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uma empresa Scribd logo
1 de 123
Baixar para ler offline
디브러리 총서 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목 차

         1
      제 장 서론                           제 5 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0             1. 포털 서비스 기능 분석 | 130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2              2. 이용자 설문조사 | 140
      3. 연구의 진행 방법 | 13                3.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 152
      4. 연구의 제한점 | 13



                                       제 6 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제 2 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요 | 156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 16              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
      2. 포털의 구성요소 | 17                 3. NDL 포털 모형 아키텍처 | 162
      3. 포털 이용자 정보과정 | 18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27


                                       제 7 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제 3 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NDL 포털 서비스 개요 | 168
                                       2. NDL 포털 검색 서비스 | 171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 30               3. NDL 포털 참여 서비스 | 194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 43   4. NDL 포털 활용 서비스 | 210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 50    5. NDL 포털 연계 서비스 | 214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 74      6. NDL 하위포털 서비스 | 221
                                       7. NDL 포털 향후 추진과제 | 226



      제 4 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제 8 장 결론 및 제언
      1. 일반 포털의 개요 | 82
      2. 일반 포털의 모형 및 사례 분석 | 95        [참 고 문 헌] 233
      3. 일반 포털 분석 종합 및 시사점 | 124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표 목차                                              그림 목차

   [표 Ⅳ-1] 포털 서비스의 구성요소                 | 86    [그림 Ⅱ-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
   [표 Ⅳ-2] 국내 포털의 웹2.0 서비스              | 91    [그림 Ⅱ-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
   [표 Ⅳ-3] 도메인별 웹사이트 순위                 | 126   [그림 Ⅱ-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검색                  | 23
   [표 Ⅴ-1] 포털 서비스 검색 기능 순위              | 132   [그림 Ⅱ-4]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열람                  | 24
   [표 Ⅴ-2]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검색 기능 비교        | 133   [그림 Ⅱ-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참여                  | 25
   [표 Ⅴ-3] 포털 서비스 열람 기능 순위              | 134   [그림 Ⅱ-6]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이용                  | 26
   [표 Ⅴ-4]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열람 기능 비교        | 135   [그림 Ⅲ-1]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                        | 38
   [표 Ⅴ-5] 포털 서비스 참여 기능 순위              | 136   [그림 Ⅲ-2] JISC 포털 명세                          | 57
   [표 Ⅴ-6]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참여 기능 비교        | 137   [그림 Ⅲ-3] JISC 포털 명세 - 시작                     | 57
   [표 Ⅴ-7] 포털 서비스 이용 기능 순위              | 138   [그림 Ⅲ-4] JISC 포털 명세 - 조사 및 발견                | 59
   [표 Ⅴ-8]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이용 기능 비교        | 139   [그림 Ⅲ-5] JISC 포털 명세 - 상세                     | 59
   [표 Ⅴ-9]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141   [그림 Ⅲ-6] JISC 포털 명세 - 레코드의 이용                | 60
   [표 Ⅴ-10]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             | 143   [그림 Ⅲ-7] JISC 포털 명세 - 원문의 요청과 접근             | 60
   [표 Ⅴ-11] NDL 포털의 서비스 성격 및 방향         | 144   [그림 Ⅲ-8] JISC 포털 명세 - 자원의 이용                 | 61
   [표 Ⅴ-12] NDL 포털 검색방법                 | 144   [그림 Ⅲ-9] Edward Lim의 포털 모형                   | 75
   [표 Ⅴ-13] NDL 포털 검색요청 자료              | 145   [그림 Ⅲ-10] JISC의 포털 모형                        | 76
   [표 Ⅴ-14] NDL 포털 검색결과                 | 145   [그림 Ⅲ-11] Maloney & Bracke의 포털 모형            | 78
   [표 Ⅴ-15] NDL 포털 검색 부가기능              | 146   [그림 Ⅲ-12] 이수상의 포털 모형                         | 79
   [표 Ⅴ-16] NDL 포털 참여서비스                | 146   [그림 Ⅳ-1] 포털 상위권 집중화                          | 84
   [표 Ⅴ-17] NDL 포털 카페/커뮤니티 이용목적         | 147   [그림 Ⅳ-2] 포털 주요 섹션별 시장점유율 비교                  | 87
   [표 Ⅴ-18] NDL 포털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목적        | 147   [그림 Ⅳ-3] 웹2.0 인터넷생태계                         | 90
   [표 Ⅴ-19] NDL 포털 제공콘텐츠 유형             | 148   [그림 Ⅳ-4] 웹2.0 관련 기술                          | 93
   [표 Ⅴ-20] NDL 포털 콘텐츠 제작/공유 혜택         | 149   [그림 Ⅳ-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125
   [표 Ⅴ-21] NDL 포털 연계기관의 자료 열람 시 중요사항   | 149   [그림 Ⅵ-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방향                  | 157
   [표 Ⅴ-22] NDL 포털의 개인공간 기능             | 150   [그림 Ⅵ-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
   [표 Ⅴ-23] NDL 포털 온라인 교육내용             | 150   [그림 Ⅵ-3] NDL 포털 모형                           | 162
   [표 Ⅴ-24] NDL 포털 홍보방안                 | 151   [그림 Ⅶ-1] NDL 포털 서비스 방향                       | 168
                                                [그림 Ⅶ-2] NDL 포털 서비스 구성도                      | 170
                                                [그림 Ⅶ-3] NDL 포털 주요 검색서비스                     | 173
                                                [그림 Ⅶ-4] NDL 포털 주요 참여서비스                     | 195
                                                [그림 Ⅶ-5] NDL 포털 주요 활용서비스                     | 210
                                                [그림 Ⅶ-6] NDL 포털 주요 연계서비스                     | 216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총서 발간사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 "국립디지털도서관
                  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델    운영 시범사업"을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고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합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으로 편찬될 것이며,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되어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
                                                      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고 있습니다.                             한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는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6                                                                                              총서 발간사        7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의 진행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1장         서론                                         이용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 본연의 사명인 이용
                                                            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을 통한 자관의 소장정보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모든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선택의 여지
                                                            가 있다면 정보 제공처가 어디든 상관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
                                                            은 당연할 것이다. 현재 건립중인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지식정보의 제공이라는 기존의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하는 일반포털의 장점을 최대한 반영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수 있는 환경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국립디지털도서관(NDL; The National Digital Library)은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오늘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면서
                                                            모든 계층의 이용자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NDL 포털 서비스' 체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제공, 검색 및 활용은 우리의 일상생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제 구축을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왔다. 'NDL 포털' 다양한 지적 배경과 정보요구를 가진 이용
     부응하여 도서관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제공기관들은 보다 편리한 환경 하에서 이용자들이 정보
                                                            자들을 위하여 존재함을 전제할 때 무엇보다 정보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심도 깊
     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는 물론 이용자 친화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경쟁
                                                            은 이해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적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보다 성공적인 'NDL 포털' 구축되기 위해서는 첫째,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과거 찾아오는 고객들에 대한 정보서비스에 초점을 맞추던 기존의 도서관들도 유사 정보제공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플랫폼을 구현하여야 하고, 둘째,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기관들의 등장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살아남기 위하여 정보기술의 신속한 도입을 통하여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하
     이용자들에게 찾아가는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들의 이러한 노력은 자관 소장
                                                            고, 셋째,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정보자원의 디지털화를 통한 서비스는 물론 타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자료 또한 연계하여 방문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 리터
     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한 곳에서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정보서비스,
                                                            러시 및 정보 레퍼런스 교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취약계층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즉 포털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대규모 장서, 다양한 정보서비스, 각종
      그러나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포털 형태의 정보서비스 기관들은 지식정보의 체계적 관리
                                                            첨단정보기술로 구성되는 정보시스템인 'NDL 포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잠재 이용자
     및 효율적인 서비스라는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하고 일반 포털과 혼재되는 양상을 보
                                                            의 정보요구 및 이용형태를 예측함으로써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
     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일반 포털들은 정보기술의 우위를 바탕으로 인쇄매체 기반의 지
                                                            고,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식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도서관들과 비교하여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멀티미디
     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정보 제공처로서 도서관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도서관을 둘러싼
     복잡한 주변 환경은 도서관들로 하여금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의 역할을 재점검함으로써




10                                                                                                             제1장 서론         1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연계 서비스
                                                                   -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글로벌 지식정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양질의 정보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                 보 유통체제의 구축을 위한 연계서비스 방안의 도출

     하기 위하여 NDL 포털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구조화하고 개념화하는 작업을 선행함으로써 성공           ● 활용 서비스

     적인 NDL 포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        -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서비스 내용 및 범위의 강화, 정보취약 계층의 정보이용

     용은 다음과 같다.                                                        지원, 그리고 오프라인 공간인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의 상호보완을 위한 다양
                                                                       한 활용 방안 제안

      | 이용자 정보요구에 기반한 이용자별 이용목적 및 정보탐색 유형도출 |
         ● 이용자의 포털 이용 목적 분석
         ● 포털에 대한 이용자 기대치 분석                                  3. 연구의 진행 방법
         ● 이용자들의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 형태 분석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 유용성,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NDL 포털의 구현을

      | NDL 포털사이트 모형 조사 및 연구 |                                위한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 국내외 유사 포털 서비스 사례를 조사, 분석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NDL 포털을 개념화하기 위한 아키텍처 개발                    ● 문헌조사를 통한 포털 서비스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한 정의 도출

         ● 유형화를 통한 NDL 포털의 개념적 모형 개발                              ●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이용 실태 파악
                                                                  ● 포털에 포함되어야 할 기능 명세를 위하여 일반 종합포털, 지식정보포털, 대학포

      | 이용자별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                                털, 도서관포털, 그리고 웹 2.0 서비스 등 33개 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

         ●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NDL 포털 모형                    ● 대표적 포털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을 통하여 검색, 참여, 연계, 활용 등 NDL

         ● 활용성과 편리성을 보장하며, 적응성이 높은 시스템 모형 구현                           포털의 4가지 기본 기능의 명세 작성
                                                                  ● 33개 사이트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NDL 포털에 적합한 기본 기능별 서

      | NDL 포털사이트의 기능별 서비스 방안 도출 |                                     비스 방안의 작성

         ● NDL 포털은 검색, 참여, 연계, 그리고 활용 서비스로 구성
         ● 검색 서비스
          - NDL 포털의 핵심적인 정보서비스로 NDL에서 통합관리 하는 디지털 장서를 기       4. 연구의 제한점
           반으로 각종 검색 기능을 제공
         ● 참여 서비스                                              본 연구는 NDL 포털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정보 접근 형태의 분석

          - 공지서비스, 지식서비스 등 NDL 포털을 통해 이용자의 참여와 커뮤니케이션이        과 다양한 사이트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 기능을 제공                                 지고 있다.



12                                                                                                           제1장 서론   13
● 전문 포털이나 일반 포털과는 달리 NDL의 성격상 대상 이용자 (target user: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정 집단의 이용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포털로 가능한 다양
          한 기능을 모두 포함시켜야 하는 시스템으로 특정성에 한계를 가질 수도 있다.


         ● 국가 차원에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NDL 포털의 경우 세계적으
           로도 성공사례나 표적 대상 도서관이나 포털이 존재하지 않아 민간포털, 대학포
                                                                               제2장
           털, 지식정보포털 등 유사 형태의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NDL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최적화하였다. 따라서 NDL 포털 모형은 전통적 기능 중심의
           도서관개념에 반드시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포털과 정보 서비스
         ● NDL 포털은 국가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정보 서비스 정책과 독립적으로 개발, 운
           영될 수 없는 것이나 현재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서 서비스 정책이 충분
           히 반영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이나 예상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NDL 포털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나 이용형태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기반하여 품질 좋은 콘텐츠의 제공, 콘텐츠에 대한 검색
     및 접근 용이성, 그리고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 및 효율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서비
     스 시스템이 될 것이다.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2. 포털의 구성요소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14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2장            포털과정보서비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에서는 검색 서비스를 이용자가 필요로 할 때, 데이터베이스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포털 서비스가 차별화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정의하였다. 이는 각 포털 서비스 기업들이 다양한 정보들이 산재한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들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밖에도 포털사이트에서는 전자우편 서비스, 커
                                                              뮤니티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포털의 구성요소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 포털 서비스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는 콘텐츠(Content), 커뮤니티(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임
       ● 포털(Portal)은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
        텐츠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             일반포털 및 도서관포털이 핵심 요소로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의미함                                    음과 같다.
       ●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의 2006년도 데이터베이스 산업 동향 분석 사업 '포털사이트
        비스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 역할을 수행함                          시장 분석'에서는 포털 서비스의 내용을 4C, 다시 말해, 콘텐츠 (Content),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로 정리하고, 4C는 포털 서
      세계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
                                                              비스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요건으로 각 포털들은 웹사이트에서 4C를 대표하는 서비스들을
     면서 인터넷을 이용해 단순 정보검색 외에 이메일, 커뮤니티, 인터넷뱅킹, 뉴스, 엔터테인먼트 등
                                                              구축하고 있다고 하였다.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포털(Portal)은 인터넷의 발전과정에서 인터넷
                                                               김성언(2004)은 포털사업의 핵심요소를 콘텐츠,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상거래 및 고객화로
     서비스의 한 유형으로서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텐츠
                                                              보고 이 요소들의 세부요인들이 특정 포털 사이트로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들의 우선순위를 보여주었다. 포털 사이트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트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
                                                              로는 콘텐츠 검색 및 접근용이성, 커뮤니티 활성화 수준, 제품/서비스 판매 및 콘텐츠 내용의 충
     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실도 등으로 분석하였다.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역할은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라 할 수 있다. 포털사이트는 사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로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와 콘텐츠 표현의
     이트 내에서 뉴스, 날씨, 증권, 주식거래, 전화번호, 지도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개인화, 강력한 교차검색 기능을 중요하게 보았다.
     제공할 뿐 아니라, 타 사이트 정보의 중개를 통해 전문정보 제공까지 포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각 포털서비스 기업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지속
     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16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7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37.1%)’, ‘일상생활 정보 습득(36.2%)’ 등을 위해 이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40.0%가 본인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이며, 유형별로는 ‘미니홈피’ 운영이 23.7%, ‘블로그’

