일 뿐 아니라 더 없이 소중한자원인 것이다. 예전 시골에서 아이들이 남의 집에서 똥을 누고오면야단을맞았던것도똥은밭에쓰이는거름,즉소중한자원이었 기때문이다. 음식문화는 바로 먹는 것’ 에 대한 문회이고 인류는 역사 속에서 먹는 문화를풍성하게 개발H 왔다. 각 나라마다수많은 조리재료와요리법, 그 리고 식사히는 방법이나 예절 식당이나 음식점의 다OJ=한 설계와 그릇의 디자인 등이 있는 것은모두 먹는문화와 연관되어 있다. 우리 몸을하나의 파이프로생각한다면, 그렇게 요란하고호화로운음식이 바로 입이라는파 이프 입구에 모아져 미각에 즐거움을주고는파이프중간을통과하면서 흡 수되어 온갖에너지원으로분산된 뒤 파이프의 끝에서 밖으로 배출되는것 이다. 그런데 파이프의 앞문회{음식문화)는 다채롭게 발전되어 있지만, 파 이프의 끝 문회{똥의 문화)는 소홀히 처리되거나 무시되고 있으며 파이프 앞의 문혜11 비해 홀대를 받고 있다. 어느 건물이든 회장실(변소)을 보면 ECO TOILET I생태뒷간 5
  • 7. 그 건물을 설계한사람과 소유주 살고 있는 사람의 기본 면모를 알 수 있 다. 그리고 실제 자연계의 순환 사슬 속에 보면 들어오고 나감이라는 것을 따로구분할수 없지만, 결국직선적 세계관속에서는똥을버려 나와상관 없는 이주 먼 곳으로 격리시킨다. 그러나 결국에는 다시 내게 돌아오는 이 치를 망각한 것이 인류의 어리석음이요 생태계의 위기는 바로 이러한 무 지에서비롯된것이다. 오늘날 쓰레기 문제도 이와 같다. 현대문명은 생산히는 방법은 많이 개 발하였지만 폐기하는 이치를 개벌하지 않았다. 먹는 방법은 알지만 씨는 방법을 모르는 변비문화인 것이다. 자연계에 버려야 할 쓰레기란 본래 없 다. 어느 것이든 단 19이라도 에너지를 갖고 있으면 이용이 기능하기 때문 이다. 유용하고 사용가능함에도 쓰레기로 간주된다. 그러나 그 어떤 것도 당징어l 소용이 없으면 미련 없이 버린다. 그래서 버려지고 매립되면 다시 자연 속에 소생되어 샤용될 가능성이 없게 되는 것이다. 어리석음을 깨우는 새로운 각성, 생태적 세계관 환경주의를 넘어 생태주의나 생명운동을 굳이 말하려는 사람들은 바로 잘못된 자연관, 잘못된 역사 인식과 세계관이 바로 어라석음의 근본 원인 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것을문제 삼는다. 생태적 각성이란모든 것은 순환하고윤회하며 돌고돌아결국자신에게 돌아오는자연의 이치를깨닫 는 것이다. 생산자 소비자 - 분해자로의 흐름이 다시 생산자로 연결되어 끊임없이 돌고도는순환의 구조가바로자연이며 역써는 것을각성동}는 것이다. 생태적 각성은 이와 같이 미망과 무지에서 비롯된 근대적 세계관 의 치명적인 오류를 깨닫고 새로운 눈뜸 새로운 깨달음으로 이러한 선형 적인 역사인식, 직선적 진보사관의 인식 변화를 강제하는 메시지인 것이 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8. 다. 무한한 성징에란 결국 무한한 자원의 채굴과 이용이 보장되어야 하는 데,우리가살고있는 하나뿐인지구’ 는 (무한의세계관을도저히수용할 수 없는 t유한? 한 것이다. 이렇기 때문에 만약 모든 니라가 세계 최대 소비 국인 미국처럼 산다면 그것은 진보가 아니라 멸망으로 치닫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가 먹는 밥은 바로 내가 버린 똥 건강한 똥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며, 그똥은바로내가만든것이다. 더럽고깨끗한것이 본래 없는자연의 이치를 문명의 이름으로 잘못 분별한 것으로부터, 윤회하는 자연의 본래 이치를 직선적이고 선형적인 것으로 인식한 미망으로부터 본래의 자리로 돌아왜1 하며 그러한인류의 어리석음을깨우치게 하는것이 바로생명운 동과 환경운동의 진정한 메시지이다. 생태적 관점에서 볼 때 ‘진보’ 가 앞 과 뒤를 전제로 하여 앞으로 나아간 다는 것을 의미한다면 이제는 진보보 다는 ‘진화’ 라고표현하는것이 오히려 적당하다고생각한다. 에코붓다가 뒷간을 연구하고 조사한목적은 현대사회에서 푸세식 뒷간 을 다시 현대적으로 되살리자는 의미도 있지만, 그것이 갖고 있는 순환적 세계관, 윤회의 가치를 회복하여 자연의 이치에 순응히는 삶을 사는 것이 진정한삶이며 올바른삶임을 이 책을통히여 강조하고자한다. 많은 분들의 옥고(玉f옮가 단순히 수많은 글 중에 하나가 아니라, 한국 、 의 전통 속에 생태적 가치를 회복하고 환경운동과 생명운동을 발전시키는 데 작은도움이 되길 바란다. ECO TOILET I생태뒷간 7
  • 9. 차 려| 여는 글 | 똥이 밥이다 003 ‘바 H 소비주의의 극복과 생태공동체운동 010 밥, 똥그리고 생태공동체 022 현대인의삶과뒷간문화 033 전통뒷간과생태공동체 056 시칠해우소와생태뒷간 068 퍼머컬쳐와생태뒷간 102 영| 똥 생태뒷간탐방의 갈라잡이 110 지리산을품은뒷간남원실상사 124 솔바람가득한지리산생명문화교육원 129 똥오줌과씨름히는사렴하는시람들, 산청 안솔기마을 135 햇살가득한 뒷간 선암사 140 해외 생태뒷간의 유형과 적용사례 147 유럽의생태뒷간탐방기 217 영|삶 똥의 순환을 위한대안기술, 대안사회 226 새로운생활양식과생태적삶 250
  • 11. 소비주의 극복과생태공동체운동 1. 생태위기에 대한 소섭싸회의 tH응 생태위기란 ‘환경과 오염 혹은 파괴가 전 지구적 위험 수준에 이르러 일반 통 · 식물뿐만 아니라 인류의 생존 그 자체가 위협받고 있는 현재의 상황을 의미하며 광의적으로는 인류의 동식물과 여타 자연을 포함한 비인 류 사이의 공동체적 관계의 단절을 의미한다라고 정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생태위기의 상황은 로마클럽의 「성장의 한계(1972)J를 시작으로 폴 에를리히의 「인구폭탄{1968h r인구폭발{1990)J 월드리서치 연구소 레스 터 브라운이 1984년 이후 발간히는 「지구환경보고서」, 「성장의 한계」 이후 에 다시 19년 만에 발간된 「한계를 넘어서」 등의 저작들이 생태위기 상황 을 인류에게 경고하고 있다. 그리고 UN 산하의 브룬트란트 위원회가 「우 리 공동의 미래(1988)J라는 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생태위기에 대응한 지속 기능한 개발이라는사회발전 전략을 제시하게 된다. 그리고 알도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달」 레이첼 키슨의 「봄의 침 묵:..1, 태오콜본의 「도둑맞은 미래J, 헬레나노르베리 호지의 「오래된 미래J, 「허울뿐인 세계화」, 「모든 것은 땅으로부터」 등이 지구환경의 중요성과 생 1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12. 태위기의 상황을 경고하는 저작들이 쏟。찌고 있혐l도 불구하고 지구의 생태위기 상황은 개선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환경론자들의 보 편적인주장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구환경보고서 (2003)J은 생태위기의 상황을 디음과 같이설명하고있다. 첫째 급격한 인구증가로 인해 초l소한의 생활수준조차 유지할 수 없는 지 경이다 개발도상국은 경작지의 1/4 가료에| 심ζ팅꺼| 익화되고 있으 며, 지난 50년간 gL회속도는 접점 빨라지고 있다 이미 5억 이상의 사람이 만성 가근에 시달리고 있는데.2025년이 되면 24'억"'34억에 도달할것이다 둘째 심각한 자구호}학적 변호까 일어나고 있다 20이년 연간 호}석연료 연 소로 인한 탄소배출은 65억 톤에 01르며, 대기 중 이산호딴소 농도 는 370.9ppmOI 된다 01는 적어도 지난 43만 년동안 기장 높은 수 치이며, 아마도 2,000만 년동안 가장 높은 수치이다 이산호딴소 농 도의 증가로 인해 대기옴도가 접접 높Of^1고 있으며, 결국 급격한 기 후변호f7 f 일어날 것이다 셋째 독성 호}혁물질로 인해 장기적 위험이 나타나고 있다 가령 유해폐기 물의 연간 총생산은 적어도 3"'5 억 톤에 이른다 이것들의 대부분 은 펴|가물과 폐수로 방출되면서 토양오염과 지히수 오염의 주범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오염물질은 대부분은 몇 백년이 걸랄 정도 로 오랫동안 잔류S꺼| 된다. 따라서 수 백 년이 지나연 생명체는 오 염물질의 장고가 될 것이다 넷째 전 세계적으로 전례가 없었던 생물 흔홀에 일어나고 있다. 특히 국제 ECO TOILET I생태뒷간 11
  • 13. 교역의 증가는 외래종의 침입을 증가로 나타나는데 전 세계의 다앙 한 생태계는 점점 더 침략적인 소수의 생물체에 의해 점멸될 위기에 처해있다 다섯째 전 세계 생물종의 숫자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디는 점이다 생물다 양성이 가장 높다는 원시 열대림이 매년 네팔정도의 크기인 14 만 평방킬로미터씩 사라지고 있다 그린료t드를 제외한 총 산림 면적 은 전체 육지면적의 1/4'면적 정도 부빼 안 되며 01는 농경이 시작 되면서 절반 정도로 줄어든 수치이다 현재 남아 있는 산림의 악 30% 정도는 심각한 피편화와 파괴의 위협에 처해 있으며, 1990년 대 동안만도 전 세계 t템면적014% 정도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 다 또 다른 생물 다앙성의 보고인 습지는 지난 100년 동안 50"10 이상사리졌다 ‘지구환경보고서’ 는 인구증가 오염물질 증7t, 무분별한 개발 등을 생 태위기의 원인으로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지구환경보고서의 지적은 소비 주의사회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시작된다. 생태위기에 직면하여 소비사회에서 대응하고 있는 환경문제 해결방식 은 @ 단일적 사안을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환경운동, @ 정치적 참여를 매개로 진행하고 있는녹색정치운동 @ 소비자를중심으로 녹색소비자 교 육및환경교육등으로진행되고있다. 이와 같이 소비사회 체제 내에서 진행하고 있는 운동의 성격은 근본적 으로 생태위기가 발생하는 구체적인 메커니즘이나 구조적인 과정에 대한 고민 보다는 근본생태론자인 네스의 주장처럼 표피적인 접근 방식에 국한 한접근방식에서생태위기의근본적인문제가시작된다. 12 더울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14. 그리고 생태위기의 문제는 종합과학적이고 공익적이며 기히급수적으 로 환경오염이 심화되고 있혐1도 불구하고 표피적인 문제해결방식이 분 업화 및 전문햄l 근거한 생태위기에 대한 접근양식, 사익에 충실한 접근, 산술급수적 환경개선에 근거한 접근 방식이 여전히 존재하는데 그 문제의 심각성이있다. 왜냐하면 생태위기의 발생경로는 사회 · 문회적인 다양한 조건에 의해 발생됨에도 불구하고 전문화 분업화는 자신의 주장만을 관철시키려는 경 향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며 오히려 생태위기 문제의 해결에 딜레마가 될 수있다. 그리고환경은일상생휠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존재임에도불구하고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공공재로써의 역흥써l 대해서는 그리 큰관심이 없 다. 환경은 시징}이라는 매개를중심으로 평가되는 과정에서 환경을 개선하 는행위에 대해서는관심을가지지 않는반면에환경을오염시키는행위에 대해서는파행적 정벌을가하게된다. 이러한일련의과정은환경은시장경 제체제, 즉 자유방임주의적 시장경제체제에서 생태위기 및 환경문제는 만 연히수 빙에1 없는 상황을 지니고 있다는 점이다. 생태위기의 극복은 절실 한사회적 요구이며 사회전체가누려야할공익임에도불구하고 개인이 환 경을 개선하려는강력한동기보다는오히려 환경오염을유발시키는 체제 로구성되어 있다는점이 딜레마인것이다. 생태위기의 문제는 시장기구가 지니고 있는 특수한 상행l 능률성으로 인하여 기하급수적으로 심각해짐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환 경개선의 노력, 즉 환경관리는 정부의 특수한 상황인 비능률성 때문에 산 술급수적으로 진행하고 있다는 점이 딜레마인 것이다. ECOTOILET I생태뒷간 13
