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a Eun Lee
Na Eun LeeLead Designer em NEXON KOREA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EXON KOREA
이나은
발표자 소개
• 현재 메이플스토리2 프로젝트에 참여 중
• 올해 12년 차 게임 기획자
• 2018 NDC '메이플스토리2' 악기 연주 개발 사례로 보는 시스템 기획
• 참여 프로젝트 (2007~)
• 스쿼드플로우(PC)
• 미소스
• 클럽 오디션 (PC)
• 그 외 미 출시 프로젝트들….
• 전공
• 정보보호학과
기획서 잘 써지나요?
기획서 잘 쓰는 법
1. 다양한 방법으로 많이 시도해 본다.
• → 시간이 많이 필요
2. 다른 사람이 쓴 기획서를 참고한다.
• → 회사에서 다른 사람이 쓴 기획서를 볼 수 있다.
• → 회사를 안 다니거나, 기획서가 없다면 힘들다.
그래서!
•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시스템 기획서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
• 테이블
• 순서도
• 다양한 규칙들
• ….
시스템 기획 하면 떠오르는 것?
• 기능 개발
• 프로그래머와 좀 더 가까울지도….
• 노잼
• 이과
• ….
시스템 기획과 콘텐츠 기획?
설명 예시
시스템 기획
게임의 규칙 정의
뼈대를 만든다
자동차를 어떻게 타고,
어떤 원리로 움직이고,
자동차를 어떻게 제작할 지를 설계
콘텐츠 기획
기능을 활용해서 확장
살을 붙이고 포장
람보르기니, 페라리를 만든다.
실제 시스템 기획자가 하는 일
• 새로운 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추가할 때 하는 것
실제 시스템 기획자가 하는 일
• 새로운 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추가할 때 하는 것
→ 이 과정에서 최초 콘텐츠는 직접 만드는 경우도 있음
분석
스크립트및데이터설정
기능설계및개발
밸런스방향설계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흐름설계
시스템목표및방향설정
제안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시스템 기획
• 프로그래머와 협업해서 새로운 기능을 만들거나 기능을 수정함
오늘 할 이야기
이 단계에서 쓰는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분석
스크립트및데이터설정
기능설계및개발
밸런스방향설계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흐름설계
시스템목표및방향설정
제안
오늘 이야기를 들으면?
• 기능 개발용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을 알게 됩니다.
오늘 이야기를 들으면?
• 기능 개발용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을 알게 됩니다.
• 추가로
• 기획 의도를 쓰고 싶어 집니다.
• 기획서를 쓸 때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쓰고 싶어 집니다.
• 기획서 쓴 후 고치고 싶어 집니다.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시스템 기획서란?
프로그래머에게 주는 작업 지시서라고 함
시스템 기획서는 언제 쓸까?
•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될 때
•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시스템 기획서는 누가 쓸까?
• 시스템 기획자만?
• 시스템 기획자, 콘텐츠 기획자 모두 다 쓴다.
• 콘텐츠 기획자도 콘텐츠 제작하면서 필요한 기능은 직접 기획하기도 한다.
잘 쓴 시스템 기획서?
• 읽는 사람이 필요한 정보가 있어야 함.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려면?
1. 생각한다
2. 쓴다
3. 고친다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1. 생각하기
① 기획 의도
② 개발 방향 및 목표
2. 쓰기
① 읽는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기
② 기획서는 어떤 형태로 쓸까?
③ 어디까지 써야 할까?
3. 고치기
① 기획서 공유 전에 고치기
② 개발 진행 과정에서의 수정
③ 최신 버전 유지하기
1-① 기획 의도 생각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기획 의도?
나는 왜 이것을 하고 있는가
기획 의도?
일일 퀘스트도 추가 됐으니
매일 접속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면 좋겠어!
• 일일 퀘스트의 기획 의도?
기획 의도?
→ 1. 이 시스템을 왜 개발할까?
→ 2. 왜 이렇게 했을까?
기획 의도?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우리 탈것 만들 건데
우리도 몬스터 있으니까
그걸 사용해서 쉽게
캐릭터가 탈 수 있게 합시다.
이런 식으로 참고해서
가까이 가면 잡아 타는 거지….
다 있는 기능이니까
다음달에 투입할 수 있죠?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이거 이 일정으로는 안될 것 같은데요.
지금은 그렇게 못해요.
캐릭터를 다른데 붙일 수 없고
그렇게 하려면
개발 비용 많이 드는데 괜찮나요?
아니면 태울 수는 있는데 이동
속도는 못 바꿔요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일단 몬스터를 타라고 했으니까
몬스터만 타면 되겠지?
탈 것인데
속도가 그대로면 왜 타?
의도를 잘 모를 때는 물어보자.
• 업무 지시를 할 때 의도를 같이 이야기 해 준다.
• 그래도 의도를 모르겠다면 상사에게 다시 확인하자.
이 시스템이 왜 추가되나요?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사장님이
하고 싶대…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 그래도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획할 것인지 생각하자.
이걸 왜 넣고 싶었을까?
이걸 넣으면 얻는게 뭐가 있을까?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 그래도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획할 것인지 생각하자.
→ 그리고 확인해보자이런 의도를 가지고
개발해 보려고 합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디테일만 정해서 오기도 한다
홍시 개발 요청이 와서 만들었는데
왜 홍시를 만들었냐고 물으시면
그냥 홍시를 만들어 달라고 해서 홍시를…
→ 퍼블리셔님께서
딱! 홍시를 원하십니다.
