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 slideshow foi denunciado.
Seu SlideShare está sendo baixado. ×

발표과제.pptx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Anúncio
Carregando em…3
×

Confira estes a seguir

1 de 14 Anúncio

Mais Conteúdo rRelacionado

Semelhante a 발표과제.pptx (20)

Mais recentes (20)

Anúncio

발표과제.pptx

  1. 1. 칼 로저스 : 모든 인간은 건강하고 창조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다. 인간중심 상담이론 1조
  2. 2. 1) 자기실현 경향성 동기 + 자신을 유지한채 잠재력을 건설적인 방향으로 성취 있는 그대로의 나: 자기수용, 자기존중
  3. 3. 2) 충분히 기능하는 인간 경험을 의미화 하려는 욕구 타인에게 존중을 받으려는 욕구 자기존중의 욕구 모두 충족
  4. 4. 3) 유기체적 경험 사상,행동 신체 등이 유기체처럼 매순간 변화하고 진화되는 성장의 흐름이 내제 되어 있다. 경험 현상적 장: 이러한 경험의 세계를 개인이 지각하는 것
  5. 5. 4) 자기와 자아개념 자기: 개인이 자신에 대해 지닌 인식 개인이 지닌 특성과 역량에 대한 지각 + 타인과 관련된 지각과 개념, 자신이 되고 싶은 것 ( 개인의 잠재력 ) ( 이상 ) ( 남이 바라보는 나 ) 자아 개념
  6. 6. 자기와 경험의 불일치 개인이 자신의 경험을 무시하거나 왜곡하면 자기구조로 통합을 못하면 부적응 발생 5) 유기체 가치화 과정 (이상)과 (현실)의 간극 : 자신의 경험이 자기 실현 경향성을 충족 여부에 따라 경험 자기 긍정적 가치 와 부정적 가치가 결정이 됨
  7. 7. ※ 주의할 점 자기개념이 생기면 타인에게 존중을 받으려는 욕구가 생기는데 이때 인정과 칭찬을 받으려 노력하면 자기를 잃는다. 6)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개인이 자신의 모든 경험을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을 받으면 스스로를 수용하며 자기 구조로 통합할 수 있다. 예시) 공부해서 30점 받았지만 열심히 했다고 존중 받은 아이
  8. 8. 상담기법으로서 갖추어야 할 세가지 일치성: 상담자 자신이 직업적 모습을 내려놓고 진정한 자기 자신 되기 (진실성과 진솔성) 예시) 내담자와의 경험이 일치할 때 자신의 생각을 인정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상담자의 태도를 판단하지 않으며 신뢰하고 수용해준다. (수용과 양육) 예시) 내담자에게 있는 그대로의 나를 지지해준다. 정확한 공감적 이해: 상대방이 지각하고 있는 세계에 들어가서 그가 경험한 감정, 감정의 변화에 매순간 민감하게 반응한다. (공유)
  9. 9. 1수준 2수준 3수준 4수준 5수준 일치성 x 정확한 공감적 이해 o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o 감정을 읽지 못하고 자기 이야기만을 늘어놓는 일그러진 이해 상대방의 문제를 인식하기는 하나 감정적인 공감은 아직 못한 이해 정확하게 상대방의 감정과 동일한 감정을 경험하는 이해 표면화 된 상대방의 감정을 읽을 뿐만 아니라 드러나지 않은 내면의 감정까지 읽는 공감 상대방의 감정 뿐만 아니라 드러나지 않은 자아성장의 욕구까지 읽는 공감
  10. 10. 긍정적인 것을 강조 해결중심 이론 1조
  11. 11. 기본 원리 문제해결에 중점을 둔다. 효과가 없다면 다른 것을 시도 병리적인 것 < 건강적인 것에 초점 내담자의 강점, 자원, 증상까지도 발견해서 치료 탈이론적이고 비규범적이고 견해를 존중한다. 간단하고 단순한 방법을 일차적으로 사용한다. 현재에 초점을 두고 미래지향적이다. 협력관계를 중요시한다. 문제 분석을 피한다. 효율적으로 개입한다. 현재와 미래에 초점 통찰 보다는 행동에 초점
  12. 12. 예외 질문 문제해결 동기 기적 질문 만약 ~ 라면 대처 질문 약간의 성공경험 척도 질문 스스로 자기 평가 https://www.donga.com/news/Sports/article/all/20150526/71457608/4
  13. 13. 내담자의 관심사를 찾아라 조언, 가르치기, 설교의 유혹에서 벗어나기 음주, 자살시도, 약물복용 청소년들이 다른 방식으로는 표현하지 못하는 것을 성취 그럴만한 이유 -> 교제하기 위해서, 편안해지려고, 친구를 사귀려고 ,인기를 얻기 위해서, 강해지고 싶어서 -> 긍정적인 동기 부여 -> 새로운 것을 알아차리고 질문 형태 언급 -> 자신의 힘과 자원에 주의 -> 작은 가능성, 적은 성공을 발견, 발굴 강조 -> 목표에 대처 합의 하기 위해 의견을 묻기 -> 목표를 정확히 이해하자
  14. 14. 상담 목표 설정 관계 형성 해결책으로 이끌기 해결 중심적 개입 목표 유지 1) 2) 3) 5) 4) 문제해결 중심 상담의 과정 (Kral 19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