  • 15. 2 소비사회 메커니즘의 한계 네스의 지적처럼 일반사회는 생태위기 문제에 대해 표피적인 대응방식 으로 일관하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일반 사회=자본주의=소비사회’ 라는힘수관계로단편적인설명을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함수관계는 몇 가지 구조주의적 %꽤를지니고 있다는점 이다. 랩뀐 〈그림 1} 시장의 작용범위 일반사회가 목도 하고 있는 것은 〈그림 1)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일반사회는생산과소비를중심으로 한 경제활혐l 국한한사회활동을생 걱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경제계의 영역에서 사회 활동을 하고 있으며 이 를 가능하게 하는환경계인 자연자원과 폐기물에 대해서는 그라 관심을 갖 지 않는다. 자연자원과 폐기물은 환경계가 알아서 처리할 일로 취급하고 ‘있다. 환경계가담당하고 있는폐기물과쓰레기는경제계의 영역에서 발생히는 것으로생산,소비,유통등의과정을거치면서발생한재화가쓸모없는것으 14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울 위한 공동체 이야기
  • 16. 로 변하면서 나타난 결과이다. 환경계는 인간이 생산하고 소비하는데 필요 한 자원을 공급하는 동시에 불가피하게 폐기물을 처리히는 기능을 하는 곳 인 셈이다. 결과적으로 고체상태의 폐기물은 쓰레기로, 액체상태는 수질오 염으로, 기체상태는대기오염의 형태로그 %꽤가 변화되어 환원되고 있다. 이는 인간의 욕망을충족시켜주는과정에 근거한사회적 책임에 충실한 결과로써 다분히 경제적 사고에 기인한메커니즘의 결괴이다. 경저녁에서 언급하고있는각소비자는재화로부터만족을극대화하려는심리와기업 의이윤을최대화하려는심리가상호간에 결합하면서수왜공급을이루 게되고기업은소비자의욕밍벼1 최대한부응하게되면서소비자의욕oJ-에 종속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즉 수요와 공급 자본과 노동 그리고 인간의 욕I엠라는 중간적 수단만 고집하는 결과로서 자연에 대한 이해도 여전히 중간적 수단으로 취급하는 과정에 놓여 었다는 것이다. 이는 자연에 대한 궁극적인 목적에 대한 고민 영성이나 종교적 차원의 고민의 결여로부터 나타난결괴라고 할수 있다. 결국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나타난 생태위기의 문제에 대해 자연을 공짜라는 인식으로부터 연유하는 것이라는 비판 없이 자본주의는 시장의 문제로, 사회주의는정부의 문제로 취급하게 되는우려를낳게 된다. 이 과정에서 공동체사회, 아나키즘 사화와 같은 대안사회를 주장하는 학자들은 생태위기 시대에 대응한 새로운 사회전략으로 무한한 자연자원 과그에 근거한생산의 가능성을전제로하고 있는자본주의와사회주의에 대한사회를요구하고있다. 이러한사회를흔히 팍객사회’또는 ‘생태공 동체 사회’ 라고 이。F기하는데 이는 자본주의를 상징히는 청색, 사회주의 를상정하는 홍색을 뛰어넘어 생태적 의미를 강조한녹색의 의미를 강조하 고있는것이다. ECO TOILET I생태윗간 15
  • 17. 3. 대안적 삶, 대안人}호| 그리고 생태공동체 운동 대안사회와생태공동체운동에 대한논의는 ‘공유지의 비극’ 이해로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생태위기 사대에 대한 인류사회의 불획실성, 자원은 무한성을 믿고 있는 종교적인 신념에 대한 갚은 성찰에서 시작된 다. 이러한 성찰은 단순히 자연을 대하는 마음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앞서 언급했듯이 생태위기 시대에 직면하여 대응한다OJ=한문제해결의 방 법에 대한 새로운 시작이라는 점이다. 새로운 운동방식은 자기성찰, 자기 각성을 전제로 한 일상생활의 개혁운동이다. 이는 청색과 홍색의 사회적 논의와상관없이 있는자리에서 자기와관계되어 있는다양한주체들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 된다. 네스가언급한표피적인 이해와대응에서 깊은성찰과반성, 레오폴드 가 언급한 인류는 토지공동제의 일원에 불과하다는 주장, 세일이 언급한 지역사회공동체에 맞는 자연자원의 운영과 적용 등은 궁극적으로 생태공 동체가 지향하여야 할관점을 제시히는 동시에 ‘일반사회 =자본주의 =소 비사회’ 체제로부터 녹색의 실현을생활속에서 강조하고 있는 대목이다. 즉,독신이애인이생기면그대상을 자기’라고부를수있는것은대자 아의 형성으로부터 기인하고 있는 것처럼 자연에 대한 이해도 이와 같은 관계로구성되어야하며 궁극적으로이러한의지가생활속에서 그리고지 역사회에그대로반영되어야함을주장히는것이다. 이와같이 철학적 사유를 바탕으로 지구 곳곳에서는 생태공동제 운동이 진행되는데 이들이 지니고 있는 원리는 앞서 언급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시 작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태공동체는 좁은 시야를 갖게 하는 전문화, 동질화를 요구하는 표준화, 작은 것의 아름다움을 무력화 시키는 1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18. 집중화, 다양성을 파기히는 획일화로부터 새로운 질서를 양산해내고 이러 한 일련의 과정을 ‘전일론적 생태학적 프로젝트’ 라는 표현으로 그 실천은 정주형태의 생태공동제의 구상이다. 지구적 생태마을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있는 Globa1 Ecovillage Network(G뼈의 시무국장인 스벤슨 K. Svensson은 뽀∞띠l1age Living , : restoring the Earth and Her p,∞p1e(2002)J라는 저작에 ‘What is an 앉뼈성ge?’라는글을 실고 있는데, 이글의 내용은 G돼이 지향하고 있는 생태공동체에대한정의내리고있는부분이라고할수있다.그녀는‘쟁태 공동체는 지구와 그리고 지구와 기대어 존재하는 다OJ=한 생물들과 조회롭 고 지속가능한 삶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인간이 하여야 할 공동체적 모 습이다. 그리고 생태공동체의 목적은 자연환경에 적은 영향을 생활양식의 구현과 더불어 사회-문화적 환경을 조화롭게 히여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사회구조로의 생태공동체는 오늘날 진행되고 있는 이분화 되어 있는 도시 와농촌의 정주체계를극복하는것이다. 생태미을은 21세기에 있어서 인간 정주체계의 재구조화와 계획을 위해 폭넓게 적용되어야한다라고 주장하 고있다. 스벤슨의 주장은 네스, 레오폴드, 세일 등이 주장하고 있는 생태공동체 의 철학적 사유에 근거한 생활세계의 실천적 구현인 셈이다. 그녀는 이러 한 생태공동제의 구성에 있어서 생태학E∞,10밍r), 공동체(Community), 문화적 영성 (여ture-spirituality)을 강조하고 있다. 생태공동체에서 강 조되고 있는 것은 세계관의 새로운 확장을 요구하는 생태적이고 전일적인 문화를요구하고었다. ECOTOILET I생태윗간 17
  • 19. 엉성·문화적요소 -영상지연신성 - 삶 찬앙, 문화존중 자연 순환 - 전체론적 • 순환론적 세계관 - 지역화 생명지역, 세계화 저항 생태적요소 - 퍼머걸쳐 생태마을 설계 -0냉성, 샘물다앙성 복구 - 지역유기식품생산 소비와 재순환 - 생태건축, 재생가능에너지 수자월관리 - 녹색사업과 생영주기 분석 사회 경제척 요쇼 창조성, 염배양 - 교육과 의사소통 삶과 배움 - 건강, 예방보전 보조의익뿜 - 공동체묘들기, 의사결정, 갈등해랴 - 복지개선, 노익찌보후 징애우통합 -지역경제지역화떼 〈표 1) GEN의 생태공동체 구성요소 4 대안적 삶을 위한 노력은 'Lf 부터 비데를판매하는회사의 재미있는광고카피가문득생각난다. ‘회장지 를 언제까지 사용하시렵니까? 만약 중국과 인도가 회장지를 사용하기 시 작한다면 몇 년 후에는 지구의 산소를 공급해주는 아마존이 소멸되어 버릴 것입니다 사실, 이 광고 카피는 수세식 화%μ실이 지니고 있는 편리성에 기인한우리의 삶의 양식에 대한 언급은근본적으로 회피한채 자신의 상 품을 판촉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생태위기 상횡을 전달함으로써 비데의 사 용이 환경보호를 하는 지름길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 진 것 같다. 그러나 이 광고는 소비지향적 사회체제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통하여 18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20. 여전히 소비주의를 지향하는 이 사회의 단면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하 변, 우리는 여전히 자연을 통제하고 자연이 가지고 있는 다양성과 생태학 적 원칙은 그리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다. 오로지, 경제학적 가치만이 우리의 삶의 중심이라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봄에 들려야 하는 새소리, 여름 밤에 보이던 반닷불이, 가을 저 녁에 듣던 귀뚜라미 소리, 겨울뱀l 울던 소쩍새 소리... 살아 있다는 것이 가장아름답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 소리와흔적이 시라져 가고 있다. 이는 우리가지향하고있는경제학적가치와행동은 미래세대를담보로진행된 다는 신호이다. 인류가새롭게 다짐해야 할생태공동제는 미래세대와함께 하는우리의 삶의 터에 대한고민이다. 이 삶의 터는단순히 물리적인 부분 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정치 · 경제 · 사회 ·문화등에 대한이해가근 본을이루어야한다. 이것이 표피적인사회시스템을극복하는길이며 생태 공동체를 이루는 길이다. • 대의민주주의체계가 가지고 %는 의사결정 방식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여 보여주고 gA논 합의제 의사결정방식 • 지역의 자원과환경적 여건을 충분히 고려하여 적용하는 가술의 적용 • 생명과 살아 움직잎을 원칙에 두고 진행하고 있는 자연농법의 현장들 • 지역의 행|성 복원과 구성원들 ζ뻐| 마음의 교류를 위한 지역문화 축제 • 획일적 교육전달체계에서 전인적 교육체계를 도모하고 %는 교육현ε플 • 지역 내의 순환, 거래의 대면성을 호}복시키기 위한 공동체 경제의 운영, • 지역의 문제를 스스로 자ζh하고 침여하는 마을 만들기 • 일상생활 속에서 도시와 농촌의 공생 · 공존의 삶의 터를 이루는 생활공동 체현장들 • 나 혼X까 O fLl라 서로 기대어 존'^H하고 있다는 열린 마음 ECO TOILET I생태윗간 19