      가. 인터넷 이용형태 분석                                                       12.4%, ‘블로그 및 미니홈피 모두’ 3.9%로 나타났다. 여성(42.1%)의 블로그·미니홈피 운영률이 남
                                                                           성(38.2%)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8.2%로 가장 높고, 6-19세 45.9%, 30대
                                                                           38.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의 과반수가 ‘친교·교제(66.3%)’, ‘일상생활
       ● 우리나라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은 75.5%, 인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
                                                                           에 대한 기록(58.1%)’, ‘취미·여가활동 또는 개인적 관심사 공유(56.9%)’를 위해 블로그·미니홈피를
         명임(2007년 6월 현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최근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
         보편화되고,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가 급속히 증가함
                                                                           진흥원(2006)이 2006년 5월에 만 12세~49세 인터넷 이용자 2,4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2.0
       ●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 제작 콘
                                                                           시대의 네티즌 인터넷 이용 현황’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90.9%는 카페/커뮤니티,
         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
                                                                           블로그/미니홈피, 댓글달기, 퍼나르기(펌) 등의 이용자 참여수단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에서 실시한 ‘2007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에 따르면, 2007년 6월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도 21.2%에 달했다. 이 중 카

     현재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은 75.5%이며, 인               페/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경우가 77.8%로 가장 높고, 52.4%는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를 운영

     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명으로 추정된다고 보았다. 이는 2006년 6월 대비 인터넷이용률은                 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게시된 글, 뉴스를 퍼나르기 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62.0%, 인터넷 게시

     73.5%에서 2.0%p, 이용자수는 33,580천명에서 850천명이 증가한 수치다.                       물, 뉴스 등에 댓글을 다는 경우가 45.6%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의 이용목적으로는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80% 이상)이 ‘자료 및 정보 습득                     이용자들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면,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취미·관심사 공유

     (88.7%)’, ‘음악, 게임, 영화 등 여가활동(86.0%)’ 및 ‘이메일,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84.7%)’을 위   (32.5%)’와 ‘친교·교제(29.6%)’를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페/커뮤니티 이용자의 79.9%는

     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커뮤니티 이용시 ‘타인의 글에 댓글을 달아주고’, ‘직접 쓴 글이나 스크랩한 글을 올리고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쇼핑(49.9%)’, ‘교육·학습(46.9%)’, ‘블로그·미니홈피 등 개인홈페이지          (66.6%)’있으며, ‘일반 검색보다 카페/커뮤니티의 정보가 더 유용하다고 느끼고(77%)’, ‘습관적으

     (41.8%)’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이었다.                                       로 카페/커뮤니티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을 살펴보면, 인터넷 이용자의 39.9%는 ‘최근 1년 이내’에 본인이 가입한                이용자들의 콘텐츠 생산 및 소비 경험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43.2%는 본인이 직접 제작한

     카페·커뮤니티를 이용(카페·커뮤니티 이용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1개월 이내’에 이용한 경               글, 그림, 동영상 등의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를 인터넷에 게시한 경험이 있는

     우도 29.4%로 조사되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은 성별(남성 40.2%, 여성 39.6%)에 따른 차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76.2%는 다른 이용자가 제작한 콘텐츠(UCC)를 이용해 본

     가 크지 않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7.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43.3%), 6-19세(36.3%)      경험이 있으며, 이 가운데 35.6%가 하루 1번 이상 이용한다고 응답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사용

     등의 순이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카페·커뮤니티 개수는 평균 2.2개                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며, ‘1개 이하’의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경우가 44.2%로 가장 많고, ‘3개 이상’ 이용하는 경            이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는 주로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58.6%)에 게시하고 있으며,

     우도 25.8%로 나타났다.                                                       그 외에 ’본인이 활동하는 카페/커뮤니티(24.3%), 타인의 블로그/미니홈피(8.2%) 등의 순으로 나

      카페·커뮤니티 이용 목적은 주로 ‘친교·교제(73.6%)’ 및 ‘취미·여가(67.5%)’를 위해 카페·커뮤니티        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업무·학업 관련 정보 습득(45.9%)’, ‘개인적 관심사 공유             자 제작 콘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9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콘텐츠 제작의 유형을 살펴보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주로 ‘개인의 일상                   나.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적인 일(45.9%)’, ‘취미, 여가 등 개인의 관심분야(22.7%), 전문분야의 정보, 지식(14.8%) 등에 관
                                                                              ●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
     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작한 콘텐츠의 형태는 주로 사진·이미지가 91.0%로
                                                                                용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
     가장 많고, 다음으로 텍스트형 글(85.0%), 동영상(30.4%), 음악(2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
      랭키닷컴(www.rankey.com)에서 2007년 8월, 국내 네티즌의 웹서핑 활용도를 조사한 바에
                                                                              ●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행위의 패턴
     따르면 한 달간 여성 네티즌의 1인당 평균 페이지뷰는 지난해 2,945페이지보다 약 9% 증가한
                                                                                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함
     3,233페이지였으며, 한 달 평균 15개 사이트를 방문, 1인당 평균 20시간 18분 이상 인터넷을 이
                                                                               ●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2,910페이지뷰로 17개 사이트를 방문하였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함
     으며 1인당 18시간 11분가량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이용 현황 외에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곽병                       국립중앙디지털도서관에서는 미래의 정보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
     희(2004)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탐색과정의 모델로 Meho & Tibbo가 제안한 탐색, 처리, 접근,              기 위하여 정보 환경변화의 여러 가능성들을 정리한 다음, 각 환경에서 이용자들의 정보와 관련
     종결 등 서로 관련 있는 4개의 단계로 그룹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김성진(2006)은 ‘웹 이용자의                 된 행위를 예측하고 방문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반영한 이용자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연구’에서 이용자의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starting), 검색하기                     중심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searching), 결과보기/둘러보기(viewing/browsing), 조사하기/비교하기(examining/com-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출
     paring), 정보발견/종합하기(finding/compiling), 결정하기/행동하기(deciding/acting), 종료   된 이용자 시나리오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exiting)의 7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별로 매우 다양한 행위 패턴을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형태 및 정보이용형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
     보였으며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되면서 웹 정보탐색행위의 다방향적이                       중심의 정보서비스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용자를 다양한 유형(성별, 연령, 주제 등)으로
     고 비선형특징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분류하여 각각의 이용자 유형별 요구사항을 관찰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반영하고
      이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목적과 정보욕구를 가지고 인터넷을 활용하고 하나의 포털 사이트에                       자 하였다. 셋째, 최근 변화된 유무형의 IT 환경 및 정보서비스 기술을 파악하여 디지털도서관의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탐색과정을 거쳐 접속을 종료하기까지 나타나는 정보탐색 행위는 단계적으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지며 반복 순환되기도 하고, 이용자 개                      그러므로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용
     별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할 것이다.                                              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정
      따라서 향후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 및 이용                     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중심적인 NDL 포털 모형
     형태를 예측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사용성과 유                      을 개발하고 포털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용성이 높은 이용자 중심적인 NDL 포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용자의 속성에 대한 가정 |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미래의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였다.
                                                                               ① 이용자는 성별, 연령, 지적수준, 도구이용능력 등 분류 가능한 어떤 속성을 갖고 있다.



20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② 이용자는 정보 및 IT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경험하거나 인지하고             작성된 이용자 시나리오를 종합하면,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 예약’에서 ‘이

         있다.                                                        용’까지로, 포털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접속’에서 ‘참여’까지로 정보탐색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③ 이용자는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직접적 또는 잠재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전제조건 및 가정에 의해 세부적으로 기술된 이용자 시나리오의 유
        요구하고 있다.                                                    스케이스 내용을 토대로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
                                                                    행위의 패턴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
      |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에 대한 가정 |                                        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NDL 포털 모형 및 정보서비
      NDL의 계획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은 이           스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이용자의 자료이용 행위에 관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참조모델이다.                                            1) 검색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검색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①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DL IC
      정보욕구      조사
                             방문예약
                                        가이드          이용        열람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 Ⅱ-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NDL 포털                                      컨텐츠
                                                                     정보욕구                 검색       간략정보열람      로그인                종료
                                                                                접속                                       상세열람

       ②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그림 Ⅱ-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검색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검색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한다. 이용자의 정보추구 행위는 검색과정을 통해 결과를 얻어, 콘텐
                                                                    츠에 대한 간략정보를 열람하게 된다. 콘텐츠에 대한 상세 열람을 위해서는 NDL 포털에 대한 회
                                                          열람
                                                                    원 로그인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검색과 열람의 단계는 일련의 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
                                      NDL 포털
         정보욕구           조사
                                      (방문) 접속
                                                                    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검색행위와 함께 간략정보 열람 및 상세정보 열람의 행위를

                                                          참여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검색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통합검색, 상세검색, 원문검색, 색인검색, 목차검색, 분류별검색, 가나다검색, ISBN/ISSN,
                                                          이용
                                                                    학술지검색, 전자저널검색, WEB DB 검색, CD-ROM검색, 동영상검색, e-BOOK 검색, 이미지
                                                                    검색, 지식검색, RSS 검색, 게시판검색, 블로그검색, 카페검색, UCC검색, 분산검색, 도서위치검
                          [그림 Ⅱ-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색, 온톨로지검색, 디렉토리검색, 휴대폰검색, PDA 검색, 검색히스토리, 검색포켓, 검색어자동



22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3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완성, 인기검색어’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3) 참여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참여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2) 열람 단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NDL 포털 열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 정보탐색행위 패턴 |
                                                                       정보      NDL 포털                        서비스        글 작성
                                                                                         로그인      참여서비스                          종료
                                                                       욕구        접속                          가입         및 등록
                                                                                                  메뉴로 이동


      정보     NDL 포털          목록정보      상세정보            콘텐츠
                      검색                         로그인           종료
      욕구       접속             열람        열람              열람                                                   개설 및
                                                                                         검색
                                                                                                              설치


                                                                                        [그림 Ⅱ-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참여

                       [그림 Ⅱ-4]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열람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참여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참여서비스의 이용은 NDL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검색과정을 수행한다. 검색의 결과로 나타난 정보는 목록정보 열            포털에 접속하여 즉시 이루어지기도 하고, 검색을 통해 특정 메뉴나 콘텐츠로 이동하기도 한다.
     람, 상세정보 열람과정을 거치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원본 콘텐츠는 로그인 후 열람하게             참여서비스의 열람은 공개된 콘텐츠에 한해 로그인 없이도 열람이 가능하다. 이용자가 직접 참여
     된다.                                                              하여 글을 등록하고자 할 때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프로그램을 개설 및 설치한 후 참여활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열람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동이 이루어진다. 참여서비스는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정보 획득 및 공유를
     형을 ‘내 자료실(열람정보), 서평(책에 대한 의견 열람), 네티즌리뷰(댓글열람), 목록, 목차, 초록,       위해 이용행위의 순환 및 반복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주제어(태그), 저자소개, 논문, 단행본, 학위논문, 저널/기사/학회지, 연구보고서, 문서(전문자료),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고서, 고전, 신문(뉴스), 관보, 귀중본, 외국어자료, 세미나자료, e-BOOK, e-Journal, 분석/동   형을 ‘블로그, 메타블로그 (외부 블로그 포털), 카페, 소셜북마킹, 메신저/화상대화/음성대화, 토
     향, 특허, 통계, 인력, 원문미리보기, 사전, 웹사이트, 블로그, 카페(커뮤니티, 포럼), 지식, 게시       론방, 포럼, 지식 서비스, 위키 공동저작, 온라인 서재, 책 서평, 이용자 평점, 온라인 설문조사,
     판, 메일링리스트, 자료실, 지역정보, 영화정보(예매하기, DVD구매), DVD정보, 공연정보, 콘텐         자유게시판, 참고정보 질의, RSS, Podcast, 모바일RSS, 맞춤정보서비스 (메일링서비스), 동영상
     츠정보, 부동산, 외부 DB, 모바일열람, 멀티미디어 열람(이미지), 멀티미디어 열람(동영상), 멀티         공유, 이미지 공유, 문서 공유, 오픈 API, 개인 맞춤포털 서비스(위젯)’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미디어 열람(음악), 취업/교육/행사정보, 웹진/매거진, 지도 열람, 읽은 책 저장, 저작권정보, 원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문복사서비스, 상호대차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
     하였다.                                                              4) 이용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



24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5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보면 다음과 같다.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정보탐색행위 패턴 |
                                                                             ● 내용 및 범위에 따라 종합포털과 전문포털로 구분함
                                                                             ●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라 일반민간포털과 공공포털로 구분함
      정보      NDL 포털
                              회원가입   로그인     브라우징
                                                        검색/열람/참여
                                                                   종료        ●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구분함
      욕구        접속                                       서비스 이용
                                                                             ● 서비스 매체에 따라 구분함

                       가입안내                         개설 및                     ●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
                        조회                           설치
                                                                              반포털로 나누어 조사 분석을 실시함