그래도 역기획서를 쓴다 생각하고 고민해보자
• (원하지 않았더라도) 결국 내가 싼 X은 내가 치우게 됨
의도에 따라 개발 목표가 달라지기 때문
할 것 의도 목표
커피숍 가기 너와 이야기하고 싶어
대화하기 좋은
커피숍 찾기
후식으로
단 음식이 먹고 싶어
달달한 후식을 파는
커피숍 찾기커피
마실래?
기획서에도 의도를 추가하자
1. 개발 이유를 설명해주는 기획 의도
• 왜 이 시스템을 개발하는지
• 이 시스템을 만들어서 얻고자 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2. 개발 방법을 설명해주는 기획 의도
• 어떤 것을 원하기 때문에 이렇게 했는지
• 이 UI는 왜 이렇게 설계했는지, 왜 귀찮게 팝업을 여러 번 띄우는지 등
→ 업무 지시를 받을 때 확인
→ 세부 기획 시 진행
기획 의도가 있으면 더 이해가 쉽다
기획서에 기획 의도가 있으면 좋은 점
• 설득의 근거가 된다.
• 왜 하는지, 왜 이렇게 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된다.
• 기획 방향이 흔들리지 않는다.
• 방법을 바꿔야 할 때 방법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 개발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구현 과정에서 기획 의도에 맞는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1-② 개발 방향 생각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개발 방향 생각하기
• 어떤 방향으로 개발할 것인지
• 다음 포인트 체크하고 아래 내용을 만족하는 방향으로 진행
• 시스템을 투입하는 의도 확인
• 투입 의도 외에 추가 지시 사항
• 지시 사항에는 없지만 추가로 더 신경 쓸 것
개발 방향과 구현 목표
• 개발 방향
• 의도를 만족 시키기 위해 어떤 것을 신경 쓸 것인지
• 투입 의도 외의 추가적인 지시 사항을 포함하자
• 구현 목표
• 개발 방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만들 것인지
• 이 내용을 구체화하면 세부 기획 내용이 된다.
→ 개발 방향이 결정되면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가 나온다.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Case. 상사가 새로운 일일 미션을 만들라고 한다.
• 퍼블리셔 측에서 최고 레벨 도달 후 이탈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
• 플레이 성향에 따른 일일 미션을 만들어서 가이드를 주자고 함
• 하지만, 이미 일일 미션이 있음
• 그리고 미션 외에도 유저들은 매일 해야 할 숙제가 많아 부담되는 상황
• 기간은 몇 달 남지 않음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안 좋은 예
→ 없어도 상관 없다.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아래와 같은 형태로 써 보자.
→ 왜 하는지
→ 뭘 신경 쓸 건지
→ 어떻게 개발할 건지
하위 단계에서도 계속 하기
• 목표 및 방향 설정은 세부 단계로 내려가도 계속 해야 함
해야 할 것
(Task)
왜 하는지
(Why?)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하위 단계에서도 계속 하기
• 목표 및 방향 설정은 세부 단계로 내려가도 계속 해야 함
해야 할 것
(Task)
왜 하는지
(Why?)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왜 하는지
(Why?)
해야 할 것
(Task)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2-①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기
읽는 대상에 따라 기획서를 다르게 쓰자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하나의 문서에 다 있으면 읽기 힘들다
30페이지 이상
폰트 사이즈 9
목차만 3페이지
이거 하나면 끝!
하나의 문서에 다 있으면 읽기 힘들다
• 실무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만 보고싶어 한다.
제가 기획서에
다 적어 뒀는데
왜 못 찾으시죠?
그래서 A는 어디에
있죠?
기획서를 보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A.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B.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C.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 상사에게 제안을 위한 기획서, 개발 여부 검토를 위한 기획서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실제 구현에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필요에 따라 테이블 구조, 데이터 속성 값, UI 동작 및 조작 프로세스, 각종 예외
처리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실제 구현에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필요에 따라 테이블 구조, 데이터 속성 값, UI 동작 및 조작 프로세스, 각종 예외
처리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처음부터 완벽하게 쓰기는 힘들다.
• 다듬기 과정이 너무 오래 걸리지 않도록
• 시간이 부족하면 쪼개서 전달 할 수도 있다.
→ 어차피 수정해야 함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많이 묻는 질문
• 이거 왜 해야해요?
•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요?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구현 로직이나 알고리즘도 적어야 하나?
• 테이블 이름은?
• 자료형이나 변수는요?
→ NO
→ NO
→ Case by Case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 UI 디자인 시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UI 디자인 시 필요한 연출, UI 조작 프로세스, 디자인 컨셉, UI 구성 요소 등
• 테이블 구조나 속성 값은 제외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 UI 디자인 시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UI 디자인 시 필요한 연출, UI 조작 프로세스, 디자인 컨셉, UI 구성 요소 등
• 테이블 구조나 속성 값은 제외
기획서를 보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 더 잘 보여야하는 것
• 강조가 필요한 것
• 어떤 기능을 하고 왜 들어가는지
→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어떻게 기능을 제공하는지 매뉴얼 형태로 제공
• 테이블 구조나 데이터 형식 등은 필요 없다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디테일한 내용을 지운 버전으로 공유
• 미리 공유해야 한다면?
• 초안으로 1차 공유 후
• 개발 내용 확정 후 최종내용 전달
더 잘 읽히는 기획서?
• 읽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 위주로 구성!
기획서에 공통으로 있어야 하는 것
• 기획 의도 및 제공 방향
•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 이용 흐름
→ 작업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고민할 수 있음
공통으로 있어야 하는 것
• 기획 의도 및 제공 방향
•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 이용 흐름
→ 작업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고민할 수 있음
2- ②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시스템 기획서 – 순서도 = 0?