  • 21. 이상의 내용들은 생태공동체의 현조써l서 거의 공통적으로 진행되고 있 는 내용들이다. 결국, 생태공동체는분권화, 다%댁, 분산화를 이ψl하고 있는 것이며, 이러한 이야기 속에서 지역정치, 중간기술, 생태건축, 민주적 의사결정 방식 등의 다OJ=한 의미들을 제공받게 된다. 최근에 들어 생태공 동체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자연에 대한 막연한 동경, 드라마 전원일기가 보여주었던 농촌의 여유로운 일상 과 자연주의에 기초한 관심이 아니길 바란다. 잘못하면 우리가 그래왔듯 이 에버랜드에서 자연에 대한동경과동물사랑을배워야하는것을반복적 으로 진행할지 모른다. 이제 생태공동체는 지금이 생태위기 시대라는 것 을 인식하고, 생태학적 자각과 공동체 의식의 확장을 통하여 나의 일상세 계의 변혁을 바탕으로 시작되어야 한다. 이러한 가능성이 비관적인 것만 은아니다. • 도시에서는 공동주거를 바탕으로 • 농촌에서는 생태마을을 바탕으로 • 보다 근본적인 성찰적 삶을 위해서는 계획공동체를 통허여 • 그리고 영성적 ^P-t과 성찰을 위해.A.i는 영성→련 공동체를 통뼈 • 도시와 농촌간의 공생의 법칙을 위해서는 생활공동체를 통하여 • 내가 서 %는 자리에서 진행되는 마을만틀가를 통하여 .01웃죠뻐| 미음과 대면관계를 여는 지역통화로 위와 같은 다양한 방식과 스펙트럼이 우리의 희망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러나 그 희망은 한 가지 전제가 있다. 지난 몇 백년 동안 문명사적으로 전개되어 온 친소비지향적 자ζL이 필요하다. 이 자각은 우리가 종교적 신 념에 대한 가치를 얻는 과정과 동일하다. 종교적 신념울 통하여 하나의 가 2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22. 치를 만들어 기듯이 생태위기 시대의 생태학적 지각을 통하여 친소비주의 적 생활체계에 대한 성찰과 생태공동제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다. 이러 한 일련의 과정이 영성〈F련과정이다. 다시 말하면, 생태공동체의 가능성 은무궁무진하다. 그러나 그 가능성은새로운 영성적 자각과그 모든 것이 대지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분명한 것은 지금의 시대는 첨 단정보시대, 유전공학의 시대를 바탕으로 우리의 삶의 질을 개선하지만, 반면에 생태위기 시대에 우리의 생존을 위협히는 시대히는 것도 명심빼 야한다. 이러한 경고는 우리가 만들어 온 것이며 단지 알리려고 하지 않을 뿐이었다. 이러한생태위기를극복을위한새로운삶의 패러다임의 시작은 ‘생태공동체 에서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미래세대와함께하기 위한생태적인삶의 터를바꾸는과정에서 나타나 는 혼란은 미래지향적 삶의 터를 이루어 나가기 위한 것이므로 오히려 견 딜만한 일이다. 그러나 이미 우리가 저질러 진행되어 오고 있는 현재의 생 태위기 상황은 더 큰 사회적 붕괴와 희망을 빼앗아갈지 모른다. 붕괴되는 희망속에 우리의 자녀가 있다면 우리는그저 간과할수 없는 일이다. 그래 서 소비주의 시대에 대안적 삶이 필요하며 이는 생태공동체로부터 시작할 수있다.또한소비사회를극복할수있는대안이기도하다. ECO TOILET I생태윗간 21
  • 23. 밥, 똥, 그리고 생태공동제 1.밥이생명이다 우리에게는 먹고사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그것을 기능하게 하는 것이 밥이다. 그러나그먹고시는일을위하여 ‘밥이곧생명이다”는사실은무 시한채 지내왔다. 그 결과밥과둘려싼모든관계를간과하고오로지 내가 먹는식탁위에 올라온밥한공기로 배를채우는 것에 강한 애착을보여 왔 다고해도과언이아니다. 그러나밥은단순히 밥이 아니라우주와 연결되어 있다는것이 생명운 동진영의주징F이다. 22 “자금 여기 이 밥과 한 몸이 되게 하소서 구세공보 “이 공g때1 3.!뜬 이웃들의 공덕을 생각할 때 저의 덕행이 부끄럽습니다” -소심경 “너의 가득찬 그릇을 보라 나는 이 음식 속에서 나의 존재를 떠맡닷}는 온 우 주의 존재를 본다 틱낱한 스님의 식사기도 “이 음츠l을 먹음으로써 나는 물질의 기슴에 들어가고 또한 냐는 꿈을 현실로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24. 바꾸는 복즙한 생명활횡11 잠재배| 됩니다 어l드워드 브라운의 시 밥 한 사발 먹는 것이 우주와 함께하는 것이다" -~엘순 위의 말 속에서는 법에 대한 의미를 생명의 입징벼l서 강조하고 있다. 밥 과한몸을 이루는과정은 생명을 이해하는 과정이며, 타자와의 관계를 이 해하는일이며, 더 나아가서는나의 호흡이 우주의 호흡과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며, 그 어느 것도 나와 관련되어 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나의 생명이 소중하듯다른존재도소중하다는것에 대하여 중요한의미를두고 있다. 성경에는 밥과관련된 몇 가지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 요한복음 2장 1 절 ~12절에 가나의 혼인잔치에서 예수가 포도주를 만드는 기적, 마태복 음 14장 13절 N21절에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여자와 아이 외에 오천 명을 먹이고도 열두 광주리를 남긴 일 등에 관한 이야기는 나와 타자 관계에 있어서 우선해야 할 일이 나눔이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마기복음 14장 22절 ~25절에 흔히 최후의 만찬이라고 불라는 성만 찬의이야기가있다. ‘저희가 먹을 때에 예수꺼|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저|자들에게 주시며 가리λ때 받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A뻐|하시고 저희 에게 주시니 이를 마시매 가라사대 이것은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 진실로 너희에게 O 딛노니 내가 포도나돼|서 난 것을 하나님 나라에서 새것으로 마시는 날까지 다시 마시지 아니하리라 히시니라’ 이 성만찬을 개신교에서는 ‘성찬식’ , 천주교에서는 ‘영성체 라는 의례 라고 하고, 이를 예수와 내가하나 되는 행위로 생명을 약속받는다고 이해 ECOTOILET I생태윗간 23
  • 25. 하고있다. 성만찬의 빵과포도주는그리스도의 몸과 피를상징하고 있다. 이러한관계는예수와하나됨을상정하기도한다. 한장소에서 하나의 빵 과 공동의 잔을 나누었다는 것은 어느 때 어느 곳에라도 거기에 참여하는 자들이 예수와 하나 됨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성만찬 의식은 예수에 대한 회싱F이기도하며 감사의 식사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나와 예수가하나 됨은 예수의 십자가의 수난과부활에 동참 하는행위로써 구원에 중요한 의미를 두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밥이라는 것을 매개로 히여 나눔을 실천하는 밥상공동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대목아기도하다. 성만찬이 보여주고 있는밥상공동체는모두가함께 나눈다는 것으로단 순한도덕적 의무가아니라신을알고전체를지각히는신앙행위이며 예배 행위이다. 즉밥을 대할때 나와관계된 전체를자각하고그관계를 이해하 여야 하며 더 나아가서는 종교적 행위와 같은 신성한 마음으로 대하여야 할 자세를 이야기하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더욱 굶주리고 이웃과의 존재 를 인식하고 생태계 위기의 상황을고려한관계의 형성에 기초한 밥상공동 체를 이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축제와 같은 분위기로 인간과 인간 관계속에서의 자기실현, 소외된 노동의 가치회복으로 생명문화, 생태공동 체를복원해내는 중요한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우리는 이 땅의 집 사로 인식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이 부분은 생명문화와생태공동체를구성 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보는데 린 화이트의 주장처럼 창세기 1장 26 절 ~28절에 다스리라’ 에 대한 해석이 지배자 소유자라는 인간중심주의 적인 해석에서 관리자, 집λh 목자의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과 그 맥 ’ 을 같이 하고 있다. 즉, 유대-기독교 사싱이 생태위기의 근원으로 취급받 아왔던 오류로부터 벗어나는 내용이며 기독교가 생태중심주의적 견해를 24 더울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26. 충분히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새하늘과 새땅과 같 은 새로운 탄생에 대한 감사히여야 할 도덕적 책무와 희망을 강조하고 있 는것이다. 결국 성만찬은 위기적 상햄 문화적 감수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문화적 감수성은생명문화윤리를부여하고그것을예배와같이 니눔의 실천으로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윤형근의 주징J처럼 노동을통하여 얻어 지는밥은하나님 의 창조행위에 동참히는 일로 그 자체가 거룩하며 하나의 예배에 해딩히는 것이 된다. 왜냐하면 기독교는우주의 움직임이 하나님의 창조로부터 시작 된다는확고한 믿음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밥을 먹는 것은하나님과자연과 인간이 만나게 되는우주적 사건인 동 시에 하나님의 창조행위와 인간의 노동 우주의 카오스적 질서에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우주론적 결과는 우리의 기운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밥을중심으로기독교가지니고있는운동적의미는생태위기의상황을 극대화 시키고 인간중심주의적 · 소비지향적 · 물질지향적 자본주의 사회 체계에 대한 성찰로 예수의 나눔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 것이며 그 메시 지를 통히여 기독교의 진정한 복음의 의미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 고 하나님이 날 마다각기 다른 모습으로 창조한 것을 서로의 조화와 질서 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자연 더 나。f가서는 우주적 공생을 의미히는 것이며 우리는그실천으로밥상공동체의실천의중요성을언급하고있는것이다. l 윤형근, 밥 성만찬 발우공양, 모심과살림연구소밥과 명싱J, 2002,pp. 58-59. ECO TOILET I생태뒷간 25