                                                     서비스                 포털의 유형은 서비스 내용이나 범위에 따라,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특징적인
                                                    예약/신청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림 Ⅱ-6]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이용
                                                                         첫째, 내용 및 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포털은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의 범위와 깊이에 따라 다양
                                                                        한 주제의 정보를 망라하는 종합 포털과 학술정보, 지리정보, 의학정보, 통계정보 등 특정 주제의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포털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용 단계 정보탐색행위 패턴은
                                                                        민간(일반) 포털, 공공포털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대학포털, 도서관포털, 기업포털 등으로 세분
     회원가입을 위한 가입안내 및 조회 및 가입절차로 이루어지며, 검색/열람/참여 서비스를 원활히
                                                                        될 수 있다. 셋째,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검색포털, 커뮤니티포털, 동영상포털, 상거래포
     이용할 수 있게하기 위한 이용안내의 조회, 각종 서비스 예약/신청 과정이 브라우징과 함께 반복
                                                                        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서비스 매체에 따라 TV 포털이나 모바일 포털 등으로 나눌 수 있
     적이고 순환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한편, 도서관 포털은 맞춤형 e-자원 포털, 통합된 웹서비스 포털, 포털의 특징을 포함하는 메타
     형을 ‘회원가입, 로그인, 홍보 동영상 보기, 도서관 소개, 보도 자료, 저작권 관련 안내, 이용안내,
                                                                        검색 시스템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볼 수 있다.
     온라인 이용교육, FAQ, 사이트맵, 관련 사이트, 공지사항, 묻고 답변 받기, 분실물 신고 게시판,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반포털로 나
     자원봉사 신청, 견학 안내 및 신청, 시설 예약, 이용교육 신청, 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봉사
                                                                        누어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서비스 특징 및 기능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헌장, DB소개, 법/정책, 건의/제안, 오류신고, 마이 페이지, 툴바/데스크바, 구직 서비스, 다국어
                                                                        대표적인 도서관포털의 유형으로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전자자원 포털 및 디지털
     변환, 장애인이용안내, 문자기능 확대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
                                                                        도서관 포털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일반포털 유형으로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국내
     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종합포털과 구글, 야후 등 해외포털, 지식정보 및 연구정보를 다루는 공공포털, 대학 및 대학도서
                                                                        관의 대학포털, 웹 2.0 기반의 서비스 모델로 구분하여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
                                                                        립디지털도서관의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정보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6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7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3장             도서관포털조사분석                                                맞춤화와 개인화의 동향은 도서관 포털과 관련된 이슈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맞춤화와 개
                                                                             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포털은 이용자 각각의 정보요구에 반응하는 개인정보시스템을 만들기 위
                                                                             하여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이용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디지털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의 혼돈을 질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고, 모든 이용자는 웹을 좀 더 단순하고 정돈된 방법으로 이용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검색엔진
                                                                             의 중요성과 더불어 효과적인 웹 서비스의 제공이 많은 기업 및 조직에서 중요시되고 있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자매체의 중요성을 자각하게 되면서 정보의 질서(order), 신뢰도(reliability),
                                                                             그리고 투명성(transparency)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포털은 특정 정보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정보의 과잉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변형 환경(transformational environment)이다(Lakos 2004). 웹 환경이 정보의 조직 및 이용
                                                                             에 선호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은 웹에 시사하는 바가

       ● 미래의 도서관 기술에 있어 중요한 동향은 '맞춤화'와 '개인화'임                                크다. 정보, 금융처리, 문서관리 등을 위한 최적의 해법으로 웹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보편화되고

       ●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                       있는 것이다.

          되어야함                                                                포털은 혼돈에서 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긍정적이고도 잠재적인 구조(framework)이다. 포털이

       ● NDL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                      정보 및 상업거래를 위한 일차적인 수단이 됨에 따라, 모든 유형의 도서관은 포털이라 부르는 다

          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                        양한 구조 및 서비스를 생각하고, 계획하고, 구축하게 되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필요로 하는 것

          보환경을 말함                                                            이 웹에 없다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도 되었다. 한편, 정보는 대안의 웹 자원으로

       ● NDL 포털은 국가 대표 도서관 포털로, 통합적인 정보공유 체제를 지향함                            도 이용가능하게 되었고, 도서관은 다양한 새로운 정보 서비스와 경쟁하게 되었다. 도서관의 도
                                                                             구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기 어렵다면, 이용자는 대체 자원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
      1999년 1월, 미국도서관협회(ALA) 겨울 회의에서 도서관·정보기술협회(LITA: library and
                                                                             실은 도서관 웹 환경을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요구로 해석된다. 이러한 경향은 빠르
     information technology)의 전문가들은 미래의 도서관 기술(technology)에 대한 많은 중요한
                                                                             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환경에서 수백만의 장서와 저널을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들에게 그리고 과
     동향을 파악한바 있다. 이 회의에서는 7개의 동향이 언급되었는데 그 중 첫 번째 동향이 포털의
                                                                             거와 현재 계속해서 자신을 전통적인 지식의 관리자로서 인식하는 도서관들에게 특히 도전이 되
     핵심요소인 맞춤화와 개인화(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이다. 여기에서의 요점은 다
                                                                             고 있다. 도서관은 업무와 웹서비스의 구조로서 웹 포털을 빠르게 수용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음과 같다.
                                                                              포털을 계획할 때, 특정 원칙을 명심하는 것은 중요하다.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되어야만 한다. 포털은 가치(또는 전달 결과)를 증명
      '웹을 이용하는 이용자 그룹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은 맞춤화와 고객지원을 기대한다. 이
                                                                             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이 보다 자기를 믿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포털의 계획 및 실행에 모
     용자-중심적 접근 대신에 도서관-중심적 접근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부적절할 것이다.
                                                                             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고, 모든 구성단위를 허용하는 원칙과 도구를 고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University of Washington의 MyGateway와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의
                                                                             예를 들면, 통합의 확인 및 인증시스템이 필요하고, 모든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
     MyLibrary@NCState는 맞춤화된 포털의 예이다.'
                                                                             한다. 즉, 도서관 포털의 목적은 다양한 이용자 그룹 및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구



30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용자 중심이 되어야 하고,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해야 하고, 디자인 면에서                                         |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2001)에서의 정의 |
     이용자들이 오랫동안 흥미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분산된 웹 사이트, 도서관 목록, 정보자원 DB에 대하여 검색을 가능케 하
       포털은 웹상에서 이용자에게 정보 및 데이터가 제공되는 방법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때                                          고 단일표현으로 결과를 통합하기 위한 탐색도구이다.
     문에 포털의 초점으로써 이용자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확인 및 인증시스템에 기반한 맞춤화는                                            ( '... a discovery tool that enables a user to search across certain limited but diverse
     이용자에게 웹 자원을 제공하는 조직 및 콘텐츠 소유자를 위한 절차이다. 이용자에 대해 많이 알                                         and distributed websites, library catalogs, and databases of information resources to
     수록 더 많은 것을 계획할 수 있고, 포털은 더 유용해질 것이다. 맞춤화는 이용자의 첫 인상을 결                                       retrieve and integrate the results in a single presentation.')
     정한다. 개인화는 이용자에게 잘 설계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구조
     로 변화시켜 결국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맞춤화와 개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 European Library Automation Group(2002)에서의 정의 |
     의 포털 환경은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갖게 하여 보다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도서관을 만들게                                            도서관 포털은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질의 정보자원에 대하여 원 스톱 접근/검색을 허용
     될 것이다. 도서관 포털의 설계자는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포털의 결과를 짐작하는 기                                         하고, 미리 정의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능 또는 시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 A LIBRARY portal is an application which allows one-stop-shop access/searching
       본 장에서는 도서관포털의 정의, 발전초기의 유형, 주요 요소, 기술 유형, 평가와 성과 등에 대                                      and discovery via a unified single-point interface to organized heterogeneous
     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도서관포털의 주요 프로젝트 및 구축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도출해 보                                          resources and enabling services to a pre-defined community (users)."]
     고자 한다.
                                                                                                   | JISC의 LibPortal Project(2003)에서의 정의 |
                                                                                                   도서관 포털은 도서관 목록, 참고자료의 온라인 구독, 전자저널, 학습 및 교육자료 등을 포함하
       가. 포털이란 무엇인가? -NDL의 관점을 중심으로                                                               여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 " Library portal is a network service that brings together content from diverse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여기서는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든 포털의 정의를                                         resources, including the library catalogue, on-line subscription reference material, e-
     연대순으로 살펴봄으로써 포털정의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NDL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한                                          journals and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
     다.
                                                                                                   | Lacos(2004)의 정의 |
       | Looney와 Lyman(2000)의 정의 |                                                                 이용자에게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웹사이트의 콘텐츠와 모습을 '개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자원을 하나의 '원 스톱(one stop)' 웹 페이지에 모아, 이용자들이 '정보홍                                  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맞춤형 학습 및 업무 웹 환경이다.
     수'에 압도되거나 웹에서 길을 잃는 것을 피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 " a customized learning and transactional Web environment, designed purposefully
       ( '...systems which gather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resources into a single, 'one   to enable an individual end-user to 'personalize' the content and look of the website
     stop' Web page, helping the user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infoglut' or feeling         for his/her own individual preference." ]
     lost on the Web.' )




32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3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 Maloney(2004)의 정의 |                                                                      ⑤ 검색결과를 저장하고 (인쇄, 이메일, 다운로드 등의 방식으로) 개인화 한다.
        포털은 다양한 자원에서 수집된 정보에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도구이다.                                          ⑥ 검색결과를 원문으로 연결하거나 기타 전달방식을 제공한다.
      [ " A portal is a Web-based tool that provides a customizable interface to information     ⑦ 개별 정보자원의 접근과 인증 이용자에 대한 포털의 기능을 관리한다.
     aggrega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
                                                                                                나. 발전 초기의 도서관 포털
      | Madison과 Hyland-Carver(2005)의 정의 |
        OpenURL 해석기를 통한 원문 검색 또는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한 원문 전달의 가능성을 가지                                   | IPL |
     고, 단일 메타검색으로 다중 정보 자원에 대해 연합검색(federated searching) 능력을 제공하는                               미시건 대학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IPL(Internet Public Library)은 인터넷 상의 최초의 전자
     도구이다.                                                                                     도서관 포털 중의 하나이다. IPL은 전자도서관 포털뿐만 아니라 야후!와 같은 상업적 포털의 발
      [ " a tool that provides broadcast(or federated) searching capabilities via a single     전에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IPL이 포털로 간주되는 이유는 도서관의 사명인 서비스를 제공
     metasearch across multiple information resources, with the potential of full-text         하면서도, 양질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주제별 디렉토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retrieval (using OpenURL resolvers or direct linking) or full-text delivery through         IPL은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수업에서 시작되었다. Joe Janes 교수는
     mechanisms such as fax, e-mail, etc." ]                                                   정보 전문가가 되고자 열망하는 대학원생들이 인터넷 상에 공공 도서관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흥미롭고 교육적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학부장, 총장, 청소년 담당 사서 등 도서관을
      이처럼 웹 포털 또는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고, 단일의 보편적인 정의는 찾아보                                       운영하는 데 연관된 모든 사람들의 직무 내용을 작성했다. 실제 도서관의 시설 관리자 대신 컴퓨
     기 어렵다. NDL에서의 포털은 지식정보자원의 조직을 위한 도구로서의 포털이 바람직하다. 이                                       터 프로그래머가 필요했고, 대출대의 직원은 필요하지 않았다. 어떤 자료를 소장할지, 도서관으
     수상 교수에 의한 NDL의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                                      로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는 학생들이 직접 결정하였고, 심지어 도서관을 감독하기 위한 위원
     으로 정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환                                         회도 구성하였다. 1995년 성 패트릭데이에 IPL 사이트를 오픈하였을 당시, 참고도서 섹션과 동
     경을 말한다.                                                                                   화 구연을 포함한 어린이 섹션, 전문 사서들을 위한 서비스, 교실, 전시장, 독서실 등이 있었다.
      따라서 NDL 포털은 국가대표 도서관 포털이며,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기록관, 박물관 등                                     1996년 이 도서관에 MOO(Multi-user Object Oriented system: 다중 이용자 객체 지향 시스
     과 같은 정보관련 기관에 산재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정부나 공공기관, 개인이 제작한 각종 공공                                     템) 환경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실제 도서관에서 사람들이 우연히 마주쳐 모든 종류의 주제 - 그
     접근 또는 개방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상업적으로 구축하여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                                       들의 직업, 책, 시 - 에 관해 대화를 나누는 환경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는 디지털 장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 제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수상 교수에 의한 NDL                                     프로젝트 초기부터 관련된 학생들 중, 공학부 학생들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헌정보학 대학
     의 포털 정의는 적절해 보이며, 여기에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목적이 추가될 것을 제안한다.                                        원생이었다. IPL 관련 회의는 학생들의 컨디션이 최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기 쉬운 저녁
                                                                                               에 주로 진행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매 학기마다 계속되었고 각 그룹의 학생들은 IPL이 소장한
        ① 적절한 개별 정보자원의 식별과 선택을 돕는다.                                                            자료와 포털 내의 체험을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해주었다. 1998년 Jane 교수가 문헌정보학 대
        ② 이용 목적에 가장 유용한 개별 정보자원의 결정을 돕는다.                                                      학원을 그만두었지만, 자료 책임자로 있었던 David Carter의 리더십 하에 IPL은 지속적으로 운
        ③ 다양한 개별 정보자원에 대한 분산검색(예를 들면, Z39.50)을 제공한다.                                           영되었다. 이용자를 위한 IPL의 서비스와 프로젝트는 3학점의 실습 과목 형태로 대학원에서 가
        ④ 검색결과를 통합하고 관리한다.                                                                     르치고 있으며,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자료 전문가, 참고 관리자(reference administrators), 이