• 꼭 순서도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순서도가 필요한 이유는 흐름을 정리하는 용도
시스템 기획서 – 순서도 = 0
• 문서에는 순서도가 없어도 괜찮다
• 너무 간단한 것까지 적을 필요 없음.
• 오히려 잘못된 순서도는 혼란만 가중시킴
• 필요에 따라 순서도를 사용하자
• 순서도가 필요할 만큼 복잡하다면 추가
• 순서도는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
• 흐름을 정리하는 용도의 FLOW는 필요하다.
• 기획 정리를 할 때는 순서도로 흐름을 확인하면 편하다.
순서도의 좋은 점?
• 세부 사항에 대한 흐름까지 체크
• 놓친 부분을 확인하기 좋다.
• 예외처리 사항 체크가 쉽다.
→ 도움이 되는 도구이지만 순서도가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님
순서도보다 흐름에 집중하기
• 순서도도 중요하지만 다른 내용들도 중요
• 순서도를 그릴 때는 논리흐름이 잘 맞는지 확인하기
→ 전체 흐름에 대한 전달이 더 중요
시스템 기획서에는 뭘 써야 할까?
• 급하게 기획서를 가져갈 경우 많이 듣는 질문들
이거 왜 만들어요? 꼭 해야 해요?
이건 어떻게 동작해요?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하나요?
→기획 의도
→ 기능에 대한 디테일한 설명
→ 예외처리
시스템 기획서에 들어가야 하는 것
• 예외처리
• 룰에서 벗어난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 특별한 경우 강조하기 위한 예외처리
→ 특히 프로그래머가 보게 되는 기획서!
→ 시간이 부족해도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은 꼭 넣자
시스템 기획서에는 뭘 써야 할까?
• UX를 고려한 데이터 설정 구조
• 유저를 위한 UX 고려하기
• 개발자를 위한 UX 고려하기
설계할 때 미리 고려하자
시스템 기획서의 필수 요소
• 기획 의도
• 기능에 대한 설명
•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내용
• 데이터 설정 방식에 대한 내용
시스템 기획서는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고, 방향에 맞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게 설명하는 도구
→ 읽는 대상에 따라
2-② 어떤 문서 도구로 쓸까?
Word? PowerPoint? Excel? 어떤 것이 좋을까?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보는 사람이 읽기 좋은 포맷이 좋다
• 기획서의 목적은 잘 전달하는 것
•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 사용
• 팀마다 정해진 양식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Office 를 제한하지는 않음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남기도 한다.
• 바쁠 경우 Redmine과 같은 BTS, E-mail 등으로 대체할 때도 있다.
→ 단, 이 경우 나중에 찾기 힘들 수 있다.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포맷 선택
• UI가 많다면 Power Point로, 테이블이 많다면 Excel 등
•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포맷 선택
Word PowerPoint Excel Redmine
문서 작성하기
•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자
• 양식보다는 필요한 내용 위주로 쓰자
• 문서를 보고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 흐름은 필요하지만 꼭 순서도일 필요는 없다
• 기획 의도는 항상 중요하다
3-① 퇴고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기획서 공유 전에 읽고 고치기
• 당연하고 모두 아는 이야기지만 지키기 어려움
• 바쁘고 정신 없으면 지키기 힘들다
• 공유 전에 기획 의도와 방향에 맞는지 잘 살펴보자
• 기획서를 쓰다 보면 산으로 가는 경우가 있다.
3-② 개발 진행 중 수정 사항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개발 진행 시 수정 사항이 생긴다.
• 완벽한 기획서는 없다.
•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는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해 보아야 함
• 기획서 작성 후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 개발 회의에서 변경되는 경우
• 작업 도중 예상치 못한 이슈로 변경되는 경우
• 변경되더라도 기획 의도는 만족시켜야 한다.
• 기획 의도가 시스템을 개발하는 목적
3-③ 최신 버전 유지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개발 진행 시 변경 사항 반영하기
• 기획서 작성 후 내용이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
• 개발 회의에서 변경되는 경우
• 작업 도중 예상치 못한 이슈로 변경되는 경우
• 변경되더라도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함.
• 변경된 기획 내용을 반영하기
기획서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자
• 다 알고 있지만 생각만큼 잘 안된다.
• 막상 업데이트 후 정리할 시간 부족
• 나중으로 미루다가 쌓여서 손대지 못하는 상황이 온다.
• 히스토리 파악 및 인수인계가 힘들다.
• 어떤 문서가 최신인지 알기 힘들다
• 구전으로 내려오는 내용이 많을수록 인수인계가 힘들다.
정리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1. 생각하기
• 기획 의도는 정말 중요하다
2. 쓰기
• 정해진 양식은 없음 읽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3. 고치기
• 작성 후 내용을 검토하고 최신 버전을 유지하자
기획서에 정답은 없다.
• 팀마다 다르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 내용 전달을 위한 도구
• 가장 전달을 잘 할 수 있는 형태로 쓰자
감사합니다.