  • 27. 불교의 식시수행법으로는 발우공%에 있다. 발우공양은 내 몸을 이루 는 음식을 공경히는 미음으로 먹을 만큼의 음식을 먹는 생명살림실천이라 고 할수 있다. 발우는수행자가사용하는 밥그릇을 의미하며, 발우공양은 불가의 식사법으로 대중들과 둘러앉아 일정한 법식에 따라공O.}을 히는 것 을 의미한다. 발우공%뇨을 진행될 때 소심경을 게송하게 되는데, 소심경 앞 에 나오는 전발게에는 보시하는 사람, 보시물건이 깨끗하기를 기원드리게 ” 된다. 그리고 발우공양은 먹을 만큼의 자신의 발우에 담아먹고 뜨거운숭늄에 남긴 김치나무조각등으로 깨끗이 그릇을닦아마시고, 다시 맑은물을 이 용해 손으로 깨끗이 탐아낸 뒤 발우수건으로 닦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식 사는 대중들과 함께하게 되는데, 대중들과 함께 함으로써 찬이 봐라면 서로 공평하게 나눈다. 그리고 공양이 끝난 후 성원들간에 의견을 나누고 얄리는대중공사를한다. 이러한발우공양은수행과정에서도공동체를이 루는중요한기제로작용하게된다. 이와같이 조심경’ 잉은불교의발우공양의의미를잘전달하고있는데, 조심경’에서는물한방울,쌀한톨,바람한점이밥과연관되어있지않 은 것이 없으며 밥이 우주적 공동체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결국은 조심경’은나자신의문제가아니라현재숨쉬고있는수많은자 연과사람이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가르치고 있는 셈이다. 소심경은 모든 중생의 노고와은혜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일상의 삶과 수행에 대하여 반성하고 발원히는 마음을 점검하며 모든중생과 함께 공동 제를 이루겠다는불교의 가르침에 충실한생활철학이라고할수 있다. 조심경’ 의 내용의 일부인 ‘오관재 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각색하면 다 음과같다. 26 더울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28. 한 방울의 물에도 천지의 은혜가 갖될어 있고 한 톨의 료뻐l도 만민의 노고가스며 있으며 한 올의 실타2Hot~도 베 짜는 여인의 피땀이 서려 있다 이물을마시고이음식을먹고이옷을입고 부지런히수행정진하여 괴로움이 없는 시람, 지유로운 시료에| 되어 일체중생의 은혜에 보답하컸l습니다 ‘ 성만찬이나 발우공양 등 종교적 의례나 실천에서 보여주고 있는 밥의 의미는 일상을 통하여 밥의 의미를 되새기고 그 밥이 되기 위한 과정에 함 께나누는삶을강조하고있는것이다.특히이러한밥에대한새로운문제 의식은 생태위기 시대에 모든 것이 더불어 존재한다는 전일론적 세계관으 로 공동체적 의식의 광역적 확산이라는 점을 고려해 볼 때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보여진다. 2 폼도생명이다 Nick Grant, 뼈rk Moodie, & αrris Wæ:ion의 rSewage S이ltiOns : Answeringthe 않11 ofNatureJ에 똥에 대한 이야기를 희회한내용이 있다. 2 소심경은 발우공양 할때 외우는불교의 경전으로 부처님을 회쟁}면서 그 공덕에 감λ}하는 회발게, 모 든 중생의 노고와은혜를 감"-t하는 오관게, 싹l의 하루 수행생활을 돌아보고 반성하는 삽시거1 . 해탈주, 모든배고푼중생들과명등하게 나누어 먹겠다는생반게 정식게 등으로구성되어 있다 싸에코붓다{엮), r밥과깨달음의 길 발우꽁양J, 정토출판, 2003 ECOTOILET I생태뒷간 27
  • 29. 도교 : 똥은 그저 생7l느니라 유교 · 공자 가라사대, ‘똥은 생긴다. 불교 . 똥이 생기면, 그것은 진정 똥이 아니니라 선불교 : 자금 이 순간 생기는 똥의 소리, 그 무엇일꼬? 효무교 · 이 똥은 전생에서 생긴 것이니라 이슬람교 · 똥이 생기느니, 이것은 모두 알라의 돗Ol로다 쿼101커교 : 똥은 모든 사람에게서 생가는 것이니라 카톨럭교 : 똥이 생기노LI. 그것은 너무나 미E팅}도다 장로교 - 우리는 그와 같은 것을 논한 적이 결코 없느니. 유대교 . 왜 우리에게만 똥이 생기는 것인가 무교 똥을믿지않노라 프로테스탄트교 : 똥이 생기나니, 그것은 네가 노동을 충분히 하지 않았기 때 문이니라 무가지론 : 똥이 생길수도 있느니. 실존주의 : 도대체 똥이란 무엇인가? 똥에 대한 단상은 종교 혹은 철학적 지향점에 띠라 약간의 상이힘을 지 니고 있다. 그러나이러한똥에 대한다OJ=한단%에도불구하고 인류는똥 에 대한 인식을 그리 깊게 하지 못하고 있다. 그저 더럽고, 추하고, 냄새나 고, 귀찮고, 어딘가보이지 않는곳에 처리하여야히는대상정도로취급한 다. 인류는똥을처리하여야할폐기물로취급하고있다. 이와같은생각은 자연의 순환계가닫힌계와 열린계의 관점에서 비롯된다. 우리가 먹고 배설하고 다시 흙으로 돌아가고 또 다른 생명을 키우고 결 국그생명이 우리의 식탁에 오르고그오름을통하여 우리의 생명이 연장 28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율 위한 공동체 이야기
  • 30. 하는 순환적 체계를 인식히는 열린계라는 인식보다는 많은 생산과 수획은 화학비료로 인한 재배, 그리고 화학비료로 재배된 먹거리의 공급, 배설물 의 폐기, 낭비와 오염으로 이어지는 닫혀있는 체계가 지배적이다. 똥에 대 한 인식의 부재는 똥에 대한 인식의 부재뿐만 아니라 똥과 관련된 다OJ=한 스펙트럼에 대한부재를 낳고 있다. 첫째로는 땅에 대한 얀식을 못하고 있다. 땅은 모든 생명의 근원이 된 다. Aldo l..eoφ,ld는 r모래 군의 열 두달」이라는 저작을 통히여 인류가 토 지를 대해야 할윤리를 제시한 바 있다. 그는 인류가 토지공동체로서의 일 원으로해야할 역할을강조하고 있다. 토지공동체는바람, 흙, 그리고다양 한 생물이 존재하는 것과 같이 인류도 토지를 바탕으로 생명을 유지히는 공동체의 일원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레오폴드의 주장은 인류가토지를대 하는 자세, 그리고 윤리적 관점을 생태적 측면에서 고민할 것을 이야기하 고있는것이다. 그리고 레위기 25장 23절에는 토지를 대히는 자세를 전하고 있는데, “토지를 영영히 팔지 말 것은 토지는 다 내 것임이라. 너희는 나그네요. 우 거하는 자로서 나와 함께 있느니라’라고 전하고 있다. 또한 레위기 25장 8 절부터 14절에 희년에 대하여 전하고 있다. ‘너는 일곱 얀식년을 계수할지 니 이는 칠년이 일곱 변인 즉 안식년 일곱 번 동안곧 사십 구년이라. 칠월 십일은 속죄임이니 너는 니팔 소리를 내되 전려l서 나팔을 크게 불지며 제오십년을거룩하게히여전국국민에게자유를공포하나이해는너희에 게 희년이니 너희는 각각 그 기업으로 돌아가며 각각 돌아가며 그 가족에 게 돌아갈지며”라고 전하고 있다. 이 성경의 의미는 시람, 땅, 그리고 공동제의 회복을 주장하고 있는 것 이다. 그 중에서 땅의 회복은 사람이 땅을 대하는 자세를 정하고 있는 것이 ECOTOILET 1생태윗간 29
  • 31. 다. 이렇듯땅은쉬기도하고그를통하여 또다른공동체를복원해내고그 공동제가생명의근원이된다는것을간과해서는안된다. 나의 몸은 외부의 것으로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점이다. 앞 서 언급했듯01 예수는 ‘냐는 밥얘. 나를 먹고 내 피를 마셔 나를 기념함 으로써 평화를 얻고 영원한생명을 얻으라라고 했다. 예수가 전하는 나는 자신의 몸이며 붉은 피 그 자체 즉, 생명인 것이다. 자기의 희생을 통해 새 로운생명을복원해내는혁명적 조치를언급하고 있는것이다. 이는자기가자신을 벼림으로써 똥으로 썩게 만든 다는 것은자기 자신 을 비우는 일이다. 즉 밥이 똥이요, 똥이 밥이 되는 것이다. 그래서 똥은 다 시 거름으로 변하여 흙으로 돌아가고 흙은 다시 생명을 머금고 열매를 맺 게 하고그것은다시 밥이 되어 돌아오는공동체적 관계와상생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밥이 똥이 되어 준다는 것은 단순히 배설물로써의 기능이 아니라 생명의 순환속에서 공동체적 관계로 인식하는 것이다. 이러한분명한유기체적관계가형성되고있댐l도불구하고그것이나 의 몸으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3. 밥과 똥의 해띔. 그리고 생태공동체 김용옥과 전경수의 「똥은 자원이다」에서는 밥과 똥의 하나됨을 이렇게 설명하고있다. 30 문영의 똥은 다시 문명의 밥으로 살아야 효κf 밥과 똥은 몸을 지나가는 소화 관에 의해 연결된 개념이며 -心=r웹 같은 냉훌二用의 개념이다 밥과 통은 천지자연의 생EH사슬에 있어서 언가론적으로 연결되어 %는 총체적 일환의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32. 두 측면이다 우리는 맛있게 밥 먹는 것만 생각하지 맛있게 똥 싸는 것은 생각 히지 못효κt tL반 먹으면 ~11각고 생각히면서 똥 못 누면 죽는 다는 생각을 하 지 못효!Cf. 존재의 윤리적 가치가 밥 먹는데 있다고 생ζ팅땐서, 그것이 똥 누 는데 있다고 생갱}지 않는다 나의 존재 이유가 밥을 잘 먹는데 있다고 생각 하면서, 그것이 똥 누는데 있다고 생ζ팅f^1 않는다 나의 존재 01유가 밥을 잘 먹는데 있다고 생끽연{면서도、 내가 살아 있는 이유가 똥을 잘 누기위해 있다 고 생각히지 않는다 다시 말해서 똥의 조건에 따라 밥이 결정된다는 너무나 도 기초적 생물학적 사실에 대해 우리는 너무 관S을 기울어지 않는다 아마도 이 글은 인류가규범적으로 정하고 있는 밥과똥에 대한 인식이 라고할수 있다. 앞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밥과똥은하니어며, 결국에는 생태공동체를구성하는 중요한 시작이라는 점이다. 재래식 뒷간 시스탱은 사람→똥→똥거름 → 식물→ 사람으로 진행 된다.돋통시의순환시스랩은사람→똥 → 돼지먹이 → 돼지→돋거름 →식물→사람의순으로진행된다.그리고산안마을과같은일부의계획 공동체에서도밥→똥 →거름→ 땅살림 →생명살림-+밥의관계를가 장중요한의제로삼는다. 콜롬비아의 커피농장도 하나의 순환체계를중심 으로한생산을하고있는데 커피원두가수확되고나서농장에서나온부 산물은 열대버섯을 키우는데 사용되며, 버섯찌꺼기는 지렁이, 소, 돼지 등 의 먹이가되며, 지렁이는닭의 먹이가되고, 소와돼지의 배설물은생물가 스와 커피농장과 채소밭의 퇴비로 되며, 생물가스의 에너지는 벼섯재배과 정에 재사용된다. 콜롬비아농민들은 이와같은과정을통히여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더 나아가 이전에 있던 새로운 업종을창출해내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이 보여주고 있는 것은 새로운 것에 대한 생태이 ECO TOILET I생태뒷간 31