34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5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용성 평가자, 프로그래머 등의 역할을 맡아 실습하게 되었다.                                       |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 |
      IPL의 목표 세 가지는 ①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provide a teaching environment), ② 교수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정보서비스는 1993년 이래로 영국 Strathclyde 대학
     에게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provide a research environment for faculty), ③ 대중에게 서비    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포털은 모든 주제에 대한 정선된 인터넷 자료를 무료로, 이용하기
     스를 제공한다(provide services to the public)는 것이다.                            쉽게 접근하도록 하되, 특히 문헌정보학 학문에 초점을 맞춘다. BUBL의 자료는 듀이 십진분류
                                                                              법에 의해 분류 되며 많은 부분 BUBL에 맞추어 수정된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이
      |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The librarian’s index to the internet) |                  용한다. BUBL은 고등교육계 일원들에 의해 국가적인 자료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BUBL의 사
      인터넷의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초창기의 시도 중 하나는 1991년 버틀리 공립 도서관의 Carole                 명 선언문은 아래와 같다.
     Leita에 의한 것이었다. 그녀는 고퍼 소프트웨어가 출시 된 후, 그녀의 고퍼 즐겨찾기 목록을 분
     류해두었다. 이것이 1993년 ‘웹 기반의 버클리 공립 도서관 인터넷 색인’이 되었다. 1997년 이 이                ‘영국의 고등교육계(higher education community)에 인터넷 정보 이용에 대한 부가가치 서
     름은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으로 변경 되었고, 서비스는 UC버클리의 디지털 도서관 선사이트                     비스를 제공하고, 교육과 연구, 전문적인 의의를 지닌 서비스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공한다.
     (SunSITE)로 옮겨진 후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자료에 부여하기 시작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은 현재 캘리포니아 디지털 도서관에 속해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의 사명은 ‘확                    ● 주제에 근거한, 선별된, 다양한 분류 방법을 통합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하고 신뢰할만하며 사서가 정선한 인터넷 자료에 대한 잘 정리된 접근 포인트를 제공하되, 캘                       ● 독창적인 전자 정보 자원을 직접 개발하거나, 개발을 장려한다.
     리포니아 주, 미국, 더 나아가 세계에 봉사한다.’라고 되어있다.                                      ● 적절한 상업 서비스를 갖춘다.
                                                                               ● 잘 분류된 타 서비스들에 대한 이용 경험을 제공한다.
      | 미시건 e도서관(Michigan eLibrary) |                                          ● 문헌정보 전문가들의 노력을 장려하며 조율한다.
       ‘미시건 e도서관’은 미시건 주의 공립 사서들이 고객에게 서비스 할 때 인터넷을 좀 더 쉽고 효                   ● 관련된 참고 서비스와 도움을 제공하며 최신정보주지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한다.’
     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 졌다. 1992년 고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베스트 웹 사이트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이 웹 사이트들은 마치 공공 도서관에서처럼 주제                      초기 도서관 포털 시스템은 인터넷 콘텐츠가 당시의 첨단 기술을 막 활용하기 시작했던 때이
     와 전달 수단에 따라 각기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미시건 e도서관은 W. K. Kellogg                  다. 미래를 내다봤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도서관과 관련된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기술적인 전문
     Foundation과 미시건 대학의 대학 도서관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주(州)                성을 갖춘 이들도, 혹은 조직적인 전문성을 갖춘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이러한 포털이라는 변화
     전역의 공립 도서관 협회에게 참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도서관                   를 이끌었으며, 모험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성은 이들이
     은 미시건 주로부터 후원금을 받아, 고퍼를 ‘미시건 전자 도서관’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계속 유                   정보의 혼란 가운데서 질서를 찾고 싶어 했다는 점이다. 그 수단이 듀이 십진분류법이든지
     지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는 2000년 주(州) 전역에 걸친 참고 서비스 프로그램이 종료됐을 때 주                 (BUBL)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이든지(LII) 혹은 직접 개발한 분류 체계(IPL)이던 관계
     (州) 도서관으로 흡수 되었다. 이후 주(州)에 있는 모든 도서관이 그들의 비용이나 고객의 비용 부                 없이 질서를 부여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담 없이도 많은 독점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베
     이스의 몇몇은 이용자의 집이나 회사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가 ‘미시건 e도서관’
     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제는 미시건 주립 도서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36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7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다. 도서관 포털의 주요 요소                                                                                             | Richard W. Boss |
                                                                                                                   Richard W. Boss(2005)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를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customizable
     Web interface),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강력한 교차검색                                         ① 직관적이고도 맞춤화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intuitive and customizable web
     기능(powerful cross searching)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포털을 구성하는 요소는                                                        interface)
     이처럼 단순하지는 않으며 다양하고 복잡하다. 여기서는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와                                                  ②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Boss(2005)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③ 연합 검색(federated searching): 연속적인 로그인과 검색(consecutive log-ons
                                                                                                                         and searchers)이 아닌 단일 로그인(single log-on)과 통합 검색(single search)
      | Library Technology Reports |                                                                                  ④ 적합 순위(relevancy ranking):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한 탐색결과의 순위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에서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조를 통합 검색 인터페                                                  ⑤ 링크 변환(link resolution): 서지적 메타데이터를 URL로 송출하기 위한
     이스, 이용자 인증, 자원 연결, 콘텐츠 개발 간의 관계로 보고, 이들을 도식화 하고 있다.                                                                 OpenURL 해석기(resolver) 등의 활용
          ⓛ 통합 검색 인터페이스(single-search interface)                                                                      ⑥ 보안(security)
          ② 이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⑦ 커뮤니케이션과 협업(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채팅, 이메일, 캘린더
          ③ 자원 연결(resource linking)                                                                                      (calendars) 공유, 웹 미팅 등의 활용
          ④ 콘텐츠 개발(content enhancement)
                                                                                                                  라. 도서관 포털의 유형
                                                             User



                                                   MetaFind:Universal Search
                                                                                                                   도서관 콘텐츠, 특히 온라인 전자 자원의 포털화에 대한 접근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McDonald 2004).
                                     Web Access Management: Authentication

                                                                                                                   | 맞춤형 e-자원 포털(customizable e-resource portals) |
                                                      Selected Resources
                                                                                                                   도서관에서 전형적인 포털의 이용은 전자 자원의 맞춤형 시각(customized views of elec-

                             Cataloged Resources
                                                                                                                  tronic resources)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들 포털의 유형은 이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정보자원을 배열하고 전시하는 수집자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서관이 제
                                                                                                  Web Sites,
             Bibliographic                                  Community            Abstract
                                   Local Digital                                               Z39_50 Servers,
               Batabase
              Web OPAC
                                    Collections
                                                            Information
                                                             Database
                                                                               and Full-Text
                                                                                Databases
                                                                                                     Other        시하는 수많은 자원들로부터 도서관 자원의 목록을 통해 살펴볼 필요 없이 고객들이 선택하는 것
                                                                                               Library Catalogs

                                                                                                                  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포털 유형의 예는 많은 도서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가장 유명한 곳은
                                                                                                                  Eric Lease Morgan의 MyLibrary 소프트웨어가 개발된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이

                                              WebBridge: REsource Linking
                                                                                                                  다. e-자원 맞춤형 포털 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개소스 소프트웨어 툴의 예로
                                                                                                                  MyLibrary, the Scout Portal Toolkit, phpWebSite가 있다.
                                            [그림Ⅲ-1]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



38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9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Mais conteúdo relacionado

Destaque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Hansung University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Hansung University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Hansung University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Hansung University
 

Destaque (10)

Bibframe
BibframeBibframe
Bibframe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도서관 링크드 데이터 동향(KISTI)
 
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digital archiving
digital archiving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National Digital Library and LLD
 
RDF 해설서
RDF 해설서RDF 해설서
RDF 해설서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데이터베이스활용기술전망
 
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링크드 데이터 사례
링크드 데이터 사례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개방형 데이터(Open Data) 평가를 위한 오픈데이터 측정지표 현황 분석
 
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Linked Open Data
Linked Open Data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도서관 Linked Open Data의 필요성
 

Semelhante a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Hansung University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esther ki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Hansung University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Swc발표자료3 1(seoul case1)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마경근 마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Donghan Kim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bigdatacampus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Hyunmin Lim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튜토리얼 사이트 분석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Hyck Im
 

Semelhante a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14)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5_neglected_services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3_dgitalcontnetmanagementsystem
 
bsk_03_02
bsk_03_02bsk_03_02
bsk_03_02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미래창조과학부 뉴미디어 정책홍보 활성화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4_user-space
 
bsk_3_4_2
bsk_3_4_2bsk_3_4_2
bsk_3_4_2
 
bsk_3_1_2
bsk_3_1_2bsk_3_1_2
bsk_3_1_2
 
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2015 cckorea 총회
2015 cckorea 총회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Swc발표자료3 1(seoul case1)
Swc발표자료3 1(seoul case1)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공공_빅데이터_분석의_확산을_위한_첫걸음-2016-12
 
bsk_02_01
bsk_02_01bsk_02_01
bsk_02_01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빅데이터캠퍼스 소개및데이터설명 최종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2013년 웹 접근성 기술 백서 (주)kt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튜토리얼 사이트 분석
튜토리얼 사이트 분석
 

Mais de Hansung University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Hansung University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Hansung University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Hansung University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Hansung University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Hansung University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Hansung University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Hansung University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Hansung University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Hansung University
 

Mais de Hansung University (14)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AI에게 이유를 묻다: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eXplainable AI)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Open Science - 열린 학술 저작, 공유 생태계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데이터 활용과 가치 보전 관점에서 공공문서의 기술적 요건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도서관 및 관련기관의 DMP(Data Management Plan) 지원 서비스(pre-print)
 
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2014 odb 한국현황
2014 odb 한국현황
 
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library linked data
library linked data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V1.0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보고서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 분야의 링크드 데이터 구축 동향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도서관은 웹에 존재하는가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립중앙도서관 RDA 실행전략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국가서지정보 Open Public Data Platform 구축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8_portal_service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6_marketing
 