1 de 89

Recomendados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 por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
게임 시스템 디자인 시작하기ByungChun2
23.5K visualizações31 slides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por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
쩌는 게임 기획서, 이렇게 쓴다(How to write great design documents) from GDC 2008 (Korean)Kay Kim
63.1K visualizações81 slides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 por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
프로그래머에게 사랑받는 게임 기획서 작성법Lee Sangkyoon (Kay)
134.1K visualizações93 slides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 por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
[IGC 2017] 넥슨코리아 오현근 - 평생 게임 기획자 하기강 민우
2.9K visualizações120 slides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por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
[IGC 2017] 넥슨코리아 심재근 - 시스템 기획자에 대한 기본 지식과 준비과정강 민우
6.5K visualizações61 slides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por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
어서와 게임기획은 처음이지?Lee Sangkyoon (Kay)
60.8K visualizações172 slides

Mais conteúdo relacionado

Mais procurados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por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Donghun Lee
3.3K visualizações45 slides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por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Lee Sangkyoon (Kay)
162.5K visualizações170 slides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por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Seungmo Koo
55.5K visualizações44 slides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por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Seungmo Koo
38.8K visualizações33 slides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por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태성 이
2.3K visualizações25 slides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 por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Kwangyoung Lee
7.5K visualizações144 slides

Mais procurados(20)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por Donghun Lee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게임업계에서 내가 하고 싶은 일 찾는 방법
Donghun Lee3.3K visualizações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por Lee Sangkyoon (Kay)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게임 기획 튜토리얼 (2015 개정판)
Lee Sangkyoon (Kay)162.5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게임제작개론: #1 게임 구성 요소의 이해
Seungmo Koo55.5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게임제작개론 : #8 게임 제작 프로세스
Seungmo Koo38.8K visualizações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por 태성 이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게임 기획자의 생존 전략
태성 이2.3K visualizações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 por Kwangyoung Lee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
NDC 2015 이광영 [야생의 땅: 듀랑고] 전투 시스템 개발 일지
Kwangyoung Lee7.5K visualizações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por Sunnyrider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모바일 게임기획 따라하며 배우기
Sunnyrider 13.8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게임제작개론 : #4 게임 밸런싱
Seungmo Koo28.2K visualizações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por Lee Sangkyoon (Kay)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게임 디렉팅 튜토리얼
Lee Sangkyoon (Kay)28.6K visualizações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or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andoraCube] 게임 기획자 면접 시 가장 많이 하는 질문들과 나의 답
PandoraCube , Sejong University653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
게임제작개론: #2 세부 디자인 요소
Seungmo Koo20.1K visualizações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por 강 민우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IGC 2016] 컴투스 김동준 - 기획 지망생은 무엇을 준비하나요?
강 민우6.3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 #9 라이브 서비스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 #9 라이브 서비스게임제작개론 : #9 라이브 서비스
게임제작개론 : #9 라이브 서비스
Seungmo Koo11.2K visualizações
스토리텔링과 비주얼 내러티브: 놀 치프틴은 어떻게 형님이 되었나 por Lee Sangkyoon (Kay)
스토리텔링과 비주얼 내러티브: 놀 치프틴은 어떻게 형님이 되었나스토리텔링과 비주얼 내러티브: 놀 치프틴은 어떻게 형님이 되었나
스토리텔링과 비주얼 내러티브: 놀 치프틴은 어떻게 형님이 되었나
Lee Sangkyoon (Kay)19.8K visualizações
게임강연정리 por Jeong Min Hwang
게임강연정리게임강연정리
게임강연정리
Jeong Min Hwang8.4K visualizações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por Ryan Park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위대한 게임개발팀의 공통점
Ryan Park7.1K visualizações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 por Seungmo Koo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
게임제작개론: #3 간접통제와 게임 커뮤니티
Seungmo Koo9.4K visualizações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por devCAT Studio, NEXON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최은영, 아티스트가 기획을 - 하이브리드의 길 Ver.1, NDC 2012
devCAT Studio, NEXON7.8K visualizações
게임 개발 파이프라인과 시스템 기획(공개용) por ChangHyun Won
게임 개발 파이프라인과 시스템 기획(공개용)게임 개발 파이프라인과 시스템 기획(공개용)
게임 개발 파이프라인과 시스템 기획(공개용)
ChangHyun Won3.1K visualizações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por Jubok Kim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고대특강 게임 프로그래머의 소양
Jubok Kim30.4K visualizações

Similar a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por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강 민우
606 visualizações26 slides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 por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Hoyoung Choi
2.5K visualizações95 slides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 por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Seokjae Lee
197 visualizações62 slides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por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Jay Park
903 visualizações8 slides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 por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VMware Tanzu Korea
505 visualizações50 slides
(독서광) 개발자 원칙 por
(독서광) 개발자 원칙(독서광) 개발자 원칙
(독서광) 개발자 원칙Jay Park
1.1K visualizações8 slides

Similar a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20)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por 강 민우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IGC2018] 펄어비스 김광삼 - 대면 커뮤니케이션 주도의 게임 디자인과 게임 개발법
강 민우606 visualizações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 por Hoyoung Choi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
NDC2019 - 게임플레이 프로그래머의 역할
Hoyoung Choi2.5K visualizações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 por Seokjae Lee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
퇴근 후 해볼만한 N 가지 활동(개발자 ver.)