  • 33. 해인 동시에 생태설계로써 숨겨진 연겨I]ffiidden ∞m때on)에 대한 근본 적인 이해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이다. 즉 구성체간의 네트워크, 물질의 순 환, 복합적인 파트너쉽, 다양성의 인정, 그리고 최적회를바햄l 두고 있는 것이다. 밥과똥이 하나됨은숨겨진 연겨]ffiidden conn때on)에 대한 이해로부 터 시작하여 대지와 그를 바탕으로 살아가고 있는 인류를 비롯한 모든 존 재들에 대한 영성적 차원의 이해이다. 그리고 똥에 대한 새로운 인식은 아 름다운 밥을 만드는 일이며 지구가 하나의 살아 있는 생명체라는 것을 인 식하는일이다. 뚱굉 〈그림 2 콜롬비아 커피농징을 둘러싼 생태학적 군락 체계 자료 F. ~ Tæ Hdden ~ Dotbie<좌(2002, pp. ~←ZJl. 32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34. 현대인의삶과뒷간문화 1.현대인의삶과똥 똥이란말을한지에서는분樓)이라하여 인간이 먹은쌀C*)이 변한漢) 물건C*+異)이라는뭇의 합성어로서 하루에 한 번씩 인간이 배설히는물질 이다. 이런가 하면 똥이라는 순수한 우리나라 말이 영광스럽게도(7) 6.25 전쟁에 참여한유엔면1 소개되어 영어사전에 올라와 있는 'Dung’ (핑, 그 리고 유럽에서 만들어진 단어로서 밤에 만들어져 담 밖의 길에 버려져 형 성되는 흙이란 의며 의 'nightsoi1’ 등 각기 다력l 부르고 일컬어지는 등 항상우리의 생활과밀접한관계를가지면서 기깝지만멀리하고싶은단어 로서존재하고있다. 한편, 과학적인 관점에서 똥의 생성과정을 살펴보면 소화되지 않은 음 식물과 소회관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이나 박리된 점막을 포함하는데, 사람 의 경우 대변야佛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섭취한 식물중 결징에서 미소화 물의 수분이 흡수되고 상피에서는 점액이 분비되어서 생성된 대변의 색은 주로 담춤객소에 의하여 누렇고, 냄새는 인돌, 스카톨, 황화수소등과같은 취기이다. 배출은 소회관 끝에 모였다가 직장과 항문 부근에 있는 근육의 ECO TOIL.ET I생태뒷간 33
  • 35. 상호작용에 의해 체외로 배설된다. 2 폼과인간 1) 밑을 닦는 유일한 동물? 인간은 하루 세끼의 식사를 하고 하루에 1회 대변을 배설하는데 동물과 차이점이 있다면 동물은 먹이를 먹고 배설하면서 밑을 탐는 일을 하지 않 는 반면에 유독 인간만은 문명화 될수록 위생이라는관점에서 청결을 유지 하기 위하여 스스로 밑을닦는유일한동물이라고생각된다. 밑은 맘는 방법도 주변 환경과 여건에 江봐 다OJ'한 형태로 변화되어 오 고 있는데, 옛날에는 똥을 배설 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풀잎이나 나뭇잎을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이러한물질을구하기 어려운지역에서 는돌이나마른흙등모든것이 다가능하였다. 지금도중동이나아시아의 일부국기에서는밑을돌로해결하고있다고하나최근에는이러한천연자 원을 이용하던 방법에서 좀 더 발전되어 종이와 헝짚으로 대체되었고 최근 에는물(비데)로확대되어 보급되는실정이다. 한편 인간의 몸은다른동물과 마찬가지로똥을배설한후굳이 밑을닦 지 않아도 항문의 오돌도돌한근육이 똥이 묻지 않고빠질 수 있도록되어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신체적 기능이 있혐l도 불구하고 이제는 똥을 배설 하고 밑을 딱지 않는다고 히는 것은 문명인으로서 상상할 수 없는 일이 되 었으니 다행인가불행인가? 이마도 우리 인간이 밑을 닦는 행동은 위생적인 청결함을 유지하기 위 하여 우리 인간의 문화로서 굳어진 것으로 인간의 관점에서는합리적인 행 34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36. 동이라고 사료되나, 물은 생존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원을 사용하고 이를 자연으로환류시키는데 반하여 인간은자신의 편안과안락힘을추구하기 위하여 과도하게 자원을 낭비하고 이를 당연히 여기는 비환경친화적인 동 물로 발전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최초에 똥을 누고 밑을 닦은 인간은 과연누구였을까? 2)똥이여저멀리… 먼 옛날에 살던 원시인과 마찬가지로 인간과 똥의 관계는 하루에 한변 씩 배설하는 행위 그 자체는 변화가 없지만 똥을 바라보는 시각은 인간이 문명화될수록점점 멸어지고있는것같다. 이러한현상은문명화된사회 일수록 가급적 멀리 더 멀리 하려던 흔적이 보인다. 즉 영어에서 쓰는 ‘hights여l’ 은 그 의미가확실히 와닿는 기분이 물씬 든다. 그리 멸지 않은 옛날 유럽 사람들은 똥을 배설을 하고 나서 똥을 집 밖의 도로변에 버리므 로 빔에 만들어지는흙이라 해서 ‘hight +soiI’ 하였다는 것이 단적으로 이 를증명하여준다. 인간이기에 어쩔 수 없이 하루에 한번 씩 똥을 배설하지만 자기 집에는 두고싶지 않아서 야밤에 몰래 버리는그행위는 “똥이여 제발멀리 사라져 다오” 히는기분을... 이러한 감정은 비단 멀리 외국어l서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도 “변소 와처가는 멀수록좋다”고히는속댐l서 보면 똥은우리의 눈에 기급적 뜨 지 않고 멀리 있는 것이 좋은 것이라는 생각은 아마도 인간이 똥에 대한솔 직한심정을보여주는것이 아닌가한다. ECO TOILET I생태윗간 35
  • 37. 쩍 훨협 〈그림 3) 자연과 똥의 자원순환형 생태계 3) 똥이여! 다시한번 똥은 싫어도 그 가치는 중요한 것이 아닌가? 더욱이 논과 밭에 심은 작 물에 필요한 거름원으로서 과거에는똥보다 더 좋은 것은 없었고특히 똥 을 대신할 비강} 마땅치 않은 우리의 농경문빼서 똥은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비료원이었다. 그래서 똥은싫지만똥을밭에다주는것은불가피 한 일이었다.즉 똥은 자양→음~-풍→거릉→자연으로 순환되는 자원으 로자리매김을하고 있었고최근까지도도시민의 똥은주변농촌지역의 비 료로서 그 기능을 담당하고 있지 않았는가? 기록에 의하면 棄I!J(者 1t三十 棄義者 俠五十{기회자 장삼십 기분자 장 오십Y 이란 말이 있다. 이 말의 의미는 재%를 버리면 사람은 곤장 30대 똥樓}을 버리는 사람은 곤장 50대를 친다고 하는 말로서 백성들이 쓰레기 를 버리지 못하게 한 의미도 있지만 똥이 유일한 비료이자 귀중한 자원이 었던 것을 함부로 버려 자원을 낭비히는 것을 엄히 다스렸던 것을 의미한 다고하겠다. 싫은똥이지만목구멍이 포도청이라... 36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38. 4 똥과자연파괴 현대에 들어 똥에 대한 생각은 우리 인간이 위생적인 삶을 영위하려면 나쁜 영향을 주는 버려야 옹}는 물질로서 멀면 멀수록 좋고 가능한 한 빨리 버려야 하는 천덕꾸러기로 생각되는 경호에 짙어지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의 똥 처리 과정은 자연-람식→똥→희석수→수 거→처리→하천방류 됨으로서 자연으로서 순환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계 의 오염물질로의 부담을 주고 또한 이 과정에서 수자원 낭비와 경제적인 손실을 주므로 자원순환시스템에 역행히는 형태로 정착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이유는위생과청결이라는명분을갖고발전되는현상에지만인 간을 위하역 자원이 다량 소비되고 이로 인하여 지구가 악영향을 받는 일 은지구차원에서는바람직하지 않는것이지만그누가이를탓하랴... 이러한 인간 편의주의 행태仍態로 인하여 수세식변소에서 성인 하루 에 소비하는 물 사용량은{약 42리터) 가정용수의 약 1/3이 되며 각 가정에 서 1.5리터용플라스틱 음료수용기1개에 물을채워 변기 물탱크에 넣어 두 면 1년에 약 4500만톤의 물을 절약할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실정에서 요 즈음설치가증가히는비데는상류층을넘어 이제는중산층에 널리 보급되 고 펼수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어 똥은 수자원의 낭비를 부축이고 자연을 훼손하는애물단지로 전락하는상햄l 처빼 있지 않은7t? 3 현대인의 삶의 공간과 똥 1) 시글의똥 ECO TOILET I생태뒷간 37
  • 39. 인분 핸드북을 쓴 조셉젠킨스의 글중에 다음과 같은 글이 삽H되고 있 다. ‘나는어릴적에힌국전에참전하였던군인들의 이야기를들은적이 있 는데 맥주를 한두 잔 마시고 나면 으레 뒷간이야기가 나온다. 한국인들은 행인들로 하여금 자기들의 회장실에서 용변을 보도록 꿀어들이기 위히여 회장실은 잘 꾸미는 것을 보고 놀랍고도 신기하였다고 한다. 다른 사람의 똥오줌을원하는사람이 있다는사실이 너무나기이한웃음거리고기억에 남아있다 이 글을 대하면서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지금부터 약 50여년 전이라고 하면 그렇게 오래전 이야기는 아닌 것 같은데 지금의 청 소년들이이러한이야기를들으면과연몇명이나이해할것인가? 지금은천덕꾸러기가된 ‘똥’도왕년에도그래도대우깨나받았던시절 이 있다는사실이 믿기기 어려운 실정이니 이것이 만물의 영%에라는 인간 의 관점에서 보면 현명한 선택인지 잘못된 행태인지 의아스럽기만 하다. 아래의글은강원대학교권오길교수님이 ‘똥은금이다’ 라는글로서 1950 년에 우리 나라 똥이 어떠한 대우를 맞고 이용되었는지 알 수 있으며 구구 절절이 똥의 위대한 힘이 느껴지는 기분이 든다 . 38 때는 바야흐로 1950년대 후반으로 이 시절어|는 사람 똥은 금갑에었다고 한 다 설거자통에서 나오는 구정물은 쇠죽을 끓이거나 돼지먹이가 되었고 과채 류 등은 소 돼지가 먹었다. 시람들이 먹던 음식, 생선뼈 는 개나 닭의 먹이가 되었고 오줌똥은 썩여 밭으로 보내고 소나 돼지의 우리에서 나온 것들은 밑거 름이 되었다 농가의 농부들은 매달 똥징관)으로 똥을 퍼 갔고 가을에 콩 몇말 을 그 값으로 쳐 주었다 “집의 똥 내주이소’ 지나치면서 들었던 옆집 이주머 니와 검게 탄농부의 대화였다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40. 똥장군 한편 겨울이면 개똥망태 어깨에 메고온동네를돌아다니며 개 똥을주 워모았다.개똥을찾아다니던그때모습을생각하면지금도웃음이나온 다 ‘개 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라는속담이 있지 않은가 그런데다 익에 되 는 개똥이 따로 있으니 흰 개의 흰 개똥이 좋았던 모OJ이다. 그래서 “똥누 면 분칠해 말려 두겠다”는 노랭이 심보를 가진 사람을 빗댄 말까지 생겨난 모양이다. 또한시골에서는허리나팔다리 뼈를다치면똥술을해먹고또똥을환 부에붙이곤했다. 똥먹은똥돼지 애기는들었어도똥먹은똥사람애기는 처음듣는 이도 있을 것이다. 시골의 똥개도 비슷한 처리방법이다. 마댐l 서 아이가똥을누면 그것은 강아지 차지였고 항문에 묻은똥까지 혈아 먹 어밑씻개가따로필요없었다. 이글은 읽는 사람 중 몇 사른센 이러한 내용이 우리나라에서 행하여진 3. 똥징군은똥을담아옮기는동을말하며, 오줌장군도 있다 ‘농 (장군부) 라고 읽으며 장군이 바로 액체 를담는그릇이나용기를의미합니다 따라서 똥장군이란똥을담는용기라는의미가될니다 ‘옮’ 글자를 포함하는글자들은 일반적으로 행벼와관계되며, 실제 예로서 鍵(두레박관〉은행벼, 양철통, 음료수, 통조림의 캔(æn)이라는뭇으로 쓰인다, ECOTOILET I생태뒷간 39