National digitallibaryofkorea series_1_portal

  • 1. 디브러리 총서 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국립중앙도서관
  • 2.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목 차 1 제 장 서론 제 5 장 포털 서비스 기능 및 설문 분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0 1. 포털 서비스 기능 분석 | 130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12 2. 이용자 설문조사 | 140 3. 연구의 진행 방법 | 13 3. NDL 포털 모형 개발을 위한 시사점 | 152 4. 연구의 제한점 | 13 제 6 장 NDL 포털 사이트 모형 제 2 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요 | 156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 16 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 2. 포털의 구성요소 | 17 3. NDL 포털 모형 아키텍처 | 162 3. 포털 이용자 정보과정 | 18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27 제 7 장 NDL 포털 서비스 방안 제 3 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NDL 포털 서비스 개요 | 168 2. NDL 포털 검색 서비스 | 171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 30 3. NDL 포털 참여 서비스 | 194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 43 4. NDL 포털 활용 서비스 | 210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 50 5. NDL 포털 연계 서비스 | 214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 74 6. NDL 하위포털 서비스 | 221 7. NDL 포털 향후 추진과제 | 226 제 4 장 일반 포털 조사 분석 제 8 장 결론 및 제언 1. 일반 포털의 개요 | 82 2. 일반 포털의 모형 및 사례 분석 | 95 [참 고 문 헌] 233 3. 일반 포털 분석 종합 및 시사점 | 124
  • 3. 제1권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표 목차 그림 목차 [표 Ⅳ-1] 포털 서비스의 구성요소 | 86 [그림 Ⅱ-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 [표 Ⅳ-2] 국내 포털의 웹2.0 서비스 | 91 [그림 Ⅱ-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22 [표 Ⅳ-3] 도메인별 웹사이트 순위 | 126 [그림 Ⅱ-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검색 | 23 [표 Ⅴ-1] 포털 서비스 검색 기능 순위 | 132 [그림 Ⅱ-4]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열람 | 24 [표 Ⅴ-2]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검색 기능 비교 | 133 [그림 Ⅱ-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참여 | 25 [표 Ⅴ-3] 포털 서비스 열람 기능 순위 | 134 [그림 Ⅱ-6]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이용 | 26 [표 Ⅴ-4]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열람 기능 비교 | 135 [그림 Ⅲ-1]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 | 38 [표 Ⅴ-5] 포털 서비스 참여 기능 순위 | 136 [그림 Ⅲ-2] JISC 포털 명세 | 57 [표 Ⅴ-6]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참여 기능 비교 | 137 [그림 Ⅲ-3] JISC 포털 명세 - 시작 | 57 [표 Ⅴ-7] 포털 서비스 이용 기능 순위 | 138 [그림 Ⅲ-4] JISC 포털 명세 - 조사 및 발견 | 59 [표 Ⅴ-8] 공공포털 및 민간포털의 이용 기능 비교 | 139 [그림 Ⅲ-5] JISC 포털 명세 - 상세 | 59 [표 Ⅴ-9]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 141 [그림 Ⅲ-6] JISC 포털 명세 - 레코드의 이용 | 60 [표 Ⅴ-10] NDL 포털에 필요한 서비스 | 143 [그림 Ⅲ-7] JISC 포털 명세 - 원문의 요청과 접근 | 60 [표 Ⅴ-11] NDL 포털의 서비스 성격 및 방향 | 144 [그림 Ⅲ-8] JISC 포털 명세 - 자원의 이용 | 61 [표 Ⅴ-12] NDL 포털 검색방법 | 144 [그림 Ⅲ-9] Edward Lim의 포털 모형 | 75 [표 Ⅴ-13] NDL 포털 검색요청 자료 | 145 [그림 Ⅲ-10] JISC의 포털 모형 | 76 [표 Ⅴ-14] NDL 포털 검색결과 | 145 [그림 Ⅲ-11] Maloney & Bracke의 포털 모형 | 78 [표 Ⅴ-15] NDL 포털 검색 부가기능 | 146 [그림 Ⅲ-12] 이수상의 포털 모형 | 79 [표 Ⅴ-16] NDL 포털 참여서비스 | 146 [그림 Ⅳ-1] 포털 상위권 집중화 | 84 [표 Ⅴ-17] NDL 포털 카페/커뮤니티 이용목적 | 147 [그림 Ⅳ-2] 포털 주요 섹션별 시장점유율 비교 | 87 [표 Ⅴ-18] NDL 포털 블로그/미니홈피 이용목적 | 147 [그림 Ⅳ-3] 웹2.0 인터넷생태계 | 90 [표 Ⅴ-19] NDL 포털 제공콘텐츠 유형 | 148 [그림 Ⅳ-4] 웹2.0 관련 기술 | 93 [표 Ⅴ-20] NDL 포털 콘텐츠 제작/공유 혜택 | 149 [그림 Ⅳ-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125 [표 Ⅴ-21] NDL 포털 연계기관의 자료 열람 시 중요사항 | 149 [그림 Ⅵ-1] NDL 포털 사이트 모형 개발방향 | 157 [표 Ⅴ-22] NDL 포털의 개인공간 기능 | 150 [그림 Ⅵ-2] NDL 포털 모형의 주요 구성요소 | 157 [표 Ⅴ-23] NDL 포털 온라인 교육내용 | 150 [그림 Ⅵ-3] NDL 포털 모형 | 162 [표 Ⅴ-24] NDL 포털 홍보방안 | 151 [그림 Ⅶ-1] NDL 포털 서비스 방향 | 168 [그림 Ⅶ-2] NDL 포털 서비스 구성도 | 170 [그림 Ⅶ-3] NDL 포털 주요 검색서비스 | 173 [그림 Ⅶ-4] NDL 포털 주요 참여서비스 | 195 [그림 Ⅶ-5] NDL 포털 주요 활용서비스 | 210 [그림 Ⅶ-6] NDL 포털 주요 연계서비스 | 216
  • 4.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총서 발간사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디지털 정보자원 이러한 국립디지털도서관 건립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2007년도 "국립디지털도서관 의 수집·정리·보존 및 이용에 대한 새로운 도서관 혁신모델 운영 시범사업"을 수행하였으며, 도서관 학계와 업계, 도서관 실무진 등 유수의 인력들이 참가하 로서 국내외 디지털정보서비스 게이트웨이 역할을 수행하려고 고 수차례의 자문을 거쳐 수행 결과를 도출하였습니다. 합니다. 본 총서에는 2007년 수행결과를 5권(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이용자 시나리오 연구개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언제 어디서 누구나 디지털정보에 쉽게 발, 디지털장서 관리 및 연구개발, 디브러리 이용자서비스 공간구축, 정보소외계층 서비스)으로 접근하고 쌍방향 참여로 원하는 디지털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편찬하였습니다. 디브러리 총서는 2007년도 결과물 발간을 시작으로 계속적으로 편찬될 것이며, 전문 지식포털 디브러리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도서관 학계 및 현장에 배포되어 디지털도서관을 선도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 다. 또한 최첨단 시설로 정보 열람과 활용에 새로운 혁신을 더해 주며, 자연과 사람 그리고 정보를 접목한 친환경 도서관을 짓 2009년 개관될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새로운 정보서비스의 혁신과 창조적인 지식 생산으로 대 고 있습니다. 한민국을 지력강국(知力强國)으로 거듭나게 하는 도약점이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권 경 상 6 총서 발간사 7
  • 5.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연구의 진행 방법 4. 연구의 제한점
  • 6.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1장 서론 이용자에게 보다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도서관인 국립중앙도서관은 도서관 본연의 사명인 이용 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수집, 관리, 제공하는 정보서비스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기존의 웹을 통한 자관의 소장정보를 제공하는 소극적인 서비스에서 벗어나 모든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이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다른 선택의 여지 가 있다면 정보 제공처가 어디든 상관없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을 선호하는 것 은 당연할 것이다. 현재 건립중인 국립디지털도서관은 지식정보의 제공이라는 기존의 도서관이 가지고 있는 장점과 이용자의 요구변화에 민첩하게 대처하는 일반포털의 장점을 최대한 반영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수 있는 환경으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의 결과로 볼 수 있다. 국립디지털도서관(NDL; The National Digital Library)은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오늘날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면서 모든 계층의 이용자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환경으로 'NDL 포털 서비스' 체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제공, 검색 및 활용은 우리의 일상생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제 구축을 위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 왔다. 'NDL 포털' 다양한 지적 배경과 정보요구를 가진 이용 부응하여 도서관을 비롯한 다양한 정보 제공기관들은 보다 편리한 환경 하에서 이용자들이 정보 자들을 위하여 존재함을 전제할 때 무엇보다 정보환경의 변화 및 이용자의 요구에 대한 심도 깊 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다양한 콘텐츠의 확보는 물론 이용자 친화적인 시스템의 개발에 경쟁 은 이해로부터 출발하여야 한다. 적으로 자신들의 역량을 투입하고 있다. 보다 성공적인 'NDL 포털' 구축되기 위해서는 첫째, NDL이 소장하고 있는 장서 및 콘텐츠에 과거 찾아오는 고객들에 대한 정보서비스에 초점을 맞추던 기존의 도서관들도 유사 정보제공 대한 통합적이고 이용자 친화적인 검색 플랫폼을 구현하여야 하고, 둘째, 개방과 공유와 참여를 기관들의 등장과 더불어 치열한 경쟁 가운데 살아남기 위하여 정보기술의 신속한 도입을 통하여 통한 정보의 생산 공유 재생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용자 참여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하 이용자들에게 찾아가는 적극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서관들의 이러한 노력은 자관 소장 고, 셋째, 국내외 디지털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해 글로벌 지식정보 유통 정보자원의 디지털화를 통한 서비스는 물론 타 도서관이나 정보센터의 자료 또한 연계하여 방문 플랫폼을 구현할 수 있어야 하고, 마지막으로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NDL 포털을 통한 정보 리터 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원하는 정보를 한 번에, 한 곳에서 제공할 수 있는 웹기반 정보서비스, 러시 및 정보 레퍼런스 교육 기반을 마련하여 정보취약계층의 정보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고 정보 즉 포털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복지를 실현하는 활용 플랫폼이 구현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대규모 장서, 다양한 정보서비스, 각종 그러나 경쟁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포털 형태의 정보서비스 기관들은 지식정보의 체계적 관리 첨단정보기술로 구성되는 정보시스템인 'NDL 포털'을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하여 잠재 이용자 및 효율적인 서비스라는 도서관 고유의 정체성을 지키지 못하고 일반 포털과 혼재되는 양상을 보 의 정보요구 및 이용형태를 예측함으로써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 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일반 포털들은 정보기술의 우위를 바탕으로 인쇄매체 기반의 지 고, 이용자 친화적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식정보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도서관들과 비교하여 이용자들의 요구에 부합되는 다양한 멀티미디 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식정보 제공처로서 도서관의 입지를 위협하고 있다. 도서관을 둘러싼 복잡한 주변 환경은 도서관들로 하여금 위기의식을 불러일으키고 자신의 역할을 재점검함으로써 10 제1장 서론 11
  • 7.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연계 서비스 - 국내외 디지털 도서관 및 콘텐츠 서비스와의 협력 및 연계를 통한 글로벌 지식정 본 연구는 국립디지털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양질의 정보자원에 대한 다양한 정보서비스를 제공 보 유통체제의 구축을 위한 연계서비스 방안의 도출 하기 위하여 NDL 포털을 둘러싼 정보환경을 구조화하고 개념화하는 작업을 선행함으로써 성공 ● 활용 서비스 적인 NDL 포털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으로 그 내 -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서비스 내용 및 범위의 강화, 정보취약 계층의 정보이용 용은 다음과 같다. 지원, 그리고 오프라인 공간인 인포메이션 코먼스와 포털의 상호보완을 위한 다양 한 활용 방안 제안 | 이용자 정보요구에 기반한 이용자별 이용목적 및 정보탐색 유형도출 | ● 이용자의 포털 이용 목적 분석 ● 포털에 대한 이용자 기대치 분석 3. 연구의 진행 방법 ● 이용자들의 필요한 정보에 대한 접근 형태 분석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 유용성, 편리성을 보장할 수 있는 NDL 포털의 구현을 | NDL 포털사이트 모형 조사 및 연구 | 위한 모형의 개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 국내외 유사 포털 서비스 사례를 조사, 분석 ●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NDL 포털을 개념화하기 위한 아키텍처 개발 ● 문헌조사를 통한 포털 서비스의 다양한 구성 요소 및 기능에 대한 정의 도출 ● 유형화를 통한 NDL 포털의 개념적 모형 개발 ● 설문조사를 통한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이용 실태 파악 ● 포털에 포함되어야 할 기능 명세를 위하여 일반 종합포털, 지식정보포털, 대학포 | 이용자별 시나리오 분석에 기반한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 털, 도서관포털, 그리고 웹 2.0 서비스 등 33개 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 ● 이용자 중심의 사용성과 유용성을 제공하기 위한 NDL 포털 모형 ● 대표적 포털사이트에 대한 기능 분석을 통하여 검색, 참여, 연계, 활용 등 NDL ● 활용성과 편리성을 보장하며, 적응성이 높은 시스템 모형 구현 포털의 4가지 기본 기능의 명세 작성 ● 33개 사이트의 성공과 실패 요인을 분석하여 NDL 포털에 적합한 기본 기능별 서 | NDL 포털사이트의 기능별 서비스 방안 도출 | 비스 방안의 작성 ● NDL 포털은 검색, 참여, 연계, 그리고 활용 서비스로 구성 ● 검색 서비스 - NDL 포털의 핵심적인 정보서비스로 NDL에서 통합관리 하는 디지털 장서를 기 4. 연구의 제한점 반으로 각종 검색 기능을 제공 ● 참여 서비스 본 연구는 NDL 포털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하여 이용자의 정보 요구 및 정보 접근 형태의 분석 - 공지서비스, 지식서비스 등 NDL 포털을 통해 이용자의 참여와 커뮤니케이션이 과 다양한 사이트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바탕으로 수행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연구의 제한점을 가 이루어지는 정보서비스 기능을 제공 지고 있다. 12 제1장 서론 13
  • 8. ● 전문 포털이나 일반 포털과는 달리 NDL의 성격상 대상 이용자 (target user: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정확하게 정의하기 어렵다. 따라서 특정 집단의 이용자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불특정 다수를 위한 포털로 가능한 다양 한 기능을 모두 포함시켜야 하는 시스템으로 특정성에 한계를 가질 수도 있다. ● 국가 차원에서 모든 계층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NDL 포털의 경우 세계적으 로도 성공사례나 표적 대상 도서관이나 포털이 존재하지 않아 민간포털, 대학포 제2장 털, 지식정보포털 등 유사 형태의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그 결과를 NDL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최적화하였다. 따라서 NDL 포털 모형은 전통적 기능 중심의 도서관개념에 반드시 부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포털과 정보 서비스 ● NDL 포털은 국가나 국립중앙도서관의 정보 서비스 정책과 독립적으로 개발, 운 영될 수 없는 것이나 현재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어서 서비스 정책이 충분 히 반영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한점이나 예상되는 여러 가지 문제에도 불구하고 NDL 포털은 이용자의 정보 요구나 이용형태에 대한 조사와 분석에 기반하여 품질 좋은 콘텐츠의 제공, 콘텐츠에 대한 검색 및 접근 용이성, 그리고 이용자 참여의 활성화 및 효율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는 최적의 정보서비 스 시스템이 될 것이다.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2. 포털의 구성요소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14