Seokjae Lee197 visualizações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por Jay Park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독서광) 기획자의 글쓰기
Jay Park903 visualizações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 por VMware Tanzu Korea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
Pivotal Labs 고객사례 - Coinone
VMware Tanzu Korea505 visualizações
(독서광) 개발자 원칙 por Jay Park
(독서광) 개발자 원칙(독서광) 개발자 원칙
(독서광) 개발자 원칙
Jay Park1.1K visualizações
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 por Aree Oh
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
Software engineer가 되기 위한 여정
Aree Oh158 visualizações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por MinGeun Park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RAPA/C++] 1. 수업 내용 및 진행 방법
MinGeun Park1.6K visualizações
(독서광) 필독! 개발자 온보딩 가이드 por Jay Park
(독서광) 필독! 개발자 온보딩 가이드(독서광) 필독! 개발자 온보딩 가이드
(독서광) 필독! 개발자 온보딩 가이드
Jay Park1.1K visualizações
Better softwareengineer han por DaeMyung Kang
Better softwareengineer hanBetter softwareengineer han
Better softwareengineer han
DaeMyung Kang4K visualizações
호갱노노 이렇게 만듭니다 por Ohgyun Ahn
호갱노노 이렇게 만듭니다호갱노노 이렇게 만듭니다
호갱노노 이렇게 만듭니다
Ohgyun Ahn2.4K visualizações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por NAVER Engineering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NAVER Engineering389 visualizações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por NAVER Engineering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플랫폼 디자이너 없이 디자인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우당탕탕 고통 연대기
NAVER Engineering1.9K visualizações
KGC2014 코딩을 몰라도 가능한 프로토타입 제작 por Seokho Lee
KGC2014 코딩을 몰라도 가능한 프로토타입 제작KGC2014 코딩을 몰라도 가능한 프로토타입 제작
KGC2014 코딩을 몰라도 가능한 프로토타입 제작
Seokho Lee6.7K visualizações
커뮤니티와 함께한 예비개발자 성장기- 조성수님 por NAVER D2
커뮤니티와 함께한 예비개발자 성장기- 조성수님커뮤니티와 함께한 예비개발자 성장기- 조성수님
커뮤니티와 함께한 예비개발자 성장기- 조성수님
NAVER D27.7K visualizações
(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 por Jay Park
(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
(독서광) 프로그래머의 뇌
Jay Park1.5K visualizações
스크럼 리뷰 이지원 발표용 por 지원 이
스크럼 리뷰 이지원 발표용스크럼 리뷰 이지원 발표용
스크럼 리뷰 이지원 발표용
지원 이1.1K visualizações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por devCAT Studio, NEXON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홍성우, 게임 프로그래머는 어떻게 가르치나요?, NDC2018
devCAT Studio, NEXON8.3K visualizações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por KwangSam Kim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만능 개발자를 위한 아틀리에 시스템
KwangSam Kim1K visualizações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 CNU(충남대) por Jaewon Choi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 CNU(충남대)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 CNU(충남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개발, 어디서부터 시작하는게 좋을까요? @ CNU(충남대)
Jaewon Choi3.3K visualizações

[NDC 19]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 1.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NEXON KOREA 이나은
  • 2. 발표자 소개 • 현재 메이플스토리2 프로젝트에 참여 중 • 올해 12년 차 게임 기획자 • 2018 NDC '메이플스토리2' 악기 연주 개발 사례로 보는 시스템 기획 • 참여 프로젝트 (2007~) • 스쿼드플로우(PC) • 미소스 • 클럽 오디션 (PC) • 그 외 미 출시 프로젝트들…. • 전공 • 정보보호학과
  • 4. 기획서 잘 쓰는 법 1. 다양한 방법으로 많이 시도해 본다. • → 시간이 많이 필요 2. 다른 사람이 쓴 기획서를 참고한다. • → 회사에서 다른 사람이 쓴 기획서를 볼 수 있다. • → 회사를 안 다니거나, 기획서가 없다면 힘들다.
  • 5. 그래서! •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하는지 궁금하신 분들을 위해
  • 6. 시스템 기획서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 • 테이블 • 순서도 • 다양한 규칙들 • ….
  • 7. 시스템 기획 하면 떠오르는 것? • 기능 개발 • 프로그래머와 좀 더 가까울지도…. • 노잼 • 이과 • ….
  • 8. 시스템 기획과 콘텐츠 기획? 설명 예시 시스템 기획 게임의 규칙 정의 뼈대를 만든다 자동차를 어떻게 타고, 어떤 원리로 움직이고, 자동차를 어떻게 제작할 지를 설계 콘텐츠 기획 기능을 활용해서 확장 살을 붙이고 포장 람보르기니, 페라리를 만든다.
  • 9. 실제 시스템 기획자가 하는 일 • 새로운 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추가할 때 하는 것
  • 10. 실제 시스템 기획자가 하는 일 • 새로운 시스템 기반 콘텐츠를 추가할 때 하는 것 → 이 과정에서 최초 콘텐츠는 직접 만드는 경우도 있음 분석 스크립트및데이터설정 기능설계및개발 밸런스방향설계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흐름설계 시스템목표및방향설정 제안
  • 11. 일반적으로 이야기하는 시스템 기획 • 프로그래머와 협업해서 새로운 기능을 만들거나 기능을 수정함
  • 12. 오늘 할 이야기 이 단계에서 쓰는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분석 스크립트및데이터설정 기능설계및개발 밸런스방향설계 시스템구조설계 시스템흐름설계 시스템목표및방향설정 제안
  • 13. 오늘 이야기를 들으면? • 기능 개발용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을 알게 됩니다.
  • 14. 오늘 이야기를 들으면? • 기능 개발용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을 알게 됩니다. • 추가로 • 기획 의도를 쓰고 싶어 집니다. • 기획서를 쓸 때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르게 쓰고 싶어 집니다. • 기획서 쓴 후 고치고 싶어 집니다.
  • 17. 시스템 기획서는 언제 쓸까? • 새로운 기능이 추가 될 때 •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 18. 시스템 기획서는 누가 쓸까? • 시스템 기획자만? • 시스템 기획자, 콘텐츠 기획자 모두 다 쓴다. • 콘텐츠 기획자도 콘텐츠 제작하면서 필요한 기능은 직접 기획하기도 한다.
  • 19. 잘 쓴 시스템 기획서? • 읽는 사람이 필요한 정보가 있어야 함.