  • 41. 일이라고 믿을까마는 이러한이야기는 비단우리 나리에서만 있는 것이 아 니라 많은 나리에서 비슷하게 인분을 이용하고 활용하였던 거 같다. 이와 유사한사례를 보면 멕시코에서는 야생개 라고 불리우는데, 이 개는 특정 은 사람이 모래사징에서 용변을 보면 조그만 털북숭이 멕시코 개들이 볼 일을 끝날 때 까지 기다리다가 일이 끝나면 김이 모락모락 나는 인분을 채 1분도 걸리지 않고맛있게 해결하여 주변을깨끗이 한다고한다. 그리고 인 도에서는우리나라와 비슷하게 돼지의 먹이로 해결한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과거에는 인분은 귀중한 퇴비이자 동물의 먹이로 활용되어 그야말로 벼릴 것이 없는 완벽한 하나의 자원이었다. 따라서 똥을 자원화 하고 아껴 자연친화적인 삶을살아왔기에 한국 중국 및 일본을 비롯한아 시아 국가에서는 사람의 배설물을 폐기물로 보지 않고 자연자원으로 이해 하였던 것이고, 이 점에서 。씨아인들은 서양인보다 진보했다고 평가히는 사람도었다. 40 인분은 토양과 사람의 보약 히말라야 산약지멍에서 사는 훈지족은 명균적으로 1α써l 이상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들의 건강비결은 먹는 자 연식품과 그것을 재배하는 토%딸 포함하여 전반적인 생활 양식에 달려있다고 한다 훈족은 인분을 퇴비회하고 그것을 농업에 사용하는데 퇴비를 만들때 사험이나동물의 분을 먹고 남은 쓰레기 나뭇잎, 숙성시킨 인분등가능한 모든 것을 땅혐l 묻어둔항아리 속에 넣어 6개월 이상숙 성시켜 사용한다고한다. 더울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42. 2) 도시의똥 현대에 들어서 도시의 똥은 철저하게 사람으로부터 분리되고 외면당하 는과정을밟아왔다. 그과정은우리의 근대화가서양의 문물과문화를 거 의 무비판적으로수용하면서 똥에 대한서양인의 혐오와기피의 관점이 철 저하게 내면화한 과정이기도 하다. 오늘날 도시인은 가능하면 똥을 보지 않고냄새 맡지 않고접촉송찌 않는것이 문회이고문명인 시대를살고 있 다. 이 과정에서 똥은 철저히 도시인의 생활 영역에서 감춰졌다. 이제는 거의 보편화된 양변기는 똥을 우리의 시야에서 감추는데 가장 큰 공헌을 하였다. 양변기 말 자체가 저양에서 온 변기’ 를 의미하는 것 으로 전래의 우리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양변기에서 똥은 우리의 시야 에서 완전히 은폐된 채 물속에 잠겨 나름의 존재감마저 풍기지 못한 채 잠시 머물다 영원한 어둠의 하수관거로 λ봐진다. 그것이 다시 세싱써l 모습을 나타내는 때는 그 탄생이 그러했듯이 그 마지막 소멸의 순조써l서 나가능하다. 똥을 우리의 인지 세계에서 완벽하게 배제하기 위하여 진화를 거듭한 양변기는 드디어 비데의 형태로까지 발전하였다. 이제는 최소한의 손길이 없이도 뒷마무리가 가능한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사람들은 그저 비데가 설치된 양변기에 앉았다 일어나기만 하면 된다. 그 와중에 우리는 거의 똥 의 존재감을 의식하지 않아도 되게 됐다. 이것이 당연히 도래해야할 문명 의 진보의 한귀결인지는모르겠다. 그러나그렇게만 치부해버리기에는부 족한점이너무많다. 변기가 진화되는 과정에서 개발된 휴지, 세정제, 방향제 등의 물품은 철 저히 똥을 우리의 감ζ에l서 배제하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들이다. 본래 ECO TOILET I생태뒷간 41
  • 43. 자연성을 갖는 똥의 성질을 막기 위한 노력으로 만들어진 세정제, 방향제 등의 물질은 당연히 반 자연적 물질일 수부써l 없다. 자연분해 되어야 할똥 은세정제나표백살균제 등의 약휩l 섞여 자연분해가 쉽지 않게 된다. 세 정제, 표백제 등의 물질이 수중의 분해환경 - 미생물환경 을 위협하기 때문이다. 수세식 양변기의 문제를 줄이기 위하여 최근 개발된 일련의 친 환경적 변기라는 것들도 환경문제에서 완전히 지유롭지는 못한 것 같다. 일례로 포세식 변기는물사용량을줄이기 위해 인분의 악취차단용으로거품을이 용히는데, 이 과정에서 사용히는 거품의 경우 전형적인 계면활성제로서 수 중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이 적지 않은물질이라 할수 있다. 아마도 똥과 사람과의 관계를 멀리하는 그 어떤 시도도 환경 파괴라는 근본적인 한계상황의 숙명을 벗어나기 힘들 것이다. 그것은 똥의 특성이 사람이라는 생물체에서 나온 생물질æIOMASS)이라는 운명을 갖기 때문 이다. 자연계의 모든 것이 생멸의 순환체계를 갖듯이 똥이라는 것도 그 순 환체계의 과정에서 만들어지고 멸해지고 다른 물질로 변회{∞nversion)하 기때문이다. 오늘날의 똥은 과연 예전 우리의 농경문빽서 똥 그자체가 곡식이요. 채소인시절의 풍경과는많이 다르다. 이제는농촌에서도 인분을거름으로 활용하는 일은 매우 드문일이 돼버렸다. 이런 상햄l서 도시에서의 똥이 위생의 관점에서나 우리의 인식영역안에 겨우 틈입할수 있는 현실은 어쩌 면 매우당연한노릇일지도모른다. 완벽하게자연세계와격리된하수관거를 지나도시의똥은분뇨처리장 이나 병합하수처리%에서 일부는 물로 일부는 개스 물질로 일부는 미생물 로전환되어그운명을다하게된다. 42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44. 그러나 여기서 생각하여야 할 중요한 문제는 우리니라의 경우 좁은 면 적에약 4,800만명이라는많은인구가살이야하니 전국의시골지역도이 제는도시화하여 도시지역과같은상태로 변환되어 가고 있다는사실이며 이로 말미암아 머지않은 장래에 모든 국민이 배설히는 똥은 이제는 더 이 상의 자원으로서 있는것이 아니라우리가많은돈을들여 처리하지 않으 면안되는 환경오염물질로전환되었다는점에있다. 가정 .:i:lA~ C그 C그 해앙배수 상가 사무실 공공기관 기타 매립 人 7f ~....., 재활용 〈그림 4) 똥의 발생원 및 처리방법 ECO TOILET I생태윗간 43
  • 45. 4 현대인의 삶의 결과, 폼과 분뇨 1) 현대인의 삶의 결과 똥의 운명 앞에서 도시의 똥이 더 이상 자원이 아니라 많은 돈을 들여 처리하여야 하는 물질로 전락되었다고 하였으나 이제는 이러한 현/한l 도시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시골에서도같은현싱이 발생하고 있다. 똥의 관점에서 본시 골과도시는이제는그차이가없어져 가고있다. 일례를들면전통적인시 골풍경에서는전기나상F수도등이 없고초가집이 있으며 집안에는외양간 이 있어 소도 키우고집문을 나서면 바로 들판이 어우러져 목가적이고 전 원적인 분위기를 느껴야 하는데 이제는 이러한 것들이 하나 둘 우리의 시 야에서 사라지고 문명의 도구들이 에워싸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가정마 다 사용하는 가구나 소비하는 물질틀이 도시와 다른 바 없고 도로는 아스 팔트와시멘트 보도블록으로포장되어 있어 겉모습은산뜻하고편리한모 습을 보이고 있으나 반면에 토양생태계는 숨을 쉬지 못하여 제 기능을 발 휘하지 못하고 서서히 죽어가고 있다. 편하고 쉬운 것을 선호하는 경향과 경제적인 활동의 축이 집중되는 새로운 문명의 발달은 젊은이들을 시골에 서 도시로 이동시켜 시골에서는 이제 인구의 노령화로 인히여 실제적으로 농사를 지을 젊은 사람이 없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시골에서의 노 동인력은 주로 노령층으로 구성되어 운영되는 특정을 보이고 있어 농시에 펼요한 유기질비료를 만들고 사용해뼈밍하고 히는 일들이 어려워져 쉽고 편한화학비료에 의존하게 되는상황으로 전환되고 있다. 따라서 과거에는 시골의 농사에서 귀중한자원으로대우받던 ‘똥’ 이 이제는더 이상필요치 않는 더러운 물질로 전락되는 동시에 처리에 많은 돈을 들여야 종}는 상황 44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46. 이당연시되고있다. a 현대인의삶과분뇨 우리 나리에서 발생히는 분뇨의 발생량은 인구의 증가와 밀접한 관계 가 있고, 한사람이 하루에 배출하는 생분뇨의 양은 일반적으로 평균 1Q 로 보고 이를 기준으로 한다. 그러나 똥이라 히여도 수세식의 경우 정화조 및 오수처리시설에서 일정기간동안부패되어 줄어드는특성을 갖고 있다. 최근 10년간분뇨 및 정화조폐액의 발생량을 〈표 2>에서와 같이 생분뇨 〈표 2 지난 10년간 분뇨 발생량 및 처리대S랑 (닫위 : m'/일) 발생랑 처리대응발 구분 겨| 분뇨 X옆홉찌I액 겨| 수거분뇨 정화조찌|액 1993 44,879 11.859 33.020 26,η6 11,812 14,964 1994 42,579 10,735 31,844 28.365 10,302 18,063 1995 45.9이 9.493 36,408 26,앉38 7.130 19,838 1앉갯8 5,954 8,411 37,543 26,362 7 않3 18.679 1997 46,872 τ563 39,309 25,934 6,440 19A94 1998 47,162 6,589 40,573 26,447 5,584 20,864 1~갯9 47,495 5.864 41,631 27,934 5,148 22,739 2000 47,388 5,202 갱,186 25,798 4.501 21.297 2001 48,227 4.623 43,604 ‘ 26,184 4,251 21.933 2002 48,쩌4 3.984 44.511 32,420 3,676 28,744 ECOTOILET I생태뒷간 45
  • 47. 의 양은 수세식에 의한 정화처리를 거치는 곳이 증가하면서 1993년 이후 부터 서서히 감소하는 추세블 보였으며, 2002년에는 3,984 m3 /일 (1,454.2 천m3 /년) 정도발생하였다. 이에 반해 수세식의 증가로 인한정화조도입이 증가하면서 정화조폐액(슬러지)의 발생량은 1995년에 36, 408m3 /일 (13,잃8천m3 /넨으로 매년 증가히는 경향을 보여 2002년에는 44,511m 3 /일 (16,246천m3 /년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뇨는 생분뇨로 배출되어 수거되거나, 정화조로 유입되는데 정 화조에 유입된 분뇨는 오랜 기간동안 분해되고 안정화되어 1년에 1회씩 청 소되어 정화조폐액으로 발생된다. 생분뇨의 원단위는 1인당 1일 얘kg, 정 화조폐액은 약 0.4~0.5kg발생된 후 수거되어 위생처리징에서 처리되거 나, 해%버H출혹은 액비로서 현징써l서 재활용된다. 전체분뇨의 처리현횡을 보면 1일 발생량 32,240m3 중에 수거분뇨는 3,676m3 이며, 정화조폐액은 28,744m3 이며, 이들 중에 약 98%가 수거 운 반되어 처리되고 있고약20/0는수거운반이 불가능하여 처리할수 없는양 이다. 수집 운반되어 처리대^d-이 되는 분뇨 및 정화폐액의 처리방법을 보면, 위생처리장 혹은 환경사업소로 명칭을 사용히는 곳에서 31,819떠의 분뇨 가 처리되고, 분뇨처리시설에서 처리되고 있는 양이 30,961m3 /일 이며, 해 양투기로 111m 3 /일, 재활용으로 746떠/일 처리되고 있다. 여기에서 분뇨처 리시설은 지자체가 단독의 전용시설을 설치히여 처리하는 경우와 하수처 리징에 설치하여 병합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며 수집 · 운반되어 액비로 이 용되는재활용은전체 발생량에 대하여 미비한수준이다. 