  • 9.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2장 포털과정보서비스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에서는 검색 서비스를 이용자가 필요로 할 때, 데이터베이스 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에 접근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포털 서비스가 차별화될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정의하였다. 이는 각 포털 서비스 기업들이 다양한 정보들이 산재한 인터넷이라는 거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필요한 정보를 찾아내 보여주는 것이 바로 이 들 기업의 경쟁력을 좌우하기 때문이다. 물론 이 밖에도 포털사이트에서는 전자우편 서비스, 커 뮤니티 서비스, 전자상거래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 포털의 구성요소 1. 포털의 정의 및 역할 ● 포털 서비스를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는 콘텐츠(Content), 커뮤니티(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임 ● 포털(Portal)은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 텐츠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 일반포털 및 도서관포털이 핵심 요소로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구성요소들을 살펴보면 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를 의미함 음과 같다. ●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 한국데이터베이스진흥센터(2006)의 2006년도 데이터베이스 산업 동향 분석 사업 '포털사이트 비스로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 역할을 수행함 시장 분석'에서는 포털 서비스의 내용을 4C, 다시 말해, 콘텐츠 (Content), 커뮤니티 (Community),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 커머스(Commerce)로 정리하고, 4C는 포털 서 세계적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인구가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가 확장되 비스가 필수적으로 갖추어야할 요건으로 각 포털들은 웹사이트에서 4C를 대표하는 서비스들을 면서 인터넷을 이용해 단순 정보검색 외에 이메일, 커뮤니티, 인터넷뱅킹, 뉴스, 엔터테인먼트 등 구축하고 있다고 하였다.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 포털(Portal)은 인터넷의 발전과정에서 인터넷 김성언(2004)은 포털사업의 핵심요소를 콘텐츠,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 상거래 및 고객화로 서비스의 한 유형으로서 정보의 관문, 혹은 시작점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콘텐츠 보고 이 요소들의 세부요인들이 특정 포털 사이트로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의 최종 목적지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어 포괄적이고 종합적인 인터넷서비스를 제공하는 들의 우선순위를 보여주었다. 포털 사이트 이용자들을 유인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사이트라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포털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이용자에게 보다 편리하 로는 콘텐츠 검색 및 접근용이성, 커뮤니티 활성화 수준, 제품/서비스 판매 및 콘텐츠 내용의 충 게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서비스를 의미한다고 하겠다. 실도 등으로 분석하였다. 포털사이트의 대표적인 역할은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경로라 할 수 있다. 포털사이트는 사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로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와 콘텐츠 표현의 이트 내에서 뉴스, 날씨, 증권, 주식거래, 전화번호, 지도 등의 일상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개인화, 강력한 교차검색 기능을 중요하게 보았다. 제공할 뿐 아니라, 타 사이트 정보의 중개를 통해 전문정보 제공까지 포괄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각 포털서비스 기업은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더욱 용이하게 제공하기 위해 검색 서비스를 지속 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16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7
  • 10.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37.1%)’, ‘일상생활 정보 습득(36.2%)’ 등을 위해 이용한다고 하였다. 또한 인터넷 이용자의 40.0%가 본인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이며, 유형별로는 ‘미니홈피’ 운영이 23.7%, ‘블로그’ 가. 인터넷 이용형태 분석 12.4%, ‘블로그 및 미니홈피 모두’ 3.9%로 나타났다. 여성(42.1%)의 블로그·미니홈피 운영률이 남 성(38.2%)보다 다소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8.2%로 가장 높고, 6-19세 45.9%, 30대 38.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블로그·미니홈피 운영자의 과반수가 ‘친교·교제(66.3%)’, ‘일상생활 ● 우리나라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은 75.5%, 인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 에 대한 기록(58.1%)’, ‘취미·여가활동 또는 개인적 관심사 공유(56.9%)’를 위해 블로그·미니홈피를 명임(2007년 6월 현재)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인터넷 상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최근 웹2.0의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한국인터넷 보편화되고, 이용자들의 참여와 공유가 급속히 증가함 진흥원(2006)이 2006년 5월에 만 12세~49세 인터넷 이용자 2,457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웹2.0 ●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자 제작 콘 시대의 네티즌 인터넷 이용 현황’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자의 90.9%는 카페/커뮤니티, 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 블로그/미니홈피, 댓글달기, 퍼나르기(펌) 등의 이용자 참여수단 가운데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한국인터넷진흥원(2007)에서 실시한 ‘2007년 상반기 정보화실태조사’에 따르면, 2007년 6월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수단을 이용하고 있는 경우도 21.2%에 달했다. 이 중 카 현재 만6세 이상 인구의 인터넷이용률(최근 1개월 이내 인터넷 이용자의 비율)은 75.5%이며, 인 페/커뮤니티 활동을 하는 경우가 77.8%로 가장 높고, 52.4%는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를 운영 터넷 이용자수는 34,430천명으로 추정된다고 보았다. 이는 2006년 6월 대비 인터넷이용률은 하고 있으며, 인터넷에 게시된 글, 뉴스를 퍼나르기 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62.0%, 인터넷 게시 73.5%에서 2.0%p, 이용자수는 33,580천명에서 850천명이 증가한 수치다. 물, 뉴스 등에 댓글을 다는 경우가 45.6%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의 이용목적으로는 인터넷 이용자의 대부분(80% 이상)이 ‘자료 및 정보 습득 이용자들의 참여 형태를 살펴보면,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주된 이유는 ‘취미·관심사 공유 (88.7%)’, ‘음악, 게임, 영화 등 여가활동(86.0%)’ 및 ‘이메일, 채팅 등 커뮤니케이션(84.7%)’을 위 (32.5%)’와 ‘친교·교제(29.6%)’를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카페/커뮤니티 이용자의 79.9%는 해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커뮤니티 이용시 ‘타인의 글에 댓글을 달아주고’, ‘직접 쓴 글이나 스크랩한 글을 올리고 인터넷을 통해 ‘인터넷 쇼핑(49.9%)’, ‘교육·학습(46.9%)’, ‘블로그·미니홈피 등 개인홈페이지 (66.6%)’있으며, ‘일반 검색보다 카페/커뮤니티의 정보가 더 유용하다고 느끼고(77%)’, ‘습관적으 (41.8%)’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40% 이상이었다. 로 카페/커뮤니티를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을 살펴보면, 인터넷 이용자의 39.9%는 ‘최근 1년 이내’에 본인이 가입한 이용자들의 콘텐츠 생산 및 소비 경험을 살펴보면, 조사대상자의 43.2%는 본인이 직접 제작한 카페·커뮤니티를 이용(카페·커뮤니티 이용자)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1개월 이내’에 이용한 경 글, 그림, 동영상 등의 콘텐츠(UCC, User Created Contents)를 인터넷에 게시한 경험이 있는 우도 29.4%로 조사되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률은 성별(남성 40.2%, 여성 39.6%)에 따른 차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76.2%는 다른 이용자가 제작한 콘텐츠(UCC)를 이용해 본 가 크지 않으며, 연령별로는 20대가 67.9%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30대(43.3%), 6-19세(36.3%) 경험이 있으며, 이 가운데 35.6%가 하루 1번 이상 이용한다고 응답함으로써 인터넷 상에서 사용 등의 순이었다. 카페·커뮤니티 이용자가 월 1회 이상 이용하는 카페·커뮤니티 개수는 평균 2.2개 자 제작 콘텐츠를 접하는 것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며, ‘1개 이하’의 카페·커뮤니티를 이용하는 경우가 44.2%로 가장 많고, ‘3개 이상’ 이용하는 경 이용자들이 직접 제작한 콘텐츠는 주로 ‘본인의 블로그/미니홈피(58.6%)에 게시하고 있으며, 우도 25.8%로 나타났다. 그 외에 ’본인이 활동하는 카페/커뮤니티(24.3%), 타인의 블로그/미니홈피(8.2%) 등의 순으로 나 카페·커뮤니티 이용 목적은 주로 ‘친교·교제(73.6%)’ 및 ‘취미·여가(67.5%)’를 위해 카페·커뮤니티 타난 결과에서 보듯이 블로그/미니홈피와 카페/커뮤니티가 사용자 참여 수단뿐만 아니라, 사용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도 ‘업무·학업 관련 정보 습득(45.9%)’, ‘개인적 관심사 공유 자 제작 콘텐츠의 주요 유통 경로로도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8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19
  • 11.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콘텐츠 제작의 유형을 살펴보면, 콘텐츠를 직접 제작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주로 ‘개인의 일상 나.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적인 일(45.9%)’, ‘취미, 여가 등 개인의 관심분야(22.7%), 전문분야의 정보, 지식(14.8%) 등에 관 ●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 한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제작한 콘텐츠의 형태는 주로 사진·이미지가 91.0%로 용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 가장 많고, 다음으로 텍스트형 글(85.0%), 동영상(30.4%), 음악(28,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에서 어떻게 정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 랭키닷컴(www.rankey.com)에서 2007년 8월, 국내 네티즌의 웹서핑 활용도를 조사한 바에 ●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행위의 패턴 따르면 한 달간 여성 네티즌의 1인당 평균 페이지뷰는 지난해 2,945페이지보다 약 9% 증가한 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함 3,233페이지였으며, 한 달 평균 15개 사이트를 방문, 1인당 평균 20시간 18분 이상 인터넷을 이 ●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남성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2,910페이지뷰로 17개 사이트를 방문하였 도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함 으며 1인당 18시간 11분가량 인터넷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이용 현황 외에 이용자의 정보탐색행위를 분석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곽병 국립중앙디지털도서관에서는 미래의 정보 환경 변화를 예측하고 감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하 희(2004)는 이용자 중심의 정보탐색과정의 모델로 Meho & Tibbo가 제안한 탐색, 처리, 접근, 기 위하여 정보 환경변화의 여러 가능성들을 정리한 다음, 각 환경에서 이용자들의 정보와 관련 종결 등 서로 관련 있는 4개의 단계로 그룹화 모델을 제시하였다. 김성진(2006)은 ‘웹 이용자의 된 행위를 예측하고 방문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이 요구하는 것들을 반영한 이용자 정보탐색행위 패턴 분석연구’에서 이용자의 웹 정보탐색행위는 시작(starting), 검색하기 중심의 이용자 시나리오를 도출하였다. (searching), 결과보기/둘러보기(viewing/browsing), 조사하기/비교하기(examining/com- 새롭게 변화된 정보환경에 적합한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도출 paring), 정보발견/종합하기(finding/compiling), 결정하기/행동하기(deciding/acting), 종료 된 이용자 시나리오는 다음의 세 가지 목적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첫째, 디지털 도서관 환경에서 (exiting)의 7가지 유형으로 구성된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응답자별로 매우 다양한 행위 패턴을 이용자의 다양한 정보요구형태 및 정보이용형태를 분석하여 새로운 정보 환경에 적합한 이용자 보였으며 특히 브라우징 단계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순환되면서 웹 정보탐색행위의 다방향적이 중심의 정보서비스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용자를 다양한 유형(성별, 연령, 주제 등)으로 고 비선형특징을 보였다는 연구결과를 도출한 바 있다. 분류하여 각각의 이용자 유형별 요구사항을 관찰하여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에 반영하고 이용자들은 각자 다양한 목적과 정보욕구를 가지고 인터넷을 활용하고 하나의 포털 사이트에 자 하였다. 셋째, 최근 변화된 유무형의 IT 환경 및 정보서비스 기술을 파악하여 디지털도서관의 접속하여 원하는 정보탐색과정을 거쳐 접속을 종료하기까지 나타나는 정보탐색 행위는 단계적으 인포메이션 코먼스 및 포털 서비스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경로로 이루어지며 반복 순환되기도 하고, 이용자 개 그러므로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의 결과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의 NDL 포털 이용 별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기도 할 것이다. 자 정보 요구 및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용자가 웹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정 따라서 향후 국립디지털도서관에서 구축 운영할 NDL 포털에 대한 이용자의 정보요구 및 이용 보를 찾아가는지 정보탐색 행위의 특성 및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이용자중심적인 NDL 포털 모형 형태를 예측함으로써 이용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사용성과 유 을 개발하고 포털 서비스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용성이 높은 이용자 중심적인 NDL 포털 정보서비스 방안들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용자의 속성에 대한 가정 |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미래의 디지털도서관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갖고 있다고 전제하였다. ① 이용자는 성별, 연령, 지적수준, 도구이용능력 등 분류 가능한 어떤 속성을 갖고 있다. 20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1