  • 20. 시스템 기획서를 잘 쓰려면? 1. 생각한다 2. 쓴다 3. 고친다
  • 21.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1. 생각하기 ① 기획 의도 ② 개발 방향 및 목표 2. 쓰기 ① 읽는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기 ② 기획서는 어떤 형태로 쓸까? ③ 어디까지 써야 할까? 3. 고치기 ① 기획서 공유 전에 고치기 ② 개발 진행 과정에서의 수정 ③ 최신 버전 유지하기
  • 22. 1-① 기획 의도 생각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23. 기획 의도? 나는 왜 이것을 하고 있는가
  • 24. 기획 의도? 일일 퀘스트도 추가 됐으니 매일 접속하는 사람이 더 많아지면 좋겠어! • 일일 퀘스트의 기획 의도?
  • 25. 기획 의도? → 1. 이 시스템을 왜 개발할까? → 2. 왜 이렇게 했을까?
  • 27.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 28.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우리 탈것 만들 건데 우리도 몬스터 있으니까 그걸 사용해서 쉽게 캐릭터가 탈 수 있게 합시다. 이런 식으로 참고해서 가까이 가면 잡아 타는 거지…. 다 있는 기능이니까 다음달에 투입할 수 있죠?
  • 29.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이거 이 일정으로는 안될 것 같은데요. 지금은 그렇게 못해요. 캐릭터를 다른데 붙일 수 없고 그렇게 하려면 개발 비용 많이 드는데 괜찮나요? 아니면 태울 수는 있는데 이동 속도는 못 바꿔요
  • 30. 기획 의도를 모른 채 진행한다면? 일단 몬스터를 타라고 했으니까 몬스터만 타면 되겠지? 탈 것인데 속도가 그대로면 왜 타?
  • 31. 의도를 잘 모를 때는 물어보자. • 업무 지시를 할 때 의도를 같이 이야기 해 준다. • 그래도 의도를 모르겠다면 상사에게 다시 확인하자. 이 시스템이 왜 추가되나요?
  • 32.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사장님이 하고 싶대…
  • 33.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 그래도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획할 것인지 생각하자. 이걸 왜 넣고 싶었을까? 이걸 넣으면 얻는게 뭐가 있을까?
  • 34. 의도를 알 수 없는 경우에도 의도를 찾자 • 의도를 말해주지 않는다면? • 납득할 수 없는 이유라면? → 그래도 어떤 의도를 가지고 기획할 것인지 생각하자. → 그리고 확인해보자이런 의도를 가지고 개발해 보려고 합니다
  • 35. 아무리 생각해도 떠오르지 않는 경우도 있다. • 디테일만 정해서 오기도 한다 홍시 개발 요청이 와서 만들었는데 왜 홍시를 만들었냐고 물으시면 그냥 홍시를 만들어 달라고 해서 홍시를… → 퍼블리셔님께서 딱! 홍시를 원하십니다.
  • 36. 그래도 역기획서를 쓴다 생각하고 고민해보자 • (원하지 않았더라도) 결국 내가 싼 X은 내가 치우게 됨
  • 37. 의도에 따라 개발 목표가 달라지기 때문 할 것 의도 목표 커피숍 가기 너와 이야기하고 싶어 대화하기 좋은 커피숍 찾기 후식으로 단 음식이 먹고 싶어 달달한 후식을 파는 커피숍 찾기커피 마실래?
  • 38. 기획서에도 의도를 추가하자 1. 개발 이유를 설명해주는 기획 의도 • 왜 이 시스템을 개발하는지 • 이 시스템을 만들어서 얻고자 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2. 개발 방법을 설명해주는 기획 의도 • 어떤 것을 원하기 때문에 이렇게 했는지 • 이 UI는 왜 이렇게 설계했는지, 왜 귀찮게 팝업을 여러 번 띄우는지 등 → 업무 지시를 받을 때 확인 → 세부 기획 시 진행 기획 의도가 있으면 더 이해가 쉽다
  • 39. 기획서에 기획 의도가 있으면 좋은 점 • 설득의 근거가 된다. • 왜 하는지, 왜 이렇게 하는지에 대한 이유가 된다. • 기획 방향이 흔들리지 않는다. • 방법을 바꿔야 할 때 방법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방법을 찾아볼 수 있다. • 개발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 있다. • 구현 과정에서 기획 의도에 맞는 더 좋은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 40. 1-② 개발 방향 생각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41. 개발 방향 생각하기 • 어떤 방향으로 개발할 것인지 • 다음 포인트 체크하고 아래 내용을 만족하는 방향으로 진행 • 시스템을 투입하는 의도 확인 • 투입 의도 외에 추가 지시 사항 • 지시 사항에는 없지만 추가로 더 신경 쓸 것
  • 42. 개발 방향과 구현 목표 • 개발 방향 • 의도를 만족 시키기 위해 어떤 것을 신경 쓸 것인지 • 투입 의도 외의 추가적인 지시 사항을 포함하자 • 구현 목표 • 개발 방향을 만족시키기 위해 어떻게 만들 것인지 • 이 내용을 구체화하면 세부 기획 내용이 된다. → 개발 방향이 결정되면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가 나온다.
  • 43.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Case. 상사가 새로운 일일 미션을 만들라고 한다. • 퍼블리셔 측에서 최고 레벨 도달 후 이탈에 대한 해결책을 제안 • 플레이 성향에 따른 일일 미션을 만들어서 가이드를 주자고 함 • 하지만, 이미 일일 미션이 있음 • 그리고 미션 외에도 유저들은 매일 해야 할 숙제가 많아 부담되는 상황 • 기간은 몇 달 남지 않음
  • 44.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안 좋은 예 → 없어도 상관 없다.