분뇨처리시설에서 분뇨 및 생분뇨가호기성소화, 혐기성소화혹은 액 상밤l법 등에 의히여 처리되어 분해되고 고형물의 형태로 발생되는 것은 46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48. 슬러지로서 분뇨처리 슬러지라는 명칭으로통계를 집계하고 있다. 분뇨처리조에서 처리되어 최종산물로 발생하는 분뇨처리 슬러지는 대 부분이 재활용, 매립, 해C썽H출등에 의해 최종적으로 처분되고 있다 분뇨처리 슬러지의 최종처분 현횡을 보면 1998년 분뇨처리 슬러지 발 생량의 85%가 매립과 해양배출에 처분되었으나, 1999년 이후부터는 퇴비 화등의 재활용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에 매립과 해OJ=배출에 의한 최종 처분은 급격히 감소하여 2001년에는 분뇨슬러지의 89.3%가 퇴비화 등에 재활용되었고 나머지 10.6%가 매립과 해%배H출에 의해 처분되었다.2002 년 현재 분뇨슬러지의 처분 현황으로는 재활용 71.6%, 해양배출 19.9%, 매 립 6.6%, 기타처리 19% 순으로 처분되어 증가추세의 재활용비율은 전년 도에 비해 감소하고 해OJ=배출과 매립에 의한 처분이 증가하였다.2005년 도부터 분뇨처리시설의 처리용량01 700빼%엔 시설에서 배출되는 슬러 지에 대해서는직 · 매립이 금지되어 현재 매랩되는양이 거의 줄었으나제 로베이스까지 기.0]:하며, 해양배출을 가능한 억제하고 육성에서 재활용하 는체계로의 개선이 펼요한실정이다. 한편향후분뇨의 발생과처리후발생하는분뇨처리슬러지 발생량을예 측하여 보면 인구가증가하는상황11서 분뇨의 발생량도증가하고 따라서 분뇨슬러지의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뇨처리장 의 하수처리장과의 연계 등으로 인히여 실제적으로는 미래의 분뇨처리슬 러지의 발생량은감소할것으로나타난다. ECOTOILET I생태뒷간 47
  • 49. 〈표 3) 여|측자료를 이용한 분뇨처리슬러지 발생량 예측 년도 요ιF 분뇨 헬슬러l조지 겨| 딘발워생슬러량지 슬밟싣러황지 슬발러생지랑 (잉 (m3!일) (m3!일) (m3!일) (kglm3) (얘/웰 (동떤) 1앉l8 46.286. 밍3 6.589 40 강3 47.162 9.5 띠8039 163.534 1999 46,616,6η 5.864 41.631 47.495 9.5 451,∞3 164.61:웠 2000 47008111 5.202 잉,186 47.388 9.5 450,186 164.318 2001 47,영2,8;;정 4,623 43.604 48,227 9.5 458,157 167,227 2002 47.6::웠 618 3.984 44,511 48.495 9.5 460.7C저 168.156 2003 47,925,318 3,영8 45,455 49,393 ‘ 9.5 469,236 171.271 2004 48.199.227 3.695 46.440 50.135 9.5 476.286 173.844 2005 48,460,590 3,485 47.425 50,910 9.5 483,643 176,530 2006 48.710.241 3.299 48.410 51,709 9.5 491.237 179.301 2007 4얘8,’:,94쩌8,463 3.133 49.395 52,528 9.5 4월,016 1않,141 2008 49.175.329 2,앉33 50,380 53,363 9.5 506.946 185.035 2009 49,391,042 a잃6 51,365 54,낀1 9.5 515.001 187,975 2010 49,않4,482 2,걷O 52,350 55,αB 9.5 523;159 190.953 2011 49,π킬,861 z∞3 53 경5 55.938 9.5 531,406 193.963 2012 49,954,138 2얘4 54.320 56.814 9.5 539,730 197.001 2013 50,107,196 2,393 55.304 57.697 9.5 548,121 잉0,064 2014 50,240,035 2,297 56.289 58.앉킹8 9.5 556,570 203.148 2015 50,352,318 2,207 57.274 59.481 9.5 565,0꺼 206.2히 48 더불어 A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50. 5. 현대인의 생명지킴이, 지렁이와 똥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간이 생존하면서 발생시키는 똥 그 자체는 변뺨1 없다고하더라도그 재와 이용랜방법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으 며 특히 최근에들어서는귀중한자원이라는관념에서 벗어나비용을들여 처리하는물질로자리메김을하고있는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지구 생태계를 약 5억 년 전부터 기꾸고 보살펴온 지렁이의생태적인기능을이용한똥의관계를살펴보면다행스럽게도지 렁이는 옛날부터 이것을 즐겨 먹이로 이용하고 정화하여 왔던 것을 알 수 있다. 약 4천 년 전,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슈벨인에 의한 점토화석(結土化石) 에지렁이가토OJ=-을비옥하게하여주고지렁이가많은곳에농사를지으면 수확이 많다는 기록을 전하고 있으며 지령이는 나일강이나 메소포타미아 강가에서 장마철에 떠내려 오는 동물의 분灌:), 식물의 줄기, 동식물의 사 체 등을 처리(먹이)하면서 번식하고 똥을 배설히여 땅을 기름지게 한 것으 로추정하고있다. 이와같은지렁이의 기능은지금에도전세계에서 도처에서 활용되고 있는데 우선 우리나라의 경우를 살펴보면 서울시민이 날마다 배설하는 똥 이 난지하수처리%에서 매일 약 50-톤씩 지렁이로 처리하고 있다. 여기서 처리히는 똥은 서울인구의 4분의 1(약 250만 명 추정)이 배설하는 양으로 서 각 가정, 사업장 및 공동주택(아파트 등)의 정화조 및 오수정화처리시설 에서 수거한양을처리하고나온최종슬러지를약 8,000여 평의 지렁이 사 육징L에서 지렁이에게 먹이고 있다. 만약에 여기서 나온 똥을 지렁이가 먹 어 주지 않는다면 아마도 이 똥은 태우거나 메우거나 아니면 바디에 뿌려 ECO TOILET I생태뒷간 49
  • 51. 야할운명이 아니겠는가? 지렁이 !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그밝l서 이 지구를 위하여 묵묵히 일 하는그대여그대는과연이지구를지키는위대한생물체로다. 그렇다면 지렁이는 인간의 똥만을 처리히는가 ? 아니다 자 보라 ! 지렁이는 인간만 편애히는그런좁은시야를가지 동물이 아닌 것을. 지렁이는인간과동물 을차별하지 않으며, 똥의 더러움과 깨끗함을논하지 않고 그 실체를보고 행동하지않는가? 몽과 지렁이사육상 (난지도) 소똥과 지렁이 사육상 (중국) 위 사진에서 지렁이가 인간의 똥과 소의 똥을 처리하는 사육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사실로부터 우리가조금만노력하면 어렵지 않게 동물 의 배설하는똥을환경친회적으로관리할수 있음을알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렁이는 우리 인간이 생각하는 이상으로 이 자연과 생물을 위하여 중요한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절실히 느끼게 하는 사례 를들어보고자한다. 아래의 사진은 우리 살고 있는 어느 곳에서나 흔히 볼 수 있는 개똥이 다. 최근에 들어서는 각 가정에서 애완동물을 커우는 붐이 일어서 이집 저 집에서 여러 종의 애완동물을 카우고 있으며 애완동물은 예외 없이 똥을 배설한다는사실이다. 애완동물의 똥을처리하는방법은여러 가지가있지 50 더물어 시는 삶과 터전율 위한 공동처| 이야기
  • 52. 만대부분의 경우히수구나쓰레기통에 넣어 처리하나개의 경우에는유독 가정의 밖인 도로변, 공터, 공원 및 잔디 등에 많이 방기판 현상에 목격 된다. 이름모를개띔공터에세 이름 모를 개똥{죠!CI에세 그러나 이러한것도시간이 지나면 아무도 청소하고관리하지 않았지만 우리의 눈에서 자연스럽게 사라져 가고 있다. 누구인가? 이 지구를 깨끗이 청소하는 대지의 청소부는? 물론이러한일은자연계의많은미생물이서로어우러져처리하였지만 이 중에서 지렁이의 역할을확인하기 위하여 몇 가지 실험을하여 보았다. 아래의 그림에서 보면 개똥위에서 지렁이가 분주히 먹이를 먹는 것을 볼 수있으며, 더 나-àt가서는개털까지도먹어 치우는것을알수있다. 개똥을먹는지렁이 개똥,개털및과일껍질 ECOTOILET I생태뒷간 51
  • 53. 아래 사진에서는 지렁이가 개똥과 털을 먹고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상 태를보여주는것으로 일부먹이가남아있기는하지만지렁이가먹어서 일 부는 지렁이 똥으로 변화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지렁이가 이렇게 먹이를 처리하고 증식이 가능한 것인가를 알 수 있는 것을 파악하 기 위하어 지렁이 알을 찾아본 결과 많은 알을 수집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로부터 지렁이는 인간의 똥과소와같은가축의 위시하여 애완견의 똥 까지도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처리가 가능하다는 사실을확인하였다. 일정기간 경과후의 사육상 발견되는지렁이 알 한편도시지역에서 똥을처리하는기술은똥에 함유되어 있는기생충과 병원균을 멸균하는 것이 위생학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포인트로 다루어지 고있다. 지렁이가똥을먹었을때 똥안에 있는기생충의 변화상태를파악 하여 본결과, 표 4에서와같이 처리되어 발견할수 없는것으로나타나위 생학적 인 면에서도 안전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52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54. 〈표 4) 지렁이가 섭취한 애완건 분 안정성 조사 (분변 그램당 충란수) 기생충란의 종류 구 분 장내선흥 징내월충 개화충 개소화흥 개편충 말티스 시 츄 요크셔틀 -I「I EE드 / ※ 지렁이 시육장치에 지렁이 개체수 30미리 입식, 애완견 분 투입랑 잉g a 인간과 동물 똥 무엇이 다른가? 생태학적인관점에서보면음식과똥은유기물이라는관점에서보면거 의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또한 인간의 똥이나 동 · 식물의 배설물{똥) 역시 차이를보이지 않는다고생각된다. 그런데 유독인간의 경우에는문화와경 제가 발달하고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생태계에서 자연적으로 순 환되어 처리되던 물질이 순치적으로 인간의 관점에서 인위적인 방법으로 관리가전환되고있다. 1) 자연과 합일(슴-)하는 동물의 똥 동물이나 식물은 자연스럽게 먹이를 먹고 이를 자연에 보내 생태계와 어우러지는삶을살고 더 나아가서는배설물이 생태계의 순환을돕고풍요 롭게히는데 일익을담당하고있다. 이러한현상은비단오밝l만하는것 ECOTOILET I생태뒷간 53