  • 12.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② 이용자는 정보 및 IT환경 변화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정보서비스를 경험하거나 인지하고 작성된 이용자 시나리오를 종합하면,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 예약’에서 ‘이 있다. 용’까지로, 포털 이용자의 경우는 ‘(방문)접속’에서 ‘참여’까지로 정보탐색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③ 이용자는 시대 흐름에 부응하는 디지털도서관으로의 변화를 직접적 또는 잠재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전제조건 및 가정에 의해 세부적으로 기술된 이용자 시나리오의 유 요구하고 있다. 스케이스 내용을 토대로 이용자들이 NDL 포털을 이용하면서 나타날 수 있는 공통적인 정보탐색 행위의 패턴을 검색단계, 열람단계, 참여단계, 이용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일 |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에 대한 가정 | 련의 움직임을 파악함으로써 서비스 기능의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NDL 포털 모형 및 정보서비 NDL의 계획을 고려하여 이용자의 정보탐색과정은 다음과 같이 가정할 수 있다. 이 가정은 이 스 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용자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전제조건으로 이용자의 자료이용 행위에 관한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기본적인 참조모델이다. 1) 검색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검색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① NDL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DL IC 정보욕구 조사 방문예약 가이드 이용 열람 | 정보탐색행위 패턴 | [그림 Ⅱ-1] 인포메이션 코먼스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NDL 포털 컨텐츠 정보욕구 검색 간략정보열람 로그인 종료 접속 상세열람 ② NDL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그림 Ⅱ-3]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검색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검색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한다. 이용자의 정보추구 행위는 검색과정을 통해 결과를 얻어, 콘텐 츠에 대한 간략정보를 열람하게 된다. 콘텐츠에 대한 상세 열람을 위해서는 NDL 포털에 대한 회 열람 원 로그인 절차를 거친다. 이러한 검색과 열람의 단계는 일련의 행위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용 NDL 포털 정보욕구 조사 (방문) 접속 자가 원하는 정보를 획득할 때까지 검색행위와 함께 간략정보 열람 및 상세정보 열람의 행위를 참여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검색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형을 ‘통합검색, 상세검색, 원문검색, 색인검색, 목차검색, 분류별검색, 가나다검색, ISBN/ISSN, 이용 학술지검색, 전자저널검색, WEB DB 검색, CD-ROM검색, 동영상검색, e-BOOK 검색, 이미지 검색, 지식검색, RSS 검색, 게시판검색, 블로그검색, 카페검색, UCC검색, 분산검색, 도서위치검 [그림 Ⅱ-2]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색, 온톨로지검색, 디렉토리검색, 휴대폰검색, PDA 검색, 검색히스토리, 검색포켓, 검색어자동 22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3
  • 13.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완성, 인기검색어’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3) 참여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참여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2) 열람 단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용자들이 NDL 포털 열람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정보탐색행위 패턴 | | 정보탐색행위 패턴 | 정보 NDL 포털 서비스 글 작성 로그인 참여서비스 종료 욕구 접속 가입 및 등록 메뉴로 이동 정보 NDL 포털 목록정보 상세정보 콘텐츠 검색 로그인 종료 욕구 접속 열람 열람 열람 개설 및 검색 설치 [그림 Ⅱ-5]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참여 [그림 Ⅱ-4]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 열람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참여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참여서비스의 이용은 NDL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검색과정을 수행한다. 검색의 결과로 나타난 정보는 목록정보 열 포털에 접속하여 즉시 이루어지기도 하고, 검색을 통해 특정 메뉴나 콘텐츠로 이동하기도 한다. 람, 상세정보 열람과정을 거치고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원본 콘텐츠는 로그인 후 열람하게 참여서비스의 열람은 공개된 콘텐츠에 한해 로그인 없이도 열람이 가능하다. 이용자가 직접 참여 된다. 하여 글을 등록하고자 할 때는 해당 서비스에 가입하거나 프로그램을 개설 및 설치한 후 참여활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열람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동이 이루어진다. 참여서비스는 이용자 간 상호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지므로 정보 획득 및 공유를 형을 ‘내 자료실(열람정보), 서평(책에 대한 의견 열람), 네티즌리뷰(댓글열람), 목록, 목차, 초록, 위해 이용행위의 순환 및 반복이 빈번하게 이루어진다. 주제어(태그), 저자소개, 논문, 단행본, 학위논문, 저널/기사/학회지, 연구보고서, 문서(전문자료),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고서, 고전, 신문(뉴스), 관보, 귀중본, 외국어자료, 세미나자료, e-BOOK, e-Journal, 분석/동 형을 ‘블로그, 메타블로그 (외부 블로그 포털), 카페, 소셜북마킹, 메신저/화상대화/음성대화, 토 향, 특허, 통계, 인력, 원문미리보기, 사전, 웹사이트, 블로그, 카페(커뮤니티, 포럼), 지식, 게시 론방, 포럼, 지식 서비스, 위키 공동저작, 온라인 서재, 책 서평, 이용자 평점, 온라인 설문조사, 판, 메일링리스트, 자료실, 지역정보, 영화정보(예매하기, DVD구매), DVD정보, 공연정보, 콘텐 자유게시판, 참고정보 질의, RSS, Podcast, 모바일RSS, 맞춤정보서비스 (메일링서비스), 동영상 츠정보, 부동산, 외부 DB, 모바일열람, 멀티미디어 열람(이미지), 멀티미디어 열람(동영상), 멀티 공유, 이미지 공유, 문서 공유, 오픈 API, 개인 맞춤포털 서비스(위젯)’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미디어 열람(음악), 취업/교육/행사정보, 웹진/매거진, 지도 열람, 읽은 책 저장, 저작권정보, 원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문복사서비스, 상호대차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 하였다. 4) 이용 단계 이용자들이 NDL 포털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있어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행위의 패턴을 살펴 24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5
  • 14.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보면 다음과 같다. 4. 일반 포털과 도서관 포털 | 정보탐색행위 패턴 | ● 내용 및 범위에 따라 종합포털과 전문포털로 구분함 ●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라 일반민간포털과 공공포털로 구분함 정보 NDL 포털 회원가입 로그인 브라우징 검색/열람/참여 종료 ●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구분함 욕구 접속 서비스 이용 ● 서비스 매체에 따라 구분함 가입안내 개설 및 ●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 조회 설치 반포털로 나누어 조사 분석을 실시함 서비스 포털의 유형은 서비스 내용이나 범위에 따라,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특징적인 예약/신청 서비스 성격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여 볼 수 있다. [그림 Ⅱ-6] 포털 이용자 정보탐색과정 이용 첫째, 내용 및 범위에 따른 구분으로 포털은 제공하는 서비스(정보)의 범위와 깊이에 따라 다양 한 주제의 정보를 망라하는 종합 포털과 학술정보, 지리정보, 의학정보, 통계정보 등 특정 주제의 포털 이용자들은 여러 경로를 통해 NDL 포털을 인지하게 되며, 각자 상이한 정보욕구를 가지 정보를 중심으로 하는 전문 포털로 나눌 수 있다. 둘째, 포털 서비스 제공 주체에 따른 구분으로 고 NDL 포털을 (방문)접속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용 단계 정보탐색행위 패턴은 민간(일반) 포털, 공공포털로 나눌 수 있으며 이는 대학포털, 도서관포털, 기업포털 등으로 세분 회원가입을 위한 가입안내 및 조회 및 가입절차로 이루어지며, 검색/열람/참여 서비스를 원활히 될 수 있다. 셋째, 특징적인 서비스 성격에 따라 검색포털, 커뮤니티포털, 동영상포털, 상거래포 이용할 수 있게하기 위한 이용안내의 조회, 각종 서비스 예약/신청 과정이 브라우징과 함께 반복 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넷째, 서비스 매체에 따라 TV 포털이나 모바일 포털 등으로 나눌 수 있 적이고 순환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다. ‘국립디지털도서관 이용자 시나리오’에서는 포털 참여 단계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보탐색의 유 한편, 도서관 포털은 맞춤형 e-자원 포털, 통합된 웹서비스 포털, 포털의 특징을 포함하는 메타 형을 ‘회원가입, 로그인, 홍보 동영상 보기, 도서관 소개, 보도 자료, 저작권 관련 안내, 이용안내, 검색 시스템 등으로 유형을 나누어볼 수 있다. 온라인 이용교육, FAQ, 사이트맵, 관련 사이트, 공지사항, 묻고 답변 받기, 분실물 신고 게시판, NDL 포털 모형 개발 및 서비스 방안 도출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포털과 일반포털로 나 자원봉사 신청, 견학 안내 및 신청, 시설 예약, 이용교육 신청, 약관, 개인정보보호정책, 이용봉사 누어 대표적인 사례를 중심으로 주요 서비스 특징 및 기능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헌장, DB소개, 법/정책, 건의/제안, 오류신고, 마이 페이지, 툴바/데스크바, 구직 서비스, 다국어 대표적인 도서관포털의 유형으로는 대학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온라인 전자자원 포털 및 디지털 변환, 장애인이용안내, 문자기능 확대 서비스, 음성 서비스’ 등으로 구분하고 상세한 정보탐색 과 도서관 포털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일반포털 유형으로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의 국내 정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종합포털과 구글, 야후 등 해외포털, 지식정보 및 연구정보를 다루는 공공포털, 대학 및 대학도서 관의 대학포털, 웹 2.0 기반의 서비스 모델로 구분하여 대표적인 서비스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국 립디지털도서관의 포털 모형을 개발하고 정보서비스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26 제2장 포털과 정보 서비스 27
  • 15.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2. 도서관 포털 프로젝트 및 구축 사례 분석 3. 도서관 포털의 특징 및 기능 비교 분석 4. 도서관 포털의 일반 모형 비교 분석
  • 16.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개발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제3장 도서관포털조사분석 맞춤화와 개인화의 동향은 도서관 포털과 관련된 이슈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맞춤화와 개 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포털은 이용자 각각의 정보요구에 반응하는 개인정보시스템을 만들기 위 하여 이용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이용자들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디지털 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의 혼돈을 질서로 변화시키기 위한 요구가 일어나고 있고, 모든 이용자는 웹을 좀 더 단순하고 정돈된 방법으로 이용하기를 원하게 되었다. 검색엔진 의 중요성과 더불어 효과적인 웹 서비스의 제공이 많은 기업 및 조직에서 중요시되고 있고, 삶의 모든 영역에서 전자매체의 중요성을 자각하게 되면서 정보의 질서(order), 신뢰도(reliability), 그리고 투명성(transparency)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포털은 특정 정보이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맞춤정보의 과잉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1. 도서관 포털의 개요 변형 환경(transformational environment)이다(Lakos 2004). 웹 환경이 정보의 조직 및 이용 에 선호되면서 그 중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정보기술의 빠른 발전은 웹에 시사하는 바가 ● 미래의 도서관 기술에 있어 중요한 동향은 '맞춤화'와 '개인화'임 크다. 정보, 금융처리, 문서관리 등을 위한 최적의 해법으로 웹에 대한 인식이 빠르게 보편화되고 ●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 있는 것이다. 되어야함 포털은 혼돈에서 질서를 구현하기 위한 긍정적이고도 잠재적인 구조(framework)이다. 포털이 ● NDL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 정보 및 상업거래를 위한 일차적인 수단이 됨에 따라, 모든 유형의 도서관은 포털이라 부르는 다 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 양한 구조 및 서비스를 생각하고, 계획하고, 구축하게 되었다. 도서관 이용자들은 필요로 하는 것 보환경을 말함 이 웹에 없다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도 되었다. 한편, 정보는 대안의 웹 자원으로 ● NDL 포털은 국가 대표 도서관 포털로, 통합적인 정보공유 체제를 지향함 도 이용가능하게 되었고, 도서관은 다양한 새로운 정보 서비스와 경쟁하게 되었다. 도서관의 도 구와 서비스를 이용하여 정보를 찾기 어렵다면, 이용자는 대체 자원을 찾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 1999년 1월, 미국도서관협회(ALA) 겨울 회의에서 도서관·정보기술협회(LITA: library and 실은 도서관 웹 환경을 효과적이고 유용하게 만들기 위한 요구로 해석된다. 이러한 경향은 빠르 information technology)의 전문가들은 미래의 도서관 기술(technology)에 대한 많은 중요한 게 디지털화 되어가는 환경에서 수백만의 장서와 저널을 소장하고 있는 도서관들에게 그리고 과 동향을 파악한바 있다. 이 회의에서는 7개의 동향이 언급되었는데 그 중 첫 번째 동향이 포털의 거와 현재 계속해서 자신을 전통적인 지식의 관리자로서 인식하는 도서관들에게 특히 도전이 되 핵심요소인 맞춤화와 개인화(customization and personalization)이다. 여기에서의 요점은 다 고 있다. 도서관은 업무와 웹서비스의 구조로서 웹 포털을 빠르게 수용해 가고 있는 것이다. 음과 같다. 포털을 계획할 때, 특정 원칙을 명심하는 것은 중요하다. 포털은 이용하기 간편하고, 신뢰할 수 있고, 예상할 수 있도록 고객 관점에서 설계되어야만 한다. 포털은 가치(또는 전달 결과)를 증명 '웹을 이용하는 이용자 그룹은 크게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은 맞춤화와 고객지원을 기대한다. 이 할 수 있어야 하고, 고객이 보다 자기를 믿을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포털의 계획 및 실행에 모 용자-중심적 접근 대신에 도서관-중심적 접근은 앞으로도 계속하여 부적절할 것이다. 든 이해관계자를 포함하고, 모든 구성단위를 허용하는 원칙과 도구를 고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University of Washington의 MyGateway와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의 예를 들면, 통합의 확인 및 인증시스템이 필요하고, 모든 구성원들의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야 MyLibrary@NCState는 맞춤화된 포털의 예이다.' 한다. 즉, 도서관 포털의 목적은 다양한 이용자 그룹 및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이용할 수 있는 구 30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1