  • 45. 기획 의도와 개발 방향, 목표 생각하기 • 아래와 같은 형태로 써 보자. → 왜 하는지 → 뭘 신경 쓸 건지 → 어떻게 개발할 건지
  • 46. 하위 단계에서도 계속 하기 • 목표 및 방향 설정은 세부 단계로 내려가도 계속 해야 함 해야 할 것 (Task) 왜 하는지 (Why?)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 47. 하위 단계에서도 계속 하기 • 목표 및 방향 설정은 세부 단계로 내려가도 계속 해야 함 해야 할 것 (Task) 왜 하는지 (Why?)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왜 하는지 (Why?) 해야 할 것 (Task) 뭘 할건지 (What?) 어떻게 할건지 (How?)
  • 48. 2-①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기 읽는 대상에 따라 기획서를 다르게 쓰자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49. 하나의 문서에 다 있으면 읽기 힘들다 30페이지 이상 폰트 사이즈 9 목차만 3페이지 이거 하나면 끝!
  • 50. 하나의 문서에 다 있으면 읽기 힘들다 • 실무자는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만 보고싶어 한다. 제가 기획서에 다 적어 뒀는데 왜 못 찾으시죠? 그래서 A는 어디에 있죠?
  • 51. 기획서를 보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A.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B.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C.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 상사에게 제안을 위한 기획서, 개발 여부 검토를 위한 기획서
  • 52.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실제 구현에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필요에 따라 테이블 구조, 데이터 속성 값, UI 동작 및 조작 프로세스, 각종 예외 처리
  • 53.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실제 구현에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필요에 따라 테이블 구조, 데이터 속성 값, UI 동작 및 조작 프로세스, 각종 예외 처리
  • 54.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처음부터 완벽하게 쓰기는 힘들다. • 다듬기 과정이 너무 오래 걸리지 않도록 • 시간이 부족하면 쪼개서 전달 할 수도 있다. → 어차피 수정해야 함
  • 55.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많이 묻는 질문 • 이거 왜 해야해요? •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해요?
  • 56. 프로그래머가 보는 기획서 • 구현 로직이나 알고리즘도 적어야 하나? • 테이블 이름은? • 자료형이나 변수는요? → NO → NO → Case by Case
  • 57.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 UI 디자인 시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UI 디자인 시 필요한 연출, UI 조작 프로세스, 디자인 컨셉, UI 구성 요소 등 • 테이블 구조나 속성 값은 제외
  • 58. UI 디자이너가 보는 기획서 • UI 디자인 시 필요한 내용을 적는다. • UI 디자인 시 필요한 연출, UI 조작 프로세스, 디자인 컨셉, UI 구성 요소 등 • 테이블 구조나 속성 값은 제외
  • 59. 기획서를 보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 더 잘 보여야하는 것 • 강조가 필요한 것 • 어떤 기능을 하고 왜 들어가는지 → 더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다
  • 60.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어떻게 기능을 제공하는지 매뉴얼 형태로 제공 • 테이블 구조나 데이터 형식 등은 필요 없다
  • 61. 퍼블리셔에게 전달하는 기획서 • 디테일한 내용을 지운 버전으로 공유 • 미리 공유해야 한다면? • 초안으로 1차 공유 후 • 개발 내용 확정 후 최종내용 전달
  • 62. 더 잘 읽히는 기획서? • 읽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 위주로 구성!
  • 63. 기획서에 공통으로 있어야 하는 것 • 기획 의도 및 제공 방향 •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 이용 흐름 → 작업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고민할 수 있음
  • 64. 공통으로 있어야 하는 것 • 기획 의도 및 제공 방향 •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설명, 이용 흐름 → 작업 과정에서 더 좋은 방법을 고민할 수 있음
  • 65. 2- ② 어떤 내용이 들어가야 할까?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66. 시스템 기획서 – 순서도 = 0? • 꼭 순서도가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순서도가 필요한 이유는 흐름을 정리하는 용도
  • 67. 시스템 기획서 – 순서도 = 0 • 문서에는 순서도가 없어도 괜찮다 • 너무 간단한 것까지 적을 필요 없음. • 오히려 잘못된 순서도는 혼란만 가중시킴 • 필요에 따라 순서도를 사용하자 • 순서도가 필요할 만큼 복잡하다면 추가 • 순서도는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것 • 흐름을 정리하는 용도의 FLOW는 필요하다. • 기획 정리를 할 때는 순서도로 흐름을 확인하면 편하다.
  • 68. 순서도의 좋은 점? • 세부 사항에 대한 흐름까지 체크 • 놓친 부분을 확인하기 좋다. • 예외처리 사항 체크가 쉽다. → 도움이 되는 도구이지만 순서도가 꼭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님
  • 69. 순서도보다 흐름에 집중하기 • 순서도도 중요하지만 다른 내용들도 중요 • 순서도를 그릴 때는 논리흐름이 잘 맞는지 확인하기 → 전체 흐름에 대한 전달이 더 중요
  • 70. 시스템 기획서에는 뭘 써야 할까? • 급하게 기획서를 가져갈 경우 많이 듣는 질문들 이거 왜 만들어요? 꼭 해야 해요? 이건 어떻게 동작해요?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하나요? →기획 의도 → 기능에 대한 디테일한 설명 → 예외처리
  • 71. 시스템 기획서에 들어가야 하는 것 • 예외처리 • 룰에서 벗어난 경우 어떻게 할 것인지 • 특별한 경우 강조하기 위한 예외처리 → 특히 프로그래머가 보게 되는 기획서! → 시간이 부족해도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예외 상황은 꼭 넣자
  • 72. 시스템 기획서에는 뭘 써야 할까? • UX를 고려한 데이터 설정 구조 • 유저를 위한 UX 고려하기 • 개발자를 위한 UX 고려하기 설계할 때 미리 고려하자
  • 73. 시스템 기획서의 필수 요소 • 기획 의도 • 기능에 대한 설명 •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내용 • 데이터 설정 방식에 대한 내용 시스템 기획서는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고, 방향에 맞는 결과물을 만들 수 있게 설명하는 도구 → 읽는 대상에 따라
  • 74. 2-② 어떤 문서 도구로 쓸까? Word? PowerPoint? Excel? 어떤 것이 좋을까?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75. 보는 사람이 읽기 좋은 포맷이 좋다 • 기획서의 목적은 잘 전달하는 것 •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 사용 • 팀마다 정해진 양식이 있는 경우도 있으나, Office 를 제한하지는 않음
  • 76.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남기도 한다. • 바쁠 경우 Redmine과 같은 BTS, E-mail 등으로 대체할 때도 있다. → 단, 이 경우 나중에 찾기 힘들 수 있다.