  • 55. 이 아니라수억년아니 지구가태어남과동시에 이 지구상의 모든생물체 가 같이 서로 연계하면서 살아가는 형태를 띠우며 살아오고 있지 않나 생 각된다. 물론 초기에는 인간도 이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고 자연인의 하나로서 삶을 시작하고 성장하면서 죽을 때 까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것 같다. 즉 인간도 자연 안에서 삶을 영위하고 호흡하고 사라지면서 현재까 지 탈없이 견디지 않았나 한다. 새들은 나무나 식물의 열매를 먹고 저 멀리 날아가 다른 지역에 배설함 으로써 식물이 널리 퍼지도록 히는데 지대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또한 해 안71에 사는 새들은 물고기를 잡아먹고 해안에 배설하는 구아노D는 육지 에서 생성된 비료물질이 바디에 흘러들어가 폐기되고 사장@댐짧되는 것이 아니라 이것을 물고기가 먹고 이것을 다시 육지로 다시 돌아와 식물의 영 OJ:물질로 다시 순환히는 역할을 하고 있다. 2) ^I언에 브뼈ôf는 똥 자연적인 관점에서 보면 인간。l 배설송}는 똥도 쌀, 배추, 고추, 고기 등 을 섭취하여 우리의 몸에 필요한 영양분을 활용하고 과잉으로 많거나 필요 없는물질들은자연계에배출하는것으로자연은이것을받아들이고분해 시켜 동 · 식물은 이것을 영OJ'원으로 하여 성장한다. 이러한 기능은 누가 시켜서 하는 것이 아닌 그 자체가 생태계의 순환원리에 따라 자연계의 수 많은 동 · 식물이 상호보완적인 삶을 살면서 자연스럽게 진행되는 일이 아 닌가? 만약에 이러한 생태계의 물질순환이 빙F해받거나 정지되면 생태계는 더 이상 의 활동을 멈추고 파괴될 것이고 결국 이러한 상태에 다다랙l 되 54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56. 면자연적으로인간도더 이상삶을지탱하기 어려운상황이 될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간은 이 지구를 보존하고 지키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 을기울이고있으나이러한노력에도불구하고우리의삶의터전이고우리 의 후손들이 살아가야할이 지구가위협받고 있다. 이와같이 지구를괴롭 히는 것 중에는 우리 인간으로부터 기원하는 것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행동들이 대부분개발과우리 인간의 만족을추구하는과 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인간이 배설하는 ‘똥’도과거에는그러하지 않았지만현재에 들어서는이 지구에 나쁜영향 을 주는 물질로 변형되어 가고 있지 않은가? 즉 인간의 똥을 자연으로 보 내어 생태계의 순환원리에 의하지 않고 이것을 물로 행구고 짜고 태우고 하는 등 우리의 틀에 맞추어 관리함으로서 자연계의 순환 고리를 끊고 있 는 것은 아닌지? 그리고 과연 이러한 생각과 행동이 자연생태계의 이치에 맞는것인가?과연우리와똥은지금어디로가고 있으며 미래에는어디로 갈것인가? 자연계에서 폐기물이란존재하지 않으며 ! 생물의 배설물은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는 자원이다. ψα옹phJ낭n때15: 인분 핸드백 저자) ECO TOILET I생태뒷간 55
  • 57. 전통뒷간과생태공동체 1. 뒷ξ뻐| 대한 01해오} 공동체 삶 뒷간의 의미는 14591년 r 월인석보」에서 처음 사용되었는데, ‘뒤를 보는 집’ 그리고 ‘뒷마댐l 자리한 집’ 이라는 뭇으로 설명되고 있다. 인분을 ‘뒤’ 라는 의미로 표현한 셈이다. 다시 설명하면 ‘뒷마당 한 켠에 자리한 집’ , 마당 한 귀퉁이에 놓인 건물’ 돗이다. 뒷간은 살림채와 떨어져 있으 며 뒷마뱀 별채 형태로 떨어져 있는 공간으로 뒤에 따로 떨어진 측간’ 이란의미로 ‘뒷간’이라고불리고있다. 우리나라의 뒷간은 서구적 개념인 볼일 보는 곳과 씻는 곳을 통합적으 로 구성한 화장실의 개념이 아니라 씻는 공간과 볼일 보는 공간을 분리된 하나의독립된공간으로써의 기능을가지고있는곳이라고할수있다. 이러한의미를지닌우리나라의 전통뒷간은자연과분리된 이분법적 사 고에 근거한 접근이 아니라 주변의 자연 조건과 생활 형태에 순응한 공동 체적 삶의 형태에서 비롯되었다. 전통적 농경국가는먹거리를생산하는과 정에서 필요한 거름이 중요한 공동체적 기제를 이루는 중요한 요소였으며 이를 기능하게 하는 것을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찾아왔다. 또한 일상생활 56 더물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58. 속에서 먹거리 생산에 필요한 요소를 찾는 것은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기 제에 순응한 생산체계 보다는 지역적이며 생태적이며 공동체적 모습 속에 서의 먹거리 생산을원칙으로하는과정에서 생산에 필요한수단을찾으려 했다. 이것은 밥과똥과삶을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어 나기는과정으로 인 분을 통해 생명순환의 원리를 적용시켜왔던 것이다. 이러한 똥을 이용한 거름은 지역공동체에 순응한 삶의 양식으로 그 지역의 여건과조건에 띠라 다랙l 나타났다. 전통뒷간이 내용적 차별성을 지니고 있더라도 궁극적으 로는 생태적이며 자연순환의 법칙에 의거한 과학성과 경제성이 내재된 생 태학적 원칙에 근거하여 운영되었음을 알수 있다. 가령, 강원도 지역에서 는 갯간을 이용하여 거름을 만들어 낸다거나 제주도에서는 통시를 이용하 여 인분의 문제를해결한다거나 일반농촌농가에서는수거식 뒷간을만들 어 해결하기도했다. 이러한뒷간의 적용원리는자연의 생태적 순환을도 모하고인간과자연과의자연스러운결합을통하여이루어진사회 · 문화 적인행위였던것이다. 그러나 농경문화 이후 도시주의 출현은 진보에 대한 편견, 다양성에 대 한 편견, 인간중심주의의 편견, 과학기술중심주의에 대한 편견 등을 양산 시키면서 똥의 문제에 있어서는 ‘전통’ 이라는 표현으로 일단락시킴으로써 전근대적이며 불결한대상으로뒷간의 의미를전락시키게 된다. 결국도시 주의는 경제주의와생태주의는 조회를 이룰수 없는관계를 만들어 냄으로 써 전통뒷조f에 대한 생태학적 김수성은 경제학적 이성으로 전환시키는 결 괴를초래하게된다. ECO TOILET I생태윗간 57
  • 59. 2 전통뒷ζ벡 유형과 그 특성 뒷간에는 여러 형태가 있는데 주변의 자연조건과 생활양식에 따라차이 가 있다. 구들난방을 하여 재가 많은 집에서는 갯간을 만들고, 재를 많이 내지 못하거나퇴비를빨리 많이 내야하는집에서는수거식 뒷간을짓고, 일부산골에서는돋통시(똥돼짓간)를 만들기도 했다. 뒷간은 가장 일반적 인 수거식 분뇨 처리 형태로써 인분이 일정한 양이 되면 퍼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뒷간의 인분을 퇴비로 사용하기 위해서 는밭두둑가에구덩이를파서옮겨두고일정기간썩힌뒤거름으로사용을 한다. 보통 여름에는 4,5일 뒤에 꺼내 사용하고 봄, 가을에는 m일 뒤에 꺼 내 사용히는데 암흑색으로 변했을 경우에만 꺼내 사용을 한다. 일정 시간 을두고썩힌후땅에뿌리면인분퇴비가흙과섞여흙속의미생물이복합 적으로 작용하여 분해과정을 거침으로써 퇴비가 안정화되고 채독도 방지 하고땅속의 영양분을장기간유지시커는 역할을한다. 그리고수분조절 / 을 위해 오줌통을따로 두어 인분과뇨를분리하였다. 갯간은 집에 뒷간을 별도로두지 않고재간의 한켠에서 볼일을볼수 있 도록만든곳으로, 한켠에 디딩돌을두 개를놓고 앞에는재를쌓아두며 뒤 에는 똥재를 쌓아두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볼일을 본 후 앞에 있는 재를 뿌린 후 나무 삽으로 떠서 한쪽에 던져 쌓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 방식 은 퇴비화 방식을 있는 자리에서 할 수 있는 편리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 는특정을지니고있다. 해우소는사찰의 동안거, 하안거 기간동안사찰 경내와주변자연 조건 속에서자립경제를도모할수있는중요한영역으로농사의풍년을보장해 주는 장소인 동시에 근심을 푸는 장소로 이해하고 있다. 해우소는 해의소 58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
  • 60. 뼈歡F에라는의미로 ‘옷을벗는곳’이라는의미를지니고있다. 이 의미는 속곳 · 속바지 · 속치마까지 켜입은 선인들이 볼일을 보는 과정에서 옷을 몇 개쯤 벗어뇌야 시원하게 뒷일을 볼 수 있다는 의미로 뒷간의 이름을 옷 벗는장소로표현한것이다. 해우소는산의 지형적 특성으로 고려하여 대부분 산비탈에 위치를 하고 있다. 비탈에 위치한 해우소는 전면 1층 뒷면 2층의 누각구조로 되어 있 다. 해우소의 상단부는 사찰 건축의 끝자빽l 연결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사찰 영역의 아랫부분인 밭의 시작부분에 자리 잡는다. 상단부에서 볼일 을본후하단부에서 인분을꺼내 밭과바로 연결되어 거름으로쉽게 사용 하는 구조로 되어 았다. 이러한 비탈구조는 통풍, 채광, 산소공급, 보온효 과, 자연발효, 냄새제거 등에 있어서 정점으로 작용하는 면을 충분히 고려 한선택이라고할수있다. 통시는 똥돼지간, 돋통시로 불리기도 하는데 인분을 돼지가 먹어서 처 리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뒷간을 의미한다. 제주당+ 지리산 자락 마을 에 부분적으로 통시를 이용하고 었다. 통시구조는 누각 또는 수평 구조로 되어 있으며 부출 밑이 돼지우리와 연결되어 있으며 부출의 높이는 돼지가 머리를들고들어와먹을수있는정도의높이로되어 있다. 돼지에게부족 한인분을대신하여음식찌꺼기 농산물찌꺼기와바맥l 깔아놓은짚과마 른 풀 그리고 돼지똥이 혼합되어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섞여 두엄 이 되는데 이 두엄을 퇴비로 사용하고 있다. ECOTOILET I생태뒷간 59
  • 61. 〈표 5) 전통뒷간의 유형과 그 특성 구붐 뒷간 햇간 해우소 룡시 전통뒷간의 가장 아궁이에 불을 구조물 하단부 누각 또는 수평 일반적인형태 때고 나온 재를 자체가 접해 있 구조로 부칠 밑 분뇨가 일정량이 인분위에 얻어 는 땅과 일정한 이 돼지우리와 원리 되면 퍼내는 식 인분냄새를 제거 거리를 두고 있 연결되어 돼지가 으로구성 시킴 으며 벽체도 공 머리를 들고 툴 재와 인분이 흔 기 습기의 소통 어와먹을수있 합되어 똥재카 에 지장이 없게 게구성됩 되는것 되어있음 밭두둑기에 구덩 재, 닥엽, 왕겨, 낙엽, 왕겨, 울, 짚, 음식찌꺼기 이를 파서 옮겨 풀 채소 찌꺼기 채소 찌꺼기 등 등과 인분과 돼 발효방식 놓고 어느 정도 등을이용 을 01용 지똥이 섞혀 두 썩힘 엄이될 냄새제거방식 재 재, 석회 처리방식 시간을 두고 땅 발효 후 거름으 발효 후 거를으 발효 후 거름으 에뿌려시용 로사용 로사용 로사용 적용대상지역 농촌지역에서 보 강원도 지역에서 사찰에서 주로 저뚜도통돼지간 편적으로시용 보편적으로사용. 사용 지리산통돼지간 경기 포천 김준 경북 상주 푸른 선암사해우소 경남 산청 차성 권씨뒷간 누리햇간 불영사해우소 건씨뒷간 전북 부안 전경 일지압해우소 적용사려| 식씨뒷간 보덕사해우소 충남 Of산 01동 표충사 태동암 범씨뒷간 해우소 문경정토수련원 oK우소 3. 전톰뒷ξ펙 생태공동체적 의미 1) 자연과 대호까 가능한 경로를 지니고 있다 현대문명은 단절과분리의 원칙에 근거하는 것으로 생명 순환의 관계를 철저히 차단하고분리시키는 일이다. 이것은공간을구성하는과정에도그 60 더불어 사는 삶과 터전을 위한 공동체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