  • 17.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조를 만드는 것이다. 이용자 중심이 되어야 하고, 원스톱 서비스가 가능해야 하고, 디자인 면에서 | ARL Scholars Portal Working Group(2001)에서의 정의 | 이용자들이 오랫동안 흥미를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용자에게 다양하고 분산된 웹 사이트, 도서관 목록, 정보자원 DB에 대하여 검색을 가능케 하 포털은 웹상에서 이용자에게 정보 및 데이터가 제공되는 방법의 기본적인 변화를 나타내기 때 고 단일표현으로 결과를 통합하기 위한 탐색도구이다. 문에 포털의 초점으로써 이용자를 강조할 필요가 있다. 확인 및 인증시스템에 기반한 맞춤화는 ( '... a discovery tool that enables a user to search across certain limited but diverse 이용자에게 웹 자원을 제공하는 조직 및 콘텐츠 소유자를 위한 절차이다. 이용자에 대해 많이 알 and distributed websites, library catalogs, and databases of information resources to 수록 더 많은 것을 계획할 수 있고, 포털은 더 유용해질 것이다. 맞춤화는 이용자의 첫 인상을 결 retrieve and integrate the results in a single presentation.') 정한다. 개인화는 이용자에게 잘 설계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고, 이용자가 원하는 구조 로 변화시켜 결국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맞춤화와 개인화에 입각한 도서관 | European Library Automation Group(2002)에서의 정의 | 의 포털 환경은 고객과 장기적인 관계를 갖게 하여 보다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도서관을 만들게 도서관 포털은 단일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이질의 정보자원에 대하여 원 스톱 접근/검색을 허용 될 것이다. 도서관 포털의 설계자는 고객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포털의 결과를 짐작하는 기 하고, 미리 정의된 이용자에게 서비스를 가능케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능 또는 시각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 A LIBRARY portal is an application which allows one-stop-shop access/searching 본 장에서는 도서관포털의 정의, 발전초기의 유형, 주요 요소, 기술 유형, 평가와 성과 등에 대 and discovery via a unified single-point interface to organized heterogeneous 하여 간단히 살펴보고, 도서관포털의 주요 프로젝트 및 구축사례를 통해 그 시사점을 도출해 보 resources and enabling services to a pre-defined community (users)."] 고자 한다. | JISC의 LibPortal Project(2003)에서의 정의 | 도서관 포털은 도서관 목록, 참고자료의 온라인 구독, 전자저널, 학습 및 교육자료 등을 포함하 가. 포털이란 무엇인가? -NDL의 관점을 중심으로 여 다양한 자원으로부터 콘텐츠를 수집하는 네트워크 서비스이다. [ " Library portal is a network service that brings together content from diverse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르다. 여기서는 문헌에서 발견할 수 있는 모든 포털의 정의를 resources, including the library catalogue, on-line subscription reference material, e- 연대순으로 살펴봄으로써 포털정의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NDL의 관점에서 정리해 보고자 한 journals and learning and teaching material."] 다. | Lacos(2004)의 정의 | | Looney와 Lyman(2000)의 정의 | 이용자에게 개인적인 선호에 따라 웹사이트의 콘텐츠와 모습을 '개인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 다양하고 유용한 정보자원을 하나의 '원 스톱(one stop)' 웹 페이지에 모아, 이용자들이 '정보홍 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맞춤형 학습 및 업무 웹 환경이다. 수'에 압도되거나 웹에서 길을 잃는 것을 피하도록 도와주는 시스템이다. [ " a customized learning and transactional Web environment, designed purposefully ( '...systems which gather a variety of useful information resources into a single, 'one to enable an individual end-user to 'personalize' the content and look of the website stop' Web page, helping the user to avoid being overwhelmed by 'infoglut' or feeling for his/her own individual preference." ] lost on the Web.' ) 32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3
  • 18.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 Maloney(2004)의 정의 | ⑤ 검색결과를 저장하고 (인쇄, 이메일, 다운로드 등의 방식으로) 개인화 한다. 포털은 다양한 자원에서 수집된 정보에 맞춤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웹 기반 도구이다. ⑥ 검색결과를 원문으로 연결하거나 기타 전달방식을 제공한다. [ " A portal is a Web-based tool that provides a customizable interface to information ⑦ 개별 정보자원의 접근과 인증 이용자에 대한 포털의 기능을 관리한다. aggrega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 나. 발전 초기의 도서관 포털 | Madison과 Hyland-Carver(2005)의 정의 | OpenURL 해석기를 통한 원문 검색 또는 팩스, 이메일 등을 통한 원문 전달의 가능성을 가지 | IPL | 고, 단일 메타검색으로 다중 정보 자원에 대해 연합검색(federated searching) 능력을 제공하는 미시건 대학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IPL(Internet Public Library)은 인터넷 상의 최초의 전자 도구이다. 도서관 포털 중의 하나이다. IPL은 전자도서관 포털뿐만 아니라 야후!와 같은 상업적 포털의 발 [ " a tool that provides broadcast(or federated) searching capabilities via a single 전에도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다. IPL이 포털로 간주되는 이유는 도서관의 사명인 서비스를 제공 metasearch across multiple information resources, with the potential of full-text 하면서도, 양질의 웹사이트로 연결되는 주제별 디렉토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retrieval (using OpenURL resolvers or direct linking) or full-text delivery through IPL은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수업에서 시작되었다. Joe Janes 교수는 mechanisms such as fax, e-mail, etc." ] 정보 전문가가 되고자 열망하는 대학원생들이 인터넷 상에 공공 도서관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흥미롭고 교육적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들은 학부장, 총장, 청소년 담당 사서 등 도서관을 이처럼 웹 포털 또는 포털에 대한 정의는 학자마다 다양하고, 단일의 보편적인 정의는 찾아보 운영하는 데 연관된 모든 사람들의 직무 내용을 작성했다. 실제 도서관의 시설 관리자 대신 컴퓨 기 어렵다. NDL에서의 포털은 지식정보자원의 조직을 위한 도구로서의 포털이 바람직하다. 이 터 프로그래머가 필요했고, 대출대의 직원은 필요하지 않았다. 어떤 자료를 소장할지, 도서관으 수상 교수에 의한 NDL의 포털은 NDL 장서관리 영역에서 구축한 양질의 장서와 콘텐츠를 대상 로서 어떤 서비스를 제공할지는 학생들이 직접 결정하였고, 심지어 도서관을 감독하기 위한 위원 으로 정보를 활용하려는 모든 계층의 국민들에게 인터넷 기반의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환 회도 구성하였다. 1995년 성 패트릭데이에 IPL 사이트를 오픈하였을 당시, 참고도서 섹션과 동 경을 말한다. 화 구연을 포함한 어린이 섹션, 전문 사서들을 위한 서비스, 교실, 전시장, 독서실 등이 있었다. 따라서 NDL 포털은 국가대표 도서관 포털이며, 국내외 도서관, 정보센터, 기록관, 박물관 등 1996년 이 도서관에 MOO(Multi-user Object Oriented system: 다중 이용자 객체 지향 시스 과 같은 정보관련 기관에 산재하는 각종 디지털 장서, 정부나 공공기관, 개인이 제작한 각종 공공 템) 환경이 만들어졌는데, 이는 실제 도서관에서 사람들이 우연히 마주쳐 모든 종류의 주제 - 그 접근 또는 개방접근이 가능한 디지털 장서, 그리고 상업적으로 구축하여 라이선스 접근을 허용하 들의 직업, 책, 시 - 에 관해 대화를 나누는 환경을 그대로 옮겨놓았다. 는 디지털 장서 등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공유 제체를 지향하는 것'이다. 이수상 교수에 의한 NDL 프로젝트 초기부터 관련된 학생들 중, 공학부 학생들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문헌정보학 대학 의 포털 정의는 적절해 보이며, 여기에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목적이 추가될 것을 제안한다. 원생이었다. IPL 관련 회의는 학생들의 컨디션이 최상이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나오기 쉬운 저녁 에 주로 진행 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매 학기마다 계속되었고 각 그룹의 학생들은 IPL이 소장한 ① 적절한 개별 정보자원의 식별과 선택을 돕는다. 자료와 포털 내의 체험을 더욱 다양하고 풍요롭게 해주었다. 1998년 Jane 교수가 문헌정보학 대 ② 이용 목적에 가장 유용한 개별 정보자원의 결정을 돕는다. 학원을 그만두었지만, 자료 책임자로 있었던 David Carter의 리더십 하에 IPL은 지속적으로 운 ③ 다양한 개별 정보자원에 대한 분산검색(예를 들면, Z39.50)을 제공한다. 영되었다. 이용자를 위한 IPL의 서비스와 프로젝트는 3학점의 실습 과목 형태로 대학원에서 가 ④ 검색결과를 통합하고 관리한다. 르치고 있으며, 이 수업에서 학생들은 자료 전문가, 참고 관리자(reference administrators), 이 34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5
  • 19.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용성 평가자, 프로그래머 등의 역할을 맡아 실습하게 되었다. |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Information Service | IPL의 목표 세 가지는 ① 교육 환경을 제공한다(provide a teaching environment), ② 교수 BUBL(Bulletin Board for Libraries) 정보서비스는 1993년 이래로 영국 Strathclyde 대학 에게 연구 환경을 조성한다(provide a research environment for faculty), ③ 대중에게 서비 교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포털은 모든 주제에 대한 정선된 인터넷 자료를 무료로, 이용하기 스를 제공한다(provide services to the public)는 것이다. 쉽게 접근하도록 하되, 특히 문헌정보학 학문에 초점을 맞춘다. BUBL의 자료는 듀이 십진분류 법에 의해 분류 되며 많은 부분 BUBL에 맞추어 수정된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이 |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The librarian’s index to the internet) | 용한다. BUBL은 고등교육계 일원들에 의해 국가적인 자료원으로 간주되고 있다. BUBL의 사 인터넷의 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초창기의 시도 중 하나는 1991년 버틀리 공립 도서관의 Carole 명 선언문은 아래와 같다. Leita에 의한 것이었다. 그녀는 고퍼 소프트웨어가 출시 된 후, 그녀의 고퍼 즐겨찾기 목록을 분 류해두었다. 이것이 1993년 ‘웹 기반의 버클리 공립 도서관 인터넷 색인’이 되었다. 1997년 이 이 ‘영국의 고등교육계(higher education community)에 인터넷 정보 이용에 대한 부가가치 서 름은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으로 변경 되었고, 서비스는 UC버클리의 디지털 도서관 선사이트 비스를 제공하고, 교육과 연구, 전문적인 의의를 지닌 서비스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공한다. (SunSITE)로 옮겨진 후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을 자료에 부여하기 시작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은 현재 캘리포니아 디지털 도서관에 속해있다. ‘사서들의 인터넷 색인’의 사명은 ‘확 ● 주제에 근거한, 선별된, 다양한 분류 방법을 통합하여 직접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하고 신뢰할만하며 사서가 정선한 인터넷 자료에 대한 잘 정리된 접근 포인트를 제공하되, 캘 ● 독창적인 전자 정보 자원을 직접 개발하거나, 개발을 장려한다. 리포니아 주, 미국, 더 나아가 세계에 봉사한다.’라고 되어있다. ● 적절한 상업 서비스를 갖춘다. ● 잘 분류된 타 서비스들에 대한 이용 경험을 제공한다. | 미시건 e도서관(Michigan eLibrary) | ● 문헌정보 전문가들의 노력을 장려하며 조율한다. ‘미시건 e도서관’은 미시건 주의 공립 사서들이 고객에게 서비스 할 때 인터넷을 좀 더 쉽고 효 ● 관련된 참고 서비스와 도움을 제공하며 최신정보주지서비스와 교육을 제공한다.’ 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만들어 졌다. 1992년 고퍼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베스트 웹 사이트 리스트를 만들었는데, 이 웹 사이트들은 마치 공공 도서관에서처럼 주제 초기 도서관 포털 시스템은 인터넷 콘텐츠가 당시의 첨단 기술을 막 활용하기 시작했던 때이 와 전달 수단에 따라 각기 다른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미시건 e도서관은 W. K. Kellogg 다. 미래를 내다봤던 사람들의 대부분은 도서관과 관련된 배경을 가지고 있었고, 기술적인 전문 Foundation과 미시건 대학의 대학 도서관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되었는데, 이 프로그램은 주(州) 성을 갖춘 이들도, 혹은 조직적인 전문성을 갖춘 이들도 있었다. 이들은 이러한 포털이라는 변화 전역의 공립 도서관 협회에게 참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었다. 1995년 미시건 대학의 도서관 를 이끌었으며, 모험하는 것에 대하여 두려워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 하나의 공통성은 이들이 은 미시건 주로부터 후원금을 받아, 고퍼를 ‘미시건 전자 도서관’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계속 유 정보의 혼란 가운데서 질서를 찾고 싶어 했다는 점이다. 그 수단이 듀이 십진분류법이든지 지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는 2000년 주(州) 전역에 걸친 참고 서비스 프로그램이 종료됐을 때 주 (BUBL) 미국 국회 도서관의 주제명 목록이든지(LII) 혹은 직접 개발한 분류 체계(IPL)이던 관계 (州) 도서관으로 흡수 되었다. 이후 주(州)에 있는 모든 도서관이 그들의 비용이나 고객의 비용 부 없이 질서를 부여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담 없이도 많은 독점적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 최근에는 이러한 데이터베 이스의 몇몇은 이용자의 집이나 회사에서도 이용 가능하게 되었다. 이 서비스가 ‘미시건 e도서관’ 이라 불리게 되었고, 이제는 미시건 주립 도서관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36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7
  • 20. 디브러리 포털사이트 모형 개발 다. 도서관 포털의 주요 요소 | Richard W. Boss | Richard W. Boss(2005)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Ward and Hiller(2005)는 도서관 포털의 3요소를 웹 인터페이스의 맞춤화(customizable Web interface),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강력한 교차검색 ① 직관적이고도 맞춤화할 수 있는 웹 인터페이스(intuitive and customizable web 기능(powerful cross searching)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도서관 포털을 구성하는 요소는 interface) 이처럼 단순하지는 않으며 다양하고 복잡하다. 여기서는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와 ② 콘텐츠 표현의 개인화(personalized content presentation) Boss(2005)의 견해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③ 연합 검색(federated searching): 연속적인 로그인과 검색(consecutive log-ons and searchers)이 아닌 단일 로그인(single log-on)과 통합 검색(single search) | Library Technology Reports | ④ 적합 순위(relevancy ranking): 미리 결정된 기준에 의한 탐색결과의 순위 Library Technology Reports(2002)에서는 일반적인 도서관 포털의 구조를 통합 검색 인터페 ⑤ 링크 변환(link resolution): 서지적 메타데이터를 URL로 송출하기 위한 이스, 이용자 인증, 자원 연결, 콘텐츠 개발 간의 관계로 보고, 이들을 도식화 하고 있다. OpenURL 해석기(resolver) 등의 활용 ⓛ 통합 검색 인터페이스(single-search interface) ⑥ 보안(security) ② 이용자 인증(user authentication) ⑦ 커뮤니케이션과 협업(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채팅, 이메일, 캘린더 ③ 자원 연결(resource linking) (calendars) 공유, 웹 미팅 등의 활용 ④ 콘텐츠 개발(content enhancement) 라. 도서관 포털의 유형 User MetaFind:Universal Search 도서관 콘텐츠, 특히 온라인 전자 자원의 포털화에 대한 접근 유형은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McDonald 2004). Web Access Management: Authentication | 맞춤형 e-자원 포털(customizable e-resource portals) | Selected Resources 도서관에서 전형적인 포털의 이용은 전자 자원의 맞춤형 시각(customized views of elec- Cataloged Resources tronic resources)을 제공하기 위한 구조이다. 이들 포털의 유형은 이용자들의 정보 요구를 가장 잘 만족시키는 방법으로 정보자원을 배열하고 전시하는 수집자의 역할을 한다. 또한 도서관이 제 Web Sites, Bibliographic Community Abstract Local Digital Z39_50 Servers, Batabase Web OPAC Collections Information Database and Full-Text Databases Other 시하는 수많은 자원들로부터 도서관 자원의 목록을 통해 살펴볼 필요 없이 고객들이 선택하는 것 Library Catalogs 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포털 유형의 예는 많은 도서관에서 발견할 수 있다. 가장 유명한 곳은 Eric Lease Morgan의 MyLibrary 소프트웨어가 개발된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이 WebBridge: REsource Linking 다. e-자원 맞춤형 포털 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공개소스 소프트웨어 툴의 예로 MyLibrary, the Scout Portal Toolkit, phpWebSite가 있다. [그림Ⅲ-1] 도서관 포털의 구성요소 38 제3장 도서관 포털 조사 분석 39