  • 77.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포맷 선택 • UI가 많다면 Power Point로, 테이블이 많다면 Excel 등 • 말하고자 하는 내용을 잘 표현할 수 있는 포맷 선택 Word PowerPoint Excel Redmine
  • 78. 문서 작성하기 • 대상에 따라 다르게 쓰자 • 양식보다는 필요한 내용 위주로 쓰자 • 문서를 보고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 흐름은 필요하지만 꼭 순서도일 필요는 없다 • 기획 의도는 항상 중요하다
  • 79. 3-① 퇴고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80. 기획서 공유 전에 읽고 고치기 • 당연하고 모두 아는 이야기지만 지키기 어려움 • 바쁘고 정신 없으면 지키기 힘들다 • 공유 전에 기획 의도와 방향에 맞는지 잘 살펴보자 • 기획서를 쓰다 보면 산으로 가는 경우가 있다.
  • 81. 3-② 개발 진행 중 수정 사항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82. 개발 진행 시 수정 사항이 생긴다. • 완벽한 기획서는 없다. •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는 방법을 다양하게 고민해 보아야 함 • 기획서 작성 후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 개발 회의에서 변경되는 경우 • 작업 도중 예상치 못한 이슈로 변경되는 경우 • 변경되더라도 기획 의도는 만족시켜야 한다. • 기획 의도가 시스템을 개발하는 목적
  • 83. 3-③ 최신 버전 유지하기 시스템 기획서 잘 쓰는 법 1. 생 각 하 고 2. 쓰 고 3. 고 치 자
  • 84. 개발 진행 시 변경 사항 반영하기 • 기획서 작성 후 내용이나 방향이 변경될 수 있음 • 개발 회의에서 변경되는 경우 • 작업 도중 예상치 못한 이슈로 변경되는 경우 • 변경되더라도 기획 의도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변경되어야 함. • 변경된 기획 내용을 반영하기
  • 85. 기획서는 항상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자 • 다 알고 있지만 생각만큼 잘 안된다. • 막상 업데이트 후 정리할 시간 부족 • 나중으로 미루다가 쌓여서 손대지 못하는 상황이 온다. • 히스토리 파악 및 인수인계가 힘들다. • 어떤 문서가 최신인지 알기 힘들다 • 구전으로 내려오는 내용이 많을수록 인수인계가 힘들다.
  • 87. 기획서를 잘 쓰기 위한 팁 1. 생각하기 • 기획 의도는 정말 중요하다 2. 쓰기 • 정해진 양식은 없음 읽는 대상에게 필요한 내용을 쓰자 3. 고치기 • 작성 후 내용을 검토하고 최신 버전을 유지하자
  • 88. 기획서에 정답은 없다. • 팀마다 다르고, 상황에 따라 다르다 • 내용 전달을 위한 도구 • 가장 전달을 잘 할 수 있는 형태로 쓰자

Notas do Editor

  1. 일반적으로 시스템 기획이라고 하면 뼈대를 만든다고 많이 얘기 하고요 게임의 규칙을 정의하는 걸 시스템 기획이라고 합니다. 반면에 콘텐츠 기획은 살을 붙인다고 해요. 이미 만들어진 기능들을 사용해서 다양한 즐길 거리들을 제작한다고 해요
  2. 이렇게 기획 의도는 결국 이걸 왜 할까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클릭하면서) 기능 개발 이야기를 해 보자면,
  3. 첫번째로 이야기 한 기획 의도 생각하기에 이어 다음으로 생각해야 하는 내용은 개발 방향입니다.
  4. 어떻게 할건지가 나오면, 다시 해야할 것, 그리고 뭘할건지와 어떻게 할건지 이런 식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결국 그 상위 단계에서 뭘 할건지에 따라서 하위 단계에서 왜 하는지가 나오는데요. 이때 이 단계의 왜 하는지는 여전히 상위 단계의 왜 하는지를 가리키고 있어야 합니다. (물마시기)
  5. 테이블 이름 같은 경우는 기획자도 같이 보는 영역이라서 기획자가 보고 이해하기 쉬운 이름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코드 내의 변수를 뭘 쓴다거나 변수 이름까지 정해줄 필요는 없습니다. 데이터 자료형같은 경우에도, 꼭 자료형을 알아야 한다기 보다는 여기에서는 양수를 쓸 거고 어느정도 범위까지 필요해요 이런 정보들이 필요합니다. 그럼 알아서 구현할 때 거기에 맞는 자료형을 써 줍니다. (물마시기) (프로그